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설명) 분극 세기 = 전속밀도의 차 P = D - D' P = Eε0εr - Eε0 P = (Eε0εr) - (Eε0εr)/εr P = D - D/εr P = D(1 - 1/εr) P = 3.0x10^-7 x (1.8/2.8) P = 1.93x10^-7 [해설작성자 : 전기 초보]
정답 1번 맞읍니다. 무한 도체평면은 전기장이 양쪽으로 퍼져 전하밀도로 환산시 면적이 S가 2S로 계산해야 합니다. 전하밀도는 전속밀도와 같고 밀도는 전하량 Q를 면적으로 나눈것인데 면적이 2S이니 전지장의세기 E = Q/4파이*입실론*거리R제곱 전속밀도 D=입실온*E 따라서 이방정식을 풀면 D=Q/2파이*d제곱이 됨니다. [해설작성자 : FKTU인적자원직업전문학교 전기과교수 곽봉구]
13.
선간전압이 66000V인 2개의 평행 왕복 도선에 10kA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도선 1m 마다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몇 N/m인가? (단, 도선 간의 간격은 1m이다.)
가.
1
나.
10
다.
20
라.
200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2×I1×I2×10의-7승)/r 평행전류간 전류의 작용 힘 [해설작성자 : 리뷰뎃]
평행한 두 도선 사이의 힘 F 1. 평행 도선 F=2*I1*I2*10^-7/r 2. 평행 왕복 도선 F=2*I^2*10^-7/r (어떤 문제인지 감이 안 오면 단위 N/m를 보고 평행도선 사이의 힘을 구하는 문제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문제 해설> 전기장과 자기장은 항상 공존 합니다. 이유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자는 핵주위를 전자가 SPIN운동을 합니다 전자의 이동은 전류이고 전류가 회전하면 앙페르의 법칙처럼 자기장이 발생하죠...... 근데 전자의 이동으로 그대로 전류이지만 전류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자기장은 유도 되다보니 공간을 "장" 을 많이 차지하여 자화에너지로 소모 투자율이 유전율보다 엄청 큽니다. 진공 유전율 8.855*10{-12} 진공 투자율 4파이* 10{-7}........ 근데 공존하니 어쨋던 같아져야죠. 그래서 E:H = ROOT H : ROOT E 이런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이걸 풀면 답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E / H = √( μ / ε ) ▶ H = √( ε / μ ) * E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5.
대전 도체 표면의 전하밀도는 도체 표면의 모양에 따라 어떻게 되는가?
가.
곡률이 작으면 작아진다.
나.
곡률 반지름이 크면 커진다.
다.
평면일 때 가장 크다.
라.
곡률 반지름이 작으면 작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곡률이 작다=곡률반경이 크다=끝이 뭉퉁하다=전하밀도가 뽀족한것에 비하여 적다
곡률이 크다=곡률반경이 작다=끝이 뽀족하다=전하밀도가 크다
곡률과 반경은 반대로 외우고 반경이 작아야 뾰족하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뾰족해야 전하밀도가 많이 모입니다,
따라서 1.번은 곡률이 작다는 것은 곡률반경이 크다라는 것이 것이고 크기에 뭉툭하고 전하밀도가 많이 모이지 않습니다. <=답 2.번은 곡률반지름이 크니 곡률이 작은것이고 곡률반지름이 크니 뭉툭하니 전하밀도가 작아야 한다가 맞습니다. 3.번은 개소리 4,번은 곡률반지름이 작으니 뾰족해서 전하밀도가 많이 모이는데 작다라고 했으니 오답 [해설작성자 : 허리케인]
곡률과 전하밀도는 비례, 곡률과 곡률 반지름은 반비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 이러한 개념정리하는 말문제가 의외로 계산 문제보다 어려운데, 전하는 뾰족한곳에 모이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용어 해석을 잘해야 함(허리케인님이 설명 Good Job) [해설작성자 : KET]
<문제 해설> [맥스웰의 전자방정식] 1. rot E= -(dB/dt) 2. rot H= 도전율*E+dD/dt(전도전류=도전율*전계, 변위전류=dD/dt) 3. div B=0 -> m은 혼자 단독으로 존재 불가 4. div D=체적전하밀도 -> 전하는 단독 존재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 3. 고립된 자극이 존재한다. - 자속은 아무리 쪼개고 또 쪼개도 N극과 S극이 상호 존재한다는 의미 (자속밀도는 발산하지 않는다. 자속은 N극에서 나와서 S극의 들어간다는 의미) [해설작성자 : KET]
19.
