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몬즈의 비보험코스트 1.비보험코스트-(휴업상해건수)xA+(통원상해건수)xB+(응급조치건수)xC+(무상해건수)xD 2.A,B,C,D는 상해 정도에 따른 비보험 코스트의 평균치 <<'휴무'에 '통구'이로 외우기!>> 단, 구는 '구급활동' 혹은 '응급활동으로' 이해하면됩니다! // 무상해건수!! (무손실사고 아닙니다! 속지마세요!)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중대재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가 2명 발생한 재해
2.
부상자가 동시에 7명 발생한 재해
3.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1명 발생한 재해
4.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3명 발생한 재해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사망자가 1명이상 발생한 재해 2. 부상자나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이상 발생한 재해 3.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이상 발생한 재해
이므로 2번이 10명 이하로 속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요니야호]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중 공정안전자료의 세부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안전운전지침서
2.
공정위험성평가서
3.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4.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제 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1. 공정안전자료 2. 공정위험섬 평가서 3. 안전운전계획 4. 비상조치계획 5. 그밖에 공정상의 안전과 관련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짤짤이1234]
[공정안전자료] 1. 취급·저장하고 있거나 취급·저장하려는 유해·위험물질의 종류 및 수량 2.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3.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목록 및 사양 4.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의 운전방법을 알 수 있는 공정도면 5.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6.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단선도 7. 위험설비의 안전설계·제작 및 설치 관련 지침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공사도급인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명세서를 건설공사 종료 후 몇 년간 보존해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6개월1회 이상 발주자또는감리원의 확인을 받아야한다. -공사종료 후 1년간보존. [해설작성자 : 빌더하우스]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서류보존기간 1. 건설공사도급인은 법 제72조제1항에 따라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計相)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범위에서 그의 관계수급인에게 해당 사업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지급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2. 법 제72조제3항에 따라 건설공사도급인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건설공사를 위하여 계상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와 그의 관계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의 산업재해 및 건강장해 예방에 사용하고, 그 사용명세서를 매월(공사가 1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사업의 경우에는 해당공사 종료시를 말한다.) 작성하고 건설공사 종료후 1년간 보존해야 한다.
요약 : 산업안전보건고나리비의 서류보존기간은 건설공사 종료 후 1년.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7.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조치
2.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3.
안전인증대상기계와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지도
4.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관계수급인 간의 사용에 관한 협의·조정 및 그 집행의 감독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번 안전관리자 업무 [해설작성자 : 한번]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1.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2.작업의 중지 3.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조치 4.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관계수급인 간의 사용에 관한 협의,조정 및 그 집행의 감독 5.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사용 여부 확인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안전인증대상기계의 종류] (1) 설치 및 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2)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및 설비 : 프레스 / 전단기 및 절곡기 / 크레인 / 리프트 / 압력용기 / 롤러기 / 사출성형기 / 고소작업대 / 곤돌라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14.
브레인 스토밍의 4가지 원칙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판하지 않는다.
2.
자유롭게 발언한다.
3.
가능한 정리된 의견만 발언한다.
4.
타인의 생각에 동참하거나 보충발언 해도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브레인스토밍의 4대 원칙 ※ 많은 아이디어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확률이 높음에 따라 아이디어의 좋고 나쁨의 판단을 하지않고 무조건 아이디어를 만들어봄 따라서 "가능한 정리된 의견만 발언한다."는 적당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이양공]
15.
안전관리는 PDCA 사이클의 4단계를 거쳐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 중 PDCA 사이클의 4단계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P : Plan
2.
D : Do
3.
C : Check
4.
A : Analysis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계획 → 실천 → 확인 → 조치 A : act
[추가 해설] ACTION
16.
재해의 발생형태 중 재해가 일어난 장소나 그 시점에 일시적으로 요인이 집중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유형은?
1.
연쇄형
2.
복합형
3.
결합형
4.
단순 자극형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재해발생의 메커니즘 3가지의 구조적 요소] 1. 단순자극형(집중형) : 상호자극에 의하여 순간(일시)적으로 재해가 발생하는 유형 2. 연쇄형 : 하나의 사고요인이 또 다른 요인을 발생시키면서 재해를 발생하는 유형 3. 복합형 : 연쇄형과 단순자극형의 복합적인 발생유형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17.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 관리계획과 균형이 맞도록 한다.
2.
안전보건을 저해하는 요인을 확실히 파악해야 한다.
3.
수립된 계획은 안전보건관리활동의 근거로 활용된다.
4.
