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증폭도를 극도로 올린 버퍼라고 보시면 됩니다. 잡음이 섞인 디지털 파형에서 이 잡음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어떠한 파형이라도 이미 설정된 High와 Low레벨의 기준을 넘으면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최대/최소 출력을 내보냅니다. 보기에 모든 파형을 입력하더라도 출력의 파형은 구형파가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펄스의 주기 등은 일정하고 그 진폭을 입력 신호 전압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PAM
2.
PFM
3.
PCM
4.
PWM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진폭 2. 주파수 3. 부호 4. 폭 [해설작성자 : 공마고 전준수]
9.
720[㎑]인 반송파를 3[㎑]의 변조신호로 진폭 변조했을 때 주파수 대역폭 B는 몇 [㎑] 인가?
회로의 생김새에 따라서 미분기냐 적분기냐가 나뉘는데 C-R 이면 미분기고 R-C 이면 적분기 입니다. 쉽게 외우는 팁은 적분기는 RC니까 R을 RED 생각해서 빨강 적색 으로 생각하시면 좀 쉬워요 [해설작성자 : 평기공 조현용]
2과목 :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N형 반도체의 다수 반송자는?
1.
정공
2.
도너
3.
전자
4.
억셉터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네거티브= -이므로 전자입니다. [해설작성자 : MDP조아]
N형 - 전자 P형 - 정공 [해설작성자 : 비전동무야호남]
17.
컴퓨터 회로에서 Bus Line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정확한 전송
2.
속도 향상
3.
레지스터 수의 축소
4.
결합선 수의 축소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현실의 버스는 여러명의 승객을 태워서 지정된 노선으로 달리죠?? 그런것처럼 컴퓨터 회로에서의 버스도 결합선 수를 축소하여 버스라인으로만 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무야호남]
18.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에서 주기억장치의 내용을 보조기억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로드(Load)
2.
스토어(Store)
3.
롤아웃(Roll-out)
4.
롤인(Roll-in)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롤아웃: 주기억장치 가운데 사용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보조기억장치로 옮기는일 롤인:보조기억장치에 옮겨 놓았던 프로그램을 다시 주기억장치로 옮기는일 [해설작성자 : 전자캐드합격]
19.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오퍼랜드가 존재하는 기억장치의 어드레스를 명령 속에 포함시켜 지정하는 주소 지정방식은?
1.
직접 어드레스 지정방식
2.
이미디어트 어드레스 지정방식
3.
간접 어드레스 지정방식
4.
레지스터 어드레스 지정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 즉시주소 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 명령 속의 오퍼랜드 정보를 그대로 오퍼랜드로 사용하는 방식 3. 간접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 내의 주소부에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의 주소를 가진 기억장소의 주소를 표현한 방식 4. 레지스터 주소 지정방식: 오퍼랜드로 레지스터를 지정하고 다시 그 레지스터값이 실제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 장소의 주소를 지정한다. [해설작성자 : 중소만 피하자]
20.
다음 중 8421 코드는?
1.
BCD 코드
2.
Gray 코드
3.
Biquinary 코드
4.
Excess-3 코드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8421 코드는 BCD코드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BCD 코드는 4자리의 2진수로 0부터 9 까지 표현하는 코드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무야호남]
21.
기억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큰 비중을 두는 것은?
1.
기억장치의 용량과 모양
2.
기억장치의 크기와 모양
3.
기억장치의 용량과 접근속도
4.
기억장치의 모양과 접근속도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성능을 보는데 크기와 모양을 본다는것은 말도안되는 소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Yogusaron]
22.
다음 논리회로에서 출력이 0이 되려면, 입력 조건은?
1.
A=1, B=1, C=1
2.
A=1, B=1, C=0
3.
A=0, B=0, C=0
4.
A=0, B=1, C=1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처음에 A, B가 NAND를 통과하는데 0 , 0을 입력하면 1을 출력 C는 NOT을 통해 0을 입력시 1을 출력, 그리고 값으로 나온 1, 1이 마지막 NAND를 통과해 0이 출력된다.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Moozi]
[오류신고 반론]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으 오류 신고가 자주 있어서 글 남겨 둡니다.
위 C 회로는 NOT가 아닙니다. C 회로는 단순 Buffer 회로로 입려된 값이 그대로 출력됩니다. NOT 게이트는 위 C 입력이 들어가는 세모(버퍼)모양의 출력쪽에 동그라미가 붙은 형태가 NOT 게이트 입니다. 게이트 모양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오류 신고]
최종결과 Z가 나오려면 그 이전인 NAND에 1,1이 입력되야 되는데 그러려면 최초 NAND에 들어가는 A,B는 0이 되어야 되고 Buffer에 들어가는 C는 1이 들어가야 됩니다. 답은 A=0,B=0,C=1이 나와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익명]
[관리자 입니다. 위 익명님의 설명은 반은 맞고 반은 맞지 않습니다.
