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03일(1626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류관리론


1. 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은 판매영역 중심의 물자 흐름을 의미한다.
     2. 로지스틱스(Logistics)는 병참이라는 군사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조달ㆍ생산ㆍ판매ㆍ회수물류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개념이다.
     3. 3S 1L 원칙은 신속성(Speedy), 안정성(Safely), 확실성(Surely), 경제성(Low)을 고려한 물류의 기본 원칙이다.
     4. 7R 원칙은 적절한 상품(Commodity), 품질(Quality), 수량(Quantity), 시간(Time), 장소(Place), 보안(Security), 가격(Price)이다.
     5. 공급사슬관리(SCM)는 고객, 공급업체,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의 재화, 정보 및 자금흐름을 다룬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스마이키의 7R의 원칙 : 적절한 상품(Right Commodity), 적절한 가격(Right Price), 적절한 품질(Right Quality), 적절한 양(Right Quantity), 적절한 인상(Right Impression), 적시에(Right Time), 적정한 장소(Right Place)
[해설작성자 : 율]

2. 물류환경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상거래와 홈쇼핑의 성장으로 택배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2. 글로벌 물류시장 선도를 위해 국가 차원의 종합물류기업 육성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3. 소비자 중심 물류로의 전환으로 인하여 소품종 대량생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4. 고객 수요 충족을 위해 수요예측 등 종합적 물류계획의 수립과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5. 물류서비스의 수준향상과 원가절감을 위해 아웃소싱과 3PL이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 소품종 대량생산이 아니라 다품종 소량생산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나비]

3. 물류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활동은 제품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상품가치를 제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2. 하역활동은 운송과 보관을 위해 제품을 싣거나 내리는 행위를 말한다.
     3. 물류정보는 전자적 수단을 활용하여 물류활동을 효율화 시킨다.
     4. 유통가공활동은 유통과정에 있어서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기위해 행해지는 단순 가공, 재포장, 조립, 절단 등의 물류활동이다.
     5. 보관활동은 물자를 수요가 낮은 국가에서 높은 국가로 이동시켜 물자의 효용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물류활동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관활동은 물자를 일정한 장소에 저장하여, 수요 시점에 맞춰 공급함으로써 시간적 효용을 증대시키는 물류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이나비]

운송활동이 재화와 용역의 효용가치를 낮은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켜 장소적 효용을 증대시킴.
보관활동은 재화와 용역의 시간적 격차를 해소하여 시간적 효용을    창출하고 생산과 소비를 결합시킨다.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

4. 물류관리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뢰성의 원칙: 필요한 물량을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원칙
     2. 균형성의 원칙: 불필요한 유통과정을 제거하여 물자지원체계를 단순화하고 간소화하는 원칙
     3. 단순성의 원칙: 생산, 유통, 소비에 필요한 물자의 수요와 공급 및 조달과 분배의 균형성을 유지하는 원칙
     4. 적시성의 원칙: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물자공급 효과를 추구하여 물류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원칙
     5. 경제성의 원칙: 저장시설 보호 및 도난, 망실, 화재, 파손 등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는 원칙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단순성
3 균형성
4 경제성
5 보호의 원칙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

5. A기업의 매출액은 3000억원, 경상이익이 60억원, 물류비는 200억원일 때, 물류비를 5% 절감하여 얻을 수 있는 경상이익의 추가액과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달성해야 할 추가 매출액은?
     1. 100억원
     2. 200억원
     3. 300억원
     4. 400억원
     5. 500억원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물류비 5% 절감 시 얻을 수 있는 경상이익의 추가액 계산
200(억원)*0.05(물류비)=10
경상이익= 10억원

2. 동일한 효과 (경상이익 10억원 추가)를 얻기 위해 달성해야 할 추가 매출액 계산
60(억원)/3000(억원)=0.02
경상이익률= 0.02

3. 필요 추가 매출액 = 목표 추가 경상이익 / 경상이익률
10/0.02= 500(억원)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6. 물류 측면의 고객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는 기대(Expectation)수준과 성과(Performance) 수준의 차이로 설명된다.
     2. 제품 가용성(Availability) 정보제공은 물류서비스 신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물류서비스와 물류비용 사이에는 상충(Trade-off) 관계가 존재한다.
     4. 서비스 품질은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5. 고객서비스의 수준이 결정되지 않았다면 수익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서비스수준을 결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영향을 주고 그 영향은 신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나비]

7. 기업물류의 영역별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달물류는 기업이 제품생산을 위해 필요한 원자재를 확보하기 위한 물류이다.
     2. 사내물류는 완제품의 판매로 출하되어 고객에게 인도될 때까지의 물류활동이다.
     3. 생산물류는 자재 또는 부품이 생산 공정에 투입된 이후 생산이 완료될 때까지의 물류이다.
     4. 역물류는 반품물류, 폐기물류, 회수물류를 포함하는 물류이다.
     5. 회수물류는 판매물류를 지원하는 파렛트, 컨테이너 등의 회수에 따른 물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번의 내용은 판매물류
사내물류는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출하에서부터 물류센터의 보관창고에 이르기까지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

8. 물류와 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케팅 믹스(4'P)는 제품, 가격, 유통, 촉진으로 구성된다.
     2. 마케팅 믹스(4'P) 중 유통은 물류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이다.
     3. 탁월한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은 고객만족을 증대시킨다.
     4. 고객만족을 위해 물류서비스 수준을 높이면 물류비는 절감된다.
     5. 효과적인 물류관리를 위해서는 기능별 개별 물류비 절감보다 총물류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객만족을 위해 물류서비스 수준을 높이면 물류비는 절감될수가 없음
당장 쿠팡만 봐도 새벽배송 당일배송 이런것들 다 인건비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나비]

9. J. F. Robeson과 W. C. Copacino는 물류계획을 전략적, 구조적, 기능적, 실행적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구조적 수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ㅂ
     2. ㄴ, ㄹ
     3. ㄷ, ㅁ
     4. ㄱ, ㄴ, ㄷ
     5.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ㄱ,ㄹ -> 기능적
ㄴ -> 실행적
ㄷ, ㅁ -> 구조적
ㅂ -> 전략적
[해설작성자 : ㅜ.ㅜ]

10. 4PL(Fourth Party Logistic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PL(Third Party Logistics), 물류컨설팅업체, IT업체 등이 결합한 형태이다.
     2. 이익분배를 통하여 공급사슬 구성원 공통의 목표를 관리한다.
     3. 공급사슬 전체의 관리와 운영을 대상으로 한다.
     4. 수입증대, 운영비용 감소, 운전자본 확대, 고정자본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5. 기존 물류업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개선효과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PL은 요약하면 운용비용 절감과 공급망 효율화인데 운전자본과 고정자본을 확대하면 비용이 늘어나는것이므로
틀린것임
[해설작성자 : 이나비]

11.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 집중형, ㄴ: 분산형
     2. ㄱ: 분산형, ㄴ: 자회사형
     3. ㄱ: 분산형, ㄴ: 집중형
     4. ㄱ: 집중형, ㄴ: 자회사형
     5. ㄱ: 자회사형, ㄴ: 분산형

     정답 : []
     정답률 : 75%

12. 제조기업의 물류 아웃소싱의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체는 고객 불만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2. 제조업체는 물류 정보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3. 제조업체는 내부 전문가 상실 및 사내 전문지식을 축적하기 어렵다.
     4. 물류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5. 제조업체는 물류거점에 대한 자본투입을 최대화하고 전문 물류업체의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자본투입 최소화임
[해설작성자 : dmdsg]

13. 서비스품질모형(SERVQUAL)의 5가지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뢰성(Reliability)
     2. 대응성(Responsiveness)
     3. 무형성(Intangibility)
     4. 확신성(Assurance)
     5. 공감성(Empathy)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비스품질모형(SERVQUAL)의 5가지 구성항목 :
신뢰성(Reliability)
확신성(Assurance)
유형성(Tangibles)
공감성(Empathy)
응답성(Responsiveness)
[해설작성자 : 율]

14. 공급사슬관리(SCM)의 도입 배경과 필요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 간 경쟁심화로 비용절감과 납기준수가 중요해지고 있다.
     2. 공급사슬 상류로 갈수록 수요정보가 증폭되어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3. 공급사슬 계획과 운영을 지원하는 IT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4. 글로벌화로 인해 부품공급의 리드타임이 짧아지고 있다.
     5. 고객 요구가 다양해지고 제품의 수명주기가 단축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글로벌화는 국제운송이 필수적인데, 국내운송보다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리드타임이 길수 밖에 없음.
[해설작성자 : 물관사화이팅]

15. 제약이론(TOC)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개념은?

