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이 5kg인 강제 용기 속에 물이 20L들어있다. 용기와 물이 24℃인 상태에서 이속에 질량이 5kg이고 온도가 180℃인 어떤 물체를 넣었더니 일정 시간 후 온도가 35℃가 되면서 열평형에 도달하였다. 이 때 이 물체의 비열은 약 몇 kJ/(kgㆍK)인가?(단, 물의 비열은 4.2kJ/(kgㆍK), 강의 비열은 0.46kJ/(kgㆍK)이다.)
어느 왕복동 내연기관에서 실린더 안지름이 6.8cm, 행정이 8cm일 때 평균유효압력은 1200kPa이다. 이 기관의 1행정당 유효 일은 약 몇 kJ인가?
1.
0.09
2.
0.15
3.
0.35
4.
0.48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평균 유효 압력 Pae = 일/행정체적 1200[kPa] = 1200[kN/m^2] = W / (π/4 x 0.068^2[m^2] x 0.08[m]) W = 1200[kN/m^2] x (π/4 x 0.068^2[m^2] x 0.08[m]) = 0.34864[kN·m] = 0.35[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1.
실린더에 밀폐된 8kg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압력 P1=800kPa, 체적 V1=0.27m3에서 P2=350kPa, V2=0.80m3으로 직선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1.
305
2.
334
3.
362
4.
390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과 2에서 각각 V축으로 수직으로 선을 그었을 때, 그려지는 사각형의 면적이 공기가 한 일이 되기에, 가로(V2 - V1 = 0.80 - 0.27 = 0.53[m^3]) x 세로(P1 = 800[kPa] = 800[kN/m^2]) = 424[kN·m] = 424[kJ] 여기서 삼각형에 해당하는 면적을 빼줘야 하므로, 424 - {1/2 x 밑변(V2 - V1 = 0.80 - 0.27 = 0.53[m^3]) x 높이(P1 - P2 = 800 - 350[kPa] = 450[kN/m^2])} = 424 - 0.5 x 238.5 = 424 - 119.25 = 304.75[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2.
상태 1에서 경로 A를 따라 상태 2로 변화하고 경로 B를 따라 다시 상태 1로 돌아오는 가역 사이클이 있다. 아래의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이클 과정 동안 시스템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0 이다.
2.
사이클 과정 동안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순(net) 일을 받았다.
3.
사이클 과정 동안 시스템의 내부에서 외부로 순(net) 열이 전달되었다.
4.
이 그림으로 사이클 과정 동안 총 엔트로피 변화량을 알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13.
보일러, 터빈, 응축기, 펌프로 구성되어 있는 증기원동소가 있다. 보일러에서 2500kW의 열이 발생하고 터빈에서 550kW의 일을 발생시킨다. 또한, 펌프를 구동하는데 20kW의 동력이 추가로 소모된다면 응축기에서의 방열량은 약 몇 kW인가?
1.
980
2.
1930
3.
1970
4.
3070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응축기 방열량은 사이클에서 방출한 열량이다. 보일러와 펌프에서 흡수한 열량은 2520kW이고, 터빈에서 방출한 열량은 550kW 이다. 흡수한 열량과 방출한 열량의 평형식을 세우면 2520 = (응축기 방열량) + 550 이다. 즉 응축기 방열량은 1970kW 이다. [해설작성자 : Doll고래]
그림에서 사이클 A(1-2-3-4-1)로 운전될 때 증발기의 냉동능력은 5RT,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0.78이었다. 그러나 운전 중 부하가 감소하여 압축기 흡입밸브 개도를 줄여서 운전하였더니 사이클 B(1‘-2’-3-4-1-1‘)로 되었다. 사이클 B로 운전될 때의 체적효율이 0.7이라면 이 때의 냉동능력(RT)은 얼마인가? (단, 1RT는 3.8kW이다.)
<문제 해설> 온수방열기 표준방열량 = 450 kcal/kg. 1000w = 860kcal 을 이용하여 450*(1000/860)= 523.3 W/m2 증기방열기 표준방열량 = 650 kcal/kg. 1000w = 860kcal 을 이용하여 650*(1000/860)= 755.8 W/m2 [해설작성자 : 모두합격기원]
43.
에어와셔 내에 온수를 분무할 때 공기는 습공기선도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이 일어나는가?
1.
가습ㆍ냉각
2.
과냉각
3.
건조ㆍ냉각
4.
감습ㆍ과열
정답 : [
1
] 정답률 : 75%
44.
