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지는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나 재해를 방지함으로써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수변공원은 면적의 제한이 없다 (공원녹지법 시행규칙 별표3) 2. 녹지의 종류는 완충녹지, 경관녹지, 연결녹지로 구분된다(공원녹지법 제35조) 3.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의해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토토용]
2.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1.
기반시설의 설치, 정비 또는 개량
2.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
3.
용도지역, 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
4.
관할구역에 대한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 제시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관할구역에 대한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 제시는 도시기본계획의 주요내용이다.
3.
호이트의 선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류층의 거주지 입지 선택 능력에 의해 도시 내 거주지 유형이 결정된다.
2.
도시의 발달은 교통축을 따라 도심에서 외곽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분화되어 간다.
3.
도심부에 고급 주택지가 형성되어 있고 외곽지로 갈수록 저소득층의 주택지가 형성된다.
4.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에 교통망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도시성장 패턴의 방향성을 추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호이트의 선형이론에 따르면 도심지로부터 새로운 교통로가 발달하면 교통로를 축으로 도시가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된다. 또한 도시 교통의 축이 거주지 유형을 결정한다. 따라서 주거지역은 중심지부터 외곽까지 저급, 중급, 고급순으로 발달한다. [해설작성자 : Hoyt]
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뉴어바니즘
2.
도시 미화 운동
3.
전통 이웃 개발
4.
어반 빌리지 운동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어반빌리지의 뉴어바니즘과의 차이점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고품격 도시설계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mm]
5.
인구의 규모, 분포, 구조, 그리고 주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우리나라 인구주택 총조사의 실시 주기는?
1.
2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는 매 5년을 기준으로 실시하는 것은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웡구]
6.
도시조사 자료 중에서 2차 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면접자료
2.
통계자료
3.
행정자료
4.
도면자료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2차자료에는 행정자료(문헌자료, 통계자료), 지도분석(도면자료)가 있다. 면접자료는 1차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쾌적한 주거환경을 확보하면서 과밀ㆍ과대도시의 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와 전원을 일체화하는 전원도시를 주장한 사람은?
1.
마타
2.
하워드
3.
게데스
4.
가르니에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하워드는 전원도시이론에서 거대도시 또는 과다한 도시화를 방지, 완화하면서 도시와 전원의 조화를 도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해설작성자 : 웡구]
8.
토지이용계획 실현수단을 크게 규제수단, 계획수단, 개발수단, 유도수단으로 나눌 때, 다음 중 직접적인 토지이용 ‘계획수단’에 해당하는 것은?
<문제 해설> 존 설정 기준 1. 가급적 동질적인 토지이용 2. 가급적 행정구역과 일치 3. 가급적 간선도로가 존 경계선과 일치하도록 한다. 4. 소규모도시는 한 존당 1000~3000명, 대도시는 한 존당 5000~10000명 포함 [해설작성자 : RMJ]
15.
국토기본법에 의한 지역계획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1.
광역권개발계획
2.
수도권발전계획
3.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4.
특정용도지역개발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지역계획 지역계획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정비나 개발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관계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역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지역계획의 종류에는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와 산업의 분산 및 적정배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수도권발전계획,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낙후지역 또는 거점지역 등과 그 인근지역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수립하는 지역개발계획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츄파츕스님]
국토기본법 제16조(지역계획의 수립)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정비나 개발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관계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지역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개정 2014. 6. 3.> 1. 수도권 발전계획: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와 산업의 분산 및 적정배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 2. 지역개발계획: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낙후지역 또는 거점지역 등과 그 인근지역을 종합적ㆍ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 3. 삭제 <2014. 6. 3.> 4. 삭제 <2014. 6. 3.> 5. 그 밖에 다른 법률에 따라 수립하는 지역계획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지역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한 때에는 이를 지체 없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알려야 한다. <개정 2013. 3. 23.> [전문개정 2011. 5. 30.] [해설작성자 : 토목시공기술사]
16.
파겐스(M. Fageence)가 제시한 직접적이고 영향이 큰 쇄신적 주민참여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델파이 방법
2.
샤레트 방법
3.
명목 집단 방법
4.
