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은 직무에 관련된 정보들과 아울러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다.
2.
직무분석은 직무에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 및 정리하는 과정이므로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또는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한다.
3.
직무의 성격, 내용, 이행 방법 등과 직무의 능률적인 수행을 위하여 직무에서 기대되는 결과 등을 간략하게 정리해 놓은 문서를 직무명세서라 한다.
4.
조직시민행동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은 직무기술서에 공식적으로 부과되어 있지는 않지만 조직의 효과에 기여하는 활동이다.
5.
직무명세서는 직무를 만족스럽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종업원의 행동, 기능, 능력, 지식, 자격증 등을 일정한 형식에 맞게 기술한 문서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3%
14.
유통경로의 설계 및 관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만으로 구성된 것은?
1.
a, b
2.
b, c
3.
c, d
4.
a, c
5.
b, d
정답 : [
1
] 정답률 : 50%
15.
유통기업의 윤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선정적인 광고는 소비자의 성적 본능과 감각을 자극함으로써 주의와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상품의 개념에 상당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2.
비교광고는 확인가능한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해야 하고, 근거가 확실한 경우에도 일부 자료로 전체를 비교하는 표현을 하거나 경쟁 상품을 비방하는 표현을 하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위이다.
3.
침투전략은 특별한 원가차이도 없이 같은 제품을 상이한 가격으로 판매하거나 저가로 유인한 뒤 고 가품목을 구매하게 하려는 행위이지만 소비자에 실질적 이득을 주므로 비윤리적 행위라 할 수 없다.
4.
경쟁업체와의 수평적 가격담합, 제조업자와 중간상 간의 수직적 가격담합, 그리고 경쟁업체를 시장에서 몰아내기 위해 가격을 내리는 약탈적 가격전략은 비윤리적이다.
5.
기업의 가격결정과 가격경쟁은 윤리적 평가가 가장 어려운 문제이며, 가격은 기업의 수익과 직결되는 마케팅믹스요소이므로 비교적 어려운 문제이며 다른 요소에 비해 법적 규제의 강도가 세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16.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상생을 위한 물류측면의 전략적 제휴에 있어서 요구되는 인프라나 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POS(point of sales)
2.
QR(quick response)
3.
SKU(stock keeping unit)
4.
POP(point of purchase)
5.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정답 : [
4
] 정답률 : 52%
17.
핸드폰 케이스를 판매하고 있는 A는 최근 공급업체로부터 제안을 받았다. 연간 총수요량 3,000개, 단위당주문 비용 60원, 단위당유지비용 4원이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경제적 주문량(EOQ)은 얼마인가?
1.
250
2.
270
3.
300
4.
330
5.
350
정답 : [
3
] 정답률 : 59%
18.
포터(M.E. Porter)의 가치사슬모형에서 본원적 활동(primary activity)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술개발(technology development)
2.
운영(operation)
3.
입고물류(inbound logistics)
4.
출고물류(outbound logistics)
5.
마케팅 및 판매(marketing & sales)
정답 : [
1
] 정답률 : 39%
19.
유통 또는 물류기업의 성과측정도구에 대한 올바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COR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에서 해당 기업의 공급업체로부터 고객에 이르기까지 계획, 공급, 생산, 인도, 회수가 이루어지는 공급망을 통합적으로 분석한다는데 그 기초를 두고 있다.
2.
SCOR에서는 공급망 성과측정을 위해 공급망의 신뢰성, 유연성, 대응성, 비용, 자산 등 크게 5가지 분야의 성과측정 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3.
EVA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어 들인 세후 영업이익으로부터 자본비용을 제외한 금액으로, 투자자본과 비용으로 실제 얼마의 이익을 얻었는가를 나타낸다.
4.
BSC는 비재무적 성과까지 고려하고 성과를 만들어낸 동인을 찾아내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런 점에서 재무적 성과에 치우친 EVA(경제적 부가가치), ROI(투자수익률)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5.
