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림지역의 트레이닝 필드를 선정하였다. 트레이닝 필드로부터 산출되는 각 밴드의 평균값은?
1.
밴드 ‘1’=5.2, 밴드 ‘2’=3.3
2.
밴드 ‘1’=3.3, 밴드 ‘2’=5.2
3.
밴드 ‘1’=1.6, 밴드 ‘2’=1.2
4.
밴드 ‘1’=1.2, 밴드 ‘2’=1.6
정답 : [
2
] 정답률 : 66%
58.
항공사진측량에서 스트립(Stri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촬영진행 방향으로 연속된 모델이다.
2.
비행경로와도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
3.
한 쌍의 중복된 사진을 의미한다.
4.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브록(block)이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59.
표고 300m의 평탄한 지역을 사진축척 1:10000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0cm이다.)
1.
1500m
2.
1800m
3.
2000m
4.
2500m
정답 : [
2
] 정답률 : 58%
60.
원격탐사 플랫폼에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 에너지가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Visible Blue-Visible Red-Visible Green
2.
Visible Red-Visible Green-Visible Blue
3.
Visible Blue-Mid Infrared-Thermal Infrared
4.
Visible Red-Mid Infrared-Thermal Infrared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적외선 > 가시광선(빨,주,노,초,파,남,보) > 자외선 [해설작성자 : 데이~]
4과목 : 지리정보시스템
61.
절대적인 정확성과 정밀성을 지닌 공간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며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공간 데이터의 오차 발생 및 그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공간 데이터에 나타나는 오차는 크게 원시자료, 데이터 수치화와 지도 편집 과정, 데이터 처리과정과 분석 단계에서 발생한다.
2.
오차 발생 유형의 특성을 토대로 분류되는 오차로는 원래부터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내재적 오차(inherent Errors)와 구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작동적 오차(operational errors)로 범주화 할 수 있다.
3.
공간 데이터의 수집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일반적으로 그 다음 단계로 옮겨지면 누적되지 않는다.
4.
서로 다른 출처, 포맷, 축척, 정확도 수준의 수치 데이터들이 하나의 시스템 환경에 통합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상당한 오차가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자들은 오차로 인한 문제점을 거의 알지 못하게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62.
OGC Wed Service(OWS) 중 WPS(Web Processing Service)에서 지원하는 연산(Operation)이 아닌 것은?
1.
GetCapabilities
2.
DescribeProcess
3.
GetCoverage
4.
Execute
정답 : [
3
] 정답률 : 49%
63.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 처리
2.
자료 출력
3.
자료 복원
4.
자료 관리
정답 : [
3
] 정답률 : 78%
64.
레스터데이터(격자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65.
아래 두 테이블을 합집합(union)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7%
66.
다음 중 영상자료의 일반적인 저장방식이 아닌 것은?
1.
BIL(Band Interleaved by Line)
2.
BSQ(Band Sequential)
3.
BIP(Band Interleaved by Pixel)
4.
BIT(Band Interleaved by Time)
정답 : [
4
] 정답률 : 56%
67.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 2012년부터 OpenAPI 방식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는 시스템은?
1.
케이오픈맵
2.
브이월드
3.
구글맵
4.
오픈스트리트맵
정답 : [
2
] 정답률 : 81%
68.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좌표는 좌표계 상에서 지형ㆍ지물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2.
도곽은 일정한 크기에 따라 분할된 지도의 가장자리에 그려진 경계선을 말한다.
3.
메타데이터(metadata)는 작성된 수치지도의 결과가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를 말한다.
4.
수치지도작성은 각종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하여 전산시스템에서 처리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 또는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69.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2.
인공지능 컴퓨터와 로봇에 의하여 사람의 노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3.
사람들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이상적 기술이나 환경
4.
GNSS와 GIS를 결합하여 4차원 정보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정답 : [
1
] 정답률 : 78%
70.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잡한 공간정보를 약속된 형태로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은?
1.
심볼화
2.
체계화
3.
수치화
4.
