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뗀석기 라는것으로 보아서 구석기시대라는것을 알 수 있음 1. 청동기 2. 구석기 3. 철기 4. 신석기 5. 신석기 [해설작성자 : xmax]
2.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2.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3.
범금 8조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4.
여러 가(加)들이 각각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5.
정사암에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사람이 죽으면 임시로 매장한다. 온 집 식구를 하나의 곽 속에 넣어 두는데 -> 가족공동묘 (옥저) 1. 삼한 2. 옥저 3. 고조선 4. 부여 5. 백제 [해설작성자 : 대장내시경 팔만대장경]
3.
(가) 국가의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고려 -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 2. 고구려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3. 신라 - 천마총 금관 4. 발해 - 이불병좌상 5. 백제 - 백제 금동대향로 [해설작성자 : 키위]
신라 - 천마총은 신라 왕의 무덤이다. [해설작성자 : 키위]
4.
밑줄 그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2.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3.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4.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5.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보내서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군대가 남거성을 거쳐 신라에 이르니 왜적이 많았다. 군대가 도착하자 왜적이 퇴각하였다. -> 광개토대왕(고구려)
1.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 진흥왕(신라) 2.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 장수왕(고구려) 3.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무령왕(백제) 4. 영략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광개토대왕(고구려) 5.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 미천왕(고구려) [해설작성자 : 대장내시경 팔만대장경]
1. 대가야 병합은 진흥왕(신라)이다. 법흥왕은 금관가야를 정복했다.
5.
(가) 왕의 재위 시기 삼국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3점]
1.
고구려 –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의 대군을 격파하였다.
2.
백제 – 고흥이 서기를 편찬하였다.
3.
백제 – 계백이 황산벌에서 군대를 이끌고 결사 항전하였다.
4.
신라 –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5.
신라 – 사찬 시득이 기벌포에서 당군에 승리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무왕 : 미륵사창건 시기상 무왕때 수나라가 존재했고 신라는 선덕여왕, 고구려는 영양왕이었을 때라고 보면 을지문덕은 영양왕때 활약했으므로 1번. 그외 근초고왕 의자왕 지증왕 문무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삼한통보와 해동통보를 발행하였어요.
2.
특산품으로 솔빈부의 말이 유명하였어요.
3.
고구마, 감자 등의 구황 작물을 재배하였어요.
4.
특수 행정 구역인 소에서 여러 물품을 생산하였어요.
5.
조세 수취를 위해 3년마다 촌락 문서를 작성하였어요.
정답 : [
5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라 - 청해진은 신라의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 무역기지이다. 1. 고려 2. 발해 3. 조선 4. 고려 5. 신라 [해설작성자 : 키위]
7.
(가), (나) 사이의 시기를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계백료서를 읽는 관리
2.
녹읍 폐지를 명하는 국왕
3.
성균관에서 공부하는 학생
4.
초조대장경을 조판하는 장인
5.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는 군인
정답 : [
5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 신라 원성왕 (785년) (나) 신라 진성여왕 (889년) 1. 고려 태조 (936년) 2. 신라 신문왕 (689년) 3. 고려 공민왕~조선 고종 (1362년~1894년) 4. 고려 현종 (1087년) 5. 신라 헌덕왕 (822년) [해설작성자 : 키위]
나. 통일신라 시대 말기 진성여왕 3년(889)에 원종과 애노를 필두로 일어난 농민 반란. [해설작성자 : BDS]
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백제 문화의 국제성
2.
신라와 서역의 교류
3.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4.
고려에서 유행한 몽골풍
5.
발해와 고구려의 문화적 연관성
정답 : [
5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크리스키노 성 유적 출토 연꽃무늬 수막새 -> 고구려의 수막새무늬와 유사함 콕사로프카 평지성 온돌 유적 -> 고구려 온돌과 유사함 => 이를 통해 고구려와 발해의 연관성을 확인 가능함 *참고* 크리스키노 성 -> 현재 러시아 연해주 크리스키노 지역이며 과거 발해 영토 콕샤로프카 평지성 -> 현재 러시아 연해주 중북부 지역이며 과거 발해 영토 [해설작성자 : 1급달성하고싶다]
9.
밑줄 그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2.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다.