    

     1. Analysis
     2. Drum
     3. Improve
     4. Rope
     5. Throughpu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제약이론(TOC)의 Drum-Buffer-Rope(DBR) ]
Drum: 병목(제약) 공정이 전체 생산의 리듬(속도)을 결정
Buffer: 병목 앞에 완충재고를 두어 병목이 멈추지 않게 함
Rope: 병목의 속도에 맞춰 투입을 조절하는 정보의 흐름(신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6시그마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국 기업 모토로라에서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2. 대표적인 추진 방법론은 DMAIC이다.
     3. 2시그마 수준은 3시그마 수준보다 불량률이 크다.
     4. 시그마(σ)는 통계학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5. 6시그마 수준은 불량률 4.3 PPM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불량률 3.4ppm
[해설작성자 : keeeee]

17. A기업은 공급업체로부터 부품을 운송해서 하역하는데 40만원, 창고입고를 위한 검수에 10만원, 생산공정에 투입하여 제조하는데 30만원, 완제품출고검사에 20만원, 완제품포장에 50만원, 트럭에 상차하여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30만원을 지불하였다. A기업의 판매 물류비는?
     1. 50만원
     2. 70만원
     3. 80만원
     4. 100만원
     5. 180만원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조달물류비 : 50만원 (부품운송하역 40만원 + 입고검수 10만원)
*사내물류비 : 30만원 (생산공정 제조 30만원)
*판매물류비 : 100만원 (완제품출고검사 20만원 + 완제품포장 50만원 + 배송 30만원)
[해설작성자 : ㅜ.ㅜ]

상품을 판매창고에서 보관하는 활동부터 고객에게 인도될때까지의 든 비용을 계산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디애]

18.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매출액순이익률과 총자본회전율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매출액순이익률과 손익분기점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재고회전율과 총자본회전율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재고회전율과 손익분기점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5. 손익분기점과 총자본회전율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투자수익률(ROI) = 당기순이익 ÷ 총자본
ROI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매출액 ÷ 총자본)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 ÷ 총자본) => 총자본회전율
따라서, ROI는 매출액순이익률과 총자본회전율의 곱으로 표현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A기업의 물류성과지표가 다음과 같을 때 현금전환주기(Cash-to-Cash Cycle)는?

    

     1. 2개월
     2. 3개월
     3. 4개월
     4. 6개월
     5. 8개월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CC = 재고자산 보유기간 + 매출채권 회수기간 - 매출채권 지급기간
[해설작성자 : 물관사최고]

20. 예비창업자 A씨의 사업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연간 2천만원의 고정비가 발생하였고, 제품 1개당 판매가격은 1만원, 제품 1개당 변동비용은 판매가격의 80% 일 때 손익분기점이 되는 제품 판매량은?
     1. 2,000개
     2. 5,000개
     3. 10,000개
     4. 15,000개
     5. 20,000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판매가격-변동비 분의 고정비이기 때문에
                        20,000,000                                                20,000,000
----------------------------------------- = ------------- = 10,000
10,000(판매가격)-8,000(변동비.10,000*0.8)            2,000

결국, 총 10,000개가 정답
[해설작성자 : 대토써두대]

21. 수직적 유통경로(VMS: Vertical Marketing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형 VMS의 수직적 통합의 정도는 관리형 VMS보다 높다.
     2. 계약형 VMS의 수직적 통합의 정도는 관리형 VMS보다 높다.
     3. 기업형 VMS의 대표적 유형은 프랜차이즈 시스템이다.
     4. 전통적 유통경로에 비하여 전후방적 통합의 정도가 높다.
     5. 전통적 유통경로에서 발생하던 경로구성원들 각각의 이익극대화 추구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프렌차이즈 시스템은 계약형 VMS 에 속함
[해설작성자 : 물관사짱]

22. 자재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RP는 MRP-II로 확장되었다.
     2. JIT는 최소의 재고유지를 통한 낭비제거를 목표로 하는 적시생산시스템이다.
     3. JIT는 칸반(Kanban)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4. 자재소요계획 시스템은 MRP로부터 ERP로 발전되었다.
     5. JIT-II는 일본 도요타 자동차가 개발한 시스템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JIT시스템은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에서 만든게 맞지만 JIT-II같은 경우는 미국 보스사(BOSE)에서 JIT시스템을 개량해서
만든것임
[해설작성자 : 율]

23. 도매상과 소매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roker는 구매자와 판매자간 거래의 중개가 주된 기능이므로 제품에 대한 소유권은 가지지 않는다.
     2. Rack Jobber는 완전서비스 도매상(Full-service wholesaler)에 속한다.
     3. Factory Outlet은 상설할인매장으로서 제조업체의 잉여상품, 단절상품 또는 재고상품을 주로 취급한다.
     4. Category Killer는 특정 상품군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소매업이다.
     5. Supermarket은 식료품, 일용품 등을 주로 취급하며 셀프서비스를 특징으로 하는 소매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rack jobber (선반진열도매성)은 한정서비스도매상
[해설작성자 : keeeee]

24. 2차원 바코드에 해당하는 것은?
     1. PDF-417
     2. EAN-8
     3. EAN-13
     4. ITF-14
     5. GS1-128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차원 바코드는 qr code, data matrix, pdf 417, maxi code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오리]

25. RFI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주파수 식별기법으로서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말한다.
     2. 바코드와 스캐닝 기술 기반으로 구축된다.
     3. 태그에 접촉하지 않아도 인식이 가능하다.
     4. 태그에 데이터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5. 주파수 대역에 따라 태그 인식 거리 및 인식 속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RFID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인식 시스템!! 비접촉식 판독!!
[해설작성자 : 닉본조비]

2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정보시스템은?

    

     1. CALS
     2. TMS
     3. SIS
     4. OMS
     5. DPS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ALS : 제품주기 전반에 걸친 정보공유체계
TMS : 운송관리시스템
SIS : 매장정보시스템
OMS : 주문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keeeee]

27. 물류정보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KT-NET은 물류거점 간의 원활한 정보 및 물류 EDI 서비스를 제공한다.
     2. KROIS는 철도운영정보시스템이다.
     3. PORT-MIS는 항만 및 공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는 정보망이다.
     4. CVO는 Common Vehicle Operations의 약어이다.
     5. KL-NET은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정보망으로서 무역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KL NET에 관한 설명
2. 정답
3. 28개 무역항, 해양수산부에서 관리
4.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5. KT NET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keeeee]

28. 물류정보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어식 약어 표현으로는 LIS라고 한다.
     2. 물류정보의 수집ㆍ저장ㆍ가공ㆍ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업무프로세스, 사용자 등의 집합체이다.
     3. 개별 물류활동들의 통합을 통한 전체 최적화보다는 특정한 물류활동의 최적화를 위하여 구축한다.
     4. 처리해야할 정보가 많을수록 수작업에 비하여 물류관리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5. 물류서비스 향상 및 물류비 절감을 목적으로 구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업 간 협업 유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ㄱ: QR, ㄴ: BPR, ㄷ: VMI
     2. ㄱ: QR, ㄴ: CRP, ㄷ: VMI
     3. ㄱ: ECR, ㄴ: CRP, ㄷ: VMI
     4. ㄱ: ECR, ㄴ: BPR, ㄷ: CPFR
     5. ㄱ: QR, ㄴ: BPR, ㄷ: CPFR

     정답 : []
     정답률 : 67%

30.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급사슬관리(SCM) 기법은?

    

     1. Cross Docking
     2. Delayed Differentiation
     3. Outsourcing
     4. Postponement
     5. Risk Pooling

     정답 : []
     정답률 : 76%

31. 물류표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위 화물체계의 보급
     2. 물류기기와의 연계성 향상
     3. 물류비의 절감
     4. 납품주기 단축과 납품횟수 증대
     5. 물류활동의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75%

3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 용어는?