BSC의 주요 성과지표로는 공급망관리, EVA(경제적 부가가치),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성장과학습 등이 있으며 기존의 비재무성과 중심의 측정도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29%
20.
반품된 제품의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반환되지 않아야 할 제품의 최소화 방안을 찾는 것이 게이트키핑(Gatekeeping)이다.
2.
반품되는 제품을 운송하는 프로세스도 역물류라고한다.
3.
반품되는 제품의 종류로는 불량품, 리콜된 제품, 리사이클링 제품, 진부화된 제품 등이다.
4.
반품되는 제품의 증가 원인으로는 짧아진 제품수명주기, 전자상거래 확대 등에 기인하기도 한다.
5.
반품을 통해 고객의 불만족 원인과 개선사항 등과 같은 가치 있는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21.
창고운영 전문업자의 영업 창고를 임차하여 보관 및 하역 업무를 수행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운영의 전문성 제고 가능
2.
창고이용과 생산과 판매를 연결시키는 데 시간적 결손이 적음
3.
고정비 투자 축소 가능
4.
직접 소유보다 창고 활용의 유연성 제고 가능
5.
상품의 수요변동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자가창고 기업이(장기간) 직접소유 및 운영하며, 자사상품을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 자사상품의 보관특징에 맞는 보관이 가능하고 입출고 시간과 요일의 제약이 적다. 높은 전문성, 낮은 변동비 단점: 높은 투자비(고정비), 입지변경의 유동성이 작고, 수요변동에 대한 보관공간의 탄력적 대응이 불가하다.
- 임대창고 기업이 보관공간을 일정기간 리스(임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만을 임대하여 설비와 장비의 구축과 운영은 자사가 하는 형태로 자가,영업 창고의 중간형태라 자가창고보다 창고활용의 유연성이 높다
- 영업창고 원하는 기간동안(단기간) 보관료를 받고 공간과 설비, 운영을 임차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점 : 낮은 투자비, 입지변경의 용이성, 수요변동에 대한 보관공간의 탄력적 대응이 가능하다. 단점 : 표준화된 서비스(자사상품의 보관특징에 맞는 보관불가), 입출고 시간과 요일의 제약이 있다. 낮은 전문성, 높은 변동비(높은 요율)
- 공공창고 : 공립창고, 관설상옥, 관설보세창고, 공공임대창고
문제에서 말한 창고는 영업창고이며 영업창고는 전문업자가 운영하기 때문에 창고 이용에 시간적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생산과 판매를 연결시키는 데 시간적 결손은 크다. [해설작성자 : 유통따자!]
22.
물류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물류는 원초지점부터 소비지점까지 원자재, 중간재, 완성재 및 각종 관련 정보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흐름을 효율적.효과적으로 계획, 수행, 통제하는 과정이다.
2.
물류는 구체적으로는 수송, 포장, 보관, 하역 및 통신의 여러 활동을 포함하며, 상거래과정에서 유형적인 물자를 운송하므로 재화의 공간적.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게 해준다.
3.
비용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운송비, 재고비 및 주문처리비 등과 같은 눈에 띄는 비용뿐만 아니라, 배달지연과 재고부족에 따른 매출감소 등과 같이 눈에 띄지 않는 비용도 포함시켜야 한다.
4.
물류관리는 목표수준의 고객서비스를 최소의 비용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비용접근적 측면도 포함된다.
5.
물류는 생산자, 중간상, 소비자 사이에 상거래 계약이 성립된 후 상품대금을 지불하고 상품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단계만을 지칭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8%
23.
상류(상적 유통)과 물류(물적 유통)를 구분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는 일반적으로 상거래가 성립된 후 그 물품인도의 이행 기간 중에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물품을 인도함으로써 인격적.시간적.공간적 효용을 창출하는 경제활동이다.
2.
상류는 생산자를 포함하여 중간상과 소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교환과정을 총칭한다.
3.