3.
후당과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4.
광평성 등의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5.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견훤이 완산주를 도읍으로 후백제를 세웠다. 1. 신라 원성왕 2. 백제 침류왕 3. 후백제 견훤 4. 태봉(후고구려) 궁예 5. 신라 진흥왕 [해설작성자 : 키위]
10.
다음 제도를 시행한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활구라고 불리는 은병이 유통되었다.
2.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3.
서적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이 운영되었다.
4.
경시서의 관리들이 수도의 시전을 감독하였다.
5.
설점수세제의 시행으로 민간의 광산 개발이 허용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고려 문종에 대한 이야기이다. 5. 조선 [해설작성자 : 키위]
11.
(가)~(다) 학생이 발표한 내용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나)-(다)-(가)
5.
(다)-(나)-(가)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광군 창성 -고려 3대 정종 강동6주 서희 외교담판 거란1차 -993년 성종 귀주대첩 강감찬 거란3차 -1018년 현종 [해설작성자 : 1급쌉가능]
<문제 해설> 지문 : 볼모생활, 나선정벌 -> 효종 -> 북벌 1. 어영청의 개편과 북벌 추진 : 어영청 만든 이는 인조, 개편한건 효종 2. 위화도 회군과 과전법의 시행 : 태조 이성계 3. 문신 재교육을 위한 초계문신제의 운영 : 정조 4. 백두산정계비 건립과 청과의 국경 획정 : 숙종 5. 기유약조 체결을 통한 일본과의 무역 재개 : 광해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다음 일기가 작성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
1.
상평통보가 화폐로 사용되었다.
2.
시장을 관리하기 위한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3.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활동하였다.
4.
보부상이 장시를 돌아다니며 상품을 판매하였다.
5.
국경 지대에서 개시 무역과 후시 무역이 이루어졌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문 : 담배, 이양법, 목화 -> 조선 후기 해설 : 동시전 -> 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담배 = 조선 후기다 ~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렇다면 보기 12345번을 봤을 때 2번 동시전은 신라시대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정답은 2번이다. 참고로 동시전은 지증왕 때 설치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가) 궁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일제에 의해 동물원 등이 설치되었다.
2.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3.
도성 내 서쪽에 있어 서궐이라고 불렸다.
4.
조선 물산 공진회 개최 장소로 이용되었다.
5.
태종이 도읍을 한양으로 다시 옮기며 건립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경복궁
창경궁(창경원) 덕수궁(경운궁-고종애착궁궐) 경복궁 중심 동쪽 창덕궁(태종)및 창경궁(성종)을 동궐로 부름 / 경희궁(광해군)은 서쪽 서궐로부름 태종 - 창덕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임진왜란 = 조선 후기구나 ~ 흥선대원군이 중건 = 경복궁이구나 ~ 그렇다면 (가)=경복궁 인 것을 알 수 있음.
< 경복궁 > 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 -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로 조선의 법궁(정궁)임. -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다시 지음 - 일제가 일부 건물을 헐어 내고 조선 물산 공진회 개최 1915년 - 주요 건물 : 근정전, 경회루, 광화문 등 [해설작성자 : 몰라 1급만 따면되잖아 쉽게 외워 걍]
(가) 해동 삼국도 역사가 길고 오래되어 마땅히 그 사실이 책으로 기록되어야 하므로 ... -> 삼국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 김부식의 삼국사기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나) 발해에 관한 일을 차례로 편찬하여, ... -> 발해에 대한 내용이므로 유득공의 발해고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다) 역사는 '아'와 '비아'의 특쟁이 기록일 것이다. -> 조선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라는 것을 알 수 있음.
이제 보기를 보면 ~ 1. 만권당 - 이제현 2. 문헌공도 - 고려 최충 3. 금석학 연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 - 김정희 4. 한국통사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2대 대통령 - 박은식 5. 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 활동 - 신채호 [해설작성자 : 몰라 1급만 따면되잖아 쉽게 외워 걍]
31.
밑줄 그은 ㉠, ㉡에 해당하는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 -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를 수록하였다.
2.
㉠ - 본기, 연표, 잡지, 열전 등으로 구성된 기전체 사서이다.
3.
㉡ - 사초와 시정기 등을 바탕으로 편찬하였다.