    

     1. 이송장비의 표준화
     2. 파렛트 표준화
     3. 파렛트 풀 시스템
     4. 컨테이너 표준화
     5. 포장의 모듈화

     정답 : []
     정답률 : 66%

33. 물류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11형 파렛트는 11톤 트럭에 최대 12매가 적재되도록 물류모듈 배수관계가 정립되어 있다.
     2. T-11형 파렛트에 1,100 mm (길이) × 275 mm (폭) 포장박스를 1단에 4개 적재할 때 적재효율은 100%이다.
     3. 물류모듈은 물류시설 및 장비들의 규격이나 치수가 일정한 배수나 분할 관계로 조합되어 있는 집합체로 물류표준화를 위한 기준치수를 의미한다.
     4. 대표적인 Unit Load 치수에는 NULS(Net Unit Load Size)와 PVS(Plan View Size)가 있다.
     5. 하역ㆍ운송ㆍ보관 등을 일관화하고 합리화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일반적으로 2*8 =16개 최대 2*9=18개
[해설작성자 : keeeee]

12매 적재는 8톤 트럭일 경우 해당
[해설작성자 : ㅇㅅ]

34. 수ㆍ배송 공동화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규격, 포장, 파렛트 규격 등의 물류표준화가 선행될 때 효과가 높다.
     2. 공동 수ㆍ배송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개별적인 차원보다 공동의 목표를 가져야 효과가 높다.
     3. 일정 지역 내에 공동 수ㆍ배송에 참여하는 복수의 화주가 존재해야 효과가 높다.
     4. 공동 수ㆍ배송을 주도할 수 있는 중심업체가 있어야 효과가 높다.
     5. 화물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비규격품, 목재, 골재, 위험물 등은 공동배송에 효과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76%

35. 물류공동화의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공동배송센터, 정보시스템 등의 투자에 따른 위험부담이 존재한다.
     2. 공동배송센터의 경우 입고에서 출고까지 일관물류시스템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3. 참여기업의 기밀유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4. 참여 기업 간 포장, 전표, 용기 등의 표준화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5. 참여 기업 간 이해 조정, 의사소통, 의사결정 지연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3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동 수ㆍ배송 운영방식은?

    

     1. 집배송공동형
     2. 배송공동형
     3. 노선집하공동형
     4. 공동수주ㆍ공동배송형
     5. 납품대행형

     정답 : []
     정답률 : 58%

37. 다음 물류관련 보안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0%

38. A기업은 최근 수송부문의 연비개선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0 kg 감소시켰다. 연비법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식 및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연비 개선 전의 평균연비(km/L)는? (단, 총 주행거리는 동일하다.)

    

     1. 1.0
     2. 2.0
     3. 3.0
     4. 4.0
     5. 5.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80000/X * 0.002 - 180000/6 * 0.002 = 30
X =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친환경 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SO 9000 시리즈는 환경경영을 기본방침으로 한다.
     2. 생산자책임재활용(EPR)은 효율적인 자원이용과 폐기물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을 촉진하는 환경보전에 기여하는 방안이다.
     3.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 6대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CO2), 메테인(메탄: 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으로 정의하였다.
     4. 우리나라는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2030년까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감축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5. 국내 육상운송부문에서 이산화탄소의 절감 대책으로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전환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ISO 14001(환경경영)
[해설작성자 : 율]

40. 스마트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마트물류의 특징은 초연결성, 초지능화, 공유경제로 설명할 수 있다.
     2. 블록체인은 공급사슬 전체와 반품 등의 물류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3. 사물인터넷(IoT)은 논리적인 문제해결뿐만 아니라 자연어처리, 시각적 및 인지적 인식 등의 물류정보처리를 위한 의사결정 기술이다.
     4. 빅데이터는 공급사슬시스템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처리, 분석, 시각화하는 기술이다.
     5. 클라우드 서비스는 물류 IT 인프라를 임대하는 IaaS, PaaS, SaaS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물인터넷(IoT)란 사람,사물,공간,데이터 등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수집,활용되게 하는 기술이다.
인간과 사물,서비스의 세 가지로 분산된 환경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네트워킹,정보처리 등 지능적 단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이다.
[해설작성자 : DX물류 화이팅!!]

2과목 : 화물수송론


41. 운송수단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자동차는 필요시 즉시배차가 가능하다.
     2. 화물자동차에 비해 철도는 단거리 운송에 유리하다.
     3. 선박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항공기는 중량 및 용적에 제한이 있다.
     5. 파이프라인은 연속대량 운송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42. 화물자동차의 운송 효율화 방안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자동차의 수리 및 정비 등을 통한 가동성 향상
     2. 신규 화주와의 계약으로 화물자동차의 적재율 향상
     3. 새로운 운송방법 도입으로 화물자동차의 공차율 극대화
     4. 대형차량을 이용한 운송단위의 대형화
     5. 대기시간 단축, 상하차시간 단축 등을 통한 운송시간 단축

     정답 : []
     정답률 : 68%

43. 다음은 운송수단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에 해당하는 요건은?

    

     1. 편리성
     2. 확실성
     3. 신속성
     4. 안전성
     5. 경제성

     정답 : []
     정답률 : 70%

44. 운송주선인(Freight Forwarder)의 역할 및 기능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화주를 대신하여 화물인도지시서(D/O)를 작성하여 선사에 제출
     2. 특정화주를 대신하여 통관수속 진행
     3. 운송수단, 화물의 포장형태 및 목적지의 각종 운송규칙, 운송서류 작성에 관한 조언
     4. 화물의 집화ㆍ분배ㆍ혼재 서비스 제공
     5. 특정화주의 대리인으로서 자기명의로 운송계약 체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는 주로 선사가 발행하는 문서로, 화물이 도착한 후 수입자가 화물을 인도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 ( )에 들어갈 화물운송의 3대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1. ㄱ: Node, ㄴ: Mode, ㄷ: Route
     2. ㄱ: Mode, ㄴ: Spoke, ㄷ: Network
     3. ㄱ: Mode, ㄴ: Node, ㄷ: Link
     4. ㄱ: Carrier, ㄴ: Node, ㄷ: Link
     5. ㄱ: Carrier, ㄴ: Node, ㄷ: Line

     정답 : []
     정답률 : 65%

46. 복합운송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iggy Back System: 철도운송 + 화물자동차운송
     2. Birdy Back System: 항공운송 + 화물자동차운송
     3. Fishy Back System: 해상운송 + 파이프라인운송
     4. Train & Ship System: 철도운송 + 해상운송
     5. Sea & Air System: 해상운송 + 항공운송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ishy Back System"은 해상운송과 화물자동차운송을 결합한 복합운송 시스템을 의미
해상운송과 파이프라인운송은 서로 결합하기 어려운 운송 수단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혼재서비스(Consolidation Service)는?

    

     1. Buyer's Consolidation
     2. Forwarder's Consolidation
     3. Shipper's Consolidation
     4. Seller's Consolidation
     5. Consigner's Consolidation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해당 혼재 서비스는 다수의 송하인으로부터 운송 의뢰를 받았다는 문장을 근거로
포워더!!
[해설작성자 : 닉본조비]

48.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적 선하증권(Shipped B/L): 화물이 선하증권에 명시된 본선에 선적되어 있음을 표시한 것으로 On Board B/L 이라고 한다.
     2. 무사고 선하증권(Clean B/L): 본선수취증의 비고란에 선적화물의 결함에 대한 기재사항이 없을 때 발행된다.
     3. 기명식 선하증권(Straight B/L): 선하증권의 수하인란에 수하인의 성명이 기입된 선하증권이다.
     4. 스테일 선하증권(Stale B/L): 선하증권이 발행된 후 은행 측에서 용인하는 허용기간 내에 제시되지 못한 선하증권이다.
     5. 적색 선하증권(Red B/L):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이 결합되어 국제복합운송이 발생하였음을 증명하는 선하증권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이 결합된 국제복합운송을 증명하는 선하증권은 "복합운송 선하증권"이라고 합니다.
적색 선하증권(Red B/L)은 일반적으로 선하증권의 일부가 빨간색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선적 전 신용장에 의해 발행된 선하증권을 지칭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에서 설명하는 철도하역방식은?

    

     1. COFC
     2. Kangaroo
     3. Piggy Back
     4. RORO
     5. TOFC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OFC는 "Container on Flatcar"의 약자로, 철도 운송에서 컨테이너를 평탄한 화차(flatcar) 위에 직접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용열차 서비스 형태는?