물류는 물류활동이 생산 장소와 소비 장소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어 그 거리를 좁혀주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효용을 가져다준다.
4.
상류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 까지 이루어지는 운송∙보관∙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조립∙분류∙수리∙포장∙상표부착∙판매∙정보통신 등을 말한다.
5.
물류와 상류의 분리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로 배송차량의 적재율 향상, 유통경로 전체의 물류효율화 실현,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 통합으로 효율적 물류관리 가능, 운송경로의 단축과 대형차량의 이용으로 수송비 절감 등을 들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상류 (상적) 유통기능 상품과 서비스 매매, 소유권 이전과 같은 상거래활동 예) 도소매업,중개업,무역업 물류 (물적) 유통기능 운송, 보관, 하역같은 물자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활동
24.
전형적인 유통경로인 '제조업체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에서 도매상의 역할로 가장 바르지 않은 것은?
1.
도매상은 제조업체를 대신하여 광범위한 시장에 산재해 있는 소매상들을 포괄한다.
2.
도매상들은 생산자보다 더 고객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
도매상은 소매상 지원기능을 통해 제품구매와 관련한 제품교환, 반환, 설치, 보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조업체 대신 소매상에게 제공한다.
4.
도매상은 소비자와 가까운 장소에서 다양한 상품 구색에 대한 재고부담을 함으로써 공급선의 비용 감소와 소비자의 구매편의를 돕는다.
5.
도매상은 제품사용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제품판매에 대한 조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번은 소매상의 역할이다. [해설작성자 : 디노]
25.
인사 고과상의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혹효과는 한 분야에 있어서의 어떤 사람에 대한 호의적인 또는 비호의적인 인상을 말하는데, 이는 다른 분야에 있어서의 그 사람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말한다.
2.
상동적 태도는 그 사람이 속한 집단을 지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사람을 판단하는 지각과정으로, 한 가지 범주에 따라 판단하는 오류이다.
3.
관대화 경향오류는 특정의 피평가자의 인상이나 요소를 감안하여 실제 능력이나 실적보다도 더 높게 평가하고 그 피평가자에게 후한 점수를 주는 평가자의 오류를 의미한다.
4.
후광효과의 예로 미국인은 개인주의적이고 물질적이며, 한국인은 매우 부지런하고, 흑인은 운동에 소질이 있으며, 이탈리아인은 정열적이라는 선입견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5.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은 능력이나 노력과 같은 내재적 요인이 원인이고 실패에 대해서는 운이나 다른 동료 탓이라고 여기는 경향을 귀인의 이기적 편견이라고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2과목 : 상권분석
26.
식당이 많이 몰려있는 곳에 술집이나 커피숍이 모여 있다든지, 극장가 주변에 식당들이 많이 밀집해 있는 것은 어느 입지원칙이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는가?
1.
고객차단원칙
2.
동반유인원칙
3.
보충가능성의 원칙
4.
점포밀집원칙
5.
경제성의 원칙
정답 : [
3
] 정답률 : 50%
27.
상권을 1차 상권, 2차 상권, 한계상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어떤 관점에 근거한 것인가?
1.
고객 관점
2.
판매자 관점
3.
행정구역 관점
4.
지형적 관점
5.
특정 관점과 관계없음.
정답 : [
2
] 정답률 : 36%
28.
도시의 상권경계범위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정보가 A, B, C 세 도시 각각의 소매점 매장면적과 각 도시 사이의 교통수단별 이동시간이라면 어떠한 모형을 활용 할 수 있는가?
1.
레일리(Reilly)의 소매인력모형
2.
허프(Huff)의 확률모형
3.
컨버스(Converse)의 제 1, 2모형
4.
애플바움(Applebaum)의 모형
5.
루체(Luce)의 모형
정답 : [
4
] 정답률 : 18%
29.
상권분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선매품의 경우에는 위계별 경쟁구조 분석이 필요하며, 다른 위계의 점포들도 경쟁상대로 보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2.