혼합형 탐색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주민참여란 일정지역이 비엘리트 주민이 공적인 결정권을 가진자들에게 정책 또는 계획의 결정에 관하여 영향을 미칠 의도를 가지고 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행위의 기법으로 파겐스는 델파이, 명목집단, 샤트레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적이고 영향이 큰 쇄신적 주민참여를 이루고자 하였다. [해설작성자 : mm]
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역 중 관리지역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보전관리지역
2.
생산관리지역
3.
환경관리지역
4.
계획관리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국토의계획및 이용에관한 법률 제 36조 2항 가,나 다 목
2. 관리지역: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지정한다.
가. 보전관리지역: 자연환경 보호, 산림 보호, 수질오염 방지, 녹지공간 확보 및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하여 보전이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나. 생산관리지역: 농업ㆍ임업ㆍ어업 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다. 계획관리지역: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이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이용ㆍ개발을 하려는 지역으로서 계획적ㆍ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해설작성자 : yang]
18.
도시화의 과정에서 도시산업의 발달 속도보다 도시인구의 증가 속도가 훨씬 크게 되는 현상은?
1.
가도시화
2.
간접도시화
3.
종주도시화
4.
과잉도시화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가도시화는 가짜 도시화를 의미하며 명확하게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도시화는 인구증가속도가 산업발달속도보다 클때 도시문제(빈민화, 슬럼)이 발생하지만 과잉도시화는 산업발달과는 관계없이 인구집중으로 도시확대가 되는 것입니다. 산업발달속도에 영향을 받느냐의 유무로 차이점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19.
도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게데스는 도시 활동을 생산과 소비로 구분하였다.
2.
토지와 시설에 대한 물리적 계획의 3대 요소는 밀도, 동선, 배치라고 할 수 있다.
3.
시민은 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동시에 도시가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4.
토지와 시설은 도시 공간상에서 물리적 상태로 존재하며 도시의 형태를 만들어 내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게대스는 생생위 [해설작성자 : kly]
게데스 - 생산, 생활, 위락 [해설작성자 : 걍중이]
20.
국토계획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안 문제들을 대상으로 단기적 대선 대안을 수립하는 계획이다.
2.
국토의 공간구성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가 망라되는 종합계획이다.
3.
하위계획과 구체적인 집행 계획에 지침을 제시하는 지침 제시적 계획이다.
4.
국토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인간 활동의 공간적 배분 문제를 다루는 공간계획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현안 문제들을 대상으로 장기적 대선 대안을 수입한다. [해설작성자 : 워샤]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의 입안권자가 아닌 자는? (단, 계획의 입안을 위임할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군수
2.
시장
3.
구청장
4.
특별자치시장
정답 : [
3
] 정답률 : 70%
23.
30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의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경우,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주민공동시설은?
1.
경로당
2.
어린이집
3.
어린이놀이터
4.
주민운동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55조의2(주민공동시설) 3항 주민공동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주택단지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시설이 포함되어야 한다. 1. 15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2. 30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 3. 50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주민운동시설, 작은도서관 [해설작성자 : 도린이]
24.
계획의 수립 주체에 따른 도시 계획에의 접근 방식 중, 주민과 국가 차원의 요구가 조화를 이룰 수는 있으나 이를 위해 주민들의 자치와 협동, 상당한 수준의 지도력이 요청되고 지역 사회 자체의 자원 동원 능력이 요구되는 것은?
1.
절충식 계획
2.
상향식 계획
3.
중앙식 계획
4.
하향식 계획
정답 : [
1
] 정답률 : 59%
25.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상 경관상세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지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림대ㆍ구릉지ㆍ하천변ㆍ청정호수 등 자연경관이 양호한 지역
2.
고도지구 및 특정용도제한지구에 지정된 지구단위계획구역
3.
전통적 건조물, 시대적 건축특성이 반영되어있는 건물군 등의 주변 지역
4.
