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계 내 도체 표면에서 전계의 세기가 (V/m)일 때 도체 표면상의 전하 밀도 ρs(C/m2)를 구하면? 단, 자유공간이다.
1.
1
2.
2
3.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Poisson의 방정식 활용 [해설작성자 : 어디든간다]
D=[엡실론]E [해설작성자 : 참이삭]
면 전하 밀도(ps)는 전속밀도(D) 와 같으므로 D = 입실론 X E = ax-2ay+2az 크기로 나타내야 하므로 각 상수의 제곱을 더한값에 루트를 씌웁니다 = {1^2+(-2)^2+2^2}^(1/2) = 9^(1/2) = 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전계 내 도체 표면에서의 전계 E의 크기 식 : E = (면전하밀도) / (엡실론0)
주어진 E의 식에서 (엡실론0) 제외하고 x,y,z성분으로 크기를 구하면
{1^2+(-2)^2+2^2}^(1/2) = 3 [해설작성자 : ㅇㅇ]
3.
영구자석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은?
1.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모두 큰 것이 적합하다.
2.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력은 작은 것이 적합하다.
3.
잔류자기는 작고 보자력은 큰 것이 적합하다.
4.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모두 작은 것이 적합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잔류자기란 암석, 광물이 여러가지 이유로 생긴 자기력을 얼마나 내재하고 있는 지를 말합니다. 그리고 보자력은 자석화된 상태를 얼마나 보전할 수 있는 지를 말합니다.
영구자석은 외부의 에너지 공급이 없어도 안정된 자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강할수록 영구자석으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잔류자기(Br) 보자력 (Hc)
영구자석 : 잔류자기 , 보자력 둘 다 큼 전자석 : 잔류자기 크고 보자력 작음 (전자석의 "전자", 잔류자기의 "b" 크다의 "대"를 따서 "전자비대"로 외우면 좋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저항의 크기가 1 Ω인 전선이 있다. 전선의 체적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길이를 2배로 늘였을 때 전선의 저항(Ω)은?
1.
0.5
2.
1
3.
2
4.
4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선의 저항은 전선의 재료가 갖고 있는 비저항에 비례하고, 전선의 길이에 비례하며, 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합니다. 그리고 체적은 단면적 * 길이를 말합니다. 길이를 2배로 늘렸는데 체적을 동일하게 유지했다는건 단면적도 반으로 줄였다는 말이 됩니다. 즉 길이가 2배가 되서 저항이 2배가 되고, 단면적이 반이 되서 또 저항이 2배가 되므로 총 저항은 4배가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6.
자속밀도가 10 ㏝/m2 인 자계 내에 길이 4㎝의 도체를 자계와 직각으로 놓고 이 도체를 0.4초 동안 1 m씩 균일하게 이동하였을 때 발생하는 기전력은 몇 V인가?
<문제 해설> 변위전류는 도체, 반도체 등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아닙니다. 이를테면 평행판 축전기에 전기를 흘려보내면 축전지의 양쪽 판에 공기중의 전하가 모이게 되고, 이 전하 때문에 양 판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자기장, 전기장이 생깁니다. 이를 변위전류라고 합니다. 이러한 변위 전류는 공기 중이나 유전체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id=dD/dt=d*앱실론*E/dt [해설작성자 : 가자가자ㄱ자]
12.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L(H)을 나타낸 식은? (단, N은 권선수, I는 전류 (A), ø는 자속 (㏝), B는 자속밀도 (㏝/m2), A는 벡터 퍼텐셜 (㏝/m), J는 전류밀도 (A/m2)이다.)