2㎌, 3㎌, 4㎌의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양단에 가한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킬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단, 유전체의 재질 및 두께는 같다고 한다.)
가.
2㎌의 커패시터가 제일 먼저 파괴된다.
나.
3㎌의 커패시터가 제일 먼저 파괴된다.
다.
4㎌의 커패시터가 제일 먼저 파괴된다.
라.
3개의 커패시터가 동시에 파괴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커패시터 파괴 1. 내압이 다른 경우 → 전하량이 작은 순으로 파괴 2. 내압이 동일한 경우 → 정전용량이 작은 순으로 파괴 (직렬 연결 시 전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전하량이 동일하다 → Q=IT → 전하량이 동일하기에 Q=CV 식에 의해 3개의 커패시터는 모두 같은 전하량을 갖고 내압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이 작은 2F부터 파괴)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정전용량에 반비례하여 커패시터 양단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단, 유전체의 재질 및 두께는 같다고 한다.) 조건에 의하여, 절연파괴는 동일 전압에서 발생할 것이므로 정전용량이 가장 작은 capacitor에 가장 큰 저항이 인가되므로 가장 먼저 파괴된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정전용량의 의미는 유전체=부도체 내부전기에너지의 크기입니다. 무슨소리냐....전기장을 걸면 외부로 나타나는 전기장과 유전체=부도체가 분극되는 내부전기장으로 나눠지는데 정전용량이 크면 내부에 분극에 사용되는 전기에너지가 커집니다. 이로인해 직렬 연결시 저항과 달리 외부로 나타나는 전기장의 세기가 정전용량이 작은쪽이 높은 전압이 걸려 제일먼져 파괴될수 있읍니다.... 요즘 전기 자격증 시험 문제가 개념을 묻는 문제로 바뀌고 있읍니다. 기출 문제 단순 암기보다 개념 위주로 공부하시면 합격률도 올라가고 공부도 재밌어 집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20.
패러데이관의 밀도와 전속밀도는 어떠한 관계인가?
가.
동일하다.
나.
패러데이관의 밀도가 항상 높다.
다.
전속밀도가 항상 높다.
라.
항상 틀리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패러데이관 밀도=전속밀도 패러데이관 양측에 정(+), 부(-) 전하 존재 진전하가 없는 곳에서는 연속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전속 밀도 개념 어렵죠...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개념을 잡으시면 헷갈리지 않읍니다. 영어로 FULX입니다. 전하에서 발생된 전기력선의 총합은 전하량과 항상 같다. 밀도=량/면적 면적에 따라 밀도는 바뀝니다. 장의 개념인데.......태양에서 멀어지면 햇볕에너지의 양이 줄지만 원 태양의 에너지는 변하지않쵸! [해설작성자 : FKTU직업 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2과목 : 전력공학
21.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하는가?
가.
수전전력과 부하율
나.
수전계약용량
다.
공급측 전원의 단락용량
라.
부하설비용량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차측은 공급을 받는 위치 전원측 [해설작성자 : 리뷰뎃]
22.
어떤 발전소의 유효 낙차가 100m이고, 사용 수량이 10m3/s일 경우 이 발전소의 이론적인 출력(kW)은?
가.
4900
나.
9800
다.
10000
라.
1470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9.8 Q H 9.8×10×100=98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초당 10톤의 물이 100m를 낙하하는 위치에너지의 변화량 W=mgh Watt * sec = W (주울) 그러므로, 9.8 * 10*10^3 (kg) * 100 m ....Watt가 되며, 이를 kW로 환산하면 9.8 * m (톤 단위, m^3의 물) * 낙차 가 됨.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P[kW] = 9.8 * Q * H * η ▶ 9.8 * 100 * 10 * 1 = 9800[kW] Q = 유량[m^3/s] , H = 유효낙차[m], η = 효율[%]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3.
피뢰기의 제한전압이란?
가.
상용주파전압에 대한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 전압
나.
충격파 침입 시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전압
다.
피뢰기가 충격파 방전 종료 후 언제나 속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상용주파 최대전압
라.