개발압력이 존재하고 있어 양호한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3장 16절
(1) 광역도시계획·도시·군기본계획 또는 도시·군관리계획에서 경관상세계획을 수립하도록 결정한 지역
(2) 수림대·구릉지·하천변·청청호수 등 자연경관이 양호한 지역
(3) 주요 문화재나 한옥 등 전통적 건조물, 시대적 건축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건물들이 밀집해 있어 보존이 요구되는 역사환경지역
(4) 깨끗한 공기, 맑은 하늘, 주위의 산세, 양호한 수림대, 구릉지, 하천변, 청청호수 등 우수한 기후 및 지리적 조건을 갖은 시·군에 개발압력이 존재하고 있어 양호한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
(5) 독특한 경관형성이 요구되는 시·군의 상징적 도로, 녹지대, 문화재나 한옥 등 전통적 건조물, 시대적 건축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건물군 등의 주변 지역
(6) 경관지구에 지정된 지구단위계획구역 [해설작성자 : yang]
26.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의 성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주된 목적은 도시경관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또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이다.
4.
지구단위계획은 난개발 방지를 위하여 개별 개발수요를 집단화하고 기반시설을 충분히 설치함으로써 개발이 예상되는 지역을 체계적으로 개발ㆍ관리하기 위한 계획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27.
공동주택의 배치에서 도로 및 주차장의 경계선으로부터 공동주택의 외벽까지 이격하여야 하는 거리 기준은?
1.
2m 이상
2.
3m 이상
3.
5m 이상
4.
10m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5%
28.
공동주택단지의 lost space 중, 주민접근이 제한되거나 이용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공간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유형은?
1.
베타적 공간(anti space)
2.
황량한 공간(prairie space)
3.
소극적 공간(negative space)
4.
애매한 공간(ambiguous space)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배타적 공간(anti space) : 주위공간과 상대적 기여도에 의해 인지되는 공간, 사용자나 주위환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는 공간 2.황량한 공간(prairie space) : 쾌적한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ex) 가로수 없는 아스팔트도로, 관리소홀에 의해 황폐화된 휴게공간 등 3.소극적 공간(negative space) : 사회적 활동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간규모와 요건을 갖고 있으나, 계획적 요소가 결여되어 토지이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공간 4.애매한 공간(ambiguous space) : 소유와 용도가 분명치 않아 애매하게 버려진 공간 ex)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는 공간, 용도 및 기능 부여하기가 모호한 부정형 및 자투리공간 [해설작성자 : 이다빈]
29.
중수도 순환방식 중 폐쇄순환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별순환방식
2.
광역순환방식
3.
복합순환방식
4.
지구순환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50%
30.
슈퍼블록(Super blo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분한 공동의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2.
건물의 집약화와 도시기반시설의 공동화에 유리하다.
3.
1960년대 이후 영국의 주택이론가들에 의해 창안되었다.
4.
불필요한 도로의 면적을 줄이고 보도와 차도의 분리가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1928년 레드번 계획에서 처음 채택되었는데, 레드번 계획은 라이트와 스타인이 근린주구이론을 적용하여 설계함 [해설작성자 : ㅅㄱㅇ]
31.
지구단위계획의 특별계획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별계획구역에 대한 계획내용은 지구단위계획에 포함하여 결정한다.
2.
지구단위계획 입안 시, 현상설계 등에 의하여 창의적 개발안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을 경우 특별계획구역으로 반영하여 함께 지정한다.
3.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데 있어 법령에서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하도록 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모두를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4.
지구단위계획구역 중에서 계획의 수립 및 실현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 별도의 개발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특별계획구역은 지구단위계획구역 중에서 계획의 수립 및 실현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 별도의 개발안이 필요한 경우 지정된다 [해설작성자 : 솔향]
32.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상업용지의 획지 및 가구계획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도로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계획한다.
2.
구역 중심지의 주간선도로 또는 보조간선도로의 교차로 주변에 계획한다.
3.
가구 규모는 시설입지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규모로 계획한다.
4.
주간선도로 또는 보조간선도로를 따라 배치되는 가구는 2열 이상으로 배열이 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주간선도로 또는 보조간선도로를 따라 배치되는 가구는 1열 [해설작성자 : Young]
33.
가로구역별 건축물의 높이를 지정ㆍ공고하고자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2.
해당 가로구역의 주차 능력
3.
해당 가로구역이 접하는 도로의 너비
4.
