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연구나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동기이론 중에서, 아래의 내용은 무엇과 관련된 내용인가?
1.
ERG이론
2.
2요인이론
3.
성숙이론
4.
욕구단계이론
5.
공정성이론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
카리스마적 리더십(Charismatic Leadership)의 특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카리스마적 리더들은 부하에게 이데올로기적 목표를 제시할 가능성이 낮다.
2.
카리스마적 리더들은 부하들이 모방하도록 그들 자신의 행동으로 예를 보여주는 역할모범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3.
카리스마 리더들은 추종자들에게 리더가 유능하고 성공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 줄 수 있는 행동을 많이 할 가능성이 높다.
4.
카리스마 리더들은 집단의 업무달성에 관계된 동기를 유발하는 방향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5.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장기적인 비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
근로기준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2.
“단시간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3.
근로기준법은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한다. 다만,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과 가사(家事) 사용인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4.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5.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에 의하여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 이 경우 경영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의 양도.인수·합병은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4.
직무분석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틀린 것은?
1.
직무분석은 직무에 관련된 정보들과 아울러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다. 즉, 직무에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정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직무순환이란 조직 구성원에게 돌아가면서 여러 가지 직무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조직 구성원의 작업활동을 다양화함으로써 지루함이나 싫증을 감소시켜 준다.
3.
직무기술서는 직무의 성격, 내용, 이행 방법 등과 직무의 능률적인 수행을 위하여 직무에서 기대되는 결과 등을 간략하게 정리해 놓은 문서라고 할 수 있으며, 과업중심적인 직무분석에 의해 얻어지고 과업요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직무명세서는 직무를 만족스럽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종업원의 행동,기능, 능력, 지식 등을 일정한 형식에 맞게 기술한 문서이며, 직무분석의 결과를 정리할 때 인적특성을 중심으로 기록되는 문서로 인적요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5.
직무분석은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우선 입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
유통업체인 (주)대한은 직접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2012년에 제조업을 시작하였으며, 아래는 2012년 자료이다. 정상조업도는 5,000개이고 실제조업도는 4,000개(비정상적으로 낮은 조업도)일 경우, 2012년에 단위당 제조원가와 당기비용으로 처리될 금액은? (단, 2013년부터 제품의 판매가 시작된다.)
1.
₩31 - ₩7,500
2.
₩33 - ₩15,500
3.
₩33 - ₩7,500
4.
₩33 - ₩11,000
5.
₩31 - ₩15,500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6.
교육 또는 훈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교육이란 구성원의 일반적인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육성하는 것으로서 주로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관심을 두어 장기적인 변화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2.
훈련이란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증진 또는 습득을 위한 것으로서 문제해결, 태도, 관행, 행동의 변경에 관심을 두고 단기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3.
OJT는 부여받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속상사와 선배사원이 담당하는 교육훈련으로, 훈련과 생산이 직결되어 있어 경제적이고 교육장 이동이 필요치 않지만 작업수행에 지장이 있다.
4.
연수원이나 교육원 등과 같은 곳에서 받는 집합교육은 많은 종업원에게 훈련하고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외부 전문가 및 전문시스템에 의하기 때문에 OJT보다 훈련효과가 높다.
5.
감수성 훈련은 다른 사람이 느끼고 있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능력과 반응하는 태도나 행동을 개발하기 위한 훈련의 일종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7.
불쾌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제거해 줌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이 반복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잔소리가 심한 상사가 하급자의 계속적인 실적개선을 보고 잔소리를 줄이게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2.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3.
벌(punishment)
4.
소거(extinction)
5.
보상(incentive)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8.
인사고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능력, 소질, 근무 성적 등을 평가하여 기업에 어느 정도 유용도가 있는가를 파악하여 상대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2.
현혹효과(halo effect)는 한 분야에 있어서의 어떤 사람에 대한 호의적인 또는 비호의적인 인상이 다른 분야에 있어서의 그 사람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말한다.
3.