충격파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의 피뢰기 단자전압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상용주파전압에 대한 피뢰기의 충격방전 개시 전압 - 피뢰기 정격전압 [해설작성자 : 1년안에 쌍기사 도전 ]
피뢰기 제한전압 :피뢰기 동작중 피뢰기 단자전압(선로단자와 접지단자 사이 전압) 방전으로 저하되어(=피뢰기 동작중) 문제에서 충격파 전류가 흐르고 있을때(= 피뢰기 동작중) 이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해설이 이상해서 적어봤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발전기의 정태 안정 극한전력이란?
가.
부하가 서서히 증가할 때의 극한전력
나.
부하가 갑자기 크게 변동할 때의 극한전력
다.
부하가 갑자기 사고가 났을 때의 극한전력
라.
부하가 변하지 않을 때의 극한전력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정태 안정도: 부하 서서히 증가할 때의 안정도 과도 안정도: 부하 급변 시 안정도 동태 안정도: 정태/과도 시 자동전압조정기 등을 이용할 때의 안정도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5.
3상으로 표준전압 3kV, 용량 600kW, 역률 0.85로 수전하는 공장의 수전회로에 시설할 계기용 변류기의 변류비로 적당한 것은? (단, 변류기의 2차 전류는 5A이며, 여유율은 1.5배로 한다.)
전류I구하는 식은 맞지만 203*1.5가 아니라 -> 135.8*1.5를 해줘야 됩니다, 바꾸면 I=600/루트3*3*0.85 = 135.8 135.8*1.5=203.7 203/5=40.74 이므로 가장 가까운 4번이 답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산기 어렵노]
변류비=CT비 CT비 =최대부하전류*(1.5~1.25)/5(2차정격전류) 최대부하전류는 부하를 다 쓰다고 가정해서 구한 전류 P=루트 3*V*I*역률 > 최대부하전류=600/루트3*3*0.85 ==135.84[A] ct비=135.84*(1.5~1.25)/5 (문제에서 여유도 1,5라 했지만 1.25 까지 해도 됩니다) 134.84*1.5=203.76 134.84*1.25=169.8 그러므로 ct비:203이하 169이상 으로 선정해야한다 ct비의 종류 :10,15,20,25,30,40,50,60,75,100,150,200,300,400,500,600,750,1000/5 (1000 넘어서도 있지만 1000넘으면 문제에서 알려준다) 따라서 CT비 : 200/5 를 선정하다 약분하면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 = V I CosΘ I = P / (V CosΘ) CT비 = I * 여유도 / 5 [해설작성자 : 레비아탄]
해당 문제 해설을 이해하는 도중 계산식에서 전체 계산식이 600/루트3*3*0.85로 계산식이 되어 있어 해당 계산식으로 계산하면 값이 883.3459가 나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처음 하시는 분들이 보기에는 잘못 볼 수도 있어 이렇게 수정해 적어봅니다. 계산식 (600/0.85)/(루트3*3)*1.5/5로 하여금 해야 사람들이 볼 때 잘못 이해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30000kW의 전력을 50km 떨어진 지점에 송전하려고 할 때 송전전압(kV)은 약 얼마인가? (단, still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문제 해설> [3권선 변압기] 1. 발전소, 소내용으로 사용된다. 2. 제 3권선을 통해 소내 보조 전력 필요 시 공급 받을 수 있다. 3. 델타 결선을 이용해 제 3고조파 제거 가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변전소 강압용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3번 3권선 맞음 [해설작성자 : 루삥뽕]
[오류신고 반론] 일반 발전소는 1,2차 권선까지만 있으나 조상설비가 있는 발전소는 3차권선으로 무효전력을 조정합니다. 그러므로 3권선 변압기가 정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From 다산에듀]
29.