반지름이 a(m), b(m)인 두 개의 구 형상 도체 전극이 도전율 k인 매질 속에 거리 r(m)만큼 떨어져 있다. 양 전극 간의 저항 (Ω)은? (단, r ≫ a, r ≫ b 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RC=p입실론 구의 정전용량(C)=4*pi*입실론*반지름 R=p/(4*pi*r) 저항으로 두 구는 직렬연결 되있으므로 Rt=Ra+Rb 즉, Rt=p/(4*pi*입실론*a)+p/(4*pi*입실론*b) k=1/p이므로 답은 3 [해설작성자 : 허허]
RC = p(비저항)*입실론 , R = p*입실론/C , Q = CV에서 C = Q/V, 한 구에서 반지름이 r 인 구의 v = Q / 4*파이*입실론(r) 따라서 서로 떨어져있는 두 구는 직렬연결된걸로 보고, V = Q/4*파이*입실론 (1/a + 1/b). 따라서 C = 4*파이*입실론 / (1/a + 1/b)이고 이를 R식에 대입하면 3번이 정답. (단 비저항 = 1/도전율) [해설작성자 : kyeongseong]
20.
진공 중에서 2m 떨어진 두 개의 무한 평행 도선에 단위 길이 당 10-7N의 반발력이 작용할 때 각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은? (단, 각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다.)
1.
각 도선에 2A가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2.
각 도선에 2A가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3.
각 도선에 1A가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4.
각 도선에 1A가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방향 같을때 - 흡입 다를때 - 반발
크기 F = ( 2*I1*I2 / r ) 10^-7
2 x I1 x I2 F = ------------- x 10^-7 r [해설작성자 : 세수하고시퍼]
도체A에 의한 도체B에 작용하는 힘 F = 뮤제로*전계(H)*I(도체B의 전류) = 4파이*10^(-7)*I(도체A의 전류) / ( 2파이*2 (거리) ) * I(도체B의 전류) 약분하면 .... F= 10^(-7) * I(도체A의 전류) * I(도체B의 전류) = 10^(-7) ->문제에서 주어진 힘 두 도체의 전류가 같으므로 I^2 = 1 따라서 답은 I = 1A [해설작성자 : 눈앞의 진실]
2과목 : 전력공학
21.
전력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
송・수전할 수 있는 최대 전력
2.
필요한 전력을 보내기 위한 송・수전단 전압간의 상차각
3.
선로 손실과 송전 효율
4.
과도극한전력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력원선도에는 코로나 손실과 과도 안정 극한 전혁은 구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랄]
22.
송전전력, 송전거리, 전선로의 전력손실이 일정하고, 같은 재료의 전선을 사용한 경우 단상 2선식에 대한 3상 4선식의 1선당 전력비는 약 얼마인가? (단, 중성선은 외선과 같은 굵기이다.)
1.
0.7
2.
0.87
3.
0.94
4.
1.15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단상 2선식 총 전력 : VI → 1선당 = 1/2*VI 3상 4선식 총 전력 : sqrt(3)*VI → 1선당 = (sqrt(3)*VI)/ 4 ←4선식이므로
따라서 비율은 (sqrt(3)*VI)/ 4 ÷1/2 = (sqrt(3)*VI)/ 2 = 0.866 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붙자]
그리고 A에 대한 B라고 하면 B/A임 나 이런 말장난 너무 싫어 참고로 각 결선별로 보자면 1φ2w VIcosθ= EIcosθ 1φ3w VIcosθ= 2EIcosθ 3φ3w root(3)VIcosθ= root(3)EIcosθ 3φ4w root(3)VIcosθ= 3EIcosθ V: 선간전압 E: 상전압 문제에서 송전이라고 하면 선간전압 공식을 쓰고 전이라고 하면 상전압 공식을 쓰면 됨 지금 문제에서는 송전전압이라고 했으니 선간전압 공식을 이용하면 됨 1선당 공급전력은 전력을 선의 가닥수로 나누면 됨 [해설작성자 : 홀홀홀]
전력용콘덴서를 변전소에 설치할 때 직렬리액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직렬리액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계산식은? (단, f0는 전원의 기본주파수, C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L은 직렬리액터의 용량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직렬리액터의 목적 = 제 5고조파 제거 5고조파일때 공진조건 5wL = 1/5wC L만의 식으로 이항해주면 L = 1/(5w)^2 * C <<< (w = 2*pi*f) 따라서 L = 1/(10*pi*f)^2 * 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66/22 kV, 2000 kVA 단상변압기 3대를 1뱅크로 운전하는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어떤 수전점에서의 3상 단락전류는 약 몇 A인가? (단, 변압기의 %리액턴스는 7이고 선로의 임피던스는 0이다.)
