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집락표본추출 표본추출 단위가 개인이 아닌 집락인 표본추출법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부 집락을 무작위 추출하여 그 전수를 표본으로 하거나 집락의 대상자 중 일부를 다시 표본추출하는 방법
2. 층화임의추출법 모집단을 성, 나이 등의 층으로 구분하고 각층에서 단순무작위추출법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비례층화추출 / 비비례층화추출이 있다.
4. 단순임의추출법 가장 단순한 확률표본추출법으로 소규모 조사나 예비 조사에서 주로 사용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의 표본추출 확률을 똑같게 해주는 방법 대상자 전체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난수표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표본 수만큼 난수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난수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를 가진 사람을 표본으로 산정 [해설작성자 : 올해는제발...]
11.
기후변화(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중 배출량이 가장 많은 물질은?
1.
일산화탄소(CO)
2.
메탄가스(CH4)
3.
질소(N2)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온실 효과 기여물질 : CO2 > CH4, CFC > N2O > HFCs,PFCs, SF6, O3 등 [해설작성자 : 올해는제발...]
12.
「모자보건법」에 따른 모자보건 대상에 대한 정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영유아”란 출생 후 6년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2.
“모성”이란 임산부와 가임기(可姙期) 여성을 말한다.
3.
“임산부”란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8개월 미만인 여성을 말한다.
4.
“신생아”란 출생 후 28일 이내의 영유아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임산부란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우리집준호]
13.
PRECEDE-PROCEED 모델에서 유병률, 사망률, 건강문제 등을 규명하는 단계로 가장 옳은 것은?
1.
사회적 진단
2.
역학적 진단
3.
교육생태학적 진단
4.
행정 및 정책 진단
정답 : [
2
] 정답률 : 69%
14.
연구시작 시점에서 폐암에 이환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20년간 추적 조사하여 폐암 발생 여부를 규명하는 역학조사 방법은?
1.
전향적 코호트연구
2.
환자대조군연구
3.
단면연구
4.
후향적 코호트연구
정답 : [
1
] 정답률 : 66%
15.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 발생의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를 <보기>의 표에서 구한 값은?
1.
(60/200) / (90/200)
2.
(90/150) / (110/250)
3.
(110/250) / (90/150)
4.
(90/200) / (60/200)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비교위험도(=상대위험도,RR)
노출군의 질병발생률 / 비노출군의 질병발생률 = 고혈압이 있는 사람 중 뇌졸증에 걸린 사람 / 고혈압이 아닌데 뇌졸증에 걸린사람 = (90/200)/(60/200) [해설작성자 : 모두모두 힘내세요^^]
16.
어느 지역에서 코로나19(COVID-19) 환자가 1,000여 명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역학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