최소화
정답 : [
1
] 정답률 : 73%
71.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객체가 갖는 정보로서 객체간 공간상의 위치나 관계성을 좀 더 정량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은?
1.
도형정보
2.
속성정보
3.
메타정보
4.
위상정보
정답 : [
4
] 정답률 : 61%
72.
단순한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갱신은 쉽지만 검색과정이 폐쇄적인 데이터베이스는?
1.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2.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3.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답 : [
3
] 정답률 : 70%
73.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분석체계는?
1.
환경정보체계(EIS)
2.
토지정보체계(LIS)
3.
위성측위체계(GNSS)
4.
시설물정보체계(FMS)
정답 : [
2
] 정답률 : 81%
74.
래스터 기반의 지리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범주형 자료(categorical data)는 연산이 불가능하므로 비율자료(ratoi data)로 변환해야 한다.
2.
셀의 크기와 공간 범위(spatial extent)가 같아야 중첩 연산이 가능하다.
3.
범주형 자료이지만 셀 값은 수치로 표현한다.
4.
DEM은 래스터 기반의 지형표고모델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래스터자료구조는 그리드, 셀 또는 픽셀로 구성된 배열이며 각 셀들이 속성값을 가지므로 이들 값에 따라 셀들을 분류하거나 다양하게 표현한다. * 범주형 자료인 경우에는 셀값을 수치로 표현하여 논리적, 조건적, 혹은 수학적 연산을 통해 새로운 셀의 값을 가진 커버리지를 생성한다. [해설작성자 : 플리즈합격]
75.
다음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소프트웨어
2.
하드웨어
3.
네트워크
4.
자료
정답 : [
1
] 정답률 : 76%
76.
그림은 1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형(DEM)의 격자를 나타낸다. 선형보간법에 의한 P점의 높이는? (단, 격자크기는 10m×10m이다.)
1.
6.0m
2.
6.2m
3.
6.4m
4.
6.6m
정답 : [
3
] 정답률 : 50%
77.
실세계의 지리공간을 GIS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과정을 추상화 수준에 따라 개념적 모델, 논리적 모델, 물리적 모델의 세 단계로 분류할 때, 논리적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에서의 실행 여부나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없이 독립적이다.
2.
데이터베이스의 실행을 염두에 두고 데이터가 보다 공식화된 언어로 기록된다.
3.
추상화 단계가 가장 낮은 모델이며, 인간의 인지적 관점에서 실세계를 보는 것이다.
4.
컴퓨터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형태의 모델로 데이터의 물리적 저장을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78.
격자(Raster)구조에서 벡터(Vector)구조로 변환하는 벡터화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
2.
가-다-라-나
3.
라-가-나-다
4.
라-다-나-가
정답 : [
2
] 정답률 : 61%
79.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같은 유형의 모든 원자값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튜플(tuple)
2.
속성(attribute)
3.
릴레이션(relation)
4.
도메인(domain)
정답 : [
4
] 정답률 : 59%
80.
디지타이징을 통해 도형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Spike
2.
Overshooting
3.
Undershooting
4.
Pseudo items
정답 : [
4
] 정답률 : 69%
81.
그림과 같이 교호수준측량을 실시하였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a1=0.64m, a2=2.87m, b1=0.07m, b2=2.42m)
트래버스측량의 각 관측에서 오차가 생겼을 때, 허용범위 안에 있을 경우의 오차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때는 오차를 각의 대소에 관계없이 등분하여 배분한다.
2.
각 관측의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그 오차를 경중률을 고려하여 배분한다.
3.
각 관측의 경중률이 같을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변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 관측각에 배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각 관측의 경중률이 같은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상관없이 등배분한다. [해설작성자 : 소라]
87.
수평각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각법은 하나의 각을 1번 관측하는 것으로 시준오차와 읽기오차가 발생된다.
2.
배각법은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가 크다.
3.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4.
방향각법은 한 측점 주위의 각이 많을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배각법은 방향각법과 비교하여 읽음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해설작성자 : 햇살나무]
88.