1.
750
2.
1570
3.
1900
4.
2250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통상적으로 3상 단락전류는 3상이 단락됐을 때 흐르는 전류로 3상에 흐르는 모든 전류의 합이 아닌, 한 상에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Y회로로 결선됐다고 간주해야 합니다. 따라서 Y결선 한 상에 걸린, 단상변압기 한 대의 정격용량이 2000kVA 이고, 그 변압기에 걸리는 전압은 선간전압이 아닌 상전압이므로 22kV/root(3)이 되어, 변압기 한 대에 흐르는 정격전류는 Pn(변압기 한 대 정격용량) = E(상전압)In 으로부터 In = Pn/E 가 되므로 3상 단락이 일어나기 전, In = 157.46A가 흐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3상이 단락됐을 때 한 상에 흐르는 단락전류 Is는 Is = 100In / %Z 이므로, Is = 100X157.46 / 7 = 2249.42A
따라서 정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결과는 같지만, 문제 해설이 제 풀이 및 인터넷 강의와 달라 첨언합니다. 3대의 단상변압기를 하나의 뱅크로 구성하였으므로 정격전류를 구할 때 변압기 용량을(2000*3), 분모를 (루트3 * 22)로 해주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단락전류Is=(100/%z)*In정격전류 In=P/[root(3)*V2] P=2000*3 (단상 3대 1뱅크라서) 실기에도 나오는 문제임 [해설작성자 : 너무길어]
[추가 해설] 문제에서 % 리액턴스 라고 했는데 %임피던스 공식에 사용하는데 의문인 분들 계실까봐 적자면 변압기에서 저항은 리액턴스에 비해서 매우 작아서 그렇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해설이 많이 복잡한데 결국 단락전류를 구하는 공식은 (100/%Z) * In 이고 수전점에서의 단락전류니까 (100/7) * (2000*3)/(root(3)*22) = 2249.42[A]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
맨 위에 분 변압기 비는 상전압 기준입니다!! 그래서 22kV는 상전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단상변압기 3대이기 때문에 부하 용량은 3 x 2000kV 이기 때문에 정격전류는 (3 x 2000k)/(3^0.5 x 22k)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반박시 님말 맞음]
33.
부하의 역률을 개선할 경우 배전선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
1.
설비용량의 여유 증가
2.
전압강하의 감소
3.
선로전류의 증가
4.
전력손실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역률이 개선되면 선로전류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bionic]
34.
한류리액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충전전류의 제한
2.
접지전류의 제한
3.
누설전류의 제한
4.
단락전류의 제한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제한(차단기 용량 경감) [해설작성자 : 이민정]
35.
수력발전소의 형식을 취수방법, 운용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취수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댐식
2.
수로식
3.
조정지식
4.
유역 변경식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낙차 취하는 방식에 의한 수력 발전소의 종류 1, 수로식 2. 댐식 3. 댐수로식 4. 유역 변경식 [해설작성자 : 화이팅ㅇ]
+추가) 조정지식 : 낙차 아닌 유량조절로 발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배전선로에 3상 3선식 비접지 방식을 채용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
1.
1선 지락 고장 시 고장 전류가 크다.
2.
1선 지락 고장 시 인접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크다.
3.
고저압 혼촉고장 시 전압선의 전위상승이 크다.
4.
1선 지락 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상승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비접지 계통에서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 상승은 상전압에서 선간 전압으로 되므로 (root)3 배 상승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안성말랑면]
37.
전력계통을 연계시켜서 얻는 이득이 아닌 것은?
1.
배후 전력이 커져서 단락용량이 작아진다.
2.