해당 가로구역의 상ㆍ하수도 등 간선시설의 수용능력
정답 : [
2
] 정답률 : 68%
34.
프리드만(A.Z. Friedmann)이 제시한 옥외공간을 대상으로 한 설계 평가 시 평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이용자
2.
설계자
3.
주변 환경
4.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프리드만이 제시한 옥외공간을 대상으로 한 설계평가 사항 - 물리적,사회적 환경 분석 - 이용자분석 - 주변환경 분석 - 설계과정분석 [해설작성자 : 도계기]
35.
주요 조망점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조망대상으로도 계획할수 있고 진입부로부터 공간 및 시각적 연계성을 통해 단지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경관축
2.
경관거점
3.
경관권역
4.
경관지점
정답 : [
2
] 정답률 : 62%
36.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 따른 환경관리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차도와 주거지 사이에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음원에서 멀리 설치하고, 소음원과 건물 사이에 가급적 둔덕을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2.
개발행위로 인하여 환경에 큰 영향이 가해질 수 있는 생태민감지역을 보존하여 시(군)내의 오픈스페이스 체계에 연결시킨다.
3.
지역에 산재한 저수지ㆍ호수ㆍ마을연못 등의 자원을 조사하여 마을 내 수자원의 보전과 전체적인 수자원의 순환체계를 고려한 수자원계획을 수립한다.
4.
강우 시 유출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저감하기 위하여 투수성 포장 등 비점원오염(non-point source pollution)물질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음원에 가까이에서 설치를해야 소음효과가 있다. [해설작성자 : 워샤]
37.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60m 내지 100m, ㉡:20m 내지 50m
2.
㉠:80m 내지 120m, ㉡:30m 내지 50m
3.
㉠:90m 내지 150m, ㉡:25m 내지 60m
4.
㉠:100m 내지 200m, ㉡:50m 내지 80m
정답 : [
3
] 정답률 : 67%
38.
일률적으로 규제되는 전통적 지역지구제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구체적 환경목표를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특수적 규제수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특별허가(special permit)
2.
적용특례(zoning variance)
3.
유도지역제(incentive zoning)
4.
중복지역지구제(overlay zoning)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규제적 성격이 강한 제도 : 적용특례, 특별허가,중복지역지구제 유도적 성격이 강한 제도 : 유도지역제 [해설작성자 : 도린이]
39.
인간이 최소한의 폐쇄감을 느끼는 거리(W)와 수직면 높이(H)의 관계는?
1.
W/H=1(45°)
2.
W/H=2(27°)
3.
W/H=3(18°)
4.
W/H=4(14°)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메르텐스(Maertens)의 건물높이(Height)와 거리(Distance) 비 D/H=1(45°) : 상당한 폐쇄감. 상세식별 가능 D/H=2(27°) : 적당한 폐쇄감. D/H=3(18°) : 폐쇄감을 느끼는 최소 비. D/H=4(14°) : 건축물이 원경의 일부가 되며 개방감을 느낌.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40.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보행자전용도로의 최소 폭은?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 : [
2
] 정답률 : 79%
3과목 : 도시개발론
41.
다음은 사업성분석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 분석과정을 가장 알맞게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단, 1단계부터 4단계까지로 나타냄)
1.
할인율 설정→연차별투자비용 추정→연차별 분양수입추정→현금 흐름표 작성
2.
직접비 및 간접비 추정→분양계획→용지별 분양가격 추정→사업성 평가
3.
할인율 설정→현금 흐름표 작성→연차별 투자비용 추정→연차별 분양수입추정
4.
분양계획→현금 흐름표 작성→용지별 분양가격 추정→직접비 및 간접비 추정
정답 : [
1
] 정답률 : 60%
42.
환지계획에서 사업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고 공공시설 설치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기 위해 정하는 것은?
1.
체비지ㆍ보류지
2.
청산환지
3.
입체환지
4.
증환지
정답 : [
1
] 정답률 : 79%
43.
일반적인 부동산개발금융 방식의 구분 중 부채에 의한 조달 방식으로 대출자가 부동산 개발에 의해 발생하는 수익의 배분에 일부 참여하는 방식은?
1.
sale & lease back
2.
participation loan
3.
interest only loans
4.