상동적 태도(stereo typing)는 그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근거하여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경향으로서 한 가지 범주에 따라 그 집단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오류이다.
4.
관대화 경향(leniency tendency)이 나타나는 이유로 평가 결과가 나쁜 경우에 그 원인이 평가자의 통솔력·지도력 부족 등으로 오인할까봐 평가자가 후한 점수를 주는 것이다.
5.
행위기준고과법(BARS)은 귀인의 이기적 편견(self-serving bias)과 동일한 개념으로서, 이는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은 능력이나 노력과 같은 내재적 요인으로 귀인하고 실패에 대해서는 운이나 다른 동료 탓이라 하는 것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9.
인사관리(personal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내용은?
1.
인간 관계론은 인간관계 연구 중 커뮤니케이션의 여러 제도를 중심으로 한 이론으로 종래의 인사관리제도를 전반적으로 재편성하려고 시도했었다.
2.
직무분류에서 직무는 각 기업이 속한 산업의 총체이며 일(work)이 사람과 결부될 때 비로소 생기는 개념이다.
3.
행동과학이론은 인간의 행동에 관하여 객관적인 방법으로 수집한 경험적 증거에 의해 입증된 일반적 법칙을 확립하고 인간행동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는 사회과학이다.
4.
성과의 평가에서 종업원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직원 동기부여에 관한 현대적 이론으로 ‘기대이론’, ‘공정성이론’, ‘목표설정이론’이 있다.
5.
경력개발 계획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직무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요건과 각 직무들이 계층별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조직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능별 조직은 다양한 제품계열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 적합하며, 소비재 보다 산업재를 취급하는 기업일수록 이런 형태의 조직이 더욱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영업비용이 소요된다.
2.
제품별 사업부조직은 유사한 기술, 전문성, 자원사용 등을 기준으로 종업원들의 직무를 집단화하여 조직을 몇 개의 부서로 구분하는 것으로 관련성이 있거나 유사한 기능(또는 업무)을 가진 전문가들을 한부서에 편재시키는 것을 말한다.
3.
지역별 사업부조직은 서로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부문화된 형태이다. 이러한 유형의 부문화는 서로 다른 지역의 요구에 따른 제품과 서비스가 상당한 차별화가 이루어질 때 적용되는 형태이다.
4.
네트워크 조직은 기능별 및 부서별 명령체계를 이중적으로 사용하여 조직을 몇 개의 부서로 구분하는 것으로 계층적인 기능별 조직에 수평적인 사업부조직을 결합한 부문화의 형태이다.
5.
매트릭스 조직은 현재의 조직 기능을 경쟁력 있는 핵심역량 중심으로 외부 기관과 신뢰의 기반 위에서 상호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으며, 수직적인 위계적 조직이 아니고 수평형의 유기적 조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조직(organ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직에서 복잡성이란 조직 내 분화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분화의 형태로 수평적 분화와 수직적 분화 등을 들 수 있다.
2.
조직도는 조직에 있어서의 직위 및 직위 상호 간의 공식적 관계를 단순한 도표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기업은 이 공식적인 조직도를 이용하여 조직을 운영하다.
3.
조직에서 분화는 ‘전체과업을 더 작은 과업단위로 세분하는 것’을 말하고, 한사람이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기 때문에 필요하다.
4.
분권화는 자율적인 선택을 위한 공식적인 권한이 어떤 개인, 단위 혹은 계층에 집중되는 정도로 종업원이 작업에 최소한 개입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공식적 조직이 아닌 공식적 조직에만 관심을 갖는다.
5.
공식화는 비공식화에 대칭되는 의미이며, 공식화와 비공식화는 같은 연속선상에서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상대적 수준의 문제이므로 공식화와 비공식화를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조직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은?
1.
조직이란 일정목적 달성을 위해서 필요한 제반활동을 결정, 집합, 배열하며, 그 같은 활동에 사람들을 배정하고, 적절한 요소를 준비하며, 각 개인에게 권한을 위양하는 일이다.
2.