3상 1회선의 송전선로에 3상 전압을 가해 충전할 때 선에 흐르는 충전전류는 30A, 또 3선을 일괄하여 이것과 대지사이에 상전압을 가하여 충전시켰을 때 전 충전전류는 60A가 되었다. 이 선로의 대지정전용량과 선간정전용량의 비는? (단, 대지정전용량= Cs, 선간정전용량= Cm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step1) 충전전류Ic=WCE (E=상전압) 1. 3상 전압을 가해 충전할 때의 충전전류 Ic1= WE(Cs+3Cm)=30 (각 선별로 서로 대지정전용량이 병렬로 작용하게되어 더해지므로 3Cm임) 2. 3선을 일괄하여 상전압을 가하여 충전하였을때 충전전류 Ic2=3WECs=60 (3선을 일괄하였단것은 즉슨 한 선에 흐르는 전류 3개를 합친게 되므로 1선 충전전류 WCE의 3배 크기가 되며 각 선끼리 작용하는 정전용량이 사라짐)
step2) 위의 충전전류식 Ic1= WE(Cs+3Cm)=30, Ic2=3WECs=60 에서 Ic1/ Ic2 하면 Ic1/ Ic2 = 1/3 + Cm/Cs = 1/2 임 즉 Cm/Cs = 1/6 이라는 결과 도출됨 따라서 1번이 정답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Ic1 = WC(Cs) = 30 Ic2 = WC(Cs+3Cm) = 60 Ic2/Ic1 = (Cs+3Cm)/(Cs) = 2 Cs+3Cm = 2Cs Cs = 3Cm 이기에 정답 3번 아닙니까?? --------------------------------------------------------- 제 윗분 식 대로 풀면 Ic1 = WC(Cs+3Cm) = 30 Ic2 = WC(Cs) = 60 C값이 감소하는데 I 값이 증대하는 것도 이상하고 Ic1/Ic2 = (Cs+3Cm)/(Cs) = 1/2 2(Cs+3Cm) = Cs 니까
Cs = - 6 Cm 로 음수가 나오기 때문에 1번도 정답이 아니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탈수기 : 물을 짜냄 탈기기 : 기체를 짜냄 (산소,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 [해설작성자 : 참이삭]
35.
변류기를 개방할 때 2차측을 단락하는 이유는?
가.
1차측 과전류 보호
나.
1차측 과전압 방지
다.
2차측 과전류 보호
라.
2차측 절연 보호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T: 2차 측 개방 → 개방 X 시 과전류가 흘러 계기 소손 CT: 2차 측 단락 → 단락 X 시 과전압이 가해져 절연 파괴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36.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 손실율, ㉡: 발열량, ㉢: 물, ㉣: 차
나.
㉠: 열효율, ㉡: 전력량, ㉢: 연료, ㉣: 비
다.
㉠: 발전량, ㉡: 증기량, ㉢: 연료, ㉣: 결과
라.
㉠: 연료소비율, ㉡: 증기량, ㉢: 물, ㉣: 차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발전기 열효율 = 860 * W / ( B * H ) = 860 * 발전 전력량 / ( 연료량 * 연료 발열량 ) [해설작성자 : 초보는 돌아간다]
37.
다음 중 전압강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ES는 송전단전압, ER은 수전단전압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압강하율을 나타내는 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Es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단상 또는 3상일 때 1,2번의 식이 나오고 Es가 주어져 있는 경우 3번의 식이 나옵니다. 마지막 식만 해당이 안돼서 답은 4번인데 문제를 제대로 읽지 않고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38.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과 관련된 것은?
가.
페란티 효과
나.
표피 효과
다.
근접 효과
라.
도플러 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페란티 현상] 경/무부하 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커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페란티현상 :송전단 전압보다 수전단 전압이 더 커지는 현상 원인: 선로의 정전용량(충전용량)의 앞선전류 진상전류 충전전류 방지대책: 분로리액터(병렬리액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일 중요한 권수비 권수비=상전압/상전압 ,상전류/상전류 비 입니다 그러므로 델타 결선은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같으므로 1차 상전압은 V 이다 2차 상전압은 권수비를 이용하여 구한다 2차 상전압=1차상전압/권수비 따라서 2차 상전압 = V/a 입니다 2차 선간전압은 2차가 Y결선으므로 선간전압은 상전압보다 루트3배 크다 2차 선간전압 = 루트3 *2차상전압 =루트3*V/a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권수비) a = V1 / V2 ▶ V2 = V1 / a ※△결선 = Vp(상전압) = Vl(선간전압), Y결선 = √3 * Vp(상전압) = Vl(선간전압) 2차 선간전압)V2[V] = √3 * V1(상전압) / 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6.
단상 및 3상 유도전압조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3상 유도전압조정기에는 단락권선이 필요 없다.
나.
3상 유도전압조정기의 1차, 2차 전압은 동상이다.
다.
단락권선은 단상 및 3상 유도전압조정기 모두 필요하다.
라.