과거실적을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현재 상태에 만족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 사업장의 실태에 맞도록 독자적으로 작성하되 실현 가능성이 있도록 해야함. 2. 계획의 목표는 점진적으로 하여 높은수준으로 함. 3. 직장 단위로 구체적으로 작성 4. 현재의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해 자료 조사 수집 5. 계획에서 실시까지의 미비점, 잘못된 점을 피드백할 수 있는 조정기능을 갖을 것 6. 적극적인 선취안전을 취하여 새로운 생각과 정보 활용 7. 계획안이 효과적으로 실시되도록 Line-staff 관계자에게 충분히 납득시킴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문제 해설> 학습 전이의 조건 : 학습 조건, 유사성, 시간적 간격, 학습자의 태도, 학습자의 지능 [해설작성자 : ㅇㅇ]
1) 유사성: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사이에 유사성이 있을 때 전이가 잘 일어난다. 2) 학습 정도: 선행학습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이루어질수록 전이가 잘 일어난다. 3) 시간적 간격: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너무 길면 전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4) 학습자의 지능: 학습자의 지적 능력이 높을수록 전이가 잘 일어난다. 5) 학습의 원리와 방법: 학습자가 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잘 알면 전이가 잘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케일]
22.
인간의 동기에 대한 이론 중 자극, 반응, 보상의 3가지 핵심변인을 가지고 있으며, 표출된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에 기초한 동기이론은?
1.
강화이론
2.
형평이론
3.
기대이론
4.
목표성정이론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강화이론] 1. 표출된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에 기초한 이론 2. 자극, 반응, 보상의 핵심변인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문제 해설> [사고(事故, accident) : 재해를 야기시키는 원인] 1. 원하지 않는 사상(Undesired event) 2. 비능률적 사상 (Uninefficient event) 3. 변형된 사상(Strained event) : 물체가 변형되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스트레스의 한계를 넘어선 사상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 사고: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에 의해 사람이나 재산의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는 사건을 말한다. * 사고는 계획도지 않고 원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사상이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 합격 기원]
25.
집단이 가지는 효과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개체가 힘을 합쳐 둘이 지닌 힘 이상의 효과를 내는 현상은?
1.
시너지 효과
2.
동조 효과
3.
응집성 효과
4.
자생적 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Synergy 효과 : 상승효과] 1. 집단효과 2.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개체가 힘을 합쳐 둘 보다 더 큰 힘을 내는 효과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26.
교육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다.
2.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를 준다.
3.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4.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사례연구법] 먼저 사례를 제시,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 하는 학습법으로, 고도의 판단력을 교육할수 있다 (하버드 대학에서 개발)
*장점 ①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다. ② 관찰력과 분석력이 높아져,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③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④ 학습에 흥미가 있고, 학습동기를 유발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27.
직무와 관련한 정보를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로 구분할 경우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4.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무명세서 : 사람과 관련된 지식, 기술, 능력 등 직무기술서 : 직무에 관련된 과업, 업무, 책임 등 [해설작성자 : ㅇㅇ]
[직무기술서 포함사항]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직무분석] : 직무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직무의 내용과 직무를 담당하는 자의 자격요건을 체계화하는 활동 - 직무를 구성하는 3요소 1) 과업(task) 2) 의무(duty) 3) 책임(responsibility)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문제 해설> [교육훈련의 목적] 1. 단순히 근로자의 산업재해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2. 재해의 발생으로 파생되는 직접 및 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3.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지식,기능 및 태도의 향상을 기하여 생산을 위한 방법의 개선, 향상을 목표로 하고 4. 근로자에게 작업의 안전보건에 대한 안전감을 주어 기업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5. 생산성이나 품질의 향상에 기여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32.
안전교육에서 안전기술과 방호장치관리를 몸으로 습득시키는 교육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식교육
2.
기능교육
3.
해결교육
4.
태도교육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제2단계(기능교육)] 1. 교육대상자가 그것을 스스로 행함으로 얻어짐. 2. 개인의 반복적 시행착오에 의해서만 얻어짐. 3. 시범, 견학, 실습, 현장실습 교육을 통한 경험체득과 이해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3단계 태도교육: 안전규율, 태도규율 등 [해설작성자 : 지나가겠습니다.]
33.
안전교육의 형태와 방법 중 Off.J.T(Off the Job Train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통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일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2.
업무 및 사내의 특성에 맞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교육이 가능하다.
3.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 수 있다.
4.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off.J.T = 집합교육 [해설작성자 : ㅇㅇ]
[안전교육의 형태와 방법 중 Off.J.T(Off the Job Training)] - 외부 강사 초빙을 통한 집합교육 ①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 수 있다. ②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③ 공통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일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④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⑤ 특별 설비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⑥ 근로자가 많은 지식이나 경험을 교류 할 수 있다. ⑦ 교육 훈련 목표에 대하여 집다적 노력이 흐트러질 수 있다. (단점) [해설작성자 : David.T.Lee]
34.
레윈(Lewin)이 제시한 인간의 행동특성에 관한 법칙에서 인간의 행동(B)은 개체(P)와 환경(E)의 함수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다음 중 개체(P)에 해당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령
2.
지능
3.
경험
4.