조직이란 사람들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가능한 직무의 성격을 명확히 편성하고, 책임과 권한을 명백히 하여, 이것을 하위자에게 위양하고, 또 상호관계를 설정하는 일이다.
3.
조직의 유효성은 경영자가 상황을 어떻게 잘 관리해서 목표하는 것을 보다 많이 성취해 내느냐에 따라 그 수준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투입이 아닌 산출로서 나타나게 된다.
4.
조직에서는 유효성이 중요하지만 유효성만을 강조하다 보면 효율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인적.물적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반대로 효율성이 높은 경우라도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5.
조직에서 톱(top)으로부터의 거리는 직위의 수준 정도를 의미하고 있다. 즉, 직위 간을 연결하는 수직선은 직위의 상호 동등함을 의미하며, 수평선은 상관과 부하관계를 의미하게 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조직의 지도원리 중 하나인 효과성(effectivenes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구성원의 성취노력에 대해 제공되는 반대급부에 대해 구성원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를 말한다.
2.
조직활동의 방향성과 관련된 지도원리이다.
3.
투입을 산출로 나눈 개념이다.
4.
적절한 목표를 결정하는 능력을 말한다.
5.
결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4.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인간관계관리
2.
과업관리
3.
차별적 성과급제도
4.
동작연구와 시간연구
5.
고임금과 저인건비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다음 중에서 경영분석 시에 사용되는 비율분석의 장점 또는 유용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비율분석은 계수화가 어려운 요소들, 예를 들어 기업의 신용도, 조직의 효율성, 경영자의 리더십 까지도 분석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의사결정을 위하여 다른 자료의 수집이 필요 없이 회기말의 재무제표를 이용함으로써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3.
구체적이고 복잡한 기업분석 이전에 예비분석으로써 재무분석이 활용될 수 있다.
4.
예를 들어 재무비율을 업종평균비율 같은 표준비율과 비교하거나 과거의 실적치와 비교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평가한다.
5.
이해가 간단하고 쉬워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유통기업의 매출원가와 관련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재고자산은 회사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과 제품이며, 이들을 진열하기 위한 매대나 선반은 재고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2.
실지재고조사법은 회계 기간 동안 상품의 매입을 집계하였다가 기말에 재고자산을 실사하여 매출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3.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수불장을 비치하고 매출시점마다 매출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4.
실지재고조사법은 고가의 소량상품일 때 유리하며 계속기록법은 저가의 대량상품일 때 유용한 방법이다.
5.
실지재고조사법은 매입/매출의 빈도가 높을 때 유리하며 계속기록법은 빈도가 낮을 때 유리한 방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7.
현금예산(cash budget)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현금예산이란 미래의 현금흐름에 대한 예측 및 계획을 말한다.
2.
현금흐름이 매우 불규칙하거나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일일이 대응하기가 어려우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금예산이 수립되어야 한다.
3.
현금예산은 현금흐름표와 달리 복식부기체계를 따를 필요가 없다.
4.
현금예산은 금융기관 등의 외부분석자가 기업의 자금사정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5.
현금예산과 현금흐름표는 현금의 유출과 유입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다음 중 경제적 부가가치(EVA)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기업이 재무활동이나 투자활동을 제외한 본연의 영업활동을 통하여 창출된 가치이다.
2.
세후영업이익에서 자본비용을 차감하여 구한다.
3.
세후영업이익은 채권자 및 주주에게 배분할 수 있는 이익을 의미한다.
4.
자본비용은 타인자본비용에서 자기자본비용을 차감한 것이다.
5.
투하자본수익률이 자본비용을 초과하는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업가치가 증대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9.
기업이 보유하는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활동성비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총자산회전율
2.
매출채권회전율
3.
재고자산회전율
4.
매입채무회전율
5.
이자보상율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각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임’이란?
1.
이익집단(interest group)
2.
명령집단(command group)
3.
과업집단(task group)
4.
공식집단(formal group)
5.
준거집단(reference group)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물류경영
21.
