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부체계에서 휴한하는 대신 클로버 등을 재배하면 지력이 좋아지는데, 이러한 작물을 휴한작물이라고 한다.
2.
가뭄이 심해서 벼를 이앙하지 못하면 메밀 등을 대신 재배하는데, 이러한 작물을 대파작물이라고 한다.
3.
옥수수와 수수 등을 재배하면 잡초가 경감되는데, 이러한 작물을 피복작물이라고 한다.
4.
사료작물 중에서 풋베기를 하여 생초를 이용하는 작물을 청예작물이라고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피복 작물 :거름이 흘러 내려가거나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심는 작물. 목초나 콩과 식물이 많다. 하계피복 녹비작물은 여름철에 잡초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 (기장,콩,동부,스위트클로버) 동계피복 녹비작물은 겨울철 동안 토양을 피복하면서 토양의 풍식을 막아주고, 5~6월까지 잡초 발생을 줄이면서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 (자운영,헤어리베치,호밀)
청예작물 곡식이 여물기 전에 푸른 줄기나 잎을 수확하여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해설작성자 : zk]
2.
잎의 기공을 폐쇄시켜 증산을 억제시킴으로써 식물이 수분부족 상태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하는 식물생장조절제는?
1.
ABA
2.
IBA
3.
IAA
4.
2,4-D
정답 : [
1
] 정답률 : 91%
3.
식물의 수정 및 종자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겉씨식물은 난세포 이외의 배낭조직이 나중에 배의 영양분이 된다.
2.
종자의 배유는 모체의 조직이므로 배와 배유는 유전적 조성이 다르다.
3.
종자의 배에서 우성유전자의 표현형이 나타나는 것을 크세니아라고 한다.
4.
바나나, 포도 등에서 종자의 생성 없이 열매를 맺는 것을 아포믹시스라고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배유는 모친과 유전적 조성이 다름 3. 종자의 배유에서 우성유전자의 표현형이 나타나는 것을 크세니아라고 함 4. 아포믹시스는 수정과정 없이 배를 형성하여 종자가 만들어지고 번식하는 것 [해설작성자 : 빰빰]
4.
작물의 생식(生殖)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의 식용 화곡류와 두류에서는 유성생식의 결과물을 수확한다.
2.
감자, 고구마는 무성생식으로 번식하며 종자가 형성되지 않는다.
3.
웅성불임성 중에는 온도, 일장 등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다.
4.
자가불화합성 중에는 같은 꽃에서 암술대와 수술대의 길이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5.
유전자형이 WwGg인 식물을 1회 자식하여 얻은 개체들에서 1개 이상의 유전자가 동형접합을 이룰 확률은? (단, 두 개의 유전자는 독립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