인간관계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B: Behavior 행동 P : Person 연령, 경험, 심신상태, 성격, 지능 E : Environment 인간관계, 작업환경 B = f(P+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B = f ( P ‧ E ) B:Behavior(인간의 행동) f:function(함수관계) P:Person(개체:연령, 경험, 심신상태, 성격, 지능 등) E:Environment (가정/직장 등의 인간관계, 조도/습도, 조명, 먼지, 소음등의 물리적 환경, 기계나 설비 등의 모든 요인) [해설작성자 : 구르트]
35.
다음 중 피들러(Fiedler)의 상황 연계성 리더십 이론에서 중요시 하는 상황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015 x 0.02 = 0.0003 1-(1-0.0003) x (1-0.05) = 0.0503 [해설작성자 : 푸른소나무]
44.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의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 7일전, ㉡ : 2
2.
㉠ : 7일전, ㉡ : 4
3.
㉠ : 15일전, ㉡ : 2
4.
㉠ : 15일전, ㉡ : 4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시기 및 부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① 제조업 : 해당 작업시작 15일 전까지 공단에 2부 제출 ② 건설업 : 공사 착공전날까지 공단에 2부 제출 [해설작성자 : David.T.Lee]
45.
차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폐음과 배음의 주파수가 가까울 때 차폐효과가 크다.
2.
헤어드라이어 소음 때문에 전화 음을 듣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3.
유의적 신호와 배경 소음의 차이를 신호/소음(S/N) 비로 나타낸다.
4.
차폐효과는 어느 한 음 때문에 다른 음에 대한 감도가 증가되는 현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 감도가 감소 [해설작성자 : 합격가쟈]
46.
그림과 같이 FTA로 분석된 시스템에서 현재 모든 기본사상에 대한 부품이 고장난 상태이다. 부품 X1부터 부품 X5까지 순서대로 복구한다면 어느 부품을 수리 완료하는 시점에서 시스템이 정상가동 되는가?
1.
부품 X2
2.
부품 X3
3.
부품 X4
4.
부품 X5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AND 게이트 = A X B = 요소 전부가 정상이어야 전체 시스템이 정상이 됨 OR 게이트 = A + B = 1-[(1-X) X (1-Y)] = 요소 중 하나가 정상이면 전체 시스템이 정상이 됨 [해설작성자 : David.T.Lee]
X1 복구: 첫 번째, 두 번째 정상가동 X2 복구: 첫 번째 정상가동 X3 복구: 세 번째 정상가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복구 완료 [해설작성자 : U]
47.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한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인공지능은 제외한다.)
1.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다.
2.
관찰을 통해서 일반화하여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3.
항공사진의 파시체나 말소리처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복잡한 자극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4.
수신 상태가 나쁜 음극선관에 나타나는 영상과 같이 배경 잡음이 심한 경우에도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한 부분] ① 관찰을 통해서 일반화하여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② 저에너지의 자극이나 복잡 다양한 자극의 형태를 식별함 ③ 예기치 못한 다양한 사건들을 감지함(예감, 느낌) ④ 다량의 정보를 장시간 기억하고 필요시 내용을 회상함 ⑤ 원칙을 적용하고 응용해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함 ⑥ 운용 방법이 실패할 경우 다른 방법을 선택(융통성) ⑦ 다양한 경험을 토댈 의사를 결정하고 상황에 따라 적응하여 결정(임기응변) ⑧ 주관적으로 추산하고 평가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David.T.Lee]
48.
THERP(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ㄴ ->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함 [해설작성자 : 애옹이]
49.
설비의 고장과 같이 발생확률이 낮은 사건의 특정시간 또는 구간에서의 발생횟수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는?
1.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
2.
푸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
3.
와이블분포(Welbull distribution)
4.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이항분포 -> 몇 번의 독립 시행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일어나지 않을 확률의 두 항을 써서 나타내는 확률 분포 3.와이블분포 -> 고장률 함수의 분포에 따라 적절하게 고장 확률 밀도 함수를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든 확률 분포 4.지수분포 -> 확률 밀도 함수가 식과 같이 주어지는 분포 [해설작성자 : 스머프]
푸아송 분포 1. 단위 시간안에 어떤 사건이 몇 번 발생할 것인지를 표현하는 이산 확률분포 2. 푸아송 분포는 18세기 시메옹 드니 푸아송의 1838년 ‘민사사건과 형사사건 재판의 확률에 관한 연구’ 라는 논문을 통해 알려졌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50.
인간공학을 기업에 적용할 때의 기대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노사 간의 신뢰 저하
2.
작업손실시간의 감소
3.
제품과 작업의 질 향상
4.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 향상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간공학을 기업에 적용할 때의 기대효과] ① 생산성의 향상 ② 제품과 작업의 질 향상 ③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 향상 ④ 제품과 작업의 질 향상 ⑤ 직무 만족도의 향상 ⑥ 이직률 및 작업손실시간의 감소 ⑦ 산재 손실비용의 감소 ⑧ 기업이미지와 상품 선호도 향상 ⑨ 노사간의 신뢰 구축 ⑩ 선진 수준의 작업환경과 작업조건을 마련함으로 경쟁력이 향상됨. [해설작성자 : David.T.Lee]
눈과 물체의 거리가 23cm, 시선과 직각으로 측정한 물체의 크기가 0.03cm 일 때 시각(분)은 얼마인가? (단, 시각은 600이하이며, radian 단위를 분으로 환산하기 위한 상수값은 57.3가 60을 모두 적용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1.