보일러의 발생증기를 한 곳으로만 취출하면 그 부근에 압력이 저하하여 수면동요 현상과 동시에 비수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급수내관
2.
비수방지관
3.
기수분리기
4.
인젝터
정답 : [
2
] 정답률 : 77%
45.
복사난방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바닥이나 벽면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복사열에 의한 난방으로써 쾌감도가 크다.
3.
외기온도가 갑자기 변하여도 열용량이 크므로 방열량의 조정이 용이하다.
4.
실내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며, 열이 방의 윗 쪽으로 빠지지 않으르모 경제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외기온도의 급변화에 따른 온도조절이 곤란하다. [해설작성자 : 뿡]
46.
다음 중 난방부하를 경감시키는 요인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지붕을 통한 전도 열량, 태양열의 일사부하
2.
조명부하,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
3.
실내기구부하, 재실인원의 발생열량
4.
기기(덕트 등) 부하, 외기부하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겨울철 지붕으로 인한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난방부하 증가 2. 틈새바람은 겨울철 난방부하 4. 겨울철 외기는 난방부하 증가 요소 [해설작성자 : 동죽이네 A-set]
47.
온수난방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기난방에 비하여 연료소비량이 적다.
2.
예열시간은 길지만 잘 식지 않으므로 증기난방에 비하여 배관의 동결 피해가 적다.
3.
보일러 취급이 증기보일러에 비해 안전하고 간단하므로 소규모 주택에 적합하다.
4.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예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온수난방은 예열시간이 길다. [해설작성자 : asd]
48.
콜드 드래프트 현상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체 주위의 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때
2.
기류의 속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3.
주위 벽면의 온도가 낮을 때
4.
겨울에 창문의 극간풍이 많을 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기류의 속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 때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도우인시스 이기찬]
49.
다음과 같이 단열된 덕트 내에 공기가 통하고 이것에 열량 Q(kJ/h)와 수분L(kg/h)을 가하여 열평형이 이루어 졌을 때, 공기에 가해진 열량(Q)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단, 공기의 유량은 G(kg/h), 가열코일 입ㆍ출구의 엔탈피, 절대습도를 각각 h1, h2(kJ/kg), x1, x2(kg/kg)이며, 수분의 엔탈피는 hL(kJ/kg)이다.)
1.
G(h2-h1)+LhL
2.
G(x2-x1)+LhL
3.
G(h2-h1)-LhL
4.
G(x2-x1)-LhL
정답 : [
3
] 정답률 : 59%
50.
대기압(760mmHg)에서 온도 28℃, 상대습도 50%인 습공기 내의 건공기 분압(mmHg)은 얼마인가? (단, 수증기 포화압력은 31.84mmHg이다.)
1.
16
2.
32
3.
372
4.
744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상대습도 = (현재 수증기 a)/(가질 수 있는 최대 수증기) = 1/2, a = 31.84/2 = 15.92 mmHg 2. 건공기 = 대기압 - 수증기분압 = 760 - 15.92 = 744.08 [해설작성자 : 꿀호떡]
51.
단일덕트 재열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하 패턴이 다른 다수의 실 또는 존의 공조에 적합하다.
2.
식당과 같이 잠열부하가 많은 곳의 공조에는 부적합하다.
3.
전수방식으로서 부하변동이 큰 실이나 존에서 에너지 절약형으로 사용된다.
4.
시스템의 유지ㆍ보수 면에서는 일반 단일덕트에 비해 우수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52.
온풍난방에서 중력식 순환방식과 비교한 강제 순환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기 설치장소가 비교적 자유롭다.
2.
급기 덕트가 작아서 은폐가 용이하다.
3.
공급되는 공기는 필터 등에 의하여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다.
4.
공기순환이 어렵고 쾌적성 확보가 곤란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53.
건구온도 30℃, 절대습도 0.01kg/kg인 외부공기 30%와 건구온도 20℃, 절대습도 0.02kg/kg인 실내공기 70%를 혼합하였을 때 최종 건구온도(T)와 절대습도(x)는 얼마인가?
건구온도 10℃, 절대습도 0.003kg/kg인 공기 50m3을 2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kJ)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425
2.
606
3.
713
4.
884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Q=mCpΔT=(밀도x부피)x정압비열x온도변화=1.2 x 50 x (20-10) x 1.01 = 606 [해설작성자 : KDH_H]
57.
내부에 송풍기와 냉ㆍ온수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각 실내에 설치되어 기계실로부터 냉ㆍ온수를 공급받아 실내공기의 상태를 직접 조절하는 공조기는?