물류센터(Logistics cent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류센터의 위치(입지)는 화물의 흐름을 잘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화물(Product), 질적 요인(Quality), 경로(Route), 서비스와 시간(Service and Time)의 5가지 중요한 요소(PQRST)를 분석한다.
2.
물류센터는 배송시간과 배송비용의 절감을 위해 상품의 수요가 많은 지역에 있어야 하고, 상품의 대량보관 보다 효율적인 물류배분에 초점을 맞추어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3.
일정지역에서는 집하 후 물류센터에서 분류하여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들로 수송하고, 일정지역에서는 물류센터에서 분류작업 없이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로 바로 직송하는 방식을 Hub & Spoke방식과 Point-to-Point방식의 혼합방식이라고 한다.
4.
물류시스템은 크게 물류경로(link: 수배송)와 물류거점(node: 연결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객 서비스, 고객 주문사이클, 수요예측 등은 직접적인 구성요소이다. 물류거점은 철도역, 항만, 트럭터미널 등사회간접자본으로 정비되어 있다.
5.
물류센터 내에서 분류시스템(Sorting system)이란 상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물건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고객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2.
화물의 하역과 보관에 시용을 하는 랙(Rack)에 대한 용어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프리로케이션(Free location)이란 보관 품목과 보관 랙의 장소를 대응시키지 아니하고 보관 품목을 그 특성에 따라 최적하다고 생각되는 장소에 보관하는 방법이다.
2.
적층 랙(Pile Up Rack)은 범용성이 있는 형태이며 화물의 종류가 여러 가지라도 유연하게 보관할 수 있다. 용적효율이 떨어지고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바닥면적 활용률이 비효율적이다.
3.
드라이브 인 랙(Drive In Rack)은 한쪽에 출입구를 두며 지게차를 이용하여 실어 나르는데 사용하는 랙으로, 소품종다량 또는 로트(Lot) 단위로 입출고될 수 있는 화물을 보관하는 데 최적격이다.
4.
슬라이딩 랙(Sliding Rack)은 팔레트가 랙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며, 한쪽에서 입고하고 다른 한쪽에서 출고되는 이상적인 선입선출 방법으로 상면 면적효율이나 용적효율도 양호하지만, 다품종에는 부적합하며 랙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
5.
모빌 랙(Mobile Rack)은 레일 등을 이용하여 직선적으로 수평 이동되는 랙으로 상면 면적률, 용적률의 효율이 높고, 통로를 대폭 절약, 한정된 공간을 최대로 사용, 다품종 소량의 보관에 적합한 보관형태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컨테이너 터미널(Container termina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컨테이너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컨테이너선에 선적하거나 양륙하고, 트럭과 기차로 컨테이너 화물의 이동, 컨테이너의 장치, 공컨테이너의 집적, 컨테이너 및 그 관련 기기의 정비 및 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
내륙터미널과 항만터미널이 있으며, 컨테이너운송이 활성화되기 위해 서는 컨테이너 전용선의 활용, 항만에서의 하역작업 그리고 내륙운송수단과의 연계과정 등이 컨테이너운송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에이프론(apron)은 안벽에 접한 야드부분에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뻗어있는 공간으로서 컨테이너의 적재와 양륙작업을 위하여 임시로 하치하거나 크레인이 통과주행을 할 수 있도록 레일을 설치한 곳을 말한다.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소량화물을 인수, 인도 및 보관하거나 컨테이너 안에 적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 컨테이너 컨트롤 스테이션(container control station)이다.
5.
마샬링야드(marshalling yard)는 컨테이너선에 직접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켜 놓은 넓은 공간으로 에이프론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일시적으로 정렬해 두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시설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컨테이너선을 항만 내에 계선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Apron
2.
Marshalling Yard
3.
CY(Container Yard)
4.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5.
Berth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포장물류(Packaging Logistic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어울리지 않는 것은?
1.
포장은 물품을 수송/보관함에 있어서 가치 또는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서 적절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기술 또는 상태를 의미하며 생산단계의 종착점이며 물류단계의 출발점에 해당한다.
