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하한값이 낮다 => '폭발할 수 있는 조건의 온도 값이 낮다.' 로 생각해보시면 쉽습니다. 설명하기 전에, 폭발한계의 뜻부터 말하자면 '폭발한계'란, 가연성 기체와 산화성 기체의 혼합물의 폭발은 어떤 일정한 조성, 압력, 온도 범위 내에서 생기는데 이 한계를 폭발 한계라고 합니다. 여기서 예를 들어 A 기체의 폭발의 조건 중 하나가 20도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럼 상온이나 여름에 A기체는 다른 폭발 조건이 맞춰진 순간 폭발해버립니다. 폭발 조건이 80도나 100도인 다른 기체에 비해 A기체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를 생각해보면 폭발하한계가 낮을 수록 더 쉽게 폭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폭발하한계는 폭발한계의 최저점이라고 보면 되는데 폭발하한계가 50인 물질은 2.5인 물질보다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즉, 폭발하한값이 낮을수록 폭발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혹시 궁금할까봐]
39.
액체연료의 연소버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압분무식 버너는 유량조절 범위가 좁은 편이다.
2.
회전식 버너는 유압식 버너에 비해 연료유의 분무화 입경이 크다.
3.
고압공기식 버너의 분무각도는 40~90°정도로 저압공기식 버너에 비해 넓은 편이다.
4.
저압공기식 버너는 주로 소형 가열로에 이용되고, 분무에 필요한 공기량은 이론 연소 공기량의 30~50%정도이다.
<문제 해설> 1. 포위형 후드를 사용할 수 없고, 발생원에서 격리시켜 설치하는 형태 2. 하나의 개구면을 제외하고 발생원 주위를 전부를 에워싼 형태 3. 발생원에서 열부력이 있어 관성기류가 있을 때 설치하는 형태 4. Slot type, Free Standing, Grid type, Louver type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송풍기 유형은?
1.
프로펠러형(propeller)
2.
비행기 날개형(airfoil blade)
3.
방사 날개형(radial blade)
4.
전향 날개형(forward curved)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프로펠러형: 축류형, 효율 낮으며 저압 응용시 사용, 덕트 없는 벽에 부착, 대용량 공기 운송에 이용 [해설작성자 : :3]
후향날개형을 변형시킨것은 비행기 날개형이다
44.
전기집진기의 음극(-)코로나 방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주로 공기정화용으로 사용된다.
2.
양극(+)코로나 방전에 비해 전계강도가 약하다.
3.
양극(+)코로나 방전에 비해 불꽃 개시 전압이 낮다.
4.
양극(+)코로나 방전에 비해 코로나 개시 전압이 낮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양극 코로나 방전이 공기정화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2. 양극 코로나 방전에 비해 전계강도가 강하다. 3. 양극 코로나 방전에 비해 불꽃 개시 전압이 높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45.
층류의 흐름인 공기 중을 입경이 2.2㎛, 밀도가 2400g/L인 구형입자가 자유낙하하고 있다. 구형입자의 종말속도(m/s)는? (단, 20℃에서 공기의 밀도는 1.29g/L, 공기의 점도는 1.81×10-4poise)
분모에 있는 L 와 분자에 있는 m^3 을 없애주기 위해 10^3L / m^3 을 곱해주고 cm 를 m 로 바꾸기 위해 m/100cm 를 곱해주면 답이 나옵니다 격자법을 이용해서 단위환산하는게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호그멍]
분자 : 밀도 g/L = kg/m^3 으로 바꿀 수 있고 분모 : poise (g/cm*s) => kg/m*s 로 바꾸는 과정에서 1000g = kg, 100cm = m 이므로 1 poise(g/cm*s) = 0.1 kg/m*s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는문옥꿈을꾸는문옥~]
46.
유해가스 흡수장치 중 충전탑(Packed t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의 변화가 큰 곳에는 적응성이 낮고, 희석열이 심한 곳에는 부적합하다.
2.
충전제에 흡수액을 미리 분사시켜 엷은층을 형성시킨 후 가스를 유입시켜 기ㆍ액 접촉을 극대화한다.
3.
액분산형 가스흡수장치에 속하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스의 용해도를 증가시켜야한다.
4.