익명님이 정답이라고 한 A=0, B=0, C=1은 보기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C=1 인 이유는 대충 아실꺼라 생각합니다.
그럼 익명님이 A=0, B=0이라고 하신 이유는 왼쪽 NAND 회로에서 A=0, B=0 일경우 NAND를 통과했을때 그 결과가 1이 되기 위해서 A=0, B=0을 넣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근데... A=0, B=1 또는 A=1, B=0을 넣어도 NAND를 지나면 1이 나옵니다. 이게 무슨 말인고 하니..
AND진리표를 적어보면
A B 0 0 : 0 0 1 : 0 1 0 : 0 1 1 : 1 입니다.
따라서 NAND는 저 반대가 되는데요
A B 0 0 : 1 0 1 : 1 1 0 : 1 1 1 : 0 보시는 바와 같이 NAND에서 출력이 1이 되는 경우는 세가지나 됩니다. 따라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서 정답이 될수 있는 것들은
A=0, B=0, C=1 A=0, B=1, C=1 A=1, B=0, C=1 이렇게 세가지 경우에 대해서 출력 Z가 0이 나오는 경우입니다. 보기에 있는 것을 고르자면 4번이 정답이 됩니다.
오류신고는 이제 그만 자제좀 부탁 드립니다.
23.
비가중치 코드이며 연산에는 부적합하지만 어떤 코드로부터 그 다음의 코드로 증가하는데 하나의 비트만 바꾸면 되므로 데이터의 전송, 입·출력 장치 등에 많이 사용되는 코드는?
1.
BCD 코드
2.
Gray 코드
3.
ASCII 코드
4.
Excess-3 코드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일반 2진 코드를 Gray 코드를 사용하여 변경하는 방법은 인접한 두bit의 EX-Or 연산입니다. 이 특징으로 말미암아, 그레이 코드간에 연산은 어렵지만 각자리의 Ex-or연산으로 나온 값이기 때문에 원래 2진코드의 값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레이 코드로 직렬 통신시 오류를 검출하기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자회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10[Ω]/5[W] 저항을 기판에 실장(배치)하여야 하는데, 10[Ω]/5[W] 저항의 부피가 커서 1[W] 저항을 이용한 구성방법으로 옳은 것은?
1.
50[Ω] 5개 직렬접속
2.
100[Ω] 5개 직렬접속
3.
50[Ω] 5개 병렬접속
4.
100[Ω] 5개 병렬접속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본 시험에서 부품특성에 관한 내용중 정격용량이 안나오는데, 일단 모든 수동부품은 사용정격용량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저항의 용량은 병렬접속으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5W/1W=5개의 저항이 병렬 접속되어야 합니다. 저항이 병렬 접속되면 저항값은 동일저항 병렬접속시 1/n 으로 감소되기에 R=10/(1/n)=50Ω 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Data eXchange Format의 약자로 이 정의는 문제와 같습니다. 보통 전자캐드에서는 PCB 외곽 형태가 Auto-CAD를 이용해서 설계하기에 이를 PCB 설계프로그램에서 Import 할때 자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중 전자제도(CAD)에 대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계과정에서 능률이 높아진다.
2.
한번 저장한 도면은 수정하기가 어렵다.
3.
설계요소의 표준화로 도면 작성 시간이 단축된다.
4.
컴퓨터의 정확한 계산으로 인하여 수치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CAD는 다른 제도와는 달리 컴퓨터로 하는것이라 수정이 쉽다. [해설작성자 : 김승환]
45.
반도체 소자의 형명 중 “2SC1815Y”는 어떤 소자인가?
1.
단접합 트랜지스터
2.
터널다이오드
3.
전해콘덴서
4.
트랜지스터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SA --- : PNP 타입의 고주파용 트랜지스터 2SB --- : PNP 타입의 저주파용 트랜지스터 2SC --- : NPN 타입의 고주파용 트랜지스터 2SD --- : NPN 타입의 저주파용 트랜지스터 [해설작성자 : 이원호]
46.
PCB의 제조를 위한 필름 제조와 마스터 포토 툴을 생성하는 세계적 표준의 파일 형식은?
1.
네트리스트 파일
2.
거버 파일
3.
라이브러리 파일
4.
DXF 파일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거버파일의 생성목적이 바로 필름제조와 마스터 포토 제조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전자캐드 시스템의 입력장치 중 X, Y 좌표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1.
스캐너
2.
디지타이저
3.
마우스
4.
트랙볼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X,Y에 입력장치가 있다면 무조건 디지타이저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48.