2.
적정포장이란 상품의 품질보존, 취급상 편리성, 판매촉진 등을 만족시키는 가장 경제적인 포장을 말하며, 포장의 표준화는 하역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유통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3.
포장은 물류의 하부시스템으로서 상품의 이동성을 높이고 수송, 하역, 보관 등에서 상품내용을 보호하는 기능과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생산과 마케팅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품/MRO 조달 확대 -> 조달프로세스의 개선 -> 공급체인의 통합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의 구축
4.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의 구축 -> 조달프로세스의 개선 -> 공급체인의 통합화 -> 상품/MRO 조달 확대
5.
상품/MRO 조달 확대 ->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의 구축 -> 공급체인의 통합화 -> 조달프로세스의 개선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32.
QR의 로지스틱스가 더욱 발전하면 매장에 그대로 진열할 수 있도록 행거설치와 가격태그가 부착된 상품이 물류센터를 거치지 않고 제조업체로부터 소매점포로 직접 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2.
FRM(Floor Ready Merchandise)
3.
SCM(Shipping Carton Marketing)
4.
ASN(Advanced Shipping Notice)
5.
Cross Docking Center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33.
데이터웨어하우스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화(Organization)
2.
일관성(Consistency)
3.
시변성(Time Variant)
4.
휘발성(Volatile)
5.
통합(Integration)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로지스틱스 관점에서의 포장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제품의 보호
2.
하역의 효율화
3.
분배의 기능
4.
제품정보의 표시
5.
안전한 취급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주)대한상사의 컴퓨터 판매량은 매월 1,000대이고 EOQ(경제적주문모형)공식에 의거하여 계산한 결과 1회 주문량은 1,200대이다. 연간 주문횟수, 평균재고량, 컴퓨터재고의 평균흐름시간의 순으로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1.
10회, 200대, 0.2년
2.
10회, 600대, 0.05년
3.
12회, 200대, 0.5년
4.
12회, 200대, 0.2년
5.
10회, 400대, 0.4년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36.
물류정책기본법 제2조에 “물류공동화”란 물류기업이나 화주기업들이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류에 필요한 ( )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 ) 안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장비
2.
인력
3.
조직
4.
표준
5.
정보망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37.
국토교통부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른 물류비 구분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영역별: 조달물류비, 사내물류비, 판매물류비, 리버스물류비
2.
기능별: 운송비, 보관비, 하역비, 포장비, 물류정보비
3.
관리항목별: 매출원가, 판매 및 일반관리비, 영업외 비용
4.
지급형태별: 자가물류비, 위탁물류비, 물류자회사, 물류전문회사
5.
세목별: 재료비, 노무비, 경비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38.
물류의 7R 원칙에 가장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Right Quality
2.
Right Price
3.
Right Safety
4.
Right Time
5.
Right Place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39.
항공화물과 선박화물의 보관료와 작업료 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으로 보관 요율을 계산한다.
2.
종량율은 항공화물 Kg당, 선박화물은 M/T당 계산하되 중량톤 또는 용적톤 중 작은 것을 적용한다.
3.
보관료는 보관일수에 따른 종가율과 종량율을 환산하여 계산한다.
4.
수출화물의 경우 수입화물 요율의 1/2을 적용한다.
5.
창고 보유 장비로 작업할 수 없는 경우 특수장비 등의 사용비에 대하여 별도의 작업료로 실비 징수하며, 부가가치세는 별도로 계산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40.
e-SCM의 효과에 대한 것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정보의 실시간 전달
2.
거래투자비용의 최소화
3.
자동보충을 통한 재고감소
4.
리드타임 증가
5.
생산물 부품의 적시 조달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상권분석
41.
넬슨(Nelson)의 입지선정 8원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잠재력은 현재 관할 상권 내에서 취급하는 상품, 점포 또는 유통단지의 수익성 확보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
누적적 흡인력은 점포나 학교, 문화시설, 행정기관 등 많이 몰려있어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3.