편의품의 수요를 올바르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업태별 경쟁구조 분석과 업태 내 경쟁구조 분석이 필요하다.
3.
전문품의 경우 구매 고객이 많지 않아 여러 점포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상권에서 수요를 예측한 후 수요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4.
경쟁/보완관계분석은 동반유인의 법칙과 양립성의 법칙을 활용하여 상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모든 유형의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5.
잠재경쟁구조분석을 위해서는 업태내 경쟁분석과 업태별 경쟁분석, 위계별 경쟁구조 분석, 경쟁/보완관계 분석이 모두 시행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16%
30.
주거, 업무, 여가생활 등의 활동을 동시에 수용하는 건물을 의미하는 복합용도개발이 필요한 이유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도시 내 상업기능만의 급격한 증가현상을 피하고 도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2.
신시가지와의 균형발전과 신시가지의 행정수요를 경감하기 위해서
3.
도심지의 활력을 키우고 다양한 삶의 장소로 바꾸기 위해서
4.
도심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서
5.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50%
31.
상권변화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존의 상가 및 점포 사이에 새로운 상가 및 점포의 신설, 소비자들의 위치 변화, 고정 인구 및 유동 인구의 변화, 지역 주민들의 직업 형태 등에 의해서도 상권이 변화된다.
2.
상권의 변화는 소비패턴, 생활패턴, 계층의 변화, 세대 간의 인식차이, 사회구조 등과 같은 생활환경의 변화에 의해서도 촉진된다.
3.
대형할인점, 백화점과 같은 경쟁업체의 진입과 이전에 의해 상권이 주로 변화하며 관공서, 대규모 회사의 이전 등의 요소는 상권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상권변화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상권내 특정점포의 매출액과 변화추이를 유추법이나 실지조사 등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5.
유동인구가 입지 내로 진입하는 주요 동선 등의 고객 접근성이 변화하면 상권규모도 변화하게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32.
각 업태나 업종의 입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백화점은 규모면에서 대형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상권 내 소비자의 경제력, 소비형태의 예측, 주요산업, 유동인구, 대중교통의 연계성 등을 근거로 적정한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2.
의류패션전문점의 입지는 고객에게 쇼핑의 즐거움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을 유인하고 여러 점포에서 비교∙구매할 수 있어야 하므로, 노면독립지역이 중심 상업지역(CBD)이나 중심 상업지역 인근 쇼핑센터보다 더 유리하다.
3.
식료품점의 입지는 취급품의 종류와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만족도, 잠재 고객의 시간대별 통행량, 통행인들의 속성 및 분포 상황, 경쟁점포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아파트 또는 주거 밀집지역에 있는 상가나 쇼핑센터가 적당하다.
4.
생활용품 중 주방기구나 생활용품, 인테리어 소품 등은 대단위 아파트 및 주택가 밀집지역 등 주거지 인접지역으로 출점하여야 하며 도로변이나 재래시장 근처, 통행량이 많은 곳이나 슈퍼마켓 근처에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5.
패션잡화점의 최적 입지는 상호보완적인 상품을 제공하는 다양한 점포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유동인구가 많으며, 주로 젊은 세대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 적합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33.
신규점포의 상권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체크리스트방법은 단일점포의 입지를 결정하는데 활용하는 방법으로 상권 내 제반 입지의 특성, 상권 고객 특성, 상권 경쟁구조 등 상권 범위에 미치는 요인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2.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마일리지 적립 정보로 고객의 주소를 확인하고 상권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고객의 특성 및 니즈도 파악할 수 있어 마케팅전략수립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3.
유추법은 전체 상권을 단위거리에 따라 소규모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의 1인당 매출액을 구하며, 예상 상권내의 인구에 유사점포의 1인당 매출액을 곱하여 신규점포의 예상매출액을 구한다.
4.
중심지 이론에 의하면 중심지는 배후 거주 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상업 또는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5.