    

     1. Block Train
     2. Coupling & Sharing Train
     3. Shuttle Train
     4. Y-Shuttle Train
     5. Single-Wagon Train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Block Train : 직행
Coupling & Sharing Train : 여러 화주의 화물을 하나의 열차로 결합
Shuttle Train : 순환선
Y-Shuttle Train : 출발-중간역(1개)-도착
Single-Wagon Train : 출발-중간역(여러개)-도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해상운송 중 부정기선 시장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로별 운임요율표가 불특정 다수의 화주에게 제공된다.
     2. 화주가 요구하는 시기와 항로에 선복을 제공하여 화물을 운송한다.
     3. 부정기선의 주요 대상 화물은 원자재, 연료, 곡물 등이다.
     4. 운송계약의 형태에는 나용선, 항해용선, 정기용선이 있다.
     5. 화물의 특성 또는 형태에 따라 특수 전용선이 도입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항로별 운임요율표는 정기선
[해설작성자 : 제발붙자]

52. 항공물류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learing House: 통관이 완료된 수출입화물이 일시 대기하는 보관 장소
     2. Cabotage: 외국 항공기에 대해서 자국내의 일정 지점간의 운행을 금지하는 것
     3. Belly Cargo: 대형 비행기의 동체하부 화물실에 적재하는 화물
     4. Pivot Weight: 각각의 ULD에 대해 마련되어 있는 정액한계중량
     5. Apron: 공항에서 여객의 탑승 및 하기, 화물의 탑재 및 하역, 정비, 보급 등을 위하여 항공기가 대기하는 장소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항공물류에서 통관이 완료된 화물이 대기하는 장소는 "보세구역" 또는 "보세창고"
Clearing House는 금융 거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정산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항공화물운송장(AWB)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하인과 항공사의 운송계약 체결을 증명하는 운송서류로 유가증권이 아닌 단순한 화물운송장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2. 화물의 접수를 증명하는 영수증에 불과하며 유통이 불가능하다.
     3. 수하인은 무기명식이 원칙이며, 항공기에 화물 탑재가 완료된 이후에 발행된다.
     4. 통관시 항공운임, 보험료의 증명자료로서 세관신고서의 기능을 가진다.
     5. 항공사가 발행하는 Master AWB과 혼재업자가 개별화주에게 발행하는 House AWB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AWB는 일반적으로 수하인의 이름이 명시되며, 화물의 탑재가 완료되기 전에 발행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다음에서 설명하는 복합운송 서비스 형태는?

    

     1. ALB(American Land Bridge)
     2. CLB(Canadian Land Bridge)
     3. MLB(Mini Land Bridge)
     4. IPI(Interior Point Intermodal)
     5. RIPI(Reversed Interior Point Intermodal)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IPI (Interior Point Intermodal): 아시아에서 미국 서부 해안까지 해상 운송을 한 후, 미국 내륙의 특정 내륙 지점까지 철도로 운송하는 방식 (미국 내륙의 특정 도시나 지역이 최종 목적지)
RIPI (Reverse Interior Point Intermodal) : 극동지역의 항만에서 북미의 동해안 또는 멕시코만의 항만까지 해상운송한 후, 철도운송을 이용하여 화물을 인도하는 경로
MLB(Mini Land Bridge): 아시아에서 미국 서부 해안까지 해상 운송을 한 후, 미국 내륙을 가로질러 철도로 운송하여 미국 동부 해안이나 걸프 지역의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에서 설명하는 항공화물운임 산정 기준은?

    

     1. Chargeable Weight
     2. Gross Weight
     3. Net Weight
     4. Revenue Weight
     5. Volume Weight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실제 운임을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중량을 말함
대략적인 영어 뉘앙스를 보고 판단: 과금 중량이 정답
2. 총중량
3. 순중량
4. 수익중량
5. 부피중량
[해설작성자 : 닉본조비]

56. 선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arge Ship: 예인선(Tug Boat)에 의해 예인되는 무동력 선박
     2. Lighter Aboard Ship: Float-On Float-Off 방식에 특화된 선박
     3. Full Container Ship: 선박 건조 시 갑판과 선창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도록 설계된 선박
     4. Lift-On Lift-Off Ship: 본선의 선수 또는 선미에서 트랙터 등에 의해 적ㆍ양하가 이루어지는 선박
     5. Combination Ship: 공선항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척의 선박에 2∼3종의 화물을 겸용할 수 있는 선박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Lift-On Lift-Off(LoLo) Ship은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들어 올려 적재하거나 양하하는 방식입니다.
본선의 선수 또는 선미에서 트랙터 등에 의해 적ㆍ양하가 이루어지는 선박은 Roll-On Roll-Off(RoR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철도운송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 구축비용 등 고정비용이 많이 든다.
     2. km당 운임은 단거리일수록 비싸며, 장거리일수록 저렴해진다.
     3. 공로운송보다 먼저 대량화물을 운송하였다.
     4. 공로운송에 비해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5. 화차의 소재관리가 편리하여 열차편성을 신속히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58. 다음의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는 국제항공기구는?

    

     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2.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3. 국제운송주선인협회연합회(FIATA)
     4. 국제항공화물협회(TIACA)
     5. 국제항공운송기구(IATO)

     정답 : []
     정답률 : 55%

59.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 고려대상이 아닌 것은?
     1. 수ㆍ배송 비율
     2. 차량운행 대수
     3. 차량의 적재율
     4. 선하증권
     5. 리드타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해상 운송에서 사용되는 문서로, 수ㆍ배송시스템 설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잡한 운송노선으로 인해 전체 운송비용 증가
     2. 집하한 화물을 하나의 대형터미널로 집결시킨 후 배송지를 구분ㆍ분류하는 간선 운송 시스템
     3. 규모의 경제를 이루어 운송망 전체의 효율성 제고
     4. 허브터미널은 대규모 분류능력이 필요
     5. 근거리 물량은 허브 경유로 인해 직송서비스 대비 운송거리와 운송시간 증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은 복잡한 운송노선을 단순화하여 전체 운송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하는 시스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공동 수ㆍ배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동일지역 및 동일수하처에 대한 중복교차배송의 배제
     2. 물류관리 제반 경비에 대한 규모의 경제
     3. 적재율 향상
     4. 물동량의 계절적 수요변동에 따른 차량운영의 탄력성 확보
     5. 기업의 영업기밀 유지가 용이

     정답 : []
     정답률 : 68%

62. 다음 조건에서 채트반공식을 이용한 화물자동차운송과 철도운송의 경제효용거리 분기점은?

    

     1. 50 km
     2. 75 km
     3. 100 km
     4. 125 km
     5. 250 km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화물운송비-철도운송비)/톤당철도운송부대비용
(10,000-5,000)/500,000
=100km
[해설작성자 : 티다]

63. 다음 A기업의 1년간 화물자동차 운행실적을 이용한 실차율은?

    

     1. 20 %
     2. 25 %
     3. 80 %
     4. 85 %
     5. 90 %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실차율= 실제적재주행거리/총주행거리*100
63,000/70,000*100
=90
[해설작성자 : 티다]

64. 다음 네트워크에서 출발지 S로부터 도착지 F까지 최단경로의 거리는? (단, 경로별 숫자는 km임)

    

     1. 10
     2. 11
     3. 12
     4. 13
     5. 14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SacbeF=10
(2+2+2+2+2)
[해설작성자 : 티다]

65. 다음 수송표에서 북서코너법과 보겔추정법을 적용한 총 운송비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공급지에서 수요지까지의 톤당 운송비는 각 칸의 우측 상단에 제시되어 있음)

    

     1. 북서코너법에 의해 산출된 총 운송비용은 6,300,000원이다.
     2. 보겔추정법에 의해 산출된 총 운송비용은 10,300,000원이다.
     3. 보겔추정법에 의해 산출된 총 운송비용과 북서코너법에 의해 산출된 총 운송비용의 차이는 3,400,000원이다.
     4. 북서코너법을 적용할 경우, S2-D2 셀(Cell)에 운송량이 할당되지 않는다.
     5. 보겔추정법을 적용할 경우, S2-D2 셀(Cell)에 운송량이 할당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북서코너법 운송비용 : 10,900,000원 (15X400 + 9X200 + 7X100 + 12X200 )
*보겔추정법 운송비용 : 7,500,000원 (4X300 + 8X100 + 9X100 + 13X200 + 10X200)
[해설작성자 : ㅜ.ㅜ]

