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사료의 관산성, 신주의 김무력, 백제 왕을 죽였다라는 내용을 보면 성왕이 사망한 관산성 전투임을 알 수 있다(554년) 나제동맹은 433년 비유왕(with 신라 눌지왕) 웅진천도는 475년 문주왕 사비천도는 성왕 즉위 직후(538년)이므로 (라)가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3.
밑줄 친 ‘이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옳은 것은?
1.
우산국을 정벌하는 장군
2.
『계원필경』을 저술하는 6두품
3.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는 군인
4.
노비안검법 시행을 환영하는 농민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이 시기는 혜공왕 이후 진골의 왕위 쟁탈전, 상대등의 권한 강화, 혼란한 시기, 김헌창의 난(822)년이라는 내용으로 보아 신라 하대임을 알 수 있다. 1번은 지증왕(통일 전) 3번은 김흠돌의 난(신라 중대 신문왕, 681년) 4번은 고려 광종의 노비안검법(956년)이다. 2번 계원필경은 최치원의 저서로, 최치원이 진성여왕 대에 활동했다는 것까지 알면 완벽하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4.
다음 자료가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국을 5경 15부 62주로 정비하였다.
2.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3.
수도는 당의 수도인 장안을 본떠 건설하였다.
4.
중앙에서 지방을 견제하기 위해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료 속의 백성은 말갈인이 많다, 도독, 자사, 마을의 우두머리를 수령이라 한다는 내용으로 보아 발해임을 유추할 수 있다. 1 ~ 3은 모두 발해의 내용이고 4번 외사정제도는 통일신라 문무왕의 정책이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5.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근거지를 옮기며 몽골에 저항하였다.
2.
처인성에서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3.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되었다.
4.
포수, 사수, 살수 등 삼수병으로 조직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문제에서 부대라고 명시하였고, 개경으로 환도함에 따르지 않았다고 하였으므로 1270년부터 시작된 삼별초의 항쟁임을 유추할 수 있다. 2번은 몽골의 2차침입에서 처인부곡의 김윤후의 활약 3번은 윤관의 별무반(고려 숙종, 여진 대비) 4번은 임진왜란 때에 유성룡의 건의로 생긴 훈련도감(1593년)임을 알 수 있다.
1번이 삼별초에 대한 내용으로 강화도 - 진도 - 제주도 순으로 항쟁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에 국서를 보내기도 하였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6.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2.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였다.
3.
속장경의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4.
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승과급제, 신앙 결사 운동, 돈오점수, 정혜쌍수를 통해 지눌임을 알 수 있다.
1번 천태사교의는 광종 때의 제관(참고로 천태사교의주의 저자가 의천) 3번의 속장경(=교장)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것은 의천 4번의 백련결사와 참회수행은 최충헌 때의 요세스님이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7.
밑줄 친 ‘이 왕’의 재위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만권당을 설치하였다.
2.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3.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4.
입성책동 사건이 일어났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국공주와 결혼, 도병마사의 도평의사사 개편이라는 내용을 통해 충렬왕임을 알 수 있다. 1번의 만권당 설치는 충선왕이 충숙왕에게 왕위 양위 후 업적이므로, 충숙왕 재위 기간. 3번의 정치도감은 충목왕이 개혁을 위해 설치. 4번의 입성책동 사건은 충선왕(1차), 충숙왕(2차), 충혜왕(3, 4차) 때 일어났다.
2번의 정동행성은 충렬왕 때 설치되어 공민왕이 폐지시켰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지를 전지와 시지로 분급하였다.
2.
관료들의 수조지는 경기도에 한정되었다.
3.
관(官)에서 수조지의 조세를 거두어 관리들에게 지급하였다.
4.
인품과 행동의 선악, 공로의 대소를 고려하여 토지를 차등 있게 주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자삼, 단삼, 비삼, 녹삼, 인품에 따라 차이를 두었다는 내용으로 보아 시정전시과(976년, 경종)임을 알 수 있다.
2번은 과전법에 대한 설명 3번은 관수관급제(조선 성종) 4번은 공로의 대소라는 것으로 보아 역분전임을 알 수 있다(태조, 940년)
1번은 말 그대로 전시과에 대한 내용. 전지 + 시지가 전시과.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번은 국채보상운동 2번은 광주학생항일운동(1929.11.3) 4번은 1929년의 원산 노동자 총파업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5.
