<문제 해설> 건축계획의 과정 1. 기획 : 자료수집분석 2. 실시설계 : 평면, 입면, 구조설계 3. 시공 [해설작성자 : 강비무]
8.
블록구조의 내력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층의 연직하중과 건물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받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내력벽이 수평하중을 받으면 전단력과 휨을 동시에 받게 된다.
3.
내력벽은 건물의 평면상으로 균형 있게 배치하여야 한다.
4.
하중의 흐름을 고려하여 위층의 내력벽은 밑층의 내력벽과 같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9.
다음 중 기초의 분류 상 직접기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복합기초
2.
독립기초
3.
온통기초
4.
말뚝기초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얕은 기초는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지반이 비교적 얕은 깊이에 있어서 지반 위에 온통기초나 줄기초를 설치하는 것을 말하는데 직접기초라고도 합니다. 깊은 기초는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지반이 깊은 위치에 있어서 기초 밑에 말뚝을 박아 지지하는 것을 말합니다.(티스토리 건축시공·재료 지식 저장소 발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 - 독립기초 : 한 개의 기초판, 한 개의 기둥 - 복합기초 : 한 개의 기초판, 두 개 이상 기둥 - 줄기초 : 연속기초. 벽 또는 기둥을 대형의 기초판으로 받침 - 온통기초 : 건물 하부 전체 또는 지하실 전체를 하나의 기초판으로 구성 [해설작성자 : 다부ENG]
10.
다음 중 음의 단위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cd
2.
dB
3.
W/cm2
4.
phon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d 는 칸델라, 광도의 단위 [해설작성자 : 유누1]
dB 데시벨: 소음의 단위 W/cm2: 음의 세기 레벨(SIL) phon: 1 kHz 순음의 음압레벨(dB) [해설작성자 : 퍼가요~♡]
진열장 배열 ➀직렬 배열형(직선 배열형)은 통로가 직선이며 고객의 흐름이 가장 빠르다. 부문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고 대량 판매형식도 가능하다. 서점 ➁환상 배열형 : 중앙에 케이스, 대 등에 의한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고리 모양부분을 설치하고 이안에 레지스터, 포장대 등을 설치. 수예점, 민예품점 ➂굴절배열형 : 대면판매와 측면 판매의 조합. 양복점, 모자점, 문방구 ➃복합형 : 각 형을 적절하게 조합. 부인복지점, 피혁제품점 [해설작성자 : 다부ENG]
20.
주택의 침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대는 머리쪽에 창을 두는 것이 좋다.
2.
침실은 현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출입문은 침대가 직접 보이지 않게 안여닫이로 하는 것이 좋다.
4.
어린이 침실은 가사실로부터 감독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침대는 다리쪽에 창을 두는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헿]
2과목 : 위생설비
21.
수도 본관으로부터 높이 10m에 설치된 세정밸브식 대변기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수도본관의 최저압력은? (단, 급수방식은 수도직결방식이며 배관 내의 마찰손실은 40kpa, 세정밸브식 대변기의 최저필요압력은 70kpa이다.)
1. 탱크로의 급수에 볼 탭이 사용된다(볼탭사용맞음) 2. 하이 탱크식에 비해 세정소음이 작다(로우탱크에 급수되어진 물로 세정하기 때문에 소음이 비교적 적다) 3. 탱크로의 급수압력과 관계없이 대변기로의 급수수량이나 압력이 일정하다 (위와 마찬가지로 로우탱크로 물이 급수되어 항상 탱크속 일정부분의 유량으로 세정된다. 즉 유량, 압력변화가 없다.) 4. 단시간에 다량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용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단시간에 다량의 물이 필요하지도 않을뿐더러 일반 가정용으로 대부분 사용되는 것이 로우탱크식이다.) [해설작성자 : 신흥타이거]
23.
액체 중에 직경이 작은 관을 세웠을 때, 관속의 액면이 관 밖의 액면보다 높거나 낮게 되는 현상은?
1.
층류 현상
2.
난류 현상
3.
모세관 현상
4.
베르누이 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71%
24.
시간당 200L의 급탕을 필요로 하는 건물에서 전기온수기를 사용하여 급탕을 하는 경우 필요전력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ㆍK, 급수온도는 10℃, 급탕온도는 60℃, 전기온수기의 가열효율은 95%이다.)
관 내의 흐름이 층류인지 난류인지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레이놀즈수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Re=레이놀즈 수, u=관 내의 평균유속(m/s), d=관 내경(m), v=유체의 동점성계수(m2/s))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6%
39.
세정밸브식 대변기에 버큠 브레이커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1.
냄새 방지
2.
급수소음 방지
3.
급수오염 방지
4.
배관의 부식방지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세정밸브식 대변기에 역류방지기(버큠 브레이커)를 설치하는 이유는 토수된 물이나 이미 사용된 물이 역사이펀 작용으로 상수계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급수관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세정밸브식 급수관에 진공이 걸리면 대기중으로 개방시켜 급수의 오염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40.
다음 중 모세관 현상에 따른 트랩의 봉수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트랩을 자주 청소한다.
2.
각개통기관을 설치한다.
3.
관내 압력변동을 작게 한다.
4.
기구배수관 관경을 트랩구경보다 크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트랩내의 머리카락이나 고체 이물질로 인해 모세관 현상의 봉수파괴가 일어나므로 트랩을 청소해준다. [해설작성자 : 수안파파]
3과목 : 공기조화설비
41.