0.001
2.
0.007
3.
4.48
4.
24.55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각 = L * 57.3 * (60 / D) =4.48 (L : 시각자극높이, D : 눈으로부터의 거리) [해설작성자 : ㅋ안망함]
57.3 * 60 * 0.03 / 23 = 4.48 [해설작성자 : 아댈]
5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강렬한 소음 작업”에 해당하는 기준은?
1.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1. 5. 28.] [고용노동부령 제321호, 2021. 5. 28., 일부개정] 제4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1절 통칙 제512조(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라.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마.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바.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해설작성자 : 주심포]
54.
컴퓨터 스크린 상에 있는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가장 적합한 법칙은?
1.
Fitts의 법칙
2.
Lewin의 법칙
3.
Hick의 법칙
4.
Weber의 법칙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Hick의 법칙 -> 선택 대안이 증가할수록 선택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한다는 이론 4.Weber의 법칙 -> 자극을 받고 있는 감각기에서 자극의 크기가 변화된 것을 느끼려면 처음에 약한 자극을 주면 자극의 변화가 적어도 그 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느나, 처음에 강한 자극을 주면 자극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약해져서 작은 자극에서는 느낄 수 없으면 더 큰 자극에서만 변화를 느낄 수 있다는 법칙 [해설작성자 : 스머프]
55.
직무에 대하여 청각적 자극 제시에 대한 음성 응답을 하도록 할 때 가장 관련 있는 양립성은?
1.
공간적 양립성
2.
양식 양립성
3.
운동 양립성
4.
개념적 양립성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공간적 양립성 -> 표시장치, 조정장치의 형태 및 공간적 배치의 양립성(Ex.오른쪽 조리대는 오른쪽 조절장치로, 왼쪽 조리대는 왼쪽 조절장치로 조정) 3.운동 양립성 -> 표시장치, 조정장치 등의 운동 방향의 양립성(Ex.조정장치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표시장치 지침이 오른쪽으로 이동) 4.개념적 양립성 -> 외부자극에 대한 인간의 개념적 현상의 양립성(Ex.빨간버튼은 온수, 파란버튼은 냉수) [해설작성자 : 스머프]
56.
NIOSH lifting guideline에서 권장무게한계(RWL) 산출에 사용되는 계수가 아닌 것은?
반복되는 사건이 많은 경우 Limnios 와 Ziani Algorithm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 : 패스셋 [해설작성자 : ㅇㅇ]
최소 컷셋은 정상사상(고장)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집합 [해설작성자 : 희킴]
4과목 : 건설시공학
61.
지하연속법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막이벽의 강성이 적어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
2.
지수벽의 기능도 갖고 있다.
3.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4.
암반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반에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흙막이벽의 강성이 커서 보강재 필요없음 [해설작성자 : ㅇㅇ]
[지하연속법(Slurry wall) 공법 특징] ① 저소음, 저진동 공법으로 인접건물의 근접시공이 가능한 안정적 공법. ② 차수성이 우수하며 물막이 벽체로도 가능하고, 지수벽의 기능도 갖고 있다. ③ 벽체의 강성이 커서 보강재가 필요 없고, 본구조체로 이용 가능하며, 수평변위에 대해서 안정적이며, 영구 지하 벽체나 깊은 기초 적용이 가능하다. ④ 임의형상 치수가 가능하며, 암반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반에 시공이 가능하다. ⑤ 타공법에 비해 시공비가 비싸며, 수평연속성이 부족하고, 장비가 크고 이동이 느리다. (단점) [해설작성자 : David.T.Lee]
62.
벽돌공사 중 벽돌쌓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 및 세로줄눈의 너비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10mm를 표준으로 한다.
2.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불식쌓기 또는 미식쌓기로 한다.
3.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4.
벽돌은 각부를 가급적 동일한 높이로 쌓아 올라가고, 벽면의 일부 또는 국부적으로 높게 쌓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 시방서에서 정한바 없을때 화란쌓기나 영식쌓기 [해설작성자 : 애옹이]
63.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말뚝으로 구멍을 뚫어 주입관과 굵은 골재를 채워 넣고 관을 통하여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은?
1.
MIP 파일(Mixed In Place pile)
2.
CIP 파일(Cast In Place pile)
3.
PIP 파일(Packed In Place pile)
4.