66. 다음 그림에서 노드 간(c → b)의 용량이 3으로 새로 생성된다고 가정할 때, S에서 F까지의 최대 유량의 증가분은? (단, 링크의 숫자는 인접한 노드 간의 용량을 나타내며,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함)

    

     1. 1
     2. 2
     3. 3
     4. 4
     5. 5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기존 노드
SabF=4 / SadF=3 / ScdF=3
4+3+3=10
2)노드 추가
SabF=4 / SadF=3 / ScbF=3 / ScdF=3
4+3+3+3=13
[해설작성자 : 티다]

67. A사는 B항공사를 통해 서울에서 파리까지 화물을 항공운송하고자 한다. B항공사는 다음과 같은 요율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량과 용적중량 중 높은 중량을 요율로 적용하고 있다. A사의 중량 30 kg, 최대길이(L) = 40 cm, 최대폭(W) = 50 cm, 최대높이(H) = 60 cm인 화물에 적용되는 운임은? (단, 용적중량은 1 kg = 6,000 cm3를 적용하여 계산함)

    

     1. 180,000원
     2. 270,000원
     3. 280,000원
     4. 360,000원
     5. 370,000원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CM요율 계산법
(40*50*60)/6,000=20(kg)
20*9,000(kg당 일반요율)=180,000원
2)kg요율 계산법
30*9,000(kg당 일반요율)=270,000원
높은요율은 kg요율 계산법
[해설작성자 : 티다]

68. 다음 수송표에서 최소비용법을 적용한 총 운송비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공급지에서 수요지까지의 톤당 운송비는 각 칸의 우측 상단에 제시되어 있음)

    

     1. S1-D1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2. S2-D2 셀(Cell)에 운송량이 100톤 할당된다.
     3. S3-D3 셀(Cell)에 운송량이 200톤 할당된다.
     4. 총 운송비용은 10,500,000원보다 크다.
     5. 총 운송비용은 10,000,000원보다 작다.

     정답 : []
     정답률 : 48%

69.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의 운송장에서 사업자가 고객(송화인)에게 교부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업자의 상호, 대표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담당자(집화자) 이름
     2. 운송물의 중량 및 용적 구분
     3. 손해배상한도액
     4. 운임 기타 운송에 관한 비용 및 지급방법
     5. 운송물의 원산지(제조지)

     정답 : []
     정답률 : 63%

70. 화물자동차 운영관리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동률은 특정 기간동안 화물운송을 위해 운행한 일수의 비율로 산출하는 지표이다.
     2. 복화율은 편도운송을 한 후 복귀 시 화물운송을 얼마나 수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3. 적재율은 차량의 적재정량 대비 실제 화물을 얼마나 적재하고 운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4. 공차율은 화물자동차의 총 운송매출 중에서 무료로 얼마나 운송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5. 회전율은 특정 기간 내에 화물을 운송한 횟수로 산출하는 지표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1. 특장차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리화특장차는 적재 및 하역작업의 합리화를 위해 특수기기를 장착한다.
     2. 액체운송차는 콘크리트를 섞으면서 건설현장 등으로 운송하는 차량이다.
     3. 전용특장차는 자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장착된 기계장치를 직접 가동시켜 화물하역 및 운반할 수 있다.
     4. 분립체운송차는 시멘트, 곡물 등 분립체를 자루에 담지 않고 운반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다.
     5. 덤프트럭은 적재함 높이를 경사지게 하여 적재물을 하역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콘크리트를 섞으면서 운송하는 차량은 일반적으로 "레미콘 트럭" 또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이라고 불리며,
액체운송차는 주로 유류, 물, 화학물질 등 액체 상태의 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운송시스템은?

    

     1. Hub & Spoke System
     2. Point to Point System
     3. Tracking System
     4. Cross-Docking System
     5. Unit Load Syste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순회하면서 셔틀운송이 필요한 방식 = Point to Point
hub&spoke는 셔틀 없음
[해설작성자 : 제발붙자]

73. 화물운송의 비용 및 운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가운임은 화물중량이 아닌 화물가격(송장가액)에 따라 운임의 수준이 달라지는 운임을 말한다.
     2. 양모, 면화 등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큰 용적화물은 수량기준으로 운임을 산정해야 한다.
     3. 운송수단의 선정 시 운송비용은 중요한 기준이 된다.
     4. 연료비, 수리비, 타이어비는 화물자동차운송 비용 중 변동비에 해당한다.
     5. 수요자(화주)가 인지하는 서비스 가치에 기초하여 운임을 책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양모, 면화 등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큰 용적화물은 "수량기준"이 아니라 "용적(부피) 기준"으로 운임을 산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송화인)은 운송물을 성질, 중량, 용량에 따라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여야 한다.
     2. 사업자는 운송물의 포장이 운송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 고객(송화인)의 승낙을 얻어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충격량을 고려하여 포장을 하여야 한다.
     3. 사업자는 운송물을 수탁한 후 포장의 외부에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 인도예정일(시), 운송상의 특별한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4. 사업자가 운반하는 도중에 운송물의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운송물을 인도한 후 고객(송화인)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5. 운송물이 포장 당 50만원을 초과하거나 운송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는 사업자는 별도 할증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사업자는 포장이 훼손된 경우 즉시 고객에게 알리고, 재포장에 대한 승인을 받는 것이 표준 절차일 수 있습니다. 인도 후에 알리는 것이 아니라, 문제 발생 시점에 고객과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지체 없이 고객에 알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최대적재중량은 화물자동차 자체중량과 최대 승차중량을 합한 중량을 말한다.
     2. 자동차연결 총중량은 공차상태에서 트랙터와 트레일러까지 합산된 중량을 말한다.
     3.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은 공차중량에 자동차의 평균 용적을 곱하여 계산한다.
     4. 최대접지압력은 공차상태에서 도로 지면 접지부에 미치는 압력의 정도를 말한다.
     5. 공차중량은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가득 채운 상태의 중량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대적재중량 : 차량이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
자동차연결 총중량 :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총 중량을 의미하며, 공차상태가 아닌 적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운송능력은 일반적으로 최대적재중량이나 적재 용적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최대접지압력은 일반적으로 차량이 적재된 상태에서 도로에 미치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택배서비스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택배사업은 집하, 운송 및 중계 작업에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2. 신속하고 정확한 화물운송을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3. 소품종 대량생산 체제로 전환되면서 운송단위가 대량화되고 있다.
     4. 차량, 터미널, 분류기기 등의 장비와 시설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5. 사업구역 내에 적절한 집배를 위한 적정수의 영업소(네트워크)를 설치하고 운영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 전환되고 있음
[해설작성자 : 뿡뿡이]

77.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물운송관련 시스템은?

    

     1. Cold Chain System
     2.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3. Vanning Management System
     4.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5.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COLD CHAIN SYSTEM : 냉장, 냉동 아이템 온도 유지를 위한 물류 시스템
2.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 공간 정보 분석 시스템
3. VANNING MANAGEMENT SYSTEM : 컨테이너 적입, 적재 최적화 시스템
4.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 수주 정보, 운송 경로 최적화, 비용 분석, 실시간 모니터링 등 운송 전과정 통합 관리
5.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신호제어, 차량 센서 등 교통 시스템 전반의 지능

비용이 가장 적은 운송경로와 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TM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다음은 트레일러 트럭(Trailer truck)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폴(Pole), ㄴ: 더블(Double), ㄷ: 세미(Semi)
     2. ㄱ: 풀(Full), ㄴ: 폴(Pole), ㄷ: 스켈레탈(Skeletal)
     3. ㄱ: 풀(Full), ㄴ: 세미(Semi), ㄷ: 더블(Double)
     4. ㄱ: 폴(Pole), ㄴ: 세미(Semi), ㄷ: 풀(Full)
     5. ㄱ: 세미(Semi), ㄴ: 스켈레탈(Skeletal), ㄷ: 풀(Full)

     정답 : []
     정답률 : 49%

79. 화물자동차운송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운송단위가 작아서 장거리 대량화물 운송에 적합하다.
     2. 철도운송에 비해 사고율이 낮고 안전도가 높다.
     3. 다른 운송수단과 연계하지 않고도 일관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운송화물의 중량에 제한이 없다.
     5. 철도운송에 비해 정시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5%