4.
㉡ - 고구려 건국 시조의 일대기를 서사시로 표현하였다.
5.
㉠, ㉡ - 우리 역사의 시작을 단군 조선으로 삼았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ㄱ 삼국사기 ㄴ 발해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해동 삼국도 역사가 길고 오래되어 마땅히 그 사실이 책으로 기록되어야 ... 라는 문장에서 3국의 역사를 기록해야 한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나) 발해에 관한 일을 차례로 편찬하여 ... 라는 문장에서 발해에 관한 내용이므로 유득공의 발해고 라는 것을 알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몰라 1급만 따면되잖아 쉽게 외워 걍]
1. 고대민간설화 -> 삼국유사-일연 2. 기전체 사서 -> 삼국사기-김부식 ----정답! 3. 사초와 시정기 -> 조선왕조실록 4. 고구려 건국 시조 일대기 -> 동명왕편-이규보 5. 우리 역사의 시작을 단군 조선으로 -> 삼국사기 X (제왕운기-이승휴)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2.
(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동경대전을 경전으로 삼았다.
2.
항일 무장 단체인 중광단을 결성하였다.
3.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생활 운동을 펼쳤다.
4.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앞장섰다.
5.
프랑스와의 조약을 통해 포교가 허용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지문 내용 : 동학 2세 교조 손병희 -> 천도교로 교명 변경 1. 동경대전 : 《동경대전》(東經大全)은 최제우가 한문으로 쓴 동학의 경전 2. 중광단 : 대종교(단군) 3. 박중분/새생활운동 : 원불교 4. 배재학당 : 미국 기독교 감리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 5. 프랑스와 조약 : 천주교 / 조불수호조약 ( 朝 佛 修 好 條 約 ) 1886년(고종 23) 조선과 프랑스정부 사이에 맺어진 통상조약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조선 후기 때. 최제우가 동학을 창시했음. 도학 -> 인내천, 시천주 / <동경대전> <용담유사> [해설작성자 : 룰루랄라라]
교조 최제형 -> 동학{천도교}
1. 천도교- 2대 교조 최시형 2. 나철-대종교 (북간도-북로군정서-김좌진) 3. 박중빈-원불교 4. 배제학당-개신교(기독교) 5. 프랑스와 조약-천주교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3.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독립문의 건립 과정을 알아본다.
2.
보안회의 활동 내용을 파악한다.
3.
조일 통상 장정의 조항을 검토한다.
4.
화폐 정리 사업이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5.
황국 중앙 총상회가 조직된 목적을 분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 - 보안회 1. 독립협회 2. 보안회 3. 관세, 방곡령, 최혜국대우 조항 4. 제 1차 한일협약 5. 상권 수호 [해설작성자 : 용이다]
34.
다음 상황의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을미사변이 일어났다.
2.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3.
용암포 사건이 발생하였다.
4.
헤이그에 특사가 파견되었다.
5.
대한 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본문.을미의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대군주 폐하께서 외국 공사관에 파천하여 ... 라는 문장을 보면 "외국 공사관" "파천" 이라는 단어만 봐도 아관파천이라는 것을 알아야 됨. 아관파천은 을미사변 1895년 이라는 것도 기억하기로!!
을미사변 1895년 에 대해 조금 쉽게 더 설명해보자면 을미의병 고종 해산 권고 & 아관파천(러시아 공사관) 이라는 용어 꼭 기억해두기!
<문제 해설> 지문 내용 : 원수부, 대한국 국제 -> 광무개혁 1. 지계아문 : 대한제국 정부가 토지소유자의 권리를 법적으로 증명하는 지계(地契)를 발급할 목적으로 설립한 부서 2. 군국기무처 :조선 말기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던 제1차 김홍집 내각이 설치한 최고 정책결정 기관 3. 5군영이 2영으로 통합 : 강화도 조약 이후 고종의 개혁정책으로 통합, 이후 구식군인 차별로 임오군란 발생 4. 한성 사범학교 :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초등교육기관인 소학교를 널리 보급시킬 계획으로 사범학교를 설립 5. 건양 : 건양(建陽)이란 양력(陽)을 세웠다(建)는 뜻. 광무개혁때 대한국국제, 원수부, 양력, 지계발전, 전차, 경인선과 연계됨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건양 : 을미개혁, 단발령, 태양력, 종두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원수부 -> 광무개혁(고종황제)라는 것을 알 수 있음. 1. 지계아문 -> 광무개혁 2. 군국기무처 -> 1차 갑오개혁 1894년 3. 5군영이 2영으로 통합 -> 1880년대 통리기무아문 4. 한성 사범 학교 -> 2차 갑오개혁 1894~1895년 5. 건양이라는 연호 -> 을미개혁 1895년 [해설작성자 : 몰라 걍 쉽게 풀자고 ;; 1급만 따면 되잖아]
36.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2.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3.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4.