경쟁회피성은 경쟁점의 입지, 규모, 형태 등을 감안하여 유통단지 등이 기존점포와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4.
중간저지성은 상호보완 관계가 있는 점포가 위치하고 있어 고객이 흡입될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5.
성장가능성은 인구증가, 소득수준 향상으로 시장규모 또는 자기점포, 유통단지의 매출액이 성장할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42.
다음 지역의 소매포화지수를 구하여 이를 토대로 출점 여부를 판단하시오.
1.
IRS가 양호하므로 MEP가 높으면 출점을 서두른다.
2.
IRS는 낮지만 MEP가 높다면 상황을 기다렸다가 개점한다.
3.
IRS는 보통으로 경기상황을 파악하여 출점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4.
IRS는 낮고 MEP도 낮다면 출점을 검토할 대상지역이 아니다.
5.
IRS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MEP가 낮아 출점하기 어렵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이중성을 갖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양립과 관련이 적은 것은?
1.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 선정
2.
누적효과
3.
차별화
4.
차단효과
5.
보충효과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최근 우리나라의 소매입지 및 상권과 관련된 환경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핵심상권에서의 시장점유율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2.
전통적 소매시장과 신규 대형할인점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3.
업체 간의 경쟁심화로 출점비용이 높아지고 있다.
4.
로스리더(loss leader)시설에 대한 투자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5.
입지가 갈수록 고갈되어 대규모 부지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로스리더(loss leader) : 商〗 손님을 끌기 위한 특매품, (손해를 보며 싸게 파는) 특가품.
45.
상권분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선매품의 경우에는 위계별 경쟁구조 분석이 필요하다. 다른 위계의 점포들도 경쟁상대로 보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2.
편의품의 수요를 올바르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업태별 경쟁구조 분석과 업태 내 경쟁구조 분석이 필요하다.
3.
전문품은 고매 고객이 많지 않아 여러 점포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상권에서 수요를 예측한 후 수요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4.
경쟁/보완관계분석은 동반유인의 법칙과 양립성의 법칙을 활용하여 상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모든 유형의 제품에서 분석될 수 있다.
5.
잠재경쟁구조분석을 위해서는 업태내 경쟁분석과 업태별 경쟁분석, 위계별 경쟁구조 분석, 경쟁/보완관계 분석이 모두 시행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46.
할인점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내용만 모아놓은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ㄹ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상권조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1.
자료조사는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구할 수 있도록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2.
실지조사는 점두조사, 호별방문조사, 경쟁점조사 등과 같이 상권의 파악 및 도로구조와 지역 특성의 분석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은 입지조건 분석을 위해 실시한다.
3.
점두조사는 표본집단을 임의로 구성하고 조사대상을 추출한 후 조사대상의 행위를 지속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구매습관을 시계열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4.
경쟁조사는 경쟁대상이 되는 점포나 쇼핑센터를 선정하여 시설현황, 상품구성, 영업전략, 홍보전략 등을 조사한다.
5.
호별방문조사는 지도상에 설정한 상권 내에서 표본조사의 대상이 되는 세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본수가 많을수록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48.
A도시의 인구가 10만명, B도시의 인구는 5만명, 그 중간에 C소도시에는 1만명이 거주하고 있고, A-C거리가 4km, B-C거리는 2km일 때 C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 중 B도시를 찾을 주민은 몇 명 정도인지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1.
약 2,800명
2.
약 3,300명
3.
약 5,000명
4.
약 6,600명
5.
약 7,500명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49.
호별방문 조사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기 점포의 상권범위 파악
2.
자기 점포의 시장점유율 판단
3.
조사지역 주민의 생활행태 파악
4.
조사지역 주민의 자기점포 호의도 조사
5.
판매 예정 상품의 가구 내 용도(사용목적) 조사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도시의 내부구조를 토지 이용 면에서 고찰하려는 목적에서 발전한 토지이용 입지이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토지이용은 지리적 제반여건이나 경제발전의 수준, 사회적변화, 기술 진보 등 자연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조건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
2.