단상 유도전압조정기의 기전력은 회전자계에 의해 유도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단상 유도전압 조정기] 1. 교번자계 이용 2. 1, 2차 전압의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음 3. 단락코일 필요 [3상 유도 전압 조정기] 1. 회전자계 이용 2. 1, 2차 전압의 위상차 존재 3. 단락코일 불필요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47.
12극과 8극인 2개의 유도전동기를 종속법에 의한 직렬접속법으로 속도제어할 때 전원주파수가 60Hz인 경우 무부하 속도 No는 몇 rps인가?
가.
5
나.
6
다.
200
라.
360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Ns 구하는 공식 120f/P에서 P=P1+P2=12+8=20 f=60 대입하면 360[rpm]이 나옵니다. 하지만 문제에선 초당 회전속도인 rps를 물었으므로 60을 한번 더 나눠줘야 하기 때문에 Ns는 6이 됩니다. (N0=Ns)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변압기의 용량 P = 출력 [kw] / 역률 * 효율 = 30 / 0.84 * 0.86 = 41.53 [kVA] 2대의 단상 변압기를 사용 : V결선 이므로 Pv = 루트3 k 에서 변압기 1대 용량 K = 41.53 / 루트3 = 24kVA [해설작성자 : 림밍]
53.
3상, 6극, 슬롯 수 54의 동기발전기가 있다. 어떤 전기자 코일의 두 변이 제1슬롯과 제8슬롯에 들어있다면 단절권 계수는 약 얼마인가?
가.
0.9397
나.
0.9567
다.
0.9837
라.
0.9117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단절권 계수 kp=sin(β/2)π, β=코일간격/극간격, 코일간격은 1슬롯으로 들어가 8슬롯으로 나올 때 그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므로 7이고, 극간격은 한 극당 슬롯이 몇 개 들어있나 하는겁니다. 54/6=9니까 베타는 7/9 나오고 단절권 계수 식에 대입할 때 계산기 모드를 따로 설정해놓지 않은 경우 파이를 약 3.14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180을 대신 넣어주면 0.93969...로 약 0.9397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에서 모든 초기 값을 0으로 하고 라플라스 변환했을 때 I(s)는? (단, I(s), Ei(s)는 i(t), ei(t)를 라플라스 변환한 것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E(s)=(R+SL+1/sc)I(s)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미분정리 적분 정리를 이용> Eis=Ris+SLis+1/Sc is (is로 묻는다) Eis=is(R+SL+1/SC) > is= Eis/(R+SL+1/Sc) 인데 보기 식을 보니 없으니 분모를 통분 해야한다 분모통분 is=SC*Eis/s^2*LC+RCs+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tip: 라플라스변환을 정확히 이해 하고 싶은 분은 1.자연상수 e를 먼져이해하세요 자연상수 e는 수렴의 원칙을 따릅니다.2.맥클리린급수와 멱미분급수를 이해하세요3.부분적분을 이해하세요 4.보소함수를 이해해야합니다 그러면 왜 i(t)가 I(S)로 t/dt가 S로 인테그랄 i(t)가 1/S로 바뀌는지 이해됩니다. 암기해서 대응하기엔 힘든 과정 입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62.
기본파의 30%인 제3고조파와 기본파의 20%인 제5고조파를 포함하는 전압의 왜형률은 약 얼마인가?
cos + sin = 1 sin = 루트 1-cos^2 cos0.8 = sin0.6 cos0.6 = sin0.8 cos1 = sin0 cos0 = sin1 등등 몇가지 더 있지만 막상 생각나는 기본적인 것들만 적어봐요 외워두시면 문제풀이시 시간단축이 길게보면 많이 줄어들어 총 공부시간에 큰 영향일겁니다! [해설작성자 : Ann]
<문제 해설> 병렬 단일 소자 회로 입니다....... A B I 1 0 I C D I Y 1 I
그림을 똑바로 보세요! 어드미턴스 뿐이죠.......직렬 회로가 아니죠....! 4단자망은 1. 직렬 회로의 전압강하의 원리와 병렬 회로의 전류 감소의 원리가 다입니다. 2. 나머진 행렬의 계산법을 이용한겁니다....... 복잡하고 이해가 어렵지만 위의 2가지 원리를 이해하면 정말 쉬운 단순 계산입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68.
회로에서 10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A)는?
가.
8
나.
10
다.
15
라.