중국 관내(關內)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였다.
5.
대한 국민회군 등과 연합하여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지청천 - (가)한국독립군 지휘 -> 대전자령 전투 승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한국독립군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고, 한국대독립당을 조직하였다는 것을 통해 '한국독립군'임을 알 수 있다. 한국독립군은 쌍성보 전투와 대전자령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고, 김원봉을 부사령관으로 하는 한국광복군은 인도-미얀마전에 참전하였으며, 미국과 연합하여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해설작성자 : 1급맞고한국사마스터]
일제 강점기 1930년대 이후 저항 한국 독립군 : 지청천 -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조선 혁명군 : 양세봉 - 영릉가, 흥경성 전투
<문제 해설> * 일제 강점기 시위운동 ① 3.1운동(도쿄에서 2.8 독립선언서, 고종의 인산(死)일) - 민족대표 33人(천도교+개신교+불교), 제암리, 고주리 학살사건 → 대한민국 임시정부 출범 ② 6.10 만세운동(순종 인산일) → 신간회 → 광주학생항일운동 후원(진상조사단) [해설작성자 : 선유동]
<문제 해설> <보기> 핵심 키워드 - 광주 학생 석방 요구, 치안 유지법 철패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년) 1. 순종 장례일, 가두시위 -> 6·10 만세 운동(1926년) 2.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영향 -> 3·1운동(1919년) 3. 조선 사람, 조선 것 -> 물산 장려 운동(1920년대) 4. 신간회 지원, 전국적으로 확산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년) 5. 일본, 프랑스 노동 단체 격려 전문 ->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년) [해설작성자 : 1급달성하고싶다]
43.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통감부를 설치하였습니다.
2.
조선 태형령을 시행하였습니다.
3.
헌병 경찰제를 실시하였습니다.
4.
여자 정신 근로령을 공포하였습니다.
5.
동양 척식 주식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6개월 이내에 새로 씨氏(성)를 정하고" -> 1930년대 일제강점기 창씨개명 1930년대 일제강점기 (경제침탈) - 징병제 - 여자정신근로령 -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해설작성자 : 1급은 언제쯤...]
1. 통감부는 1905 을사늑약에 따라 설치 2. 태형령 1912 강점기 무단통치상징이며 차별정책 3. 헌병 경찰제 1910년대 강점기 무단통치상징, 차별정책, 저항운동을 탄압하고자 헌병과 경찰을 통합하여 치안담당 5. 동양척식 주식회사 1908 일제가 조선의 경제,토지,자원수탈목적으로 설립한 국책회사(동인도회사같은거) (26년 의혈단 나석주형님이 식산은행이랑 함께 폭파시도 아쉽게 두곳 모두 불발, 총으로 일본인기술과장,경찰부경보부등 사살 후 자결순국) [해설작성자 : BDS]
4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결성하였다.
2.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렀다.
3.
김규식과 함께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4.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5.
미국에서 귀국하여 독립 총성 중앙 협의회를 이끌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945년 8·15 광복과 함께 만들어진 최초의 건국(나라를 세움) 준비 단체이다. 여운형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인민 대표들을 모아 ‘조선인민공화국’ 수립을 발표한 뒤 해산했다. 그러나 미군정청은 이들이 세운 새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선유동]
1. 샌프란시스코 흥사단 - 안창호 2. 조선어학회 사건 구속 - 최현배 3. 좌우합작위원회 - 여운형 --> 정답! 4. 반민특위 - 이승만 정권 때 5.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 - 이승만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45.
