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변동비는 단위당 원가가 일정함. 따라서 조업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원가가 증가하는 우상향 그래프. [해설작성자 : 5일전]
8.
다음 중 보조부문원가의 배분기준과 배분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접배분법은 보조부문원가를 오로지 제조부문에만 배분하는 방법이다.
2.
단계배분법은 배분이 끝난 보조부문에 원가를 다시 배분하지 않는 방법이다.
3.
상호배분법은 배분순서를 결정해서 배분하는 방법이다.
4.
건물관리부문원가의 발생과 배분기준인 면적 사이에는 합리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상호배분법은 배부순서 결정할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합격할거양]
9.
다음 중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별원가계산에서는 개별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므로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의 구분이 중요하다.
2.
실제개별원가계산에서는 제조간접비를 기말 전에 배부할 수 있으므로 제품원가계산이 신속하다.
3.
정상개별원가계산에서는 월별·계절별로 제품단위원가가 변동하게 되는 것을 극복할 수 있다.
4.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처리방법 중 매출원가조정법은 재고자산에 배분하지 않는 방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 실제개별원가계산은 실제제조간접비가 월말 또는 기말에 집계되기전에 제조간접비 배부율을 산정할 수 없으므로 제품이 완성되어도 제품의 원가를 계산할 수 없음. (에듀윌 전산세무2급 기본서 참고)
그러므로, 제품원가계산이 신속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개미]
10.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총제조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1.
250,000원
2.
240,000원
3.
220,000원
4.
20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제품매출원가 = 기초제품재고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말제품재고 270,000 = 60,000 + x - 30,000 당기제품제조원가 x = 240,000
당기제품제조원가 240,000 = 기초재공품재고(10,000) + 당기총제조원가 y - 기말재공품재고(20,000) 당기총제조원가 y = 250,0000 [해설작성자 : 정밍이다]
11.
다음 중 사업장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 : 최종제품을 완성하는 장소
2.
건설업 : 법인인 경우 법인의 등기부상 소재지
3.
부동산매매업 : 개인인 경우 사업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장소
4.
부동산임대업 : 사업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장소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업은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 [해설작성자 : ㅇㅅㅇ]
<사업장의 구체적 범위> 제조업 : 최종제품을 완성하는 장소 건설업,부동산매매업, 운수업 : 법인 - 법인등기부상의 소재지(등기부상의 지점소재지 포함) 개인 - 그 업무를 총괄하는 장소 부동산임대업 : 부동산 등기부상의 소재지 부동산 상의 권리만 대여,전대 : 그 업무를 총괄하는 장소 [해설작성자 : 땡뻘]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인 재화가 아닌 것끼리 짝지은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 중에 재화로 보지 않는 것. - 주식, 사채, 어음, 수표, 상품권 등
단, 유가증권 중 화물대용증권(창고증권, 선하증권)은 재화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개미]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간주공급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단, 아래의 모든 재화, 용역은 매입시에 매입세액 공제를 받은 것으로 가정한다.)
1.
제조업을 운영하던 사업자가 폐업하는 경우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판매용 재화
2.
직원의 결혼 선물로 시가 50만원 상당액의 판매용 재화를 공급한 경우
3.
자기의 과세사업을 위하여 구입한 재화를 자기의 면세사업에 사용한 경우
4.
주유소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사업 관련 트럭에 연료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사업에 무관한 트럭에 연료를 무상으로 공급한 경우에는 간주공급에 해당되지만 사업관련 트럭에 연료를 무상으로 공급한 경우는 간주공급에 해당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땡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