레일리(Reilly)의 소매중력의 법칙은 다양한 점포들 간의 밀집이 소매입지의 매력도를 증가시키는경향이 있음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웃 도시들 간의 상권 경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마일리지고객주소활용법은 기존점포에 대한 상권분석내용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도매상권을 구성하는 요소 중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떨어지는 것은?
1.
소매상의 입지, 점포수 및 판매액
2.
경쟁도매상의 입지, 분포 및 집적도
3.
취급상품 및 상품군
4.
도매상의 도시 내 위치
5.
로지스틱스(Logistics) 비용
정답 : [
4
] 정답률 : 42%
35.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이중성을 가지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양립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근순서가 가장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취급품목 - 적정가격 - 적정가격 대비 품질- 가격범위
2.
가격범위 - 취급품목 - 적정가격 - 적정가격 대비품질
3.
적정가격 - 취급품목 - 가격범위 - 적정가격 대비품질
4.
가격범위 - 적정가격 - 적정가격 대비 품질 - 취급품목
5.
취급품목 - 가격범위 - 적정가격 - 적정가격 대비품질
정답 : [
5
] 정답률 : 40%
36.
넬슨(Nelson)의 입지선정 평가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
중간 저지성 : 경영자가 속한 상권지역 내의 기존 점포나 상권 지역이 고객과 중간에 위치하여 경쟁 점포나 기존의 상권으로 접근하려는 고객을 중간에서 저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
2.
성장 가능성 : 장래 경쟁점이 신규 입점함으로써 고려대상 점포나 유통단지에 미칠 영향 정도, 경 쟁점의 입지, 규모, 형태 등을 감안하여 고려대상점포나 유통단지가 기존점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3.
경쟁 회피성 : 동일한 상권 내의 고객들을 자신의 점포로 유인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장애요소가 고객들이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해하는지를 살펴보는 것
4.
양립성 : 주변 인구 및 일반 고객들의 소득 증가로 인하여 시장 규모, 선택 사업장, 유통상권 등이 어느 정도 성장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
5.
접근 가능성 : 경영자가 진입할 상권에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점포가 서로 인접해 있어서 고객의 흡인력을 얼마나 높아지게 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48%
37.
크리스탈러(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 중심지기능의 최대도달거리란 무엇을 말하는가?
1.
소비자가 중심지까지 도보로 접근 가능한 최대 허용거리
2.
전문품 상권과 편의품 상권의 지리적 관점에서의 최대 차이
3.
상위 중심지와 하위 중심지 사이의 거리
4.
중심지에서 거주지까지의 평균 거리
5.
소비자가 상품구매를 위해 중심지까지 기꺼이 이동하려는 최대 거리
정답 : [
5
] 정답률 : 60%
38.
다음 내용은 어떠한 점포의 입지요건에 대한 내용인가?
1.
백화점
2.
할인점
3.
키오스크
4.
CBD
5.
스트립 쇼핑센터
정답 : [
3
] 정답률 : 42%
39.
상권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상권의 실제적인 경계선은 점포의 접근성에 의해 결정된다. 점포의 접근성은 쇼핑구역 및 점포의 유형, 경쟁상황 등의 요소에 비해 상권 형성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다수 상권이 몰려있는 경우 각 상권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타원의 형태를 지니게 된다. 이는 일직선의 형태를 지닌 도로가 상권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3.
상권의 크기는 상품의 성격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 편의품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구매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적 범위의 상권을 형성하게 된다.
4.
쇼핑몰에 목적점포가 입점해 있는 경우에는 기생점포보다 더 큰 상권범위를 형성하게 된다. 목적점포 없이 기생점포만으로 쇼핑몰을 구성하게 되면 많은 고객을 유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5.
동일한 편의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점포들이 모여있을 때 보다 많은 고객을 유인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넓은 상권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편의품 판매 점포는 집단화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40.
