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결성(Integrity)-정보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조직)에게 노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인증(Authentication)-각 개체 간에 전송되는 정보는 암호화에 의한 비밀 보장이 되어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아야 하며 저장된 자료나 전송 자료를 인가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어야 한다.
3.
접근제어(Access Control)-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방식으로 자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4.
부인봉쇄(Non-repudiation)-어떠한 행위에 관하여 서명자나 서비스로부터 부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인증(authentication)은 상대방이 진짜 본인이 맞는지(혹시 신분위조는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고, 인가(authorization)는 그 사용자가 요구하는 권한이 허용된 것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다.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인가받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인가"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ASO]
6.
무선 인터넷 보안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표준이 아닌 것은?
1.
WEP
2.
WPA-PSK
3.
802.11i
4.
X.509
정답 : [
4
] 정답률 : 93%
7.
다음은 유닉스에서 /etc/passwd 파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 소속 그룹 GID
2.
㉡-사용자 UID
3.
㉢-사용자 계정 이름
4.
㉣-사용자 로그인 쉘
정답 : [
4
] 정답률 : 84%
8.
「국가정보화 기본법」상 ㉠, ㉡에 들어갈 용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순서대로 ㉠, ㉡)
1.
3년, 행정안전부장관
2.
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3.
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4.
5년,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년으로 개정 2번 [해설작성자 : ㄷㅇㅇ]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9.
일정 크기의 평문 블록을 반으로 나누고 블록의 좌우를 서로 다른 규칙으로 계산하는 페이스텔(Feistel) 암호 원리를 따르는 알고리즘은?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
2.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3.
RSA
4.
Diffie-Hellman
정답 : [
1
] 정답률 : 80%
10.
IPSec 표준은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보호하기 위하여 AH(Authentication Header)와 ESP(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로 구성된다. AH와 ES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H 프로토콜의 페이로드 데이터와 패딩 내용은 기밀성 범위에 속한다.
2.
AH 프로토콜은 메시지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재연(Replay)공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