부하 증가 시 종합첨두부하가 저감된다.
3.
공급 예비력이 절감된다.
4.
공급 신뢰도가 향상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전력계통을 연계하면 계통의 임피던스가 감소하는데, 이 임피던스는 %Z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Ps = (100/%Z)Pn 의 관계에서 %Z가 감소하면 그에 반비례하는 단락용량 Ps는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38.
원자력발전소에서 비등수형 원자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료로 농축 우라늄을 사용한다.
2.
냉각재로 경수를 사용한다.
3.
물을 원자로 내에서 직접 비등시킨다.
4.
가압수형 원자로에 비해 노심의 출력밀도가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비등수형(BWR): 원자로 내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에 공급. 저농축 우라늄, 경수(H2O) 사용 가압수형(PWR): 압력 상승. 열교환기(증기발생기) 사용. 저농축 우라늄, H2O 사용 가압중수형(PHWR): 천연 우라늄, 중수(D2O) 사용 [해설작성자 : 져닝]
39.
선간전압이 V(kV)이고 3상 정격용량이 P(kVA)인 전력계통에서 리액턴스가 X(ohm)라고 할 때, 이 리액턴스를 %리액턴스로 나타내면?
1.
XP/10V
2.
XP/10V2
3.
XP/V2
4.
10V2/XP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000P / (1000000V^2/X) * 100% = ( P * X / 1000V^2 ) * 100% = P * X / 10V^2 % [해설작성자 : 하기시러ㅓㅓㅓ]
40.
증기 사이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랭킨사이클의 열효율은 초기 온도 및 초기 압력이 높을수록 효율이 크다.
2.
재열사이클은 저압터빈에서 증기가 포화 상태에 가까워졌을 때 증기를 다시 가열하여 고압 터빈으로 보낸다.
3.
재생사이클은 증기 원동기 내에서 증기의 팽창 도중에서 증기를 추출하여 급수를 예열한다.
4.
재열재생사이클은 재생사이클과 재열 사이클을 조합하여 병용하는 방식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재열사이클 : 고압 터빈내에서 포화되기 전 증기를 추출하여 재열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재가열시켜 저압터빈을 돌려 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이클 고압터빈 >> 저압터빈 [해설작성자 : 의문의고수]
3과목 : 전기기기
41.
동기발전기 단절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코일 간격이 극 간격보다 작다.
2.
전절권에 비해 합성 유기 기전력이 증가한다.
3.
전절권에 비해 코일 단이 짧게 되므로 재료가 절약된다.
4.
고조파를 제거해서 전절권에 비해 기전력의 파형이 좋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동기발전기 단절권 - 코일의 간격이 극 간격보다 작은 것 - 고조파 제거에 의한 파형의 개선 - 동량의 감소에 의한 기계적인 크기 감소로 인한 경제적 - 전절권에 비해 유기기전력 감소 [해설작성자 : 져닝]
42.
전부하로 운전하고 있는 50 ㎐, 4극의 권선형 유도전동기가 있다. 전부하에서 속도를 1440 rpm에서 1000 rpm으로 변화시키자면 2차에 약 몇 Ω의 저항을 넣어야 하는가? (단, 2차 저항은 0.02 Ω이다.)
1.
0.147
2.
0.18
3.
0.02
4.
0.024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먼저 정격속도 Ns=(120X50)/4=1500rpm이고 이때 슬립은 S1=(1500-1440)/1500=0.04이고 S2=(1500-1000)/1500=0.333이다 1000rpm이되기위한외부저항갑R은 (2차저항r/슬립S1)=(2차저항+외부저항R)/S2가되므로 (0.02/0.04)=(0.02+R)/0.333이되어계산하면 ===약 0.147오옴 [해설작성자 : BNT]
동기속도)Ns[rpm] = 120 * f / p ▶ 120 * 50 / 4 = 1500[rpm] 슬립)s = Ns - N / Ns ▶ 1500 - 1440 / 1500 = 0.04 슬립)s' = Ns - N / Ns ▶ 1500 - 1000 / 1500 = 0.333 2차저항)R[Ω] = r2 / s = ( r2 + R ) / s' ▶ 0.02 / 0.04 = 0.02 + R / 0.333 ▶ R[Ω] = 0.333 * (0.02 / 0.04) - 0.02 = 0.1465[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단면적 10 cm2인 철심에 200 회의 권선을 감고, 이 권선에 60 ㎐, 60 V인 교류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철심의 최대자속 밀도는 약 몇 ㏝/m2인가?