(가) 전쟁 중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동강 철교 파괴, 유엔군, 중국군의 남하 키워드로 해당 전쟁이 6.25전쟁(한국전쟁, 1950.06.25 ~ 1953.07.27)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ㄱ. 애치슨 선언(1950.01.12) ㄴ. 인천상륙작전(1950.09.15) ㄷ. 발췌개헌(발의 : 1952.04.17, 제정 : 1952.07.07) ㄹ.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12.16 ~ 1945.12.25) 따라서 ㄱ,ㄹ은 전쟁 전 내용이고 ㄴ,ㄷ은 전쟁 중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다음 뉴스가 보도된 정부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1.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2.
미국의 경제 원조로 삼백 산업이 발달하였다.
3.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해 신한 공사가 설립되었다.
4.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5.
최저 임금 결정을 위한 최저 임금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경부선-박정희 대통령 임기때 시행 지문중에 1번이 박정희대통령이 시행한 정책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2. 이승만 정부 3. 이승만 정부 4. 김영삼 정부 5. 전두환 정부 [해설작성자 : cumj17cbt]
47.
다음 발표가 있었던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MF외환위기 199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율곡 이이가 태어난 오죽헌을 추천해요.
2.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 고분군을 추천해요.
3.
어재연 부대가 항전했던 광성보에 가 보세요.
4.
팔만대장경판이 보관된 해인사를 방문해 보세요.
5.
삼별초가 활동한 항파두리 항몽 유적에 가 보세요.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경포대 - 강원도 강릉시 1. 오죽헌 - 강원도 강릉시 2. 송산리 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3. 광성보 - 인천광역시 강화군 4. 해인사 - 경상남도 합천군(참고로 해인사라는 이름을 가진 절은 많지만 팔만대장경판(장경판전)이 있는 해인사는 합천에 있습니다.) 5. 항파두리 항몽 유적 - 제주도 제주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동팔경이라는 점에서 서쪽에 위치한 강화군, 공주시 유적은 배제되고 육지가 아닌 제주도 항파두리 또한 배제
해인사가 있는 합천은 내륙인데, 사진에서 바다가 보이므로 배제해 결과적으로 경포대의 구체적 위치나 역사를 모르더라도 소거법으로 1번이 정답임을 알 수 있음 [해설작성자 : 20201901]
49.
다음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시민군이 조직되어 계엄군에 저항하였다.
2.
당시 대통령이 하야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3.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4.
3선 개헌 반대 범국민 투쟁 위원회가 주도하였다.
5.
장기 독재를 비판하는 3·1 민주 구국 선언이 발표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이승만 대통령 하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전두환(80) 5.18 광주민주화운동 2. 이승만 3. 전두환(87) 4.13호헌조치(신군부때 법 그대로 유지할것임)-학생들반대->부천경찰서성고문,박종철고문치사, 이한열열사사망이 도화선되어 전국적 6월 항쟁이 일어남 4. 박정희(69) 3선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신민당과 재야인사들이 발기한 단체 5. 박정희(76) 명동성당에서 윤보선, 김대중 등 각계 지도층이 발표 [해설작성자 : BDS]
50.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금강산 육로 관광이 시작되었다.
2.
6·15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
3.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이 참가하였다.
4.
남북 경제 협력을 위한 개성 공업 지구가 조성되었다.
5.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의 교환 방문이 최초로 성사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남북조절위원회 박정희 남북 기본 합희서 노태우 이사이에 있는 전두환정부 시절의 통일정책을 선택해야함 1.김대중 4.김대중 5.전두환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이닷]
3. 문재인 정부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남북 조절 위원회 = 박정희 정부 (나) 남북 기본 합의서 = 노태우 정부
이승만 -> (가)박정희 -> 전두환 -> (나)노태우
전두환 정부 = 최초 남북 이산가족 상봉 [해설작성자 : 몰라 1급만 따면되잖아 쉽게 외워 걍]
(가) 남북조절위원회 -> 박정희 / (나) 남북 회담 -> 노태우 정답 = 전두환 정권 시기
1. 김대중 정권 2. 김대중 정권 3. 문재인 정권 4. 개성 공업 지구 "조성"이니까--> 노무현 정권 5. 전두환 정권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