자산매입 조건부대출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익참여대출(Equity Participation Loan)이란 대출자가 낮은 계약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부동산이 생성하는 소득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도정란]
44.
도시개발 사업지구 A의 장래 인구는 초기에 완만하게 성장하다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급속하게 증가하고, 다시 일정기간이 지나면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여 일정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A 사업지구의 장래 인구 추정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일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간대별 비용과 수입이 추정되었을 때 평가 지표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수익성지수(Profitability index)
2.
순현재가치(Financial Net present value)
3.
내부수익률(Financial Internal rate of return)
4.
다지역투입산출(Multi-region input-output)
정답 : [
4
] 정답률 : 77%
55.
도시개발사업의 방식 중 “수용 또는 사용방식”이 환지방식이나 혼용방식과 비교하여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투자비가 막대한 편이다.
2.
사업기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린다.
3.
이주대책을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4.
전면매수에 따른 토지주의 반발이 많아질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수용 또는 사용에 의한 방식은 매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환지방식에서의 관련된 협의 및 행정처리 등의 소요기간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사업기간이 적게 걸린다. [해설작성자 : 지박]
56.
바다, 하천, 호수 등의 공간을 가지는 육지에 인공적으로 개발된 공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역세권
2.
지하공간
3.
텔레포트
4.
워터프론트
정답 : [
4
] 정답률 : 85%
57.
용도지역제(zoning)와 획지분할규제(subdivision control)를 근간으로 하는 미국의 종래 택지개발방식이 지니는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한 제도로서 일단의 지구를 하나의 계획단위로 보아 그 지구의 특성에 맞는 설계기준을 개발자와 그 개발을 관장하는 당국 간의 협상과정을 통해 융통성 있게 능률적으로 책정ㆍ허용함으로써 공적 입장에서 요구되는 환경의 질과 개발자의 입장에서 요구되는 사업성을 동시에 추구해 가는 제도는?
1.
개발신용제(DCR)
2.
대중교통중심개발(TOD)
3.
계획단위개발(PUD)
4.
근린주구제(NUD)
정답 : [
3
] 정답률 : 84%
58.
도시마케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마케팅의 시장은 공공서비스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도시정부와 그것을 소비하는 단위들이 커뮤니케이션 하는 도시공간이다.
2.
도시정부 혹은 시도 내의 공ㆍ사적 주체가 목표 시장에 대해 경쟁 도시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제공하고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3.
도시나 도시 내 특정 장소를 상품화하는 것으로, 일반 재화나 용역과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문제 해설> 페로우의 제자인 부드빌은 경제성장의 중심점인 성장극을 지리적인 성장거점으로 대체하여 저개발지역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부드빌은 이 과정을 통해 '성장거점모형에서 경제공간의 지리적 공간으로의 변환을 최초로 설명'하였다. [해설작성자 : 도린이]
77.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계획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목적 계획
2.
비물리적 계획
3.
하향적 계획
4.
지표적 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64%
78.
어떤 국가의 도시규모가 지프(Zipf)의 순위-규모법칙에 의한 순위규모분포(q=1)를 따른다고 할 때, 수위 도시의 인구가 100만명이라면 제 4순위 도시의 인구는 얼마로 예상할 수 있는가?
도시공원의 설치 규모 기준이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어린이공원:1500m2 이상
2.
묘지공원:30000m2 이상
3.
도시농업공원:100000m2 이상
4.
근린생활권 근린공원:10000m2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도시공원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묘지공원 10만m2 이상 [해설작성자 : 비지캣]
(다) 도시농업공원은 설치기준ㆍ유치거리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나, 면적은 1만m2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루시아]
82.
공원녹지법상 녹지의 기능별 세분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
1.
완충녹지와 경관녹지
2.
시설녹지와 경관녹지
3.
완충녹지와 휴양녹지
4.
자연녹지와 생산녹지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35조(녹지의 세분) 녹지는 그 기능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세분한다. 1. 완충녹지: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2. 경관녹지: 도시의 자연적 환경을 보전하거나 이를 개선하고 이미 자연이 훼손된 지역을 복원ㆍ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3. 연결녹지: 도시 안의 공원, 하천, 산지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도시민에게 산책공간의 역할을 하는 등 여가ㆍ휴식을 제공하는 선형(線型)의 녹지 [해설작성자 : 꾸]
83.