1.
1.126×10-3
2.
1.126
3.
2.252×10-3
4.
2.252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유기기전력)E[V] = 4.44 * f * N * Φ ▶ 4.44 * f * N * B * S ▶ B[㏝/m^2] = E / 4.44 * f * N * S ▶ 60 / 4.44 * 60 * 200 * 10 * 10^-4 = 1.126126[㏝/m^2]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4.
동기기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단락비를 크게 할 것
2.
속응여자방식을 채용할 것
3.
정상 리액턴스를 크게 할 것
4.
영상 및 역상 임피던스를 크게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동기기 안정도 향상 대책
1.단락비를 크게 할 걸 2.동기 임피던스, 정상 임피던스를 작게 할 것 3.영상 임피던스, 역상 임피던스를 크게 할 것 4,속응 여자방식을 채용 할 것 5.관성 모멘트를 크게 할 것(Fly-wheel 설치) [해설작성자 : 그니그니]
45.
직류발전기를 병렬운전할 때 균압모선이 필요한 직류기는?
1.
직권발전기, 분권발전기
2.
복권발전기, 직권발전기
3.
복권발전기, 분권발전기
4.
분권발전기, 단극발전기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균압모선이 필요한 기준은 발전기에 직권계자가 있을 경우입니다. 직권과 복권(직권+분권)이 직권 계자가 존재하므로 안정한 병렬운전을 위해 균압모선이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직가분차]
46.
4극, 중권, 총 도체 수 500, 극당 자속이 0.01 ㏝인 직류 발전기가 100 V의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회전수는 몇 rpm인가?
<문제 해설> 비례제어: offset 발생 비례적분제어: offset 제거, time delay 길다 비례미분제어: offset 발생, time delay 짧음 비례미분적분제어: offset 없고 time delay 짧음 [해설작성자 : 져닝]
미분: 오차개선 비례미분: 속응성 개선, [해설작성자 : 유키]
70.
r(t)의 z변환을 E(z)라고 했을 때 e(t)의 초기값 e(0)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기본적으로 Z변환에 초기값 최종값 정리는 (1-1/Z)형식을 외우시고, 초기값은 0으로 가는거니까 무한으로 가야 0으로 간다 반대의 형식이다 외우시면 편합니다. 최종값의 경우는 반대로 무한으로 가니까 0으로 한없이 가까워져야하니까 보기에서 1 고르시면 될듯 [해설작성자 : ㅇㅇㅇ]
이게 맞는거 같습니다 초기값은 따라서 2번이 맞고 최종값을 물을 경우 3번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불꽃벼락치기]
71.
RL 직렬회로에 순시치 전압 v(t)=20+100sinωt+40sin(3ω+60°)+40sin5ωt(V)를 가할 때 제5고조파 전류의 실효값 크기는 약 몇 A인가? (단, R=4Ω, ωL=1Ω이다.)
1.
4.4
2.
5.66
3.
6.25
4.