NIP 파일(Nail In Place pile)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MIP 파일(Mixed In Place pile) -> 천공후 모르타르 충전, 철근망 또는 H형강 압입 3.PIP 파일(Packed In Place pile) -> 천공후 모르타르 충전, 심재삽입 [해설작성자 : 스머프]
[프리팩트 파일(Prepacked pile) : 주열공법] 1) 정의 - 프리팩트말뚝에는 3종류가 있으나 CIP말뚝이 대표적인 것. - 보통 프리팩트 콘크리트말뚝이라 불리고 있는 것은 이것을 말함. 2) CIP말뚝(Cast In Place Pile) - 오거로 구멍을 뚫은 후 이에 자갈을 충전시킨다 -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으로 지지말뚝에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CIP 파일(Cast In Place Pile): 철근망 삽입 -> 자갈 충전 -> 모르타르 주입 PIP 파일(Packed In Place pile): 모르타르 주입 -> 철근망 삽입 MIP 파일(Mixed In Place pile): 흙+모르타르 혼합교반 [해설작성자 : U]
64.
철근 이음의 종류 중 기계적 이음의 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위치
2.
초음파 탐사검사
3.
인장시험
4.
외관 검사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철근 이음 검사 방법 항목] ① 겹침이음 : 위치 / 이음길이 ② 기계적이음 : 위치 / 외관검사 / 인장시험 ③ 가스압점이음 : 위치 / 외관검사 / 초음파탐사검사 / 인장시험 ④ 용접이음 : 외관검사 / 용접부의 내부결함 / 인장시험 [해설작성자 : David.T.Lee]
65.
강구조 건축물의 현장조립 시 볼트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내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틈이 있는 경우에는 끼움판을 삽입해야 한다.
2.
볼트조임 작업 전에 마찰접합면의 흙, 먼지 또는 유해한 도료, 유류, 녹, 밀스케일 등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불순물을 제거해야 한다.
3.
1군의 볼트조임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의 순으로 한다.
4.
현장조임은 1차 조임, 마킹, 2차 조임(본조임), 육안검사의 순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3.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순 [해설작성자 : ㅇㅇ]
[고력 Bolt(High-tention Bolt) 접합방법]
- 접합방식 : 마찰력
- Bolt 조임 1) 임팩트렌치, 토크렌치로 한다. 2) 보통 1차 조임 : 80% 2차조임에서 Bolt의 표준장력을 얻는다 3) 순서는 중앙을 먼저 조인 후 양쪽 가장자리를 조인다.
- 마찰면 처리 : 표면의 녹, 유류, 칠 등 저해요서 제거, 거친면으로 한다.
- 특징 1) 소음이 적음 2) 재해의 위험이 적음 (화재의 위험이 적음) 3) 접합부의 강성이 크다 4) 현장시공 설비가 간단 5) 피로강도가 높음 6) 불량개소의 수정이 용이 7) 공기단축 및 노동력 절약 8) 마찰접합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66.
거푸집 설치와 관련하여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폼타이
2.
캠버
3.
동바리
4.
턴버클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캠버(camber) 1. 처짐을 고려하여 보나 슬래브 중앙부를 L/300 ~ L/500 정도 미리 치켜올림 2. 높이 조절용 쐐기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67.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 수법으로 이용되는 7가지 도구(Tools)를 특징별로 조합한 것 중 잘못 연결된 것은?
콘크리트 공사 시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기온도가 25℃ 이하일 경우이며, 허용이어치기 시간간격은 하층 콘크리트 비비기 시작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 완료한 후,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
(운송시간) 외기온도 25이상 1.5시간 외기온도 25이하 2시간 [해설작성자 : 산안기다음건안기]
75.
대규모공사에서 지역별로 공사를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이며 공사기일단축, 시공기술향상 및 공사의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 유리한 도급방법은?
1.
전문공종별 분할도급
2.
공정별 분할도급
3.
공구별 분할도급
4.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공구별 분할도급의 특징] ① 대규모 공사에서 지역별로 발주 ② 중소업자에게 균등기히 부여 가능 ③ 경쟁으로 공기단축, 시공기술 향상 ④ 등록사무, 감독사무가 복잡함. [해설작성자 : David.T.Lee]
76.
단순조적 블록공사 시 방수 및 방습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습층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마루밑이나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접근되는 세로줄눈의 위치에 둔다.
2.
물빼기 구멍은 콘크리트의 윗면에 두거나 물끊기 및 방습층 등의 바로 위에 둔다.
3.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 물빼기 구멍의 직경은 10mm 이내, 간격 1.2m 마다 1개소로 한다.
4.
물빼기 구멍에는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직경 6mm, 길이 100mm되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튜브를 만들어 집어넣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KCS 41 34 02 :2018 벽돌공사 3.16.2 방습 (1) 지반에 접촉되는 부분의 벽체에는 지반 위, 마루 밑의 적당한 위치에 방습층을 수평줄눈의 위치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방습층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마루밑이나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접근되는 가로줄눈의 위치에 둔다 [해설작성자 : 가로]
77.
기초굴착 방법 중 굴착 공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충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는 것은?
1.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2.
베노토공법
3.
심초공법
4.
