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이 1.0μm이고 밀도가 106g/m3인 물방울이 공기중에서 지표로 자유낙하 할 때 Reynolds 수는? (단, 공기의 점도는 0.0172g/m·s, 밀도는 1.29kg/m3이다.)
1.
1.9×10-6
2.
2.4×10-6
3.
1.9×10-5
4.
2.4×10-5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해설작성자 : 4차 합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Reynolds number 구하는데 속도 값을 알 수가 없네요. 문제 표기 오류가 아닌가 싶습니다. 구민사 교재 기준 조건은 지름 동일, 물방울 속도가 3.2*10^-3(cm/s), 공기 점도 동일, 공기 밀도 동일 입니다. 답 선지는 (가) 1.9*10^-8, (나) 2.4*10^-8, (다) 1.9*10^-5, (라) 2.4*10^-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1.72x10^-6이 아니라 1.72x10^-5입니다 [해설작성자 : 우리집 준베이베]
20℃, 750mmHg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ppm이다. 이 때 NO의 농도(μg/Sm3)는?
1.
약 463
2.
약 524
3.
약 553
4.
약 616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계산시 약 669ppm 나오는데, 문제가 이상합니다. 이의제기 되었던 문제인데 결과는 모르지만, 물쌤닷컴 최혁재쌤이 669ppm이라 하셨습니다. [해설작성자 : 뚠뚜니]
[오류신고 반론] 0.5ml / m^3에서 ml를 ug으로 바꿔주실 때 필요한 NO의 1몰의 부피와 분자량으로 곱해줄 때 부피인 22.4를 온도와 압력에 따른 값으로 보정을 해주셔야합니다.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온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맞춰서 잘 보정해주시고, 헷갈리신다 싶으면 Sm3이 스탠다드 이기 때문에 Sm3이 소멸되는 자리에 표준상태의 압력과 온도를 맞게 배치해주시면 615의 값이 잘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믱]
[오류신고 반론] 0.5ppm=0.5ml/m^3 여기에서 m^3을 표준상태로 보정하지 않으면 615값이 나오고 표준상태로 보정하면 669라는 값이 나옵니다. 근데 문제에서는 분모가 Sm^3 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m^3도 보정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답은 669가 나오게 됩니다.
[추가 오류 신고] 문제 조건으로 풀 시 0.5ml/m^3 * 293/273 * 760/750 * 30mg/22.4ml * 10^3 = 728ppm 으로 답이 없습니다. 문제가 표준 상태에서 측정한 NO의 농도가 0.5ppm이다. 20도, 750mmHg에서의 NO 농도(ug/m^3)는? 0.5ml/m^3 * 273/293 * 750/760 * 30mg/22.4ml * 10^3 = 615.7ppm 으로 답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잘못되었습니다 NO의 농도가 0.5ppm일 때 20℃, 750mmHg에서 NO의 농도(μg/Sm3)는? 으로 나와있습니다. 구민사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표준 상태가 압력은 1atm인데 온도는 섭씨 0도 또는 섭씨25도가 될 수 있습니다. 표준상태를 섭씨0도 ,1atm=760mmHg로 잡고 보정해주면 답은 4번 문제없음. [해설작성자 : 화공기사 오너]
[관리자 입니다. 추가 오류신고 및 반론은 그만 받도록 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내용들 봐서는 문제가 좀 논란이 되는듯 하네요. 각 출판사 마다 답을 달리하는것 같네요 하지만, 확정답안은 4번 이었으며 논란이 되는 문제는 추후 잘 출제되지 않지만 만약 동일한 문제가 나온다면 답은 기존과 같이 4번으로 인정되지 싶네요. 답 선택은 본인 자유입니다만. 확정답안은 4번이었음을 다시 한번 알려 드립니다.]
18.
대기 중에 존재하는 가스상 오염물질 중 염화수소와 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소는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살균제, 표백제로 쓰인다.
2.
염화수소가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 백색의 연무를 형성하기도 한다.
3.
염소는 상온에서 적갈색을 띄는 액체로 휘발성과 부식성이 강하다.
4.
염화수소는 무색으로서 자극성 냄새가 있으며 상온에서 기체이다. 전지, 약품, 비료 등에 사용된다.