도시ㆍ군관리시설 부지의 매수청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매수의무자가 지방자치단체이고 토지소유자가 원하는 경우 도시ㆍ군계획시설채권을 발행하여 매수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2.
도시ㆍ군계획시설채권의 상환기간은 15년 이내로 한다.
3.
매수 의무자는 매수 청구를 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매수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4.
도시ㆍ군계획시설채권의 이율은 1년 만기 정기예금금리의 평균 이상이어야 하며, 구체적인 상환기간과 이율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시ㆍ군계획시설채권의 상환기간은 10년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초딩]
<문제 해설> 제4조(준주택의 종류와 범위) 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준주택의 종류와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라목에 따른 기숙사 2.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4호거목 및 제15호다목에 따른 다중생활시설 3.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1호나목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복지법」 제32조제1항제3호의 노인복지주택 4.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4호나목2)에 따른 오피스텔 [해설작성자 : 모모]
86.
수도권정비계획법상의 총량규제에 관한 내용이 틀린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설ㆍ증설의 총 허용량을 정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신설ㆍ증설을 제한할 수 있다.
3.
공장에 대한 총량규제의 내용과 방법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며, 관할 시ㆍ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4.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신설ㆍ증설에 대하여 규정에 의한 총량규제의 내용과 다르게 허가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시도지사가 아닌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3번]
87.
관광진흥법령상 관광사업의 종류와 그 세분에 해당하는 내용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국내여행업
2.
야영장업:일반야영장업, 산림야영장업
3.
관광유람선업:일반관광유람선업, 크루즈업
4.
호텔업:가족호텔업, 호스텔업, 소형호텔업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야영장업 : 일반야영장업, 자동차야영장업 [해설작성자 : 이다빈]
88.
다음 중 관할 구역에 대한 도시ㆍ군기본계획의 수립권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국토교통부장관
2.
광역시장
3.
시장 또는 군수
4.
특별시장
정답 : [
1
] 정답률 : 65%
89.
도시개발법상 토지등의 수용 또는 사용에 관하여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분의 1이상
2.
3분의 1이상
3.
3분의 2이상
4.
4분의 3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79%
90.
도시ㆍ군기본계획에 대한 타당성 여부는 몇 년마다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2
] 정답률 : 71%
91.
도시ㆍ군계획시설 중 유원지에 설치하는 아래 시설들이 해당되는 것은?
1.
유희시설
2.
휴양시설
3.
위락시설
4.
특수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우원지의 구조 및 설치기준) 1. 유희시설 : 「관광진흥법」에 따른 유기시설ㆍ유기기구, 번지점프, 그네ㆍ미끄럼틀ㆍ시소 등의 시설, 미니썰매장ㆍ미니스케이트장 등 여가활동과 운동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시설 그 밖에 기계 등으로 조작하는 각종 유희시설 3. 휴양시설 : 휴게실ㆍ놀이동산ㆍ낚시터ㆍ숙박시설ㆍ야영장(자동차야영장을 포함한다)ㆍ야유회장ㆍ청소년수련시설ㆍ자연휴양림ㆍ간이취사시설 4. 특수시설 : 동물원ㆍ식물원ㆍ공연장ㆍ예식장ㆍ마권장외발매소(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ㆍ관람장ㆍ전시장ㆍ진열관ㆍ조각ㆍ야외음악당ㆍ야외극장ㆍ온실ㆍ수목원ㆍ광장 5. 위락시설 : 관광호텔에 부속된 시설로서 「관광진흥법」 제15조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설치하는 위락시설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92.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방식으로 시행하려는 경우 환지 계획에 작성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환지설계
2.
필지별 된 환지 명세
3.
청산금 지급 예정일
4.
체비지 또는 보류지의 명세
정답 : [
3
] 정답률 : 65%
93.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상 용도지역별 도로율 기준이 옳은 것은? (단, 간선도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주거지역:20%이상 30%미만
2.
상업지역:25%이상 35%미만
3.
