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이괄의 난 1624 - 병자호란 1636 - 소현 세자 청 인질 1637 호란 중에 일어났던 일을 선택하면 됨.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1. 정문부 길주의병 = 임진왜란 2. 훈련도감 설치 = 임진왜란 3. 영창대군 사사 = 광해군 4. 이덕형 청원사 파견 = 임진왜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계해약조의 체결 과정을 확인한다.
2.
오가작통법의 실시 목적을 파악한다.
3.
신해통공을 단행하게 된 배경을 조사한다.
4.
토지 소유자에게 결작을 부과한 이유를 살펴본다.
5.
풍흉에 따라 전세를 차등 부과하는 기준을 알아본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3. 신해통공(辛亥通共)은 조선 후기인 1791년(정조 15년)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禁亂廛權)을 폐지한 조처이다 4. 결작은 1750년(영조 26)에 실시된 균역법으로 부족해진 세액을 보충하기 위해 토지에 부과한 세금을 말한다. (군포 감소로 결작, 선무군관포, 어염선세로 보충) [해설작성자 : 한능검 일주일컷 드가자]
1.세종 때 일본 교역 요청을 수용해 계해약조를 맺고 세견선을 1년에 50척으로 한정하는 무역을 허용했다. 2.조선 시대에 다섯 가구를 1통으로 묶은 오가작통법을 실시해 백성들 간의 상호 감시를 통해 거주지 이탈이나 절도 등을 방지하고 세금 수취의 편의를 꾀하고자 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발]
24.
밑줄 그은 '이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최제우가 혹세무민의 죄로 처형되었다.
2.
변급, 신류 등이 나선 정벌에 참여하였다.
3.
국왕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이 창설되었다.
4.
경신환국 등 여러 차례 환국이 발생하였다.
5.
정여립 모반 사건을 빌미로 기축옥사가 일어났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백두산정계비 - 숙종 1. 고종, 동학 탄압 2. 효종 4. 숙종 5. 선조 [해설작성자 : 김영감]
3. 장용영 설치 - 정조 [해설작성자 : 화이팅]
25.
밑줄 그은 '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기대승과 사단칠정 논쟁을 전개하였다.
2.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3.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4.
청으로부터 시헌력을 도입하자고 건의하였다.
5.
열하일기에서 수레와 선박의 사용을 강조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추사 김정희: 금성학파 설립, 추사체 완성, 실학자, 서화가(세한도), 청 학자 교류(금석문 제자), 제주도와 함경도 북청 유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민립대학설립운동: 1920년대 초, 3.1 운동 이후 일제의 문화 정치 표방. 민족 지도자들은 실력 양성 운동의 일환으로 물산장려운동과 민립대학설립운동을 벌였다. 이상재와 윤치호 등이 주도.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민립대학설립운동 이후 일제는 이에 대응하여 경성 제국 대학(국립대학)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apr2015]
41.
(가) 사건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 농성을 벌였다.
3.
황실의 지원을 받아 대한 천일 은행이 창립되었다.
4.
전국 단위의 조직인 조선 노농 총동맹이 조직되었다.
5.
고율의 소작료에 반발하여 암태도 소작 쟁의가 발생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원산총파업: 1929, 일본인 간부의 조선인 노동자 구타를 계기로 진행. 강주룡의 을미대 고공 농성은 1931년 평양.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1. 동양 척식 주식회사 설립 = 화폐정리사업 시기 3. 대한 천일 은행 = 1899 4. 조선 노농총동맹 = 1920년대 5. 암태도 소작 쟁의 = 1920년대 [해설작성자 : 이번엔 가자]
4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서양식 의료의 수용, 광혜원
2.
근대적 우편 제도의 시작, 우정총국
3.
전시 통제 체제 속에서 강요된 여성복, 몸뻬
4.
근면, 자조, 협동을 기치로 내세운 새마을 운동
5.
상품 광고의 새로운 장을 연 컬러텔레비전 방송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개항기 2. 개항기 3. 일제강점기(민족 말살 통치인 1930~40년대) 4. 박정희 정부(1970년대) 5. 전두환 정부(1980년대) [해설작성자 : apr2015]
43.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자유시 참변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2.
영릉가에서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3.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물리쳤다.
4.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5.
쌍성보 전투에서 한중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한국 광복군 : 김구, 지청천 등이 창설, 영국군 요청으로 인도, 미얀마 전선 투입, 미국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 추진 하였으나 미국이 광복군에게 말하지 않고 몰래 폭탄 2방으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받아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밑줄 그은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국방헌금 모금에 적극 협력하는 부호
2.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받는 학생
3.
원각사에서 연극 은세계를 공연하는 배우
4.
내선일체에 협력하자는 논설을 쓰는 언론인
5.
국민 징용령에 의해 강제로 동원되는 노동자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문제에서 나타난 시기는 1930년대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대한 설명이다. 3번의 원각사는 개항기인 1908년에 설립된 최초의 서양식 극장이다. [해설작성자 : 사이먼 도미닉]
45.