20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중첩의 원리 사용 1. 10A기준 : 10V 단락, 2A 개방, 3A 개방하므로 10옴에는 10A만 흐른다. 2. 10V기준 : 2A 개방하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2A기준 : 10A, 3A 개방, 10V단락되므로 10옴에는 2A만 흐른다. 4. 3A기준 : 10A, 2A 개방, 10V단락되므로 10옴에는 3A만 흐른다. 종합하여 10A + 2A + 3A = 15A [해설작성자 : 항공은날지못한다]
전압원과 전류원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시는 전압원 무시하고 계산하면 계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10Ω의 저항 5개를 접속하여 얻을 수 있는 합성저항 중 가장 적은 값은 몇 Ω인가?
가.
10
나.
5
다.
2
라.
0.5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직렬 연결시 5*10=50 병렬 연결시 10/5=2 [해설작성자 : 안양피카츄]
저항값R이 동일항경우 저항갯수n만 다른경우의 조건시 직렬 R×n 병렬 R/n [해설작성자 : 리뷰뎃]
70.
동일한 용량 2대의 단상 변압기를 V결선하여 3상으로 운전하고 있다. 단상 변압기 2대의 용량에 대한 3상 V 결선시 변압기 용량의 비인 변압기 이용률은 약 몇 % 인가?
6×20=120V, 합성저항 (20×30)/(20+30)=12 I=V/R, ?=120/12 따라서 10A [해설작성자 : 니에]
(6*20 / 30)+4 = 10A [해설작성자 : 성중]
※병렬연결시 전압은 동일함 V[V] = I * R ▶ 6 * 20 = 120[V] I[A] = V / R ▶ 120 / 30 = 4[A] 전체전류)I[A] = I1 + I2 ▶ 6 + 4 = 1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4.
의 라플라스 역변환은?
가.
αeAt
나.
Aeαt
다.
αe-At
라.
Ae-αt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파수 함수 F(s)를 시간함수 f(t)로 전환하는 문제 A/(a+s)에서 A를 앞으로 뺀후[A*{1/(a+s)}] 주파수 함수 식인 1/(a+s)를 지수함수로 변경[e^-at] 그래서 답은 Ae^-at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 합격준비중]
75.
RC 직렬회로의 과도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과도상태 전류의 크기는 (R×C)의 값과는 무관하다.
나.
(R×C)의 값이 클수록 과도상태 전류의 크기는 빨리 사라진다.
다.
(R×C)의 값이 클수록 과도상태 전류의 크기는 천천히 사라진다.
라.
(1/R×C)의 값이 클수록 과도상태 전류의 크기는 천천히 사라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시정수와 과도시간은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76.
불평형 Y 결선의 부하 회로에 평형 3상 전압을 가할 경우 중성점의 전위 Vn′n(V)는? (단, Z1, Z2, Z3는 각 상의 임피던스(Ω)이고, Y1, Y2, Y3는 각 상의 임피던스에 대한 어드미턴스(℧)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밀만의 정리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77.
RL 병렬회로에서 t=0일 때 스위치 S를 닫는 경우 R(Ω)에 흐르는 전류 iR(t)(A)는?
가.
나.
다.
I0
라.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전체 전류=정상전류(t=무한대)+과도전류(t=0) 문제에서 t=0일 때, 따라서 과도전류만 흐를 떄임. 따라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RL병렬회로의 스위치를 닫으면 그 전류의 순시값 i(t)=(E/R)*(1-{e^(-Rt/L)}) [A]가 된다고 쓰여 있는데 답이 1번이 되어야하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의문_제기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R-L 직렬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으면 초기 전류는 다 R에 걸리고 차차 줄어드는데 Ie^(-Rt/L)4번이 맞네요 [해설작성자 : 아마 L에 걸리는 전류 식이랑 헷갈리신듯]
78.
1상의 임피던스가 14+j48(Ω)인 평형 △부하에 선간전압이 200V인 평형 3상 전압이 인가될 때 이 부하의 피상전력(VA)는?
가.
1200
나.
1384
다.
2400
라.