8.0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n 고조파가 나타내는 성분을 확인하는 것은 중첩의 원리로부터 기인합니다. 따라서 5고조파 전류를 확인하기 위해 RL 직렬회로에 인가되는 순시전압의 5고조파 전압 40sin5wt를 제외한 나머지 전압은 단락되었다고 가정될 수 있고, 4옴의 저항과 wL이 1인 유도성 리액턴스의 5고조파 시간 영역 임피던스는 root(4^2+5^2)sin(5wt+arctan(5/4)) 이므로 이는, root(41)sin(5wt+51.34')가 됩니다. 따라서 5고조파 시간 영역 전압이 40sin5wt 였고, 5고조파 시간 영역 임피던스가 root(41)sin(5wt+51.34') 이므로 5고조파 시간 영역 전류는 옴의 법칙에 의해 6.25sin(5wt-51.34')가 됩니다. 그러나 이는 순시 전류이므로 최대값 6.25를 root(2)로 나누어준 4.417이 5고조파 전류의 실효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5고조파이므로 40sin5wt만 가지고 R+j5xL식을 세우고 4+j5=6.4(A) I=V/Z I=40/루트2 / 6.4 = 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I = V/Z = 40 / [루트(2) * 루트(4^2 +(1*5)^2)] = 4.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고조파 4+5i
40 ---- √2 (실효값) -------- √4^2+5^2 ----- 1
72.
대칭 3상 전압이 공급되는 3상 유도전동기에서 각 계기의 지시는 다음과 같다.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이 회로는 '접지'가 되어 있지 않은 회로이므로 각 마디의 전위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마디 b의 전위를 '0V'라고 가정할 것입니다. 마디 b의 전위를 0V 라고 한다면, 전압원 9V와 12V의 윗마디는 각각 9V, 12V가 됩니다. 한편,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에 의해 마디 a에서 유출되는 전류의 총합이 0 이므로 마디 a에서 3옴으로 향하는 전류와 6옴으로 향하는 전류의 합은 0이 되어야 합니다. 이 전류는 옴의 법칙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저항 3옴의 걸리는 전압은 (마디 a의 전위, Va - 전압원 9V 윗마디의 전위, 9V) 혹은 (전압원 9V 윗마디의 전위, 9V - 마디 a의 전위, Va) 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우리는 마디 a에서 '유출되는'전류를 구해야 하므로 마디 a가 더 높은 전위라고 가정하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 따라서 저항 3옴에 걸리는 전압 V = (Va - 9) 이고 저항값이 3옴이므로 마디 a에서 저항 3옴으로 유출되는 전류는 결국 옴의 법칙에 의해 (Va - 9)/3 라고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같은 논리대로면 마디 a에서 저항 6옴으로 유출되는 전류도 (Va - 12)/6 라고 표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CL에 의해 이 마디 a에서 유출되는 두 전류식의 합이 0 이어야 하므로 (Va - 9)/3 + (Va - 12)/6 = 0 , Va = 10[V]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제에서 요구된 마디 a, b 사이에 걸리는 전압 Vab는 Va - Vb 이고, 이 때 Vb가 0[V]라고 가정되었었기 때문에 Vab = 10 - 0 = 10[V]가 됩니다. 하지만 가정되었던 것뿐, 마디 a와 b의 실제 전위는 10V와 0V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까지 아셔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전압 전류원 등가로 해도 됨 저항과 전압원의 직렬은 저항과 전류원의 병렬로 변환 가능함. 그렇게 변환하면 ┌─┬─┬─┬─────b │ │ │ │ I R I R │ │ │ │ └─┴─┴─┴─────b 여기서 전류원은 I=V/R로 구하면 되고, 또 전류원끼리는 더하기가 가능함 그러면 합성 전류원과 합성 저항을 구하면 I = (9/3) + (12/6) = 5[A] R = 2[옴] -> 전류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병렬이 됬으니까 병렬저항의 합으로 구하셈. 따라서 V = IR = 10[V] [해설작성자 : 홀홀홀]
분포정수회로에서 직렬 임피던스를 Z, 병렬 어드미턴스를 Y라 할 때, 선로의 특성임피던스 Zo 는?
1.
ZY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어드미턴스는 임피던스의 역수 즉 Y= 1/Z 이기때문에 4번에서 Y를 변환 시켜주면 √Z^2 가 되고 루트 풀어주면 Z가 나옴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77.