컨버스(Converse)법칙의 내용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A도시의 인구(8만명), B도시의 인구(2만명), 두 도시간 거리(30km) 등 정보가 주어진다면 두 도시에 대한 소비자 선택의 무차별점을 구할 수 있다.
2.
①번 답항의 내용을 토대로 계산을 하면, A도시의 무차별점은 A에서 부터 10km 되는 지점이고 B도시의 무차별점은 B에서 부터 20km가 되는 지점이다.
3.
두 도시 A와 B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경로를 가정할 때, 이 직선에서 A와 B 각 도시의 주 세력권인 A와 B 도시의 상권의 분기점을 구하는 모델이다.
4.
고객의 위치에서 A와 B 두 도시 중 어느 도시로 상품을 구매하러 갈 것인가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구매대상이 선매품과 전문품인 경우에 가능하다.
5.
레일리(Reilly)법칙과 같은 요인을 활용하여 상권을 구분하였기 때문에 세분화된 명확한 상권을 정확하게 구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41.
소매포화지수와 함께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 : Market Expansion Potential)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두 지수가 모두 높은 경우에는 신규출점 후보지로 유력하다고 볼 수 있다.
2.
소매포화지수에 시장잠재력이 어느 정도는 반영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3.
MEP는 지역시장 거주자들이 지역시장 이외의 타지역에서 구매하는 지출액을 추정하여 계산한다.
4.
지역시장의 매력도를 측정하는 소매포화지수는 한지역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의 미래의 수준을 반영하는 척도이다.
5.
소매포화지수가 높아질수록 점포가 초과 공급되었다는 의미이므로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34%
42.
상권분석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공간적 독점형 접근법은 주택지역이나 특정 지역 전체를 상대로 하는 점포가 주요 적용대상이 된다.
2.
시장침투형 접근법은 특정점포가 흡인하는 세대비율이 지역적으로 변화하며 중복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3.
분산시장형 분석에서는 고급가구나 고가의 카메라와 같은 상품을 취급하며 특정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점포를 주요 적용대상으로 한다.
4.
공간적 독점형 분석은 편의품, 시장침투형은 선매품, 분산시장형은 전문품인 경우에 상권분석 접근법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5.
시장침투형 분석은 고객분포와 시장침투율을 중심으로, 분산시장형 방법은 지역단위 표적시장의 고객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28%
43.
허프(Huff)의 확률적 모형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을 모두 포함한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ㅁ
5.
ㅁ, ㅂ
정답 : [
1
] 정답률 : 45%
44.
선희의 점포별 효용과 루체(Luce)의 선택공리의 개념을 이용하여 선희가 점포를 선택한다고 할 때 가장 올바르지 않은 설명은?
1.
선희는 5개의 점포만을 대상으로 판단해도 된다.
2.
선희의 점포 선택은 점포의 효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3.
선희가 점포 1을 선택할 가능성은 30%이다.
4.
점포 4의 선택가능성이 점포 3의 선택가능성보다 낮다.
5.
점포선택을 위해서는 면적, 거리, 효용 정보가 모두 필요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39%
45.
편의점의 입지와 다른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만 선택한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ㅁ
5.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78%
3과목 : 유통마케팅
46.
촉진믹스의 구성요소 중 인적판매의 단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촉진의 속도가 느리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2.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이다.
3.
고객별 전달정보의 차별화가 곤란하다.
4.
경쟁사의 모방이 용이하여 촉진 효과가 짧다.
5.
통제가 곤란하며 촉진의 효과를 측정하기 어렵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47.
재고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EOQ모형에서의 경제적 주문량은 주문비용과 재고 유지비용을 합한 연간 총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주문량을 말한다.
2.
판매분 매입방식의 경제적 주문량은 재고품의 단위원가가 최소가 되는 1회의 주문량을 계산하여 정한다.
3.
ROP모형에서는 수요가 불확실한 경우 주문기간 동안의 평균수요량에 안전재고를 더하여 재주문점을 결정한다.