4157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3상 전압 인가 시 피상전력을 주의해서 보셔야 합니다.(처음에는 저도 2번 함) - 1상의 임피던스 루트 씌워서 계산 시 Z=50 → 델타 결선 시 선간=상전압 따라서 Ip=Vp/Z=200/50=4 델타 결선 시 선간전류=루트3상전압 → Il=루트3*4 따라서 Pa= 루트3*루트3*4*200=2400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상전류 상전압으로 풀면 3 x 4 x200 선전류 선전압으로 푸렴 루트3 x 루트3x4 x200 선,상에 따른 전력구할시 차이 알아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서 델타 결선 시 선간전류=루트3에 상전압이 아니고 상전류입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Z = 루트(14^2+48^2) = 50 VA = (200^2/50) × 3 = 2400
델타결선을 Y 결선으로 변환하면, 그 저항이 각각 2옴, 6옴, 6옴이 된다. 그러므로, 2옴과 직렬 연결된 가변저항 R은 4옴이 되어야 Y 결선이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위의 계산식은 '델타결선 저항'을 'Y결선 등가저항으로 변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철웅거사]
그냥 델타 결선상태로 계산하세요.... c와b단자 사이가 병렬 관계로 합성 저항이 12옴 이죠! c와a단자 사이가 병렬 관계로 8옴 + x 죠 .... 그래서 4옴이 쉽게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 교수 곽봉구]
2선을 직렬로 연결하고 나머지 선과 병렬 연결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10+10) * 30/ 50 = 12옴 (10+30) * 10/ 50 = 8옴이 나오고 12옴과 같으려면 4옴을 직렬 연결 해주면 되니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 → Y 결선으로 변경 Za = Za * Zb / Za + Zb + Zc ▶ 10 * 10 / 10 + 10 + 30 = 2[Ω] Zb = Zb * Zc / Za + Zb + Zc ▶ 10 * 30 / 10 + 10 + 30 = 6[Ω] Zc = Za * Zc / Za + Zb + Zc ▶ 10 * 30 / 10 + 10 + 30 = 6[Ω] 선전류가 모두 같게 되기 위한 R[Ω] = 4[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1.
22900V용 변압기의 금속제 외함에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5. 연접인입선 가. 분기점으로 100m 이내 지역까지만 연접하여 시설할 것 나. 5m 이상의 도로 횡단 금지 다. 저압만 연접 가능 라. 옥내 통과 금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6.
기구 등의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에서 최대 사용전압이 60kV를 초과하는 기구 등의 전로로서 중성점 비접지식전로에 접속하는 것은 최대 사용전압의 몇 배의 전압에 10분간 견디어야 하는가?
가.
0.72
나.
0.92
다.
1.25
라.
1.5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절연내력시험은 최저 시험시간 10분을 견뎌야함. 7k이하 전로인경우 1.5배 7k초과 비접지식인 경우 1.25배 60k초과 중서점 접지식인 경우 1.1배 [해설작성자 : 리뷰뎃]
87.
저압 가공전선(다중접지된 중성선은 제외)과 고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저압 가공전선과 고압 가공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각도주(角度柱), 분기주(分破柱) 등에서 혼촉(混觸)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가 아니다.)
가.
50
나.
60
다.
80
라.
100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고압과 저압의 이격거리 50cm(케이블 사용시 30cm)
[병가] 1. 저/고압선: 0.5m(고압선을 케이블 시설 시 0.3m) 2. 특고압선 가. 35kV 이하: 1.2m(케이블: 0.5m) 나 35~60kV: 2m(케이블: 1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저 고압 가공전선 교차시 이격거리 - 고압가공전선과 저압가공전선과의 교차시 거리는 80cm 케이블인경우 40cm이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제 03장_25 제97조]
[추가 오류 신고] 고압가공전선과 저압가공전선과의 교차시 거리는 일반: 80cm / 케이블 :40cm 아닌가요? (KEC 개정 후) [해설작성자 : 민규지롱]
[오류신고 반론] 병가랑 헷갈렸나봅니다 <병가> 고압-저압 동일 지지물 시설 = 일반 : 50cm / 케이블 :30cm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0.8m은 교차시 0.5는 병가시 [해설작성자 : 챔교육]
88.
폭연성 분진이 많은 장소의 저압 옥내배선에 적합한 배선공사방법은?
가.
금속관 공사
나.
애자사용 공사
다.
합성수지관 공사
라.
가요전선관 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금속관은 거의 모든 폭연 분진등 폭발위험장소에 설비가능한 배관임. 위험물있는데는 기본적으로 금속관이 만능 [해설작성자 : 리뷰뎃]
폭연성 분진 위험 장소: 금속관/케이블 배선(캡타이어 케이블 제외) 가연성 분진 위험 장소: 금속관/케이블/합성수지관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89.