어스드릴공법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어스드릴공법 (earth drill method)] 1.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 타설을 위한 굴착 방법의 일종. 끝에 날이 붙은 회전식 버킷을 갖는 어스드릴로 굴착 2. 굴착 구경은 최대 1.5m까지 (리머 장치인 경우는 최대 2.0m까지), 굴착 심도는 30m 정도 까지 3. 단단한 점성토의 지반에서는 흙탕물(벤토나이트액) 없이 온통 파기를 할 수 있다든지 굴착 속도가 빠르고, 공사비도 싸다는 장점 4. 미국의 칼웰드(calwelled)사가 개발하여 칼웰드 공법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78.
철근콘크리트의 부재별 철근의 정착위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은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2.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3.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4.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작은 보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 [해설작성자 : ㅇㅇ]
79.
콘크리트를 타설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그 표면이 한 구획 내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타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한 구획내의 콘크리트는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3.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4.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직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거푸집에 가해지는 측압이 높아져 자칫 잘못하면 거푸집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절대로 횡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안되고 종방향(수직)방향으로 갈기 등으로 툭툭 쳐서 밀실(공기 제거)하게 채워지게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 합격기원]
80.
각 거푸집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라잉 폼 : 벽체 전용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한 거푸집을 말한다.
2.
갱 폼 : 대형벽체거푸집으로써 인력절감 및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3.
터널 폼 : 벽체용, 바닥용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벽과 바닥 콘크리트를 일체로 하는 거푸집공법이다.
4.
트래블링 폼 : 수평으로 연속된 구조물에 적용되며 해체 및 이동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이동식 거푸집공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플라잉 폼은 벽체가 아닌 바닥전용 거푸집 [해설작성자 : 애옹이]
3. 터널폼은 벽체 및 슬라브 일체폼 [해설작성자 : 스크랩]
플라잉폼 : 바닥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정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한 거푸집 [해설작성자 : Pepsi]
5과목 : 건설재료학
81.
통풍이 좋지 않은 지하실에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미장재료는?
1.
시멘트 모르타르
2.
회사벽
3.
회반죽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의 돌로마으트 플라스터는 습기에 약해 지하실에 적합하지 않은 대표적 미장재료 [해설작성자 : 애옹이]
수경성(물에서 굳는다) <-> 기경성(공기중에서 굳는다)
통풍이 좋지 않은 지하실에서는 '수경성 시멘트'를 사용해야 한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수경성임
<문제 해설> [점토의 성분 및 성질] ③ 소성 색상은 철산화물이 많으면 적색, 석회물질이 많으면 황색을 띈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83.
석재를 성인에 의해 분류하면 크게 화성암, 수성암, 변성암으로 대별하는데 다음 중 수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사문암
2.
대리암
3.
현무암
4.
응회암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화성암 - 화강암, 현무암, 안산암 등 수성암 - 사암, 석회암, 응회암 등 변성암 - 대리석, 사문암,점판암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수성암에는 사암, 점판암, 응회암 및 석회암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오십이라니]
84.
블리딩현상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1.
공기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2.
수화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3.
콜드조인트의 발생을 방지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 수밀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블리딩현상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윗면으로 물이 스며오르는 현상. ①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 수밀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85.
미장공사에서 사용되는 바름재료 중 여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름에 있어서 재료에 끈기를 주어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2.
흙손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3.
바름 중에는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바름 후에는 건조에 따라 생기는 균열을 방지한다.
4.
여물의 섬유는 질기고 굵으며, 색이 짙고 빳빳한 것일수록 양질의 제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흙, 회반죽 등에 균열방지를 위하여 섞는 잔 섬유질 물질. 각종 섬유질로 만들고 상ㆍ중ㆍ하로 구분한다. 섬유는 질기며 가늘고 길어야만 좋고 부드럽고 흰색이면 최상품이다. 종류에는 초벌용, 재벌용, 정벌용이 있고 삼여물, 흰털 여물, 종이 여물, 빈사, 석면 여물, 털종려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물 [hair] (인테리어 용어사전, 2006. 10. 10., 동방디자인 교재개발원) [해설작성자 : ㅋ안망함]
플로트판유리를 연화점부근까지 가열 후 양 표면에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유리의 표면에 20 이상 60 이하(N/mm2)의 압축응력층을 갖도록 한 가공유리는?
1.
강화유리
2.
열선반사유리
3.
로이유리
4.
배강도 유리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배강도 유리와 접합 유리] (1) 배강도(반강화)유리 - 일반 판유리보다는 강하고 강화유리보다는 약하다 - 강화유리는 깨지면 잘게 깨지면서 비산을 하지만 배강도유리는 일반 유리처럼 깨진다. - 잘게 비산하지 않고 유리코킹에 물려 있거나 일부만 비산하게 된다. (2) 접합유리 - 유리사이에 필름을 넣어서 압착한 유리 - 강도도 강하지만 깨져도 유리가 거의 비산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로이유리(저방사유리) : 유리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얇게 코팅한 것으로 열의 이동을 최소화시켜주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 -출처 : 두산백과 - [해설작성자 : Pepsi]
강화유리랑 햇갈릴 우려가 있는 문제입니다. 건축기사 실기에도 자주 출제되는 문제 강화유리 : 일반 판유리를 연화점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 압축응력 :69MPa(일반유리의 3~5배) 배강도유리 : 일반 판유리를 연화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 압축응력 : 24MPa (일반유리의 2배정도) [해설작성자 : 건축쌍기사드가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1. 고로슬래그 분말: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작다(건조수축이 크다) 2. 고로슬래그 쇄석: 건조수축이 매우 적다. * 분말과 쇄석 구분해서 숙지하기!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88.