4.
ROP모형에서는 수요가 확실한 경우 조달기간에 1일 수요량을 곱하여 재주문점을 결정한다.
5.
ABC관리방식에서는 재고 품목수와 매출액 비율에 의해서 아이템을 그룹핑하여 집중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7%
48.
서비스의 특성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성 때문에 인간의 감각만으로는 서비스 구매 의사결정을 하기는 쉽지 않다.
2.
분리성은 서비스의 경우 생산과 소비가 각각 분리되기 때문에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이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3.
비분리성은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들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품질 가변성이란 서비스 공급이 노동집약적이기때문에 구매할 때마다 품질이 다르며, 심지어 동일한 공급자에게 구매하는 경우에도 품질이 상이 한 것을 말한다.
5.
서비스는 서비스의 생산이 시간요소에 기초하고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소멸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답 : [
2
] 정답률 : 36%
49.
유통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 개념과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상권은 소매업태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판매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어느 지정 상업집단의 상업권력이 미치는 범위를 말한다.
2.
로지스틱스는 원재료의 조달에서 제품판매, 재활용에 이르는 전과정을 물류라는 관점에서 총괄적으로 경영하는 것을 말한다.
3.
상품계획이란 고객의 수요를 잘 연구하여 고객에게 팔릴 수 있는 상품의 선정 및 구매를 말한다.
4.
판매촉진이란 소비자의 관심 및 흥미, 사고 싶은 욕구를 우리 매장이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쏠리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5.
총마진수익율(GMROI)은 이익과 회전율을 동시에 감안하여, 평균회전율을 총이익률로 나누어 구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48%
50.
유통마케팅 조사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과정에서 정보의 흐름은 생산물의 구매자인 소비자와 시장의 동향을 해명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을 포함하며, 이는 마케팅조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2.
조사의 범위는 수요자에 관한 시장조사와 생산물, 가격, 경로, 프로모션에 의한 마케팅믹스 요소 그리고 환경요소로서의 경제상황, 경쟁, 기술, 정치, 유행 등 유통활동에 대한 조사를 포함한다.
3.
수요자 보다 공급자를 대상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제조하여 판매할 때까지 모든 과정을 조사하는것으로, 그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에 관해 조사하고 나아가 그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4.
주요대상은 매출액 예측, 시장점유율의 측정, 시장동향의 명확화, 조직 이미지의 측정, 브랜드 이미지의 측정, 표적고객 특징의 명확화, 제품과 패키지의 설계, 창고와 점포의 입지, 주문처리, 재고관리 등이다.
5.
조사해야 할 문제를 보다 구체화 하고, 조사의 전망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하며, 이를 바탕으로 목적의 명확화, 대상의 선정, 방법의 결정, 시기 및 예산의 결정, 그리고 결과의 보고와 평가라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51.
유통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유통경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통경로의 목표를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기업의 전반적인 목표와 마케팅목표가 일치하여야 한다.
2.
유통경로의 목표를 설정하고 난 후에는 유통경로 전략을 결정해야 하는데 유통커버리지와 통제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3.
유통경로설계에 있어 중요한 문제는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경로시스템의 최종단계에까지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일이다.
4.
유통경로의 푸시전략에서는 주로 인적판매의 방식을 집중적으로 활용하게 되며 중간상인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유도하게 된다.
5.
유통경로를 통해 생산자로부터 도매상이나 소매상과 같은 중간상을 거쳐 소비자에게로 이동되는 후방 흐름이 촉진된다.
정답 : [
5
] 정답률 : 62%
52.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어떠한 상품을 매입하고 이것을 어떻게 관리하며 어떻게 판매하는 것이 최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마케팅 활동을 의미한다.
2.
고객, 의뢰인, 협력자,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 커뮤니케이션, 배달, 교환하는 일련의 활동, 기관 그리고 과정이다.
3.