틈새바람양의 산출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환기횟수법
2.
창문면적법
3.
실내면적법
4.
창문틈새길이법
정답 : [
3
] 정답률 : 64%
42.
증기난방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열시간이 온수난방에 비해 짧다.
2.
온수난방에 비해 실내의 쾌감도가 좋다.
3.
온수난방에 비해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4.
온수난방에 비해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방열량의 제어가 곤란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습하기 때문에 불쾌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증기난방은 오히려 공기를 건조하게하므로 쾌적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sanghuh]
43.
중앙 공조기의 전열교환기에서는 다음 중 어느 공기가 서로 열교환을 하는가?
1.
외기와 실내배기
2.
외기와 실내급기
3.
실내배기와 실내급기
4.
환기(RA)와 실내급기
정답 : [
1
] 정답률 : 56%
44.
동일 송풍기에서 회전수를 2배로 했을 경우 풍량, 정압 및 소요동력의 변화량으로 옳은 것은?
상대습도 60%인 습공기의 건구온도(a), 습구온도(b), 노점온도(c)의 크기 관계가 옳은 것은?
1.
a>b>c
2.
b>a>c
3.
b>c>a
4.
c>b>a
정답 : [
1
] 정답률 : 75%
46.
다음 설명에 알맞은 환기방식은?
1.
급기팬과 배기팬의 조합
2.
급기팬과 자연배기의 조합
3.
자연급기와 배기팬의 조합
4.
자연급기와 자연배기의 조합
정답 : [
3
] 정답률 : 76%
47.
단일덕트 정풍량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풍량방식에 비해 설비비가 많이 든다.
2.
2중덕트방식에 비해 냉ㆍ온풍의 혼합손실이 많다.
3.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응답이 변풍량방식에 비해 느리다.
4.
실내의 열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1. 변풍량방식에 비해 설비비가 적게 든다. 2. 2중덕트방식에 비해 냉 온풍의 혼합손실이 적다. 3.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응답이 변풍량방식에 비해 느리다. 4. 실내의 열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옥내소화전이 1층에 5개, 2층에 4개, 3층에 4개가 설치되어 있을 때 이 건물의 옥내소화전 설비으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3.4m3
2.
5.2m3
3.
10.4m3
4.
20.8m3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제연설비의 설치장소는 제연구역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제연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과 통로(복도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한다.
2.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m2 이내로 한다.
3.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80m의 원내에 들어 갈 수 있도록 한다.
4.
통로(복도 포함)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의 원내에 들어 갈 수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고니]
77.
길이 20[m], 폭 20[m], 천장높이 5[m], 조명률 50[%]의 사무실에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 조도를 120[lx]로 하려고 한다. 형광등의 소요 개수는? (단, 형광등 1개의 광속은 2500[lm], 보수율은 80[%]이다.)
1.
43개
2.
45개
3.
48개
4.
50개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평균조도 E = 광속*개수*조명률*보수율 / 작업면적(m^2)*실지수 개수 N = 작업면적*실지수*평균조도 / 광속*조명률*보수율 N = 20*20*120 / 2500*0.5*0.8 = 48개 [해설작성자 : 에버그린]
78.
건축화 조명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코브 조명
2.
코니스 조명
3.
광천장 조명
4.
펜던트 조명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펜던트 조명은 조명기구를 매어 단 형식으로 건축화 조명에 속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konggo]
79.
분전반을 설치하는 전기샤프트(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2.
ES의 면적은 보, 기둥 부분을 제외하고 산정한다.
3.
설치장비 공급의 편리성을 우선하여 각 층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한다.
4.
전력용과 정보통신용과 같이 용도별로 구분하여 설치하되, 작은 규모일 경우는 공용으로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분전반은 전력 공급의 효율성을 우선하며 각 층의 중앙 부분에 설치 [해설작성자 : konggo]
전기 샤프트(ES :Electrical Shaft)는 용도별로 전력용(EPS)와 정보통신용(TPS)으로 구분하여 설치합니다. 다만, 각 용도의 설치 장비 및 배선이 적은 경우는 공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먼저, EPS는 Electrical Pipe Shaft의 약어이며 건축물이나 다른 공작물을 건설하는 경우 보통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전기공사의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흘러 다니는 Shaft(통)을 의미 합니다.
TPS는 Telecommunication Pipe Shaft의 약어이며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흘러 다니는 Shaft(통)을 의미 합니다.
EPS, TPS 실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구획해서 만들어 집니다. 건물이나, 아파트 같은 곳을 보면 EPS실이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설비도사]
80.
어떤 저항에 직류전압 100[v]를 가했더니 1[kW]의 전력을 소비하였다. 이 때 흐른 전류는 몇 [A]인가?
1.
0.01
2.
5
3.
10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VI V=전압 I=전류
1000[W] = 100[V] * X[A]
X=10[A] [해설작성자 : 징구123]
81.
건축물을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려는 경우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층수 기준은?
1.
15층 이상
2.
21층 이상
3.
31층 이상
4.
41층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8%
82.
다음의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도등
2.
비상방송설비
3.
자동화재속보설비
4.
자동화재탐지설비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유도등은 피난 [해설작성자 : 분도]
83.
다음은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 : [
3
] 정답률 : 66%
84.
욕실 또는 조리장의 바닥과 그 바닥으로부터 높이 1m까지의 안벽의 마감을 내수재료로 하여야 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