공업지역:10%이상 20%미만
4.
녹지지역:5%이상 15%미만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주거지역 : 15% 이상 30% 미만(간선도로의 도로율은 8% 이상 15% 미만) 2. 상업지역 : 25% 이상 35% 미만(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 이상 15% 미만) 3. 공업지역 : 8% 이상 20% 미만(간선도로의 도로율은 4% 이상 10% 미만) [해설작성자 : ㄴㅇㅂ]
녹지지역은 도로율 기준이 없음 [해설작성자 : 홍익대 도시공학과 ]
94.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재정비 촉진지구의 유형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거지형
2.
중심지형
3.
고밀복합형
4.
저밀복합형
정답 : [
4
] 정답률 : 63%
95.
건축법령상 용도별 건축물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단독주택:다중주택
2.
공동주택:다가구주택
3.
제1종 근린생활시설:의원
4.
의료시설:병원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령 [별표1]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에 의거 1. 단독주택: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2. 공동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3. 제1종근생: 식품/잡화/의류/완구 등 소매점, 휴게음식점/제과점 등 판매시설, 이용원/미용원 등, 의원/치과의원 등, 탁구장/체육도장 등, 지역자치센터/파출소 등, 등등 4. 의료시설: 병원, 격리병원 [해설작성자 : 무니문]
96.
과밀부담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밀부담금은 건축비의 100분의 20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건축물 중 주차장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은 부담금을 감면할 수 없다.
3.
과밀부담금은 부과 대상 건축물이 속한 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가 부과ㆍ징수한다.
4.
과밀부담금에 반영되는 건축비는 기획재정부장관이 고시하는 표준건축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법 제 14조(부담금의 산정 기준)] 1) 부담금은 건축비의 100분의 10으로 하되,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비의 100분의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2) 제 1항에 따른 건축비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표준건축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동법 제 13조(부담금의 감면)]다음 각 호의 건축물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부담금을 감면할 수 있다. 1)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건축하는 건축물 2) 재개발사업에 따른 건축물 3) 건축물 중 주차장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한느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동법 제 15조(부담금의 부과 징수 및 납부 기한 등)] 1) 부담금은 부과 대상 건축물이 속한 지역을 관할하는 시 도지사가 부과 징수하되 건축물의 건축 허가일 건축 신고일 또는 용도변경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부과한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97.
시ㆍ도 도시계획위원회의 구성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공동으로 도시계획위원회를 설치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0
1.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15명 이상 2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25명 이상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2명을 포함한 20명 이상 2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2명을 포함한 25명 이상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98.
주택법에 따른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
1.
공동주택이란 건축물의 벽ㆍ복도ㆍ계단이나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2.
민영주택이란 국민주택을 제외한 주택을 말한다.
3.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15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을 말한다.
4.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이란 저에너지 건물조성기술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거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건설된 주택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을 말한다.
99.
다음 중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정비기반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하여 지정ㆍ고시된 정비구역에 설치하는 공동이용시설로 시장ㆍ군수 등이 관리하는 것으로 포함된 시설은 제외한다.)
1.
상하수도
2.
공공공지
3.
비상대피시설
4.
도서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도시정비법 시행령 제3조(정비기반시설) 법 제2조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란 다음 각 호의 시설을 말한다.
1. 녹지 2. 하천 3. 공공공지 4. 광장 5. 소방용수시설 6. 비상대피시설 7. 가스공급시설 8. 지역난방시설 9.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하여 지정ㆍ고시된 정비구역에 설치하는 공동이용시설로서 법 제52조에 따른 사업시행계획서(이하 “사업시행계획서”라 한다)에 해당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이하 “시장ㆍ군수등”이라 한다)이 관리하는 것으로 포함된 시설 [해설작성자 : 루시아]
100.
다음 중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은?
1.
국무총리
2.
기획재정부장관
3.
국토교통부장관
4.
서울특별시장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은 국무총리 입니다 부위원장이 국토교통부장관, 기획재정부장관2인 이라고 책에 나와있네요 [해설작성자 : ITZY]
[오류신고 반론] 수도권정비계획법 제22조(구성) ①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이 된다. [해설작성자 : 도시과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