매입과 판매를 연결하는 시장성 있는 상품을 창출하기 위한 기법으로 특정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기업의 마케팅 목적에 따라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장소, 시기, 가격 및 수량으로 제공(마케팅)하는 것에 관한 계획과 관리이다.
4.
소매업 상품정책의 중심적인 활동이며 상품의 적절한 매입, 진열을 위한 계획 및 활동이라고 할수 있다.
5.
일반적으로 도매업자나 소매업자 등 판매업자의 활동을 의미하는 상품선정과 관리를 말하며 제조업자의 경우에는 제품계획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53.
디스플레이 유형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형 배열은 디자인 요인들이 중심점으로 빛처럼 모아지는 것이다.
2.
단계형 배열은 상품 및 상품의 구성품들을 상향 또는 하향 방향의 연속적인 단계로 배열하는 것이다.
3.
피라미드형 배열은 밑은 넓고 위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과 같은 형태로 상품을 배열하는것이다.
4.
지그재그형 배열은 상품을 연단의 꼭대기에 쌓아 올리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피라미드 배열과 유사하다.
5.
반복형 배열은 일반적인 특성이 유사한 품목에 이용되며, 무게, 공간, 혹은 각도 등을 정확하게 똑같이 배열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방사형 배열은 반대로 중심점에서 부채꼴로 퍼져나가는 모양 [해설작성자 : 진짜]
54.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기업이 선택한 포지셔닝 전략을 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쟁사 대비 경쟁적 강점 파악, 적절한 경쟁우위의 선택, 선택한 포지션의 전달 과정을 거쳐야 한다.
2.
시장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소비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군집화하여 차별적인 마케팅전략을 구사하고자 하는 것이 포지셔닝 전략이다.
3.
제품포지션은 소비자들의 인식 속에 자사의 제품이 경쟁제품에 대비하여 차지하고 있는 상대적 위치를 말한다.
4.
기업은 선택한 표적시장의 소비자들 마음속에서 경쟁사에 대비하여 최대한의 경쟁적 우위를 누리기 위하여 포지셔닝 전략을 기획하고 마케팅믹스를 개발한다.
5.
기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품을 포지셔닝 시킬 수 있는데 상품의 속성∙상품 편익∙사용 상황∙사용자 집단을 위한 상품으로 포지셔닝하는 방법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55.
선매품을 유통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으로 부적절한 것은?
1.
품질 대비 가격특성을 강조할 경우 선택적 경로를 채택
2.
가격지향 선매품은 개방적 유통전략을 채택
3.
유행을 주도할 수 있는 경로를 선택
4.
차별성 제고를 위한 독점적 경로를 선택
5.
유통경로의 수직적 통합을 모색
정답 : [
1
] 정답률 : 21%
56.
유통경로의 성과 측정 중 재무적인 측면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않은 것은?
1.
당기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비율은 영업활동의 원가대비 가격의 효과성을 의미한다.
2.
상품 회전율이 증가하거나 순매출이익률이 증가하면 총자산이익률도 함께 증가한다.
3.
기업이 장단기차입금에 의존하고 있는 정도는 레버리지비율로 나타난다.
4.
투자에 따른 배당이 얼마나 이루어질 것인가를 판단하는 지표는 투자수익률이다.
5.
자금의 효과적 활용도를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은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24%
57.
고객관계관리(CRM)와 관련된 설명 중 가장 바르지 않은 것은?
1.
고객생애주기는 크게 고객획득단계, 고객유지단계, 충성고객단계로 구분된다.
2.
고객획득단계에서는 무차별적 고객들에게 유인수단을 제공하여 고객으로 유치한다.
3.
기존의 유치 고객이 반복적ㆍ지속적으로 자사제품을 구매하도록 관계를 유지한다.
4.
고객관계 강화를 위해 격상판매(up-selling)를 통해 거래액과 횟수를 증가시킨다.
5.
고객관계 강화를 위해 교차판매(cross-selling)를 통해 거래제품의 수를 늘리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