다음 중 컴퍼스로 그리기 어려운 원호나 곡선을 그릴 때 사용되는 제도용구는?
1.
디바이더
2.
T자
3.
운형자
4.
형판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운형자의 운이 구름'운'입니다. 삼각자에 밑면만 -자이고 나머지는 둥근 호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참고로 형판은 다양한 크기의 도형이 뚫려 있습니다. 이것으로도 원호나 곡선을 그릴수는 있겠지만 운형자보다는 크기에 제약이 있겠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 중 전자회로, 인쇄회로기판(PCB)등을 설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CAD 프로그램과 밀접한 것은?
1.
CAE
2.
EDA
3.
FMS
4.
PACS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EDA : 전자회로 등을 설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CAD 프로그램으로 ORCAD,PCAD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국산노가리]
1. Co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 시뮬레이션 2.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직역하면 전자 설계 자동화지만 실제의미는 위와 같습니다. 3.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생산시스템으로 소량 다품종 생산을 목표로하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4. Picture Archiving & Communication System: 의학영상정보시스템이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KS의 부문별 기호에서 기본적인 내용에 관계되는 분류기호는?
1.
KS A
2.
KS B
3.
KS C
4.
KS D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KS A : 기본 부문 KS B : 기계 부문 KS C : 전기 부문 KS D : 금속 부문 [해설작성자 : 미르]
51.
전자 회로도 작성 시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각선과 곡선은 가급적 피한다.
2.
도면 기호와 접속선의 굵기는 원칙적으로 같게 한다.
3.
선의 교차가 적고 부품이 도면 전체에 고루 분포되도록 그린다.
4.
신호의 흐름은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그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반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가게 그려야한다. [해설작성자 : 김승환]
<문제 해설> 단일접합 트랜지스터는 컬렉터 두 개의 접합이 있고 보통 트랜지스터와 달리 한 개의 접합이 있는 트랜지스터, 가늘고 긴 부분에 직류 전류를 가한 상태에서 중앙의 이미터 접합의 전압 전류 특성을 취하면 부성 저항이 나타나서 이것을 스위치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삼일공고 반도체학과]
54.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부품의 위치와 형태 등에 대한 부품 배치도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품은 균형 있게 배치한다.
2.
부품 상호 간에 신호가 유도되지 않도록 한다.
3.
인쇄회로기판의 점퍼선은 부품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표시하지 않는다.
4.
부품의 종류, 기호, 용량, 외형도, 판의 위치, 극성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점프선(점퍼선)도 똑같은 선이니까 표시를 꼭 해주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점퍼선은 0Ω을 가진 SMD 저항이나, 삽입형 전선을 씁니다. 특히 단면 PCB부품 배치시 다른 배선을 뛰어넘을(점프)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며 회로설계시에는 당연히 알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점퍼를 사용하고 회로도에 기호로 표시하지 않으면 나중에 제조했을 때 불량의 원인과 영향을 알수 없기 때문에 PCB 설계자가 회로도나 부품배치도에 사용한 점퍼를 표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척도에서 실물의 크기보다 작게 그리는 것은?
1.
현척
2.
축척
3.
배척
4.
실척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현척 실체와 같게 축척 실체보다 작게 배척 실체보다크게 실척 실체와 같게 한다. 현척과 실척은 같은 말이다. [해설작성자 : 미르]
56.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OR GATE
2.
AND GATE
3.
NAND GATE
4.
EX-OR GATE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기본적으로 AND GATE지만 앞의 동그라미기호가 붙어있는 경우는 NOT을 의미하므로 NOT + AND = NAND GATE가 되는것이다. [해설작성자 : 김승환]
57.
다음 중 인쇄기판의 제조 공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정전 부식법
2.
사진 부식법
3.
실크 스크린법
4.
오프셋 인쇄법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에는 사진 부식법, 실크 스크린법, 오프셋 인쇄법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뚜비뚜밥]
58.
축척 1/25의 도면에서 도면상 길이가 2[㎜]일 때, 실제 길이는?
1.
1.24[㎜]
2.
2[㎜]
3.
12.5[㎜]
4.
50[㎜]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를 기준으로 왼쪽이 도면상 길이이고 오른쪽이 실제 길이입니다. [해설작성자 : 구전공김진호2]
59.
그림과 같은 부품 기호에 대한 명칭은?
1.
다이오드
2.
저항
3.
수정진동자
4.
코일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위 기호 가운데 있는 사각형이 수정(크리스탈 - crystal)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60.
PBC 인쇄 기판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에칭 방법이 아닌 것은?
1.
납 마스크법
2.
사진 부식법
3.
실크 스크린법
4.
오프셋 인쇄법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에칭 방법에는 사진 부식법, 실크 스크린법, 오프셋 인쇄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국산노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