흡수액을 통과시키면서 가스유속을 증가시킬 때, 충전층 내의 액보유량이 증가하는 것을 flooding이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충전층 내의 액보유량은 hold up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 Hold up(홀드업): 충전층의 액 보유량이 증가하는 것 Flooding point(범람점): 가스속도가 증가하여 액이 비말동반을 일으켜 향류조작 불가능 [해설작성자 : :3]
47.
미세입자가 운동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마찰저항력(drag force)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선택적 비촉매 환원법(SNCR)의 단점은 배출가스가 고온이어야 하고, 온도가 낮을 경우 미반응된 NH3가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흡착법은 흡착제로 활성알루미나, 실리카겔 등을 사용하며, NO는 흡착이 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흡착제로 흡착이 잘 안되는 물질 : 일산화탄소, 일산화질소, 암모니아 (일산사는 암모씨) [해설작성자 : 김곤호]
활성탄은 유기용제 같은 무극성이나 약한 극성 물질을 잘 흡착하는데, 유기성 가스이 경우 분자량이 45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위 해설자가 작성한 것과 같이 일산사는 암모씨 ㅋㅋ CO(28), NO(30), NH3(17)는 분자량이 45 미만이므로 흡착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흡착법은 NO가 아니라 NH3 효과적. [해설작성자 : 1]
4과목 : 대기오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굴뚝 배출가스 중의 브롬화합물 분석에 사용되는 흡수액은?
1.
붕산용액
2.
수산화소듐용액
3.
다이에틸아민동용액
4.
황산+과산화수소+증류수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암모니아 분석 흡수액 2. 브롬화합물 분석 흡수액 3. 이황화탄소 분석 흡수액 4. 질소산화물 분석 흡수액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62.
불꽃이온화검출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얻은 대기 시료에 대한 측정결과이다. 대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ppm)는?
1.
15
2.
35
3.
40
4.
60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0ppm * 10mm/20mm = 15ppm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63.
굴뚝 배출가스 중의 산소를 오르자트분석법에 따라 분석할 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탄산가스 흡수액으로 수산화포타슘 용액을 사용한다.
2.
산소 흡수액을 만들 때는 되도록 공기와의 접촉을 피한다.
3.
각각의 흡수액을 사용하여 탄산가스, 산소순으로 흡수한다.
4.
산소 흡수액은 물에 수산화소듐을 녹인 용액과 물에 피로가롤을 녹인 용액을 혼합한 용액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4. 산소 흡수액은 알칼리성 피롤가롤 용액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시ㆍ도로부터 해당 지역의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다 확대ㆍ강화된 별도의 환경기준을 설정 또는 변경한 경우, 누구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국무총리
2.
환경부장관
3.
보건복지부장관
4.
국토교통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는 제3항에 따라 지역환경기준을 설정하거나 변경한 경우에는 이를 지체 없이 환경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21. 1. 5.>
8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국환경공단이 환경부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 위탁업무 보고사항 중 “결함확인검사 결과”의 보고기일 기준은?
1.
매 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
2.
매 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3.
다음 해 1월 15일까지
4.
위반사항 적발 시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결함'이 '수시'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사고'
수시 위임 위탁업무 보고사항들 외우는 법. [해설작성자 : 김곤호]
8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배출시설의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을 임대하는 경우
2.
사업장의 명칭이나 대표자를 변경하는 경우
3.
종전의 연료보다 황함유량이 낮은 연료로 변경하는 경우
4.
배출시설에서 허가받은 오염물질 외의 새로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황함유량이 낮은 연료로 변경시, 별도의 변경신고가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 배출시설에 신고한 대기오염물질 외의 새로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 방지시설을 증설, 교체하거나 패쇄하는 경우 - 사용하는 원료나 연료를 변경하는 경우 - 사업장의 명칭이나 대표자를 변경하는 경우 -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을 임대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두껍]
8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 정화 및 복원하여 환경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의미하는 것은?
1.
환경기준
2.
환경한계
3.
환경용량
4.
환경표준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환경용량”이란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 정화 및 복원하여 환경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말한다.
85.
대기환경보전법령상의 자동차 연료ㆍ첨가제 또는 촉매제 검사기관의 지정기준 중 자동차 연료 검사기관의 기술능력 및 검사장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원은 2명 이상이어야 하며, 그 중 한 명은 해당 검사 업무에 10년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2.
휘발유ㆍ경유ㆍ바이오디젤(BD100) 검사장비로 1ppm이하 분석이 가능한 황함량분석기 1식을 갖추어야 한다.
