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냉각소화, 질식소화 등 주로 5류위험물(자기반응성) 소화에 사용됨 3. 제거소화로써 나무의 벌목, 탱크의 배유 등 이있음 4. 유화소화에 해당 [해설작성자 : 2022 강원예비소방사]
2.
물 소화약제 첨가제 중 주요 기능이 물의 표면장력을 작게하여 심부화재에 대한 적응성을 높여 주는 것은?
1.
부동제
2.
증점제
3.
침투제
4.
유화제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물이 얼지 않게 해주는 첨가제 주로 '글리'가 포함된 것들 2. thick water 라고도 하며 물의 점성을 높여줌. 산불화재에 적합 3. wetting water 물의 표면장력을 작게해 깊숙이 침투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한 후 72시간 이내에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 화재로 인한 사망자로 본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방화는 고의로 불을 지르는 것이며 중요화재로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ㅎㅇㅌ]
방화는 특수화재 [해설작성자 : 우리동네 방화범]
8.
우리나라 소방행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군정 시대에는 소방행정을 경찰에서 분리하여 자치소방행정체제를 도입하였다.
2.
1972년 전국 시·도에 소방본부를 설치·운영하고 광역소방행정체제로 전환하였다.
3.
소방공무원은 공무원 분류상 경력직 공무원 중 특수경력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4.
소방공무원의 징계 중 경징계에는 정직, 감봉, 견책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 1992년 3. 경력직 공무원 중 특정직 4. 경징계: 감봉- 1개월 이상 3개월 이하의 기간 동안 보수의 1/3 견책- 훈계하고 회개하게 한다. 중징계: 파면- 강제로 퇴직, 5년간 임용불가 (퇴직금 1/2) 해임- 강제로 퇴직, 3년간 임용불가 (퇴직금 전액지급) 강등- 1계급아래로 직급을 내린다, 3개월간 직무 종사 못하고 보수는 전액 감한다. 정직- 1개월 이상 3개월 이하의 기간, 신분은 유지하나 직무 종사 못하고 보수는 전액 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화재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ㄴ. 목조건축물의 경우 무염착화 가능 , 기체나 액체(유류) 화재시 무염착화는 X (반대로설명함) [해설작성자 : 2022 강원예비소방사]
ㄴ. 목조건축물 화재 : 화재원인-무염착화-발염착화-발화-최성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무염착화: 가연물이 연소하면서 재로 덮힌 숯불모양으로 불꽃 없이 착화하는 현상 발염착화: 무연상태의 가연물에 바람을 주어 불꽃이 발생되면서 착화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바닥 면적이 200 m2인 구획된 창고에 의류 1,000 ㎏, 고무 2,000 ㎏이 적재되어 있을 때 화재하중은 약 몇 ㎏/m2인가? (단, 의류, 고무, 목재의 단위 발열량은 각각 5,000 ㎉/㎏, 9,000 ㎉/㎏, 4,500 ㎉/㎏이고, 창고 내 의류 및 고무 외의 기타 가연물은 존재하지 않으며, 화재 시 완전연소로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