80. 복합운송인의 한 형태인 무선박운송인(NVOC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84년 미국의 신해운법에 의해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2. 화물운송을 위해 선박을 직접 보유하지 않는다.
     3. 선박운송인(VOCC)에 대해 화주의 입장에서 계약을 체결한다.
     4. 화주에 대해 선박운송인(VOCC)의 입장에서 계약을 체결한다.
     5. 화주에게 NVOCC 자기명의로 B/L을 발행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81. 국제물류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물류활동에 따른 리드타임의 증가는 재고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2. 운송거리, 수출입절차, 통관절차 등의 영향으로 국내물류에 비해 리드타임이 길다.
     3. 조달, 생산, 판매 등 물류활동이 국경을 초월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내물류에 비해 제도적ㆍ환경적 제약을 많이 받는다.
     4. 국가 간 상이한 상관습, 제도, 유통채널 등 국가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5. 9.11테러 이후 국경 간 물자의 이동에 있어서 물류보안제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리드타임이 증가하면 재고량은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국제운송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수단을 선정할 때는 적합한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 총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운송비뿐만 아니라 재고비용, 보관비용, 리드타임, 운송화물의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항공운송을 이용하는 경우 해상운송에 비해 재고비용이나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소량화물의 경우 혼재운송이나 공동 수배송을 통해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해상운송을 이용하는 경우 대량운송을 통해 단위당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5. 컨테이너를 이용한 단위화물은 개품화물(break bulk cargo)에 비해 하역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컨테이너를 이용한 단위화물은 개품화물(break bulk cargo)에 비해 하역기간이 줄어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은?

    

     1. ERP
     2. POS
     3. VMI
     4. QR
     5. Hub & Spoke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Hub & Spoke" 시스템은 대규모 거점(허브)을 중심으로 물류를 집중시키고, 소규모 거점(스포크)을 통해 연결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이 시스템은 운송 빈도를 줄이고 운송 단위를 늘려 물류비를 절감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설명에서 언급된 대규모 거점과 소규모 거점을 연결하는 방식이 바로 "Hub & Spoke" 시스템의 특징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국내물류와 구분되는 국제물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관리에 있어서 복잡성의 증가
     2. 물류관리와 관련된 거래비용의 감소
     3. 리드타임 및 불확실성의 증가
     4. 환율변동으로 인한 환위험 노출
     5. 국가별 유통채널의 상이성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국제물류는 국내물류보다 거래비용이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용선선박이 용선계약 상에 명시된 날짜까지 선적준비를 하지 못할 경우 용선자에게 용선계약의 취소여부에 관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항해용선계약(Gencon C/P)상 조항은?
     1. Laytime
     2. Demurrage
     3. Off hire Clause
     4. Cancelling Clause
     5. Deviation Clause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용선"은 선박을 빌리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화물 운송을 위해 선박을 임대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Cancelling Clause는 용선계약에서 선박이 지정된 날짜까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용선자가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하는 조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편의치적(Flag of Convenien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박 및 항만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보안위협을 탐지하고 제거하기 위한 제도이다.
     2. 항만국이 자국 항구에 기항하는 외국국적 선박을 대상으로 국제협약 상의 기준에 따른 점검 및 통제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3. 세금부담 경감, 인건비 절감 등을 위해 소유 선박을 자국이 아닌 국적부여조건이 엄격하지 않은 외국에 등록하는 제도이다.
     4. 자국선 보호 및 외화유출방지를 위해 국적선취항지역은 국적선을 이용하도록 하고 국적선불취항증명서(waiver) 없이는 외국선 이용을 금지하는 제도이다.
     5. 외국의 선박을 나용선한 뒤 용선기간이 종료되고 용선료를 모두 납부하면 자국의 국적선으로 등록하게 하는 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편의치적은 선박 소유자가 세금, 규제, 인건비 등을 줄이기 위해 선박을 다른 나라에 등록하는 관행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선급제도(Ship's Class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의 감항성(seaworthiness)에 관한 객관적ㆍ전문적 판단을 위해 생긴 제도이다.
     2. 로이드 선급(Lloyd's register)은 보험자들이 보험인수여부 및 보험료 산정을 위해 만든 선박등록부이다.
     3. 한국선급협회는 국제선급협회의 정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4. 선박이 특정 선급을 얻기 위해서는 선급검사관(surveyor)의 엄격한 감독 하에 동 선급규칙에 맞춰 건조되어야 한다.
     5. 한국선급협회는 영국 적하보험 선급약관에 등재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로이드 선급은 독립적인 선급 기관으로, 보험업계와 관련이 있지만, 보험자들이 직접 만든 것은 아닙니다. 로이드 선급은 선박의 상태를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국제물류시스템 중 통과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혼재ㆍ대량수송을 통해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해외 자회사 창고는 보관기능보다 집하, 분류, 배송기능에 중점을 둔다.
     3. 상품이 생산국에서 해외 중앙창고로 출하된 후 각국 자회사 창고 혹은 고객에게 수송된다.
     4. 해외 자회사는 상거래 유통에는 관여하지만 물류에는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5. 수출입 통관수속을 고객이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객 부담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통과시스템은 물류의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해 창고에서의 보관을 최소화하고, 집하, 분류, 배송 기능을 강화하여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재고를 최소화하고, 빠른 배송을 가능하게 하여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비용은?

    

     1. Freight All Kinds
     2. Terminal Handling Charge
     3.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4. Commodity Box Rate
     5. Detention Charge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제시된 설명은 컨테이너 화물이 CY(Container Yard)에 반입되는 순간부터 본선 선측까지 또는 반대로 본선 선측에서부터 CY까지 화물의 이동에 따른 비용에 관한 것입니다.
Terminal Handling Charge는 터미널에서 화물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컨테이너의 이동, 적재, 하역 등의 작업에 관련된 비용을 포함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정기선 운송과 관련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정기선 운송과 관련된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ㄱ. tariff: 정기선 운송에서 운임표를 의미하며, 정기선 서비스에서 운임은 미리 정해진 일정에 따라 부과됩니다.
ㄷ. shipping conference: 정기선 운송에서 운임과 서비스 조건을 조정하기 위해 선사들이 모여 결성하는 협의체입니다. 이는 정기선 운송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ㄹ. charter party: 주로 부정기선 운송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선박을 임대하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ㅁ. tramp: 부정기선 운송을 의미하며, 정해진 일정 없이 화물의 수요에 따라 운항하는 선박을 지칭합니다.

따라서, 정기선 운송과 관련된 것은 ㄱ. tariff와 ㄷ. shipping conference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항공운송화물의 사고유형 중 지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MSCN(Miss-connected)은 화물이 연결편 항공기에 제대로 인계되지 못해 분실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즉, 단순한 지연이 아니라, 화물이 아예 사라진(분실된) 사고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MSCN(Miss-connceted)는 '다른 목적지로 화물이 잘못 보내진 경우'입니다.
MSCN은 '지연'에 해당합니다. 위 해설과 달리 '분실'이 아닙니다.

위 표에선 '내용'이 잘못 매칭된 겁니다. '탑재 및 하역, 창고보관, 화물인수, 타 항공사 인계 시에 분실된 경우'는 '분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엉터리]

92. 운송인의 책임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Rotterdam Rules는 포장당 875 SDR 또는 kg당 3 SDR 중 높은 금액으로 규정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정박기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WD는 하역이 가능한 기상조건의 작업일만을 정박기간에 포함한다.
     2. WWDSHEX는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정박기간에서 제외한다.
     3. WWDSHEXUU는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정박기간에 포함한다.
     4. CQD는 항구의 관습적 하역방법이나 하역능력 등에 따라 가능한 한 빨리 하역하도록 약정하는 것으로,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모두 정박기간에서 제외한다.
     5. Running Laydays는 하역이 시작된 날로부터 종료시까지를 정박기간으로 산정하며, 특약이 없는 한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모두 정박기간에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WWD (Weather Working Day): 하역이 가능한 기상조건의 작업일만을 정박기간에 포함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WWDSHEX (Weather Working Day, Sundays and Holidays Excepted): 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하역이 가능한 기상조건의 작업일만을 정박기간에 포함합니다. 따라서,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정박기간에서 제외하는 것이 맞습니다.