S가 모두 SO2로 전환된다고 했으니 섞이기 전 S의 양과 섞인 후의 S의 양을 비교해보면 SO2의 감소량을 알 수 있다 S 함량 3%의 벙커 C유 100kL의 S량은 3kL 섞인 벙커C유의 S량은 3/100*70kL + 1/100*30kL = 2.4kL S의 양이 3kL 에서 2.4kL로 20% 감소했으니 SO2배출량도 마찬가지로 20%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옥탄(C8H18)을 완전연소 시킬 때의 AFR(Air Fuel Ratio)은? (단, 무게비 기준으로 한다.)
A집진장치의 입구 및 출구의 배출가스 중 먼지의 농도가 각각 15g/Sm3, 150mg/Sm3이었다. 또한 입구 및 출구에서 채취한 먼지시료중에 포함된 0∼5μm의 입경분포의 중량 백분율이 각각 10%, 60%이었다면 이 집진장치의 0∼5μm의 입경범위의 먼지시료에 대한 부분집진율(%)은?
1.
90
2.
92
3.
94
4.
96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부분집진율 1-(Co X Qo)/(Ci X Qi) = 1-(150X0.6)/(15000X0.1)=0.94 → 94% [해설작성자 : 4차 합격]
48.
직경이 D인 구형입자의 비표면적(Sv, m2/m3)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p는 구형입자의 밀도이다.
1.
Sv=3p/D 로 나타낸다.
2.
입자가 미세할수록 부착성이 커진다.
3.
먼지의 입경과 비표면적은 반비례 관계이다.
4.
비표면적이 크게 되면 원심력 집진장치의 경우에는 장치벽면을 폐색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번. Sv = 6/D [해설작성자 : 뚠뚜니]
49.
염소농도 0.2%인 굴뚝 배출가스 3000Sm3/h를 수산화칼슘용액을 이용하여 염소를 제거하고자 할 떄, 이론적으로 필요한 시간당 수산화칼슘의 양 (kg/h)은? (단, 처리효율은 100%로 가정한다.)
황산(1:7)은 용질이 액체일 때 1mL를 용매에 녹여 전량을 7mL로 하는 것을 뜻한다.
4.
액의 농도를 (1→5)로 표시한 것은 그 용질의 성분이 고체일 때는 1g을 용매에 녹여 전량을 5mL로 하는 비율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 전량 8ml 되야함 [해설작성자 : 123]
65.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서 응답시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초, ㉡ 1분
2.
㉠ 1초, ㉡ 40초
3.
㉠ 10초, ㉡ 1분
4.
㉠ 10초, ㉡ 40초
정답 : [
2
] 정답률 : 63%
66.
대기 및 굴뚝 배출 기체중의 오염물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비분산 정필터형 적외선 가스 분석계(고정형)의 성능 유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눈금 범위의 ±5% 이하에 해당하는 농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감도를 지녀야 한다.
2.
측정가스의 유량이 표시한 기준유량에 대하여 ±10% 이내에서 변동하여도 성능에 지장이 있어서는 안된다.
3.
동일 조건에서 제로가스를 연속적으로 도입하여 24시간 연속 측정하는 동안 전체눈금의 ±5% 이상의 지시변화가 없어야 한다.
4.
전압변동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전원전압이 설정 전압의 ±10% 이내로 변화하였을 때 지시값 변화는 전체눈금의 ±1%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성능유지조건 1. 최대눈금범위의 ±1%이하에 해당하는 농도변화를 검출할수 있는 감도를 지녀야한다. 2. 측정가스의 유량이 표시한 기준유량에 대하여 ±2%이내에서 변동하여도 성능에 지장이 있어서는 안된다. 3. 동일 조건에서 제로가스를 연속적으로 도입하여 고정형은 24시간, 이동형은 4시간 연속 측정하는 동안에 전체 눈금의 ±2%이상 되어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왤케안외워지냐ㅜ.ㅜ]
67.
굴뚝 배출가스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배출가스 유속(m/s)는?
1.
43.7
2.
48.2
3.
50.7
4.
54.3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피토계수 X 루트l2 x 9.2 x 100 / (1,2 x 273 / 568 ) [해설작성자 : 루트뭐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9.2가 아니고 9.8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나]
68.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장치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리관유로는 시료도입부, 분리관, 검출기기배관으로 구성되며, 배관의 재료는 스테인레스강이나 유리 등 부식에 대한 저항이 큰 것이어야 한다.