그림과 같이 다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측선 의 역방위각은? (단, 측선의 방위각(αAB)은 70°이다.)
1.
45°
2.
130°
3.
180°
4.
310°
정답 : [
4
] 정답률 : 54%
89.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폐합하는 곡선이다.
2.
등고선은 최대경사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넓다.
4.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90.
축척 1:5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축척 1:25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1:2500지형도 1도엽은 1:500 지형도를 몇 매 포함한 것인가?
1.
25매
2.
36매
3.
40매
4.
45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500/500)2 [해설작성자 : 동그라미 ]
91.
ABCD구역에 대해 각 변의 거리를 관측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면적은? (단, 거리의 단위는 m이다.)
1.
648.88m2
2.
548.88m2
3.
448.88m2
4.
348.88m2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삼각형 넓이 공식 이용
P = 세변의합 ÷ 2 삼각형 넓이 = 루트(P(P-AB)(P-BC)(P-AC))
두 삼각형 넓이 각각 구해서 더하기 [해설작성자 : 동그라미]
92.
전파거리측량기보다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비교적 정확도가 높다.
2.
1인 측량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조작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93.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여 삼각점 B를 시준하여 각 T를 관측하고자 하였으나 장애물로 인해 B로부터 e만큼 떨어진 위치의 점 P를 관측하여 T’=60°30’를 얻었다면 각 T는? (단, S=2km, e=5m, ø=310°20’)
1.
60° 16’33“
2.
60° 23’27“
3.
60° 29’27“
4.
60° 36’33“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sin X / 5 = sin 49°40' / 2000 X = sin‐1 5× sin 49°40' ÷ 2000 T' - X = 60°23'26.9" [해설작성자 : 동그라미]
94.
A점의 표고가 135m, B점의 표고가 113m일 때, 두 점 사이에 130m 등고선을 삽입한다면 이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단, AB의 수평거리는 250m이고, 등경사 구간이다.)
1.
150.4m
2.
170.5m
3.
193.2m
4.
203.9m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35-113 : 250 = 130-113 : X 22 : 250 = 17 : X X = 250×17 ÷22 = 193.18 [해설작성자 : 동그라미]
95.
측량업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하게 한 경우
2.
측량업의 등록을 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한 경우
3.
영업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영업을 한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7%
96.
기본측량성과를 국외로 반출할 수 없는 경우는?
1.
축척 5백분의 1 이상의 대축척의 지도를 반출 하는 경우
2.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측량용 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3.
정부를 대표하여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4.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79%
97.
공공측량시행자가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종류 및 규모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각 건설공사의 종류는 각각의 관련법규에 따른 규정을 충족하는 사업이다.)
1.
도시개발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2.
산업단지개발 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3.
길이 1킬로미터 이상의 도로건설사업
4.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5킬로미터 이상인 것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1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아지]
98.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며칠 전에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3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 : [
1
] 정답률 : 68%
99.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에 대한 처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간정보관리법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 측량업자로서 속임수, 위력(威力), 그 밖의 방법으로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측량기준점표지를 이전 또는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측량성과를 국외로 반출한 자, 측량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하고 측량업을 한 자,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하고 성능검사업무를 한 자 -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 심사를 받지 아니하고 지도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 자,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한 측량기술자, 둘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된 측량기술자, 다른 사람에게 측량업등록증 또는 측량업등록수첩을 빌려주거나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하게 한 자, 다른 사람의 측량업등록증 또는 측량업등록수첩을 빌려서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한 자, 지적측량수수료 외의 대가를 받은 지적측량기술자 [해설작성자 : 아지]
100.
국토교통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3
] 정답률 : 7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①
③
①
④
②
②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①
①
④
③
④
③
④
②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②
④
①
①
①
③
①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③
①
②
④
④
③
②
③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①
②
③
③
②
④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④
②
①
④
③
②
③
②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③
③
①
①
④
②
③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③
②
①
①
③
②
②
④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④
①
④
①
③
②
④
④
①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③
②
③
②
①
④
①
④
③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