그림과 같은 회로의 구동점 임피던스 (Ω)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주파수 영역의 jw가 s로 치환된 s영역의 보기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구동점 임피던스는 맨 왼쪽 단자에서 바라본 회로 내 등가임피던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회로의 jw를 s로 치환해야 하는데, 주파수와 무관한 저항 1옴은 치환할 필요가 없지만 2[H]의 인덕터와 1/2[F]의 커패시터는 주파수에 따라 그 임피던스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치환할 필요가 다분해 보입니다. 따라서 인덕터의 주파수 영역 임피던스 jwL에서 jw를 s로, L에 2를 대입함으로써 '2s'가 되고 커패시터의 주파수 영역 임피던스 1/jwC에서 jw를 s로, C에 1/2을 대입함으로써 '2/s'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문제의 요구대로 회로 상 맨 왼쪽 단자에서 회로를 바라보았을 때, 저항과 인덕터는 직렬로, 이들은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앞서 치환한 인덕터의 s영역 임피던스와 저항의 직렬 합성 임피던스 = 2s + 1 이 되고 이들과 커패시터의 s영역 임피던스의 병렬 합성 임피던스 = (2/s) // (2s + 1)이 됩니다. 따라서 이 병렬 조합을 계산하면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78.
Δ결선으로 운전 중인 3상 변압기에서 하나의 변압기 고장에 의해 V결선으로 운전하는 경우, V결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고장 전 Δ결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에 비해 약 몇 %인가?
1.
86.6
2.
75.0
3.
66.7
4.
57.7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V결선 사용시 이용률 86.6% 출력률 57.7% [해설작성자 : 리뷰뎃]
△결선 시 전력 = P1 V결선 시 전력 = √3 * P1 따라서 ( P1 / √3 * P1 ) * 100 = 57.7 %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추가용]
△결선 시 전력 = 3 * VI V결선 시 전력 = √3 * VI ( √3 * VI / 3 * VI ) * 100 = 57.7 % [해설작성자 : 그롱]
79.
그림의 교류 브리지 회로가 평형이 되는 조건은?
1.
2.
3.
L=R1R2C
4.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덕터와 커패시터가 포함된 교류 브리지 회로도 저항만 포함된 직류 브리지 회로에서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저항만 포함된 직류 브리지 회로에서 마주보는 저항쌍들의 곱이 서로 같으면 브리지 회로는 평형 상태에 있다는 것은 자명했던 사실이므로
jw, 즉 주파수 영역의 임피던스로 해석한다면
인덕터 L의 임피던스 jwL과 마주보는 커패시터 C의 임피던스 1/jwC의 곱, L/C가
저항값 R1 X 저항값 R2와 같으면 되므로, L = R1R2C 인 3번 보기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회로쟁이]
80.
f(t)=tn의 라플라스 변환 식은?
1.
n/sn
2.
n+1/sn+1
3.
n!/sn+1
4.
n+1/sn!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t^3을 예로 들면 (3*2*1)/S^(3+1) [해설작성자 : 혼탁한세상]
비포장 - 1.25배 견딜것 - 2배 전류시 2분 안에 끊어질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버스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시설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의 끝부분은 막지 말 것
2.
사용전압이 400 V 미만인 경우에는 덕트에 접지공사를 할 것
3.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고, 사용전압이 400 V 이상인 경우에는 덕트에 접지공사를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번 : 끝부분을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폐쇄할 것 [해설작성자 : 이민정]
96.
발전소에서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고압용 변압기의 온도
2.
발전기의 회전수 및 주파수
3.
발전기의 전압 및 전류 또는 전력
4.
발전기의 베어링(수중 메탈을 제외한다) 및 고정자의 온도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발전기, 주변압기 VIP 발전기 베어링, 고정자 온도 특고압용 변압기 온도
시설가능 [해설작성자 : 과몰입]
97.
사용전압이 특고압인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방식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8.
최대사용전압이 7 ㎸를 초과하는 회전기의 절연내력 시험은 최대사용전압의 몇 배의 전압 (10,500 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10,500 V)에서 10분간 견디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