2.
분리관(column)은 충전물질을 채운 내경 2mm∼7mm의 시료에 대하여 불활성금속, 유리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각 분석방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사용한다.
3.
운반가스는 일반적으로 열전도도형 검출기(TCD)에서는 순도 99.8% 이상의 아르곤이나 질소를,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FID)에서는 순도 99.8% 이상의 수소를 사용한다.
4.
주사기를 사용하는 시료도입부는 실리콘고무와 같은 내열성 탄성체격막이 있는 시료 기화실로서 분리관온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열기구가 갖추어져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TCD는 헬륨과 수소 FID는 헬륨과 질소 [해설작성자 : 와이라노]
69.
배출가스 중 가스상 물질의 시료 채취방법 중 다음 분석물질별 흡수액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최종정답 발표시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최종정답 발표시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비소 - 수산화소듐용액 [해설작성자 : 기사합격가즈아]
개정된 대기오염공정기준에 따른 흡수액은 아래와 같다 출제 당시 정답은 3번이였으나 현행 기준상 답이 없는 문제이다 배출가스 중 벤젠은 흡착관을 이용하여 시료채취 추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흡수액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플루오린화합물: 수산화소듐 용액(0.1mol/L) 비소: 수산화소듐 용액(0.1mol/L) 황화수소: 아연아민착염 용액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3mg까지 다는 것을 뜻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시험 조작 중 '즉시' 란 "30초" 이내에 표시된 조작을 하는 것을 뜻한다. 2. '감압 또는 진공' 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뜻한다. 4. '정확히 단다' 라 함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mg" 까지 다는 것을 뜻한다. [해설작성자 : 엉아]
77.
굴뚝배출가스 중 수분량이 체적백분율로 10%이고, 배출가스의 온도는 80℃, 시료채취량은 10L, 대기압은 0.6기압, 가스미터 게이지압은 25mmHg, 가스미터온도 80℃에서의 수증기포화압이 255mmHg라 할 때, 흡수된 수분량(g)은?
PV=nRT에서 V=nRT/P (R=0.08205) 표준상태(0℃,1atm)를 가정하고 식을 대입하면 V=1*0.08205*273/1=22.4L가 됩니다.만약 온도가 0℃에서 27℃로 상승했을 때, V=1*0.08205*300/1=24.615L가 됩니다. 즉 온도가 상승하면 1mol의 부피가 상승하는 것인데 계산할 때마다 이상기체방정식을 사용하면 귀찮기 때문에 273/(273+T) *P/760 공식을 쓰는 것 입니다.근데 이 공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분모에 있어야 합니다. 반례로 22.4L *(273+27)/273= 24.615L , 위의 이상기체방정식으로 구한 부피와 같습니다. 즉 부피L와 273은 반비례로 대응해야하고 273+T는 비례로 대응해야 합니다. 공식을 273/(273+T)를 쓰는 이유는 공기의 밀도와 같이 부피가 분모에 있는 경우에 사용함 공기의 밀도는 표준상태에서 1.29 g/L인 28.95g/22.4L 의 결과 값이고 부피가 분모에 있기 때문에 27℃에서 공기밀도는 (28.95g/22.4L)*(273/273+27)로 구함.서론은 여기까지하고
위 문제에서 분모 [10L *(273/(273+80) *[(0.6*760+25-255)/760] +1.244x] 가 아니고 [10L * [(273+80)/273] *[(760)/(0.6*760 +25-255)] +1.244x]가 돼야 함. 전체 다 계산하면 답은 약 3.884 [해설작성자 : one5609]
78.
굴뚝배출가스 중 아황산가스의 자동연속 측정방법 중 자외선 흡수분석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원: 저압수소방전관 또는 저압수은등이 사용된다.
2.
분광기: 프리즘 또는 회절격자분광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영역 또는 가시광선영역의 단색광을 얻는데 사용된다.
3.
검출기: 자외선 및 가시광선에 감도가 좋은 광전자증배관 또는 광전관이 이용된다.
4.
시료셀: 시료셀은 200∼500mm의 길이로 시료가스가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광원 : 중압수소방전관 또는 중압수은 등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해즐베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