3.
검사원은 자동차, 화공, 안전관리(가스), 환경 분야의 기사 자격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한다.
4.
휘발유ㆍ경유ㆍ바이오디젤 검사기관과 LPGㆍCNGㆍ바이오가스 검사기관의 기술능력 기준은 같으며, 두 검사 업무를 함계 하려는 경우에는 기술능력을 중복하여 갖추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검사원은 4명 이상이어야 하며, 그중 2명 이상은 해당 검사 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배출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개선명령을 받은 경우로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인 경우 사업자가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개선계획서에 포함 또는 첨부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개선명세서 및 설계도
2.
대기오염물질의 처리방식 및 처리효율
3.
운영기기 진단계획
4.
공사기간 및 공사비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8조(개선계획서) 2. 법 제33조에 따른 개선명령을 받은 경우로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인 경우 가.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개션명세서 및 설계도 나. 대기오염물질의 처리방식 및 처리 효율 다. 공사기간 및 공사비 라. 다음의 경우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 1) 개선기간 중 배출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제한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나 배출량이 변경되는 경우 2) 개선기간 중 공법 등의 개선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나 배출량이 변경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국가법령정보센터]
8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비산먼지 발생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학제품제조업 중 석유정제업
2.
제1차 금속제조업 중 금속주조업
3.
비료 및 사료 제품의 제조업 중 배합사료제조업
4.
비금속물질의 채취ㆍ제조ㆍ가공업 중 일반도자기제조업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학제품제조업, 석유정제업, 곡물 및 고철 제조업, 화학약품 제조업은 비산먼지 발생사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비산먼지란 일정한 배출구 없이 바람에 날려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먼지임... [해설작성자 : .]
8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일일유량은 측정유량과 일일조업시간의 곱으로 환산한다. 이 때, 일일조업시간의 표시기준은?
1.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1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2.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7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3.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3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4.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전체 기간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90.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기술인의 임명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단, 1급은 기사, 2급은 산업기사와 동일)
1.
Ⓐ 5일, Ⓑ 30일
2.
Ⓐ 5일, Ⓑ 60일
3.
Ⓐ 10일, Ⓑ 30일
4.
Ⓐ 10일, Ⓑ 60일
정답 : [
1
] 정답률 : 60%
9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특정대기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염소 및 염화수소
2.
아크릴로니트릴
3.
황화수소
4.
이황화메틸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 황화수소는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특정대기 유해물질이 아닌 것: 아크로레인,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P화합물, Mn, B, Br, Cu [해설작성자 : 여고괴담]
9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국립환경과학원장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부장관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하고자 할 때 고시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총량규제구역
2.
측정망 설치계획
3.
총량규제 대기오염물질
4.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총량규제구역, 총량규제 대기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 그 밖에 총량규제구역의 대기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9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부장관이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 1만, ㉡ 1톤
2.
㉠ 1만, ㉡ 10톤
3.
㉠ 2만, ㉡ 1톤
4.
㉠ 2만, ㉡ 10톤
정답 : [
4
] 정답률 : 82%
97.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실내주차장”에서 미세먼지(PM-10)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은?
1.
200μg/m3이하
2.
150μg/m3이하
3.
100μg/m3이하
4.
25μg/m3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실내주차장의 미세먼지(PM-10) 유지기준 2. 지하역사, 대합실, 대규모 점포, 장례식장, 도서관 등 미세먼지(PM-10) 유지기준 3.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어린이집의 미세먼지(PM-10) 유지기준 4. 해당사항 없음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200 이하 : 실내주차장. 실내 체육시설, 실내 공연장, 업무시설, 둘 이상의 용도에 사용되는 건축물 100 이하 :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대합실, 박물관 및 미술관, 장례식장, 영화상영관, 학원, 전시시설 75 이하 : 의료기관, 어린이집, 실내 어린이놀이시설,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2022년 2월 15일 기준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 건축물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규제「실내공기질 관리법」 제5조제2항전단, 규제「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제3조 및 별표 2). [해설작성자 : 삐약030]
9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경보 발령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사항은 제외)
1.
대기오염경보단계
2.
대기오염경보의 대상지역
3.
대기오염경보의 경보대상기간
4.
대기오염경보단계별 조치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대기오염의 경보대상기간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