1.
패키지형 공조기
2.
인덕션 유닛
3.
팬코일 유닛
4.
에어핸드링 유닛
정답 : [
3
] 정답률 : 72%
58.
취출구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방형 취출구의 긴 변과 짧은 변의 비를 아스펙트비라 한다.
2.
취출구에서 취출된 공기를 1차 공기라 하고, 취출공기에 의해 유인되는 실내공기를 2차 공기라 한다.
3.
취출구에서 취출된 공기가 진행해서 취출기류의 중심선상의 풍속이 1.5m/s로 되는 위치까지의 수평거리를 도달거리라 한다.
4.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떤 거리를 진행했을 때 기류의 중심선과 취출구의 중심과의 거리를 강하도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도달거리 : 취출구에서 취출공기가 0.25m/s의 풍속이 되는 위치까지의 거리 [해설작성자 : wisdu]
59.
극간풍의 방지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회전문 설치
2.
자동문 설치
3.
에어 커튼 설치
4.
충분한 간격의 이중문 설치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극간풍은 작은틈으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로 생각하면되는데, 자동문은 외부공기를 막아준다고 볼 수 없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누1]
60.
취출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부하에 따라 송풍량을 변화시켜 실온을 제어하는 방식은?
1.
가변풍량방식
2.
재열코일방식
3.
정풍량방식
4.
유인유닛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1%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100V용 전구 30W와 60W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직류 100V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두 전구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30W 전구가 더 밝다.
2.
60W 전구가 더 밝다.
3.
두 전구의 밝기가 모두 같다.
4.
두 전구가 모두 켜지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H = V * I = V^2 / R → R = V^2 / H = (정격전압이 같을때, V^2 일정) 저항은 전력에 반비례 2. V = I * R = (직렬 일때, 전류(I) 일정) 전압은 저항에 비례 (1.과 2.을 합치면) 전압은 전력에 반비례 = 30W가 더 밟다. [해설작성자 : 짜보]
'2. H = V * I = I^2 * R' (직렬일 때, 전류 일정) 따라서 저항이 더 큰 30W 전구가 더 크게 밝아진다. 으로 설명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배고픈세상]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니 저항이 큰데 전구가 밝아지는 것도 이상하고 1과 2의 결과가 전압은 전력에 반비례라고 하셨는데, 애시당초 1번 식에 H = V * I 라고 적어 놓으시고 반비례라고 하심 어케요... 저항이 더 크면 전구가 어두워지지요...
전류는 직렬이니까 일정하고, 전력을 I^2 * R이라고 표현 가능하고, 이에 따라 30W 전구가 '저항이 작기' 때문에 밝아진다 라고 해석하는게 옳아 보입니다만. [해설작성자 : 튜니아로]
[추가 오류 신고] 전력을 더 소모하니까 밝아지는게 맞지 않나요? 따라서 P= I^2 * R 이니까 전류는 같고 저항이 큰 쪽이 밝아지는게 맞는거 같은데 무조건 저항이 더 크면 전구가 어두워진다고 보는게 아닌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3.5기사]
[오류신고 반론] 직류 직렬 30w 전압 66v 60w 전압 33v 30w가 전압이 높아 밝다 [해설작성자 : totopo999]
[오류신고 반론] 맨 첫번째해설에 이미 설명이 다 되어있듯이 100볼트의 환경에서 전구가 30,60와트 출력을 가진것으로 각자 측정 되었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100V 전압이 주어졌을때 각자 전구의 저항을구해볼 수 있는데 (P=V^2/R), 30와트 짜리는 333.33옴, 60와트 짜리는 166.67옴으로 나올수 있습니다. 이 두개의 전구가 직렬로 연결 되었을때 저항이 큰곳에 전압이 더 크게 걸리게됩니다.P=I*V이기에 전압이 더 크게걸린 30W 짜리 전구가 더 밝을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30와트와 60와트 전구가 따로 100볼트 전압에서 측정된 값임을 기억하고, 직렬로 연결시 이를 똑같은 30와트 60와트 출력이라고 착각하게 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짜보2]
62.
워드 레오나드 속도 제어방식이 속하는 제어 방법은?
1.
저항제어
2.
계자제어
3.
전압제어
4.
직병렬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57%
63.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암페어의 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오른손 발전기, 왼손 전동기 오발왼전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있는 사람]
64.
지상 역률 80%, 1000kW의 3상 부하가 있다. 이것에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5%로 개선하려고 한다.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kvar)은 약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