WWDSHEXUU (Weather Working Day, Sundays and Holidays Excepted, Unless Used):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정박기간에 포함됩니다. 이는 맞는 설명입니다.

CQD (Customary Quick Dispatch): 항구의 관습적 하역방법이나 하역능력 등에 따라 가능한 한 빨리 하역하도록 약정하는 것으로,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모두 정박기간에서 제외한다는 설명은 일반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CQD는 관습에 따라 가능한 한 빨리 하역을 완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Running Laydays: 하역이 시작된 날로부터 종료시까지를 정박기간으로 산정하며, 특약이 없는 한 일요일과 공휴일에 작업을 하면 모두 정박기간에 포함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항터미널에서 사용되는 조업장비는?

    

     1. ㄱ: Nose Dock, ㄴ: Self-Propelled Conveyor
     2. ㄱ: High Loader, ㄴ: Self-Propelled Conveyor
     3. ㄱ: Nose Dock, ㄴ: Tug Car
     4. ㄱ: High Loader, ㄴ: Tug Car
     5. ㄱ: Work Station, ㄴ: Self-Propelled Conveyor

     정답 : []
     정답률 : 48%

9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항해용선계약서 이면약관은?

    

     1. General Average Clause
     2. Not Before Clause
     3. Lien Clause
     4. Cancelling Clause
     5. Off Hire Clause

     정답 : []
     정답률 : 55%

96. 항공화물운송장의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urrency란은 AWB 발행국 화폐단위 Code를 기입하며 Currency란에 나타난 모든 금액은 AWB에 표시되는 화폐단위와 일치한다.
     2. Declared Value for Carriage란은 항공사의 운송신고가격을 기입한다.
     3. Amount of Insurance란은 화주가 보험에 부보하는 보험금액을 기입하며, 보험에 부보치 않을 때에는 공백으로 둔다.
     4. Consignment Details and Rating란은 화물요금과 관련된 세부사항을 기입한다.
     5. Chargeable Weight란은 화물의 실제중량과 부피중량 중 높은 쪽의 중량을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Declared Value for Carriage"는 항공사의 운송신고가격이 아니라 화주가 신고하는 화물의 가치를 기입하는 곳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항공화물 부대운임은?

    

     1. Disbursement fee
     2. Dangerous goods handling fee
     3. Charges collect fee
     4. Handling charge
     5. Pick up service charge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Disbursement fee란 운송 대리점이 현지에서 각종 비용을 대납해주고, 그 대가로 받는 수수료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입체지불수수료 Disbursement fee: 송하인의 요구에 따라 항공사, 송하인 또는 대리인이 선불한 비용을 수하인으로부터 징수하는 금액
[해설작성자 : 엔시티위시 사쿠야]

98. 복합운송증권(FIATA FBL)의 이면약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운송주선인의 책임: 인도일 경과 후 연속일수 60일 이내에 인도되지 않을 경우 손해배상 청구자는 물품이 멸실된 것으로 간주한다.
     2. 물품의 명세: 증권표면에 기재된 모든 사항에 대한 정확성은 운송주선인이 책임을 진다.
     3. 불법행위에 대한 적용: 계약이행과 관련하여 운송주선인을 상대로 한 불법행위를 포함한 모든 손해배상청구에 적용한다.
     4. 운송주선인의 책임: 운송주선인의 이행보조자를 상대로 제기된 경우에는 이 약관이 적용되지 않는다.
     5. 제소기한: 수하인은 물품이 멸실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소송을 제기하지 아니하고 다른 방법에 의해 명확히 합의되지 않는 한 운송주선인은 모든 책임으로부터 면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90일
2. 송하인(화주)가 명세의 정확성을 책임
4. 이행보조자에게도 적용
5. 제소기간 9개월
[해설작성자 : beom210503]

99. 항공운송 관련 국제규범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ㄱ. Guatemala Protocol: 이 프로토콜은 항공운송과 관련된 국제 규범 중 하나로, 바르샤바 협약의 개정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항공운송과 관련이 있습니다.
ㄴ. CMR: CMR은 국제 도로 화물 운송에 관한 협약으로, 항공운송이 아닌 도로운송과 관련된 규범입니다.
ㄷ. CIM: CIM은 국제 철도 화물 운송에 관한 협약으로, 항공운송이 아닌 철도운송과 관련된 규범입니다.
ㄹ. Montreal Agreement: 몬트리올 협정은 항공운송과 관련된 규범으로, 항공사의 책임 한도를 규정하는 협정입니다. 따라서 항공운송과 관련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UN국제물품복합운송조약(1980)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합운송인의 책임체계는 절충식 책임체계를 따르고 있다.
     2. 복합운송인의 책임기간은 화물을 인수한 때부터 인도할 때까지로 한다.
     3. 적용화물(Goods)이란 송하인에 의해 공급된 경우에는 컨테이너, 파렛트 또는 유사한 운송용구와 포장용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4. 송하인은 위험물에 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위험성이 있다는 표식(mark)을 하거나 꼬리표(label)를 붙여야 한다.
     5. 법적 절차 또는 중재 절차가 2년 내에 제기되지 않으면 어떠한 소송도 무효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반적으로 "적용화물"은 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파렛트, 포장용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송용구는 화물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는?

    

     1. Solid Bulk Container
     2. Liquid Bulk Container
     3. Open Top Container
     4. Insulated Container
     5. Garment Container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Garment Container는 의류를 걸어서 운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레일이나 걸이 장치가 있어, 옷이 구겨지지 않도록 운송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2. 해공(Sea & Air)복합운송 서비스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주는 해상운송 기간을 단축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2. 전(全)구간 해상운송보다 수송기간이 짧고, 전(全)구간 항공운송보다 운임이 저렴하다.
     3. 해상운송에 비해 수송기간이 짧아 재고비용이 절감되며 자본비용도 낮출 수 있다.
     4. 항공사가 운송장(Through B/L)을 발행하게 되면 항공사는 함부르크조약으로 책임을 지기 때문에 화주에게 유리하다.
     5. 생산일정과 수입상의 창고 및 시장 상황에 맞춰 적시(JIT)납품을 결정할 수 있게 되어 기업의 물류관리 측면에서 융통성이 많아지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함부르크 조약은 해상운송에 관한 조약으로, 항공운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3. 컨테이너 운송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테이너의 유휴 등 고가 설비의 효율적 활용이 쉽지 않다.
     2. 컨테이너의 용량이 커서 소량화물의 경우 혼재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3. 모든 화물을 컨테이너화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4. 신속하고 안전한 화물의 환적이 가능하며, 하역의 기계화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컨테이너화에는 선사직원 및 항만노무자의 교육ㆍ훈련 등에 있어 장기간의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컨테이너 운송에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이는 장기간의 노력과 투자가 요구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항공화물운송장 기능과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0%

105. 항만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묘박지(Anchorage)는 선박이 닻을 내리고 접안을 위해 대기하는 수역을 말한다.
     2. 계선주(Bitt)는 선박의 계선밧줄을 고정하기 위하여 안벽에 설치된 석재 또는 강철재의 짧은 기둥을 말한다.
     3. 선회장(Turning Basin)은 자선선회(自船船回)의 경우 본선 길이의 2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이며, 예선(曳船)이 있을 경우에는 본선 길이의 3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으로 한다.
     4. 펜더(Fender)는 선박의 접안 시 또는 접안 중에 선박이 접촉하더라도 선박이 파손되지 않도록 안벽의 외측에 부착시켜 두는 고무재이다.
     5. 항로(Access Channel)는 바람과 파랑의 방향에 대해 30° ~ 60° 의 각도를 갖는 것이 좋으며 조류방향과 작은 각도를 이루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선회장(Turning Basin)은 선박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자선선회 시 본선 길이의 1.5배에서 2배 정도가 필요하고, 예선이 있을 경우 더 작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선선회 시 본선 길이의 3배, 예선이 있을 경우에는 본선 길이의 2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물관사]

10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부정기선 운임은?