다음 글을 저술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교구신론을 발표하여 유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2.
조선심을 강조하며 역사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3.
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나타난 조선혁명선언을 저술하였다.
4.
민족 문화의 고유성과 세계성을 찾으려는 조선학 운동에 참여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사료에서 혼, 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보아 민족주의 사학의 박은식임을 알 수 있다.
2번은 민족주의 사학의 문일평 3번은 신채호 1923년 4번의 조선학 운동은 정인보와 안재홍의 주도로 1934년에 시작되었다. 박은식은 1925년에 사망하여 조선학 운동에 참여할 수 없었다.
1번의 유교구신론이 1909년 박은식이 저술한 것이므로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6.
(가)∼(라)의 사건들을 발생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나) → (가) → (다) → (라)
4.
(나) → (다) → (가) → (라)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가) 조선의용대 창설 : 1938 한커우에서 김원봉주도 (나) 자유시참변 : 1921년 소련 (다) 쌍성보 전투 : 1932년 북만주, 지청천의 한국독립군 (라) 한국광복군 조직 : 충칭, 1940.9 창설, 총사령관 지청천 / 부사령관 김원봉(1942년에 조선의용대 일부와 합류) 순서대로 (나) - (다) - (가) - (라)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7.
(가), (나) 자료에 나타난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2.
고종이 강제로 퇴위되고 군대가 해산되었다.
3.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였다.
4.
헤이그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가)에서 국모의 원수, 머리털을 풀 베듯 베었다는 내용으로 보아 1895년 을미년임을 알 수 있다.(각각 을미사면, 단발령 - 을미개혁의 내용)
(나)에서 군사장 허위, 동대문 밖으로 진격하였다는 내용에 따라 1907년 정미의병을 시작으로 진행된 1908년 서울 진공작전임을 알 수 있다.
1895년 ~ 1908년 사이의 내용이 아닌 것은 3번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이다.(1909년 10.26) 1번 을사늑약 1905년 2번 고종 강제 퇴위(1907.7.20) - 군대 해산(1907.7.31) 4번 헤이그 특사는 1907년 4월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8.
(가)∼(라) 시기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은 것은?
1.
(가)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가 개최되었다.
2.
(나)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설치되었다.
3.
(다) :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 협상을 제안하여 평양에서 회의가 개최되었다.
4.
(라) : 좌우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1945.8.15 제1차 미소공동위는 1946.3 5.10 총선거는 1948.5.10
3번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 협상은 5.10 총선거 직전, 1948년 4월이므로 (다) → 정답
1번 모스크바 3상 회의는 1945.12 이므로 (나) 2번 반민특위설치는 1948.10(법 제정은 1948.9, 조사 시작은 1949.1)이므로 (라) 4번 좌우합작 7원칙은 여운형과 김규식 주도로 이승만의 정읍발언(1946.6) 직후인 1946.7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9.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금강산 해로 관광이 시작되었다.
2.
6·15 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3.
최초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이 열렸다.
4.
민족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7·7선언)이 발표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7.4 남북공동성명은 닉슨독트린 이후 냉전 완화로 인한 박정희의 정권 유지를 위한 통일 정책으로 1972년 7월 4일이다.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은 노태우 때로 1991년 9월이다. 즉, 1972.7.4 ~ 1991.9의 사건을 찾으면 되므로
1번 금강산 해로 관광 시작은 DJ정부 1998.11이다. 2번 6.15 남북공동선언도 DJ정부 2000.6.15이다. 3번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이 열린 것은 1971년이다. * 최초 이산가족 상봉은 전두환 때의 1985년이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최초의 회담은 1971년 남북 적십자 예비 회담이 맞다.(남북 적십자 회담의 목적 자체가 이산가족 상봉이며, 그 중 가장 먼저 열린 회담이 1971년이다. 남북 적십자 본회담은 1972.7.4 이후에 열렸다.) 4번의 7.7 선언은 노태우 정부 때 1988년 7월 7일이다. 그러므로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20.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8선 이북에서 대대적인 철수 = 중공군 참전 이후(1950.11.27 이후 중공군 본격 참전) 흥남부두에서 해상 철수 = 흥남철수(1950.12.15)
북한군 남침시작은 1950.6.25 인천상륙작전은 1950.9.15 평양 탈환은 1950.10.19이므로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②
④
①
②
②
①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③
③
①
④
③
③
④
④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