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세류충전: 항상 자기 방전량만을 충전 보통충전: 필요할 때마다 표준 시간율로 소정의 양 충전 급속충전: 단시간에 보통 충전 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 균등충전: 1-3개월마다 충전, 1회 충전시 약 10-12시간 충전 부동충전: 축전지 자기 방전을 충전함과 동시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은 충전기가 부담. 일시적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가 공급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흑연화로, 카보런덤로, 카바이드로 등의 전기로 가열방식은?
1.
아크 가열
2.
유도가열
3.
간접저항 가열
4.
직접저항 가열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직저항 가열 ] ☞ 흑연화로, 카어버런덤로, 카바이드로, 알루미늄용해로
[ 간접저항 가열 ] ☞ 흑연저항로, 염욕로, 크리플톨로, 발열체로, 탄화규소로
[ 직접아크 가열로 ] ☞ 엘식전기제강로, 엘식 아크로
[ 간접아크 가열로 ] ☞ 요동식 아크로 [해설작성자 : 빙구없다]
4.
양수량 30m3/min, 총 양정 10m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75%, 여유계수는 1.1 이다.)
<문제 해설> 유전 가열 시 고주파 전원 설비가 필요하므로 효율이 나쁘고 설비비가 비싸다. [해설작성자 : 전기인]
6.
다이오드 클램퍼(clamper)의 용도는?
1.
전압증폭
2.
전류증폭
3.
전압제한
4.
전압레벨 이동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lamper 다이오드는 교류전압에 직류전압을 더하는 기능(전압레벨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커패시터를 결합한 다이오드 응용회로 [해설작성자 : 후잉~]
7.
하역 기계에서 무거운 것은 저속으로, 가벼운 것은 고속으로 작업하여 고속이나 저속에서 다 같이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는?
1.
정토크 부하
2.
정동력 부하
3.
정속도 부하
4.
제곱토크 부하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정토크 부하 : 속도에 따라 토크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부하 (권상기, 크레인, 압연기, 롤러 등) 2. 정동력 부하 : 고속에서는 토크가 작고, 저속에서 큰 토크를 요구하는 부하 (권상기, 압연기 등) 3. 정속도 부하 : 부하에 관계없이 회전속도가 완전히 일정하거나 변동이 거의 없는 부하 4. 제곱토크 부하 : 토크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변하는 것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기계 (펌프, 송풍기, 스크류 등) [해설작성자 : 담벼락]
8.
루소 선도가 다음과 같이 표시될 때, 배광곡선의 식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acos@+b의 식을 이용해서 풀이합니다 1. @=0 일때 I=100 100=a×cos(0)+b → 100=a+b 2. @=180 일때 I=0 0=a×cos(180)+b=-a+b → a=b 두 식을 이용해서 a=50 , b=50 을 구할 수 있음 I=50cos@+50=50(1+cos@) 그래서 답이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중]
9.
총 중량이 50t 이고, 전동기 6대를 가진 전동차가 구배 20‰의 직선궤도를 올라가고 있다. 주행 속도 40km/h 일 때 각 전동기의 출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가속저항은 1550kg, 중량 당 주행저항은 8kg/t, 전동기 효율은 0.9 이다.)
P = (F*V)/367*N*효율, 공식 암기 필요. [해설작성자 : 쌍기사따는 사회복무요원]
분모 367 안외워도 돼요. 원래 전력 구하듯 분모에 6.12×60(시속이니까) 한거에요. [해설작성자 : 경하석]
10.
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현상은?
1.
홀효과
2.
광전효과
3.
제벡효과
4.
열진동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광전효과: 빛이 가해지면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현상 -> 광전효과 홀효과: 전류를 흘리고 자계를 가하면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 제벡:다른 금속에서 열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 열진동효과: 진동형태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갓종인]
11.
합성수지몰드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합성수지몰드 안에는 금속제의 조인트 박스를 사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다.
2.
합성수지몰드 상호 간 및 합성수지 몰드와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전선이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접속해야 한다.
3.
합성수지몰드의 내면은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매끈한 것이어야 한다.
4.
합성수지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3.5cm 이하로 두께는 2mm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합성수지몰드 안에는 합성수지제의 조인트 박스를 사용하여 접속이 가능함. [해설작성자 : 전기인]
12.