    

     1. Lump Sum Freight
     2. Option Surcharge
     3. Dead Freight
     4. Congestion Surcharge
     5. Long Term Contract Freight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Lump Sum Freight : 화물의 양과 관계없이 전체 항해 또는 선복 단위로 정액 운임을 지불하는 방식
Option Surcharge: 선택적 항목에 대한 추가 요금
Dead Freight: 계약된 공간을 다 채우지 못했을 때 미사용 공간에 대해 지불하는 운임
Congestion Surcharge: 항만 혼잡으로 인한 추가 요금
Long Term Contract Freight: 장기 계약에 따른 운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7. 우리나라 상법 상 선하증권 법정기재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ㅁ, ㅂ
     4. ㄴ, ㄹ, ㅂ
     5. ㄴ, ㅁ, ㅂ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선하증권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선박의 명칭, 국적 및 톤수
운임지불지 및 환율
선하증권번호
본선할해번호
용선자 또는 송하인의 성명 및 상호
수하인 또는 통지수령인의 성명 및 상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법정기재사항>
★선박의 명칭, 톤수
★송화인, ★수화인, 선장 성명
화물 종류, 중량
용적포장 종류
개수와 기호
선적항 및 양륙향
선하증권 작성일자
발행부수 및 발행지
날인, 운임

<임의기재사항>
★항해번호
★환율
통지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 정보기술은?

    

     1. CVO
     2. ECR
     3. WMS
     4. RFID
     5. SCM

     정답 : []
     정답률 : 57%

109. 복합운송증권(FIATA FBL)의 약관 중 다음 내용이 포함되는 약관은?

    

     1. Delivery
     2. Paramount Clause
     3. Negotiability and title to the goods
     4. Method and Route of Transportation
     5. Liability of Servants and Other Persons

     정답 : []
     정답률 : 48%

11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 보안제도는?

    

     1. CSI
     2. 24-Hour Rule
     3. Trade Act of 2002 Final Rule
     4. ISPS Code
     5. C-TPAT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모든 운송수단을 포함하여, 사전 정보 제출 의무를 규정한 제도
1. 컨테이너 세큐리티임. 항만과 컨테이너 중심. >> 타 운송수단 포함 X
2. 도착 24시간 전 B/L정보 제출. >> 해상운송 적용
3. 대테러 법안으로, 모든 운송수단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화물에 대해 세관에 사전정보 제출을 의무화한 법령.
4. 선박과 항만 보안규칙 >> 항만과 선박 보안이고, 화물정보 제출규정이 아님.
5. 미국과 민간 기업 간 자율적 공급망 보안 협력 제도 >> 제출의무X, 자율적 파트너쉽 형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1. Marine Insurance Act(1906)에 규정된 용어의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A valued policy
     2. A floating policy
     3. A fixed policy
     4. An open policy
     5. An unvalued policy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플로팅 정책은 특정 세부 사항이 처음에는 명시되지 않고, 이후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는 형태의 보험 계약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해상 보험에서 여러 선박이나 화물에 대해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2. Incoterms 2020 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착지인도”(DAP)란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목적지까지 또는 지정목적지 내의 합의된 지점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어둔 채 매수인 처분 하에 두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2. “선측인도”(FAS)란 매도인이 지정 선적항에서 매수인이 지정한 선박의 선측에 물품이 놓인 때 까지만 물품의 멸실 또는 훼손의 위험 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3. “운임 보험료 포함인도”(CIF)란 물품이 선박에 적재된 때 물품의 멸실 또는 훼손의 위험이 매도인에서 매수인에게 이전되는 것을 말한다.
     4. “공장인도”(EXW)란 매도인이 계약물품을 공장이나 창고 같은 지정장소에서 매수인의 처분상태로 둘 때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5. Incoterms® 2020 규칙은 그 자체로 매매계약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Incoterms® 규칙은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표준 무역 용어를 정의하는 규칙일 뿐, 그 자체로 매매계약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Incoterms®는 매매계약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계약 자체는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CISG, 1980)에서 매도인의 계약위반에 대한 매수인의 구제방법이 아닌 것은?
     1. 의무의 이행 청구
     2. 대체물의 인도 청구
     3. 하자보완 청구
     4. 손해배상 청구
     5. 권한쟁의 심판 청구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권한쟁의 심판은 일반적으로 법적 권한이나 관할권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절차로, CISG의 구제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Incoterms 2020 규칙 상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의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거래조건으로 옳은 것은?
     1. FAS, FOB, CFR, CIF
     2. FOB, CIF, CPT, DPU
     3. FAS, FOB, CPT, CIP
     4. CFR, CIF, CPT, CIP
     5. FOB, DAP, DPU, DDP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FAS (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
FOB (Free On Board): 본선 인도
CFR (Cost and Freight): 운임 포함 인도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및 보험료 포함 인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5. 무역구제제도(Trade Remed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수출국의 공정한 수출행위에 의한 수입이지만 특정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긴급관세를 인하한다.
     2. 상계관세제도는 수출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물품이 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보조금 범위 내에서 상계관세를 부과한다.
     3. 반덤핑관세제도는 외국물품이 정상가격 이하로 덤핑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범위 내에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
     4. 긴급관세(세이프가드)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이해당사국과 긴급관세부과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적절한 무역보상방법에 관하여 협의할 수 있다.
     5. 무역구제제도는 공정한 경쟁을 확보하고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을 때 발동됩니다. 그러나, 세이프가드는 관세를 인하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Incoterms 2020 규칙의 적용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1. 매매계약 위반에 대한 구제수단
     2. 소유권 이전
     3. 국제분쟁과 중재방법, 장소 또는 준거법
     4. 매도인과 매수인의 의무, 비용 및 위험
     5. 매매대금 지급의 시기, 장소 및 방법

     정답 : []
     정답률 : 52%

117. Institute Cargo Clause(C)(2009)에서 담보하는 위험이 아닌 것은?
     1. 화재ㆍ폭발
     2. 본선ㆍ부선의 좌초ㆍ교사ㆍ침몰ㆍ전복
     3. 육상운송용구의 전복ㆍ탈선
     4. 포장이나 준비의 불충분 또는 부적합으로 인한 손해
     5. 피난항에서 화물의 양하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Institute Cargo Clause(C)(2009)는 해상보험에서 가장 기본적인 담보 조건으로, 특정한 위험에 대해서만 보장을 제공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포장이나 준비의 불충분 또는 부적합으로 인한 손해]는 A B C 공통면책 -] 담보 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8. Incoterms 2020 규칙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ㄱ: CPT, ㄴ: The buyer
     2. ㄱ: DDP, ㄴ: The seller
     3. ㄱ: CPT, ㄴ: The seller
     4. ㄱ: DDP, ㄴ: The buyer
     5. ㄱ: FOB, ㄴ: The buyer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CPT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and transfers the risk—to the buyer by handing them over to the carrier contracted by the seller or by procuring the goods so delivered.

The seller may do so by giving the carrier physical possession of the goods in the manner and at the place appropriate to the means of transport used.

한국어 번역:

CPT는 매도인이 물품을 매수인에게 인도하고, 매도인이 계약한 운송인에게 물품을 넘김으로써 위험을 매수인에게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매도인은 사용된 운송 수단에 적합한 방식과 장소에서 운송인에게 물품의 실질적인 소유권을 넘김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9.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Authorized Supplier
     2.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3. Authorized Consignor
     4. Authorized Manufacturer
     5. Authorized Consignee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AEO)는 공인 경제 운영인 또는 수출입안전관리 우수업체를 의미하며, 세계관세기구(WCO)의 SAFE Framework of Standards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국제 제도로, 세관이 인증한 신뢰할 수 있는 무역업체를 말합니다. 이 제도는 무역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0. 관세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내국물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착한 물품으로 수입신고가 수리되기 전의 것
     2. 우리나라의 선박 등이 공해에서 채집하거나 포획한 수산물 등
     3. 수입신고수리 전 반출승인을 받아 반출된 물품
     4. 우리나라에 있는 물품으로서 외국물품이 아닌 것
     5. 수입신고전 즉시반출신고를 하고 반출된 물품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착한 물품으로 수입신고가 수리되기 전의 것: 이는 외국물품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0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09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9월29일(1627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8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10월18일(1627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7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7일(1627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406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1627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5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24일(1627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4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24일(1627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3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24일(1627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2 관광통역안내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9월07일(1627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1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6월15일(1627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400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7일(1626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399 법조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03일(1626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10일(1626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10일(1626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6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25일(1626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5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25일(1626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394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03일(1626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03일(1626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2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04일(1626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5391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04일(1626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390 주택관리사보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9월16일(1625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