유리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습제는 작은 기공을 수억 개 갖고 있는 입자로 기체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에 의해 밀폐공간에 건조상태를 유지하는 재료이다.
2.
세팅 블록은 새시 하단부의 유리끼움용 부재료로서 유리의 자중을 지지하는 고임재이다.
3.
단열간봉은 복층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재료로 알루미늄간봉을 말한다.
4.
백업재는 실링 시공인 경우에 부재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에 연속적으로 충전하여 유리를 고정하는 재료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알루미늄은 열 전도율이 높아 단열간봉재료로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디디]
단열간봉은 '플라스틱'재질이다. [해설작성자 : 만트라]
89.
목재 또는 기타 식물질을 절삭 또는 파쇄하고 소편으로 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합성수지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보드로써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파키트리 보드
2.
파티클 보드
3.
플로링 보드
4.
파키트리 블록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나무 부스러기를 모아 압축시켜 사용 [해설작성자 : 1]
[파티클 보드] ① 목재 또는 기타 식물질을 절삭 또는 파쇄하고 소편으로 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합성수지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보드이다. ② 섬유방향에 따른 방향성이 없고, 변형도 극히 적으며, 방부 방화제의 첨가에 따라 방부방화성을 높일 수 있다. ③ 흡음성과 열의 차단성이 좋다 ④ 강도가 크므로 선반, 마룻널,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쓰인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90.
금속재료의 일반적인 부식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한다.
2.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은 뜨임질, 풀림 등에 의해서 제거한다.
3.
표면은 깨끗하게 하고, 물기나 습기가 없도록 한다.
4.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금속재료의 일반적인 부식 방지 대책] ① 가능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키지 않는다. ②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은 뜨임질, 풀림 등에 의해서 제거한다. ③ 표면은 평활, 깨끗하게 하고, 물기나 습기가 없도록 한다. ④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⑤ 균질한 것을 선택하고 사용할때 큰 변형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91.
목재용 유성 방부제의 대표적인 것으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악취가 나고 흑갈색으로 외관이 불미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이용되는 것은?
1.
유성페인트
2.
크레오소트 오일
3.
염화아연 4%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크레오소트류 : 목재 방부제 [해설작성자 : 1]
크레오소트 오일 : 코울타르를 분류할 때(230°〜270℃간에서)나온 흑갈색의 기름으로 목재에는 침투성, 내수성의 양호로 토대의 방부제용으로 쓰이고 침목이나 전주에도 쓰인다. -출처 : 인테리어용어 사전 - [해설작성자 : Pepsi]
92.
다음 중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접착에 가장 적합한 합성수지는?
1.
멜라민수지
2.
실리콘수지
3.
에폭시수지
4.
푸란수지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에폭시수지 접착제] ① 내수성, 내습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접착력이 강하다. ② 피막이 단단한 대신 유연성이 부족하며, 값이 비싸다. ③ 금속, 항공기 접착에도 쓰인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비중이 4.5 이상 : 중금속 비중이 4.5 미만 : 경금속 비중이 2.7인 알루미늄은 경금속
항공기는 듀랄루민: Al+Cu+Mg+Zn 으로 구성 따라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접착에 가장 적합한 합성수지는 에폭시수지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두랄루민은 알루미늄을 주성분(95%)으로 하고 4%의 구리와 0.5%의 마그네슘 및 0.5%의 망간을 함유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이태백]
93.
리녹신에 수지, 고무물질, 코르크분말 등을 섞어 마포(hemp cloth) 등에 발라 두꺼운 종이모양으로 압면·성형한 제품은?
1.
스펀지 시트
2.
리놀륨
3.
비닐 시트
4.
아스팔트 타일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리놀륨] ① 리녹신(아마인유의 산화물)에 수지를 가하여 리놀륨 시멘트를 만들고, 여기에 코르크 분말, 톱밥, 안료 등을 섞어 마포에 도포한 후 롤러로 열합하여 두꺼운 종이모양으로 압면, 성형한 제품이다. ② 내구력이 비교적 크고 탄력성, 내수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1)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 및 개조 또는 해체공사 가.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나.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①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식물원은 제외) ②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 제외) ③ 종교시설 ④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⑤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⑥ 지하도상가 ⑦ 냉동,냉장 창고시설
(2)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 최대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4) 터널건설 등의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전용댐, 지방상수도 전용댐 건설 등의 공사 (6)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107.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일 때 얼마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m 이내마다
2.