고유 저항(20℃에서)이 가장 큰 것은?
1.
텅스텐
2.
백금
3.
은
4.
알루미늄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텅스텐: 5.48 백금: 10.5 은: 1.6 알루미늄: 2.6 고유저항이 가장 큰 것-> 백금, 고유저항이 가장 작은 것-> 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유저항 큰 순서 [case1] 백 > 텅 > 알 > 은
[case2] 납 > 철 > 알 > 구 [해설작성자 : 서강대물리]
13.
무대 조명의 배치별 구분 중 무대 상부 배치 조명에 해당되는 것은?
1.
Foot light
2.
Tower light
3.
Ceiling Spot light
4.
Suspension Spot light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상부 : upper horizont, border, suspension spot, sound reflection down 하부 : lower horizont, foot, tower, tormentor, floor 객석 : apron stage top, ceiling spot, front side spot, follow pin spot [해설작성자 : 기사합격gogo]
14.
버스 덕트 공사에서 덕트 최대 폭(mm)에 따른 덕트 판의 최소 두께(mm)로 틀린 것은? (단, 덕트는 강판으로 제작된 것이다.)
1.
덕트 최대 폭 100mm : 최소 두께 1.0mm
2.
덕트 최대 폭 200mm : 최소 두께 1.4mm
3.
덕트 최대 폭 600mm : 최소 두께 2.0mm
4.
덕트 최대 폭 800mm : 최소 두께 2.6mm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50mm 이하 : 1.0mm 300mm 이하 : 1.4mm 500mm 이하 : 1.6mm 700mm 이하 : 2.0mm 700mm 초과 : 2.3mm [해설작성자 : 박시냥]
15.
전선 배열에 따라 장주를 구분할 때 수직배열에 해당되는 장주는?
1.
보통 장주
2.
래크 장주
3.
창출 장주
4.
편출 장주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배열 : 보통 장주, 창출 장주, 편출 장주 수직 배열 : 랙크장주, 돌출랙크장주 [해설작성자 : gangs]
16.
다음 중 절연성, 내온성, 내유성이 풍부하며 연피케이블에 사용하는 전기용 테이프는?
1.
면테이프
2.
비닐테이프
3.
리노테이프
4.
고무테이프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리노테이프 : 내유성, 연피케이블 접속시 사용 ○ 자기융착테이프 : 비닐외장케이블 및 클로로플렌 외장케이블 접속시 사용 [해설작성자 : 은둔자]
저압 가공 인입선에서 금속관 공사로 옮겨지는 곳 또는 금속관으로부터 전선을 뽑아 전동기 단자 부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엘보
2.
터미널 캡
3.
접지클램프
4.
엔트런스 캡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엘보: 노출배관 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 2.터미널갭: 저압 가공인입선에서 금속관 공사로 옮겨지는 곳 또는 금속관으로부터 전선을 뽑아 전동기 단자 부분에 접속시 사용 3.접지클램프: 금속관 공사에서 관을 접지하는데 사용 4.엔트런스갭: 인입구, 인출구의 금속관 관단에 설치하여 빗물 침입방지 [해설작성자 : Mr.Lee]
2과목 : 전력공학
21.
컴퓨터에 의한 전력조류 계산에서 슬랙(slack)모선의 초기치로 지정하는 값은? (단, 슬랙 모선을 기준 모선으로 한다.)
1.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
2.
전압 크기와 유효 전력
3.
전압 크기와 위상각
4.
전압 크기와 무효 전력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전력조류계산 계통의 사고 예방제어, 계통의 운용 계획 입안, 계통의 확충 계획 입안, 슬랙모선의 지정값은 모선전압의 크기와 모선전압의 위상각으로 지정 [해설작성자 : 하얀말]
22.
전력계통에서 내부 이상전압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1.
유도성 소전류 차단 시
2.
수차발전기의 부하 차단 시
3.
무부하 선로 충전전류 차단 시
4.
송전선로의 부하 차단기 투입 시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무부하, 차단의 경우 이상전압이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송전단 전압을 Vs, 수전단 전압을 Vr, 선로의 리액턴스를 X라 할 때, 정상 시의 최대 송전전력의 개략적인 값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원래의 송전전력 공식인 (Vs*Vr)/X * sin@ 에서 최대 송전 전력의 값을 구했으므로 sin@가 1인 경우 최대의 송전전력을 가지므로 정답은 4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가공송전선로에서 총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도체와 비교하여 복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안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2.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3.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감소시켜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4.