다음 안내에 따라 학생이 발표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갑 - 수양개 유적을 조사하여 우리 고장에 살던 구석기인들이 다양한 기법으로 석기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2.
을 - 송산리 고분군의 벽돌무덤을 조사하여 무령왕이 중국 남조, 왜 등과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3.
병 - 만인의총을 조사하여 정유재란 당시 우리 고장의 백성들이 조명 연합군과 함께 결사 항전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4.
정 - 만석보 유지비를 조사하여 우리 고장 농민들이 군수조병갑의 수탈에 저항하여 봉기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5.
무 - 아우내 3·1 운동 독립 사적지를 조사하여 유관순이 우리 고장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안내(지문)의 고장은 충청남도 공주시 일대 2. 송산리 고분군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3. 만인의총은 전북 남원시 소재 4. 조병갑은 전라도 고부군(현재의 전북 정읍 및 부안 일대)의 군수, 만석보는 고부군에 있던 보이며 건설 과정에서 백성들을 수탈하였음 5. 아우내는 현재 충남 천안시 병천면임 [해설작성자 : apr2015]
1. 수양개 충북 단양 [해설작성자 : 키밀]
46.
(가) 전쟁 중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애치슨 라인이 발표되었다.
2.
한일 기본 조약이 체결되었다.
3.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4.
김구, 김규식 등이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다.
5.
비상계엄이 선포된 가운데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부산, UN 으로 보아, 낙동강 전선 -> 6.25 전쟁
1. 6.25 전쟁 이전 2. 박정희 - 한일수교 관련 3. 전두환 4. 48년 "남한 단독 정부 수립 반대"를 위한 남북협상 5. 이승만 - 6.25 전쟁 당시 부산에서 "1차 개헌" [해설작성자 : 웅나 웅나나]
발췌개헌은 1952년으로 6.25전쟁(1950~1953) 도중 발생 [해설작성자 : apr2015]
47.
밑줄 그은 '총선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5·16 군사 정변 이후에 실시되었다.
2.
제헌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4.
민의원, 참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국회가 탄생하였다.
5.
신한 민주당이 창당 한 달 만에 제1 야당이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UN 소총회와 관련된 1948년 "5.10 총선" 으로 제헌헌법을 만드는 국회의원을 선출 [해설작성자 : ㅇㅇ]
1. 1961년 2. 정답 3. 유신시대(1970년대) 4. 장면 내각(1960년~1961년) 5. 전두환 정부(12대 총선; 1985년) [해설작성자 : apr2015]
48.
다음 기사가 보도된 정부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국민 교육 헌장이 발표되었다.
2.
3당 합당으로 민주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3.
군 내부의 사조직인 하나회가 해체되었다.
4.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가 설치되었다.
5.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금 모으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88서울올림픽 노태우 정권( 88 - 93) 국민 교육 헌장이 발표되었다: 국민 교육 헌장은 1968년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사실과 맞지 않습니다. 3당 합당으로 민주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3당 합당은 1990년에 이루어졌다. 88년은 아니지만 노태우때는 맞음 군 내부의 사조직인 하나회가 해체되었다: 하나회는 1993년 김영삼 정부 시기에 해체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가 설치되었다: 삼청 교육대는 전두환 정부 시기에 설치 80.8-81.1 외화 위기 극복을 위한 금 모으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금 모으기 운동은 1997년 IMF 제2국채보상운동 [해설작성자 : BDS]
1. 국민교육헌장 박정희 3. 하나회 해체 김영삼 4. 삼청교육대 전두환 5. 금모으기운동 김대중 [해설작성자 : 키밀]
49.
(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유신 체제 붕괴의 배경이 되었다.
2.
시민군을 조직하여 계엄군에 대항하였다.
3.
시위 도중 김주열이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4.
직선제 개헌을 약속한 6·29 선언을 이끌어냈다.
5.
대통령이 하야하여 미국으로 망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는 부마항쟁에 대한 내용. 부마 항쟁 - YH 무역 사건과 김영삼 의원직 제명이 계기가 되어 전개. 유신 체제 붕괴 배경이 됨. 시민군 조직 5.18 / 김주열 사망 4.19 / 6.29 민주와 선언 - 6월 민주 항쟁 / 이승만 대통령 하야 4.19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2. 1980년 5.18 민주화운동 3. 1960년 4.19 민주화운동의 원인 4. 1987년 6월 민주 항쟁(6.10 민주 항쟁) 5. 1960년 4.19 민주화운동의 결과 [해설작성자 : apr2015]
50.
다음 연설이 있었던 정부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2점]
1.
남북 기본 합의서를 교환하였다.
2.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3.
6·15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4.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에 합의하였다.
5.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의 교환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노벨상, 김정일과 남북정상회담 2000년 김대중 정주영 소 떼 방북, 금강산 해로 관광, 최초 남북 정상 회담>6.15 남북 공동 선언 1. 노태우 1991 2. 박정희 1972 4. 노태우 1992 5. 전두환 1985 [해설작성자 : 한능검 일주일컷 드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