4m 이내마다
3.
5m 이내마다
4.
6m 이내마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계단참 : 계단 중간 평지로 이루어진 공간 -사다리식 통로-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 5m마다 설치 -가설통로- 수직갱의 가설통로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 10m이내마다 설치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비계다리의 높이 8m 이상인 경우 7m 설치 (출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작성자 : 조강필]
108.
비계의 부재 중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띠장
2.
장선
3.
가새
4.
작업발판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기둥이 아닌 일반적으로 장선과 장선을 연결? (경우에 따라 띠장과 띠장 연결) [해설작성자 : 스맛틴]
109.
지반의 종류가 다음과 같을 때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 : 0.5 ~ 1 : 1.0
2.
1 : 1.0 ~ 1 : 1.5
3.
1 : 0.8
4.
1 : 0.5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항 규칙 [별표11])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제 339조제1항 관련) ----------암반----------- 모래 : 1 : 1.8(추가) 연암 및 풍화암 : 1 : 1.0 경암 : 1 : 0.5 그 밖의 흙 : 1 : 1.2(추가) ----------보통흙---------- 습지 : 1:1.0 ~ 1:1.5 건지 : 1:0.5 ~ 1:1.0
타워크레인을 자립고(自立高) 이상의 높이로 설치할 때 지지벽체가 없어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2.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를 수평면에서 60°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3.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되, 와이어로프를 클립·샤클(shackle)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
4.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架空電線)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 - 클립, 샤클 등의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풀리지 아니ㅏ도록 하며, 사용중에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유지하게 할 것 [해설작성자 : 애옹이]
115.
다음은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를 나열한 것은?
1.
A : 4, B : 10, C : 5
2.
A : 4, B : 10, C : 10
3.
A : 5, B : 10, C : 5
4.
A : 5, B : 10, C : 10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강관틀비계 안전기준 1.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2.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4m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116.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2.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3.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4.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버팀대 3개 항목이 삭제되었습니다.
제209조(무너짐의 방지) 사업주는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19. 1. 31., 2022. 10. 18., 2023. 11. 14.>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받침목 등을 사용할 것 2.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3.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이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해당 지지구조물을 고정시킬 것 4.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등으로 고정시킬 것 5. 상단 부분은 버팀대ㆍ버팀줄로 고정하여 안정시키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ㆍ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6. 삭제 <2022. 10. 18.> 7. 삭제 <2022. 10. 18.> [제목개정 2019. 1. 31.] [해설작성자 : 건안기수험생]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이 관련 규정이 개정되어 3번 보기 내용을 버팀대 3개 에서 다른 규정으로 첨부하여 문제를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반작업을 인력운반작업과 기계운반작업으로 분류할 때 기계운반작업으로 실시하기에 부적당한 대상은?
1.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
2.
표준화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운반량이 많은 작업
3.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
4.
취급물이 중량인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무게 등이 다양할 때 기계운반으로 해야한다면 그 다양한 만큼 그에 대한 운반기계가 있어야할 것입니다. 대량이라면 그에 따른 설비기계를 구축하는것도 좋겠지만 소량이라면 인력으로 옮기는게 훨씬 경제적이고 빠릅니다. 해당 문제에선 취급량의 양에 대해선 나오지 않았기때문에 통상적으로 생각했을때는 3번은 인력운반작업이 더 효율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 합격기원]
118.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안전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 4개 이상 [해설작성자 : 애옹이]
7.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 [파이프 서포트(pipe support)는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다음 각 목의 사항을 따를 것 가.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나. 멍에 등을 상단에 올릴 경우에는 해당 상단에 강재의 단판을 붙여 멍에 등을 고정시킬 것
8.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에 대해서는 다음 각 목의 사항을 따를 것 가.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나.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다.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7호 가목의 조치를 할 것
9.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에 대해서는 다음 각 목의 사항을 따를 것 가.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나.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거푸집 동바리의 측면과 틀면의 방향 및 교차가새의 방향에서 5개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설치하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다.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거푸집동바리의 틀면의 방향에서 양단 및 5개틀 이내마다 교차가새의 방향으로 띠장틀을 설치할 것 라. 제7호나목의 조치를 할 것 [해설작성자 : ㅋ안망함(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332조(거푸집동바리등의 안전조치)]
119.
본 터널(main tunnel)을 시공하기 전에 터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지질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은?
1.
프리패브(prefab) 터널
2.
사이드(side) 터널
3.
쉴드(shield) 터널
4.
파일럿(pilot) 터널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pilot 터널 공법 1. 본 터널 굴착전에 여러 가지 다양한 조사를 목적으로 pliot 터널을 선시공(선진도갱공법) 2. 연속적인 지질 및 성상에 관한 조사 3. 지하수 배출을 위한 수로 및 환기구 역할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120.
추락방지용 설치 시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있는 방망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