도시의 토지이용유형은 현재 공간수요의 필요성보다 오랜 시간을 통해 누적된 공간수요의 필요성을 반영한다.
3.
도시기능이 집중하려는 현상인 구심력에는 흡인력, 기능적 편의성, 기능적 인력, 기능상 특권, 인간적 교환관계 등의 요인이 있다.
4.
콜비(C. Colby)와 후버(E. Hoover)는 도심의 입지적 이점 중 근접용 이성이 입지경쟁을 통한 고밀도 토지이용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5.
고밀도 토지이용율에 의한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지 못하면 해당 기능은 점차 도시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1.
컨버스(Converse)가 제시한 수정소매인력법칙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만 모두 묶은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ㄹ, ㅁ
4.
ㄱ,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예상 매출액을 구하는 방법 중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 방법은?
1.
반평균법
2.
이동평균법
3.
지수곡선식
4.
최소자승법
5.
평균비교법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소매업의 중심성(centrality) 지수 및 공간적 분포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외형 쇼핑센터가 개발되고 소매업이 교외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게 되면 도시 간 분업이 강화되게 된다.
2.
소매 판매액의 변화가 없어도 해당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면 중심성지수는 높아지게 된다.
3.
자기 지역의 소매업을 강화하여 구매력의 유출을 막고 인접도시에서 구매고객을 유인하려는 도시 간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
4.
주변도시는 선매품에 대해서는 중심부로 흡인되지만 그와 함께 그보다 바깥에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구매력을 흡인하게 된다.
5.
중심성 지수란 해당지역 중에서 중심이 되는 지역이 어딘지를 알기위해 지수를 개발하여 각 지역에 부여한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54.
P도시의 인구는 1만 명이고 연간 1인당 '가'상품 구입액은 3천원이다. 현재이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는 A, B, C가 있으며 새롭게 D상점이 출점하려 한다. MCI 모델(Multiplicative Competitive Interaction)을 이용하여 신규점포의 연간 예상매출액을 구하시오.
1.
상점의 매력도는 상품구색이 좌우하기 때문에, 상점 C의 매력도가 가장 크다.
2.
상점의 매력도는 상점까지의 거리가 좌우하기 때문에, 상점 A보다 상점 B의 매력도가 더 크다.
3.
상점의 매력도는 판매원의 서비스가 좌우하기 때문에, 상점 D의 매력도가 가장 크다.
4.
각 상점의 매력도는 A, B, C, D 모두 동일하다.
5.
상점의 매력도는 상품, 판매원 및 상점까지의 거리를 종합적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점 D의 매력도가 가장 크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5.
소매점의 매출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입지요인과 상권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입지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객 유도 시설
2.
동선
3.
시장의 규모
4.
인지성
5.
접근성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6.
허프(Huff)모델을 이용한 신규점포 매출액 추정절차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1.
대상권역을 설정하여 우편번호 지역별로 지역을 소규모 고객집단으로 구분한다.
2.
해당 상권내의 각 경쟁 상업시설의 규모를 조사한다.
3.
각 지역 중심부에서 상업시설까지의 거리(또는 소요시간)를 조사한다.
4.
소비자 점포 크기에 대한 모수는 1, 점포까지 거리에 대한 모수는 -2로 지정되어 있다.
5.
소비자가 점포를 방문할 확률은 점포의 규모와 점포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57.
상권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상권과 구매권은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지리적 범위이다.
2.
판매자 측면의 상권은 적정한 가격의 재화 및 용역을 합리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범위를 말한다.
3.
쇼핑센터와 같은 상업집적시설의 판매량 측면의 1차상권은 전체 쇼핑센터 매출액의 20~30%를 발생할 수 있는 상권 범위를 말한다.
4.
개별점포의 2차상권의 지리적 범위는 상권 내 잠재수요의 20~30% 정도를 발생하는 지리적 범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