선로의 인덕턴스가 감소되고 정전용량이 증가해서 송전용량이 증대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복도체는 1상당 연결된 도체의 수가 둘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복도체를 사용하게 되면 전선의 등가 반지름이 증가하게 되어 인덕턴스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증가하여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코로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가이버]
25.
그림과 같은 송전계통에서 S점에 3상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A)는 약 얼마인가? (단, 선로의 길이와 리액턴스는 각각 50km, 0.6Ω/km 이다.)
1.
224
2.
324
3.
454
4.
554
정답 : [
4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P=40MVA 기준으로 하면 %ZG1=40% %ZG2=40% 이고 얘네 둘 병렬하면 %ZG=20%. 그리고 선의 %ZL=PZ/10V제곱 이므로 = 40*10^3*50*0.6/10*110^2 =9.97% 따라서 TOTAL %Z = 20+8+9.97 = 37.97%. IS=100/%Z * P/루트3*V 이므로 답은 554. [해설작성자 : 감자서울대김태헌]
P = 40[MVA] 기준 G = G1,G2 병렬연결 ▶ 20[%] T = 8[%] ℓ= P * Z / 10 * V^2 ▶ 40 * 10^3 * 50 * 0.6 / 10 * 110^2 = 9.9173[%] 단락전류)I[A] = ( 100 / %Z ) * ( P / √3 * V ) ▶ ( 100 / 37.9173 ) * ( 40 * 10^3 / √3 * 110 ) = 553.693[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6.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각 선의 대지정전용량이 0.5096μF 이고, 선간정전용량이 0.1295μF 일 때, 1선의 작용정전용량은 약 몇 μF 인가?
8극, 900rpm 동기발전기와 병렬 운전하는 6극 동기발전기의 회전수는 몇 rpm 인가?
1.
900
2.
1000
3.
1200
4.
1400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병렬운전시 f가 같아야 한다 8극일때 f구해보면 N=120f/p 에서 900=120f/8 -> f=60[Hz] 그러므로 병렬운전하는 6극 동기발전기의 f도 또한 60이 되므로 회전수는 N=120*60/6=1200[rpm] [해설작성자 : 3시간전이다]
58.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에서 같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전력의 용량
2.
기전력의 위상
3.
기전력의 크기
4.
기전력의 주파수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기발전기 병렬운전 시 조건 '크위주파상' 기전력 크기 기전력 위상 기전력 주파수 기전력 파형 상회전 방향 [해설작성자 : 토르]
59.
변압기의 주요시험 항목 중 전압변동률 계산에 필요한 수치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시험은?
1.
단락시험
2.
내전압시험
3.
변압비시험
4.
온도상승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변압기의 주요 시험항목 중 전압변동률 계산에 필요한 수치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시험은 "단락시험"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단락 상태에서의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변압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압변동률을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시험항목들은 전압변동률 계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가이버]
60.
부하전류가 크지 않을 때 직류 직권전동기 발생 토크는? (단, 자기회로가 불포화인 경우이다.)
<문제 해설> 14.14와 7.07은 최대값 상태이므로 실효값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root2를 나누어 준다. 그러면 14.14는 10이되고 7.07은 5가 된다. 결과적으로 실효값 = root(10^2 + 5^2) = 11.1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저,고압전선 병행설치 - 고압은 위로 저압은 아래로 별개 완금에 시설 - 이격거리는 0.5m이상 - 고압가공전선이 케이블일 경우 이격거리는 0.3m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시가지에 시설하는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이 철탑이고 전선이 수평으로 2 이상 있는 경우에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이 4m 미만일 때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경간은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 : [
4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시가지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 -경간 및 지지물 (목주 사용 금지) A종 철주 또는 A종 철근 콘크리트주 : 75 [m] B종 철주 또는 B종 철근 콘크리트주 : 150 [m] 철탑 : 400 [m] (단주인 경우에는 300 [m]) + 전선이 수평으로 2 이상 있는 경우에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이 4[m]미만인 때에는 250[m] [해설작성자 : 띵훈]
92.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에 나경동선을 사용하려면 지름 몇 mm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