절연내력시험은 전로와 대지 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어야 한다. 최대 사용전압이 22.9kV인 중성선 다중 접지식 가공전선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인가?
가.
16488
나.
21068
다.
22900
라.
28625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2900×0.92 = 21068 [해설작성자 : iiilegendiii]
다중접지 = 0.92배 접지 = 1.1배 비접지 = 1.25배
7kv 이하 1.5배
90.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이 도로·횡단보도교·철도의 레일 등 또는 교류 전차선 등과 교차하는 경우의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인장강도 4.0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3.5mm 경동선일 것
나.
통신선이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일 때에는 이격거리의 제한이 없다.
다.
통신선과 삭도 또는 다른 가공약전류 전선 등 사이의 이격거리는 20cm 이상으로 할 것
라.
통신선이 도로·횡단보도교·철도의 레일과 교차하는 경우에는 통신선은 지름 4mm의 절연전선과 동등 이상의 절연 효력이 있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전선 가. 8.01 kN 이상 또는 단면적 25(단선일 경우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 나. 단면적 16(단선일 경우 지름 4mm) 이상의 절연전선 2. 특고압선과 통신선 교차 시 가. 특고압선 밑에 통신선 시설할 것(이격거리 6m 이상이면 상관없음) 나. 단면적 25 이상의 경동선,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것 3. 통신선과 저압 가공전선, 다른 가공약전류 전선 교차 시 - 통신선을 그 위에 시설할 것 - 아래에 시설할 경우 단면적 16(단선 4mm) 이상의 절연전선 사용하거나 동등한 절연내력의 선 사용 시 가능 4. 통신선과 다른 가공약전류 전선 또는 삭도와의 이격거리 가. 이격거리 0.8m(케이블, 광케이블 사용 시: 0.4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1.
시가지 또는 그 밖에 인가가 밀집한 지역에 154kV 가공전선로의 전선을 케이블로 시설하고자 한다. 이 때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장치의 50% 충격섬락전압 값이 그 전선의 근접한 다른부분을 지지하는 애자장치 값의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75
나.
100
다.
105
라.
110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30kV 이하 : 충격섬락전압 50프로 값이 근처 애자의 110% 130kV 초과: 105%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2.
변압기에 의하여 154kV에 결합되는 3300V 전로에는 몇 배 이하의 사용전압이 가하여진 경우에 방전하는 장치를 그 변압기의 단자에 가까운 1극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2
나.
3
다.
4
라.
5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배 이하의 전압이 가해진 경우 방전 장치를 가까운 1극에 설치 (단, 피뢰기를 설치 했거나, 혼촉방지판을 설치해 접지저항이 10옴 이하인 경우 제외)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변압기 2차측이 고압인경우 (고압은 7000 이하) 입니다 사용전압이 3배이하 전압이 가해진경우 방전하는 장치 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고압 가공전선으로 ACSR(강심알루미늄연선)을 사용할 때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 되는 이도(弛度)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1.38
나.
2.1
다.
2.5
라.
4.01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안전율] 경동선, 내열동합금선: 2.2 그 외: 2.5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4.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차의 압유장치의 유압, 압축공기장치의 공기압 또는 전동식 브레이드 제어장치의 전원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발전기를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발전기 용량은 몇 kVA 이상인가?
가.
100
나.
300
다.
500
라.
1000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풍차 500kVA 수차 100kVA(베어링 온도 2000kVA) 변압기 10000kVA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오류신고 반론] 정답 1번 맞습니다. 다산에듀 개정판 기준 풍차 100kVA 수차 500kVA 입니다. [해설작성자 : 건대생]
[오류신고 반론] 풍차-100 KVA 수차-500 KVA 해설이 애매해서 직접 알아봤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상한 해설은 치과로 가세요~ 킄 웃었다 ㅋ]
[오류신고 반론] 풍차-100kVA 수차-500kVA 가 맞습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0-738호 한국전기설비규정(KEC)" 351.3 1번 나, 다항 내용 직접 확인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EUREKA]
[오류신고 반론] 47조 (발전기 등의 보호장치) ① 발전기에는 다음 각 호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1. 발전기에 과전류나 과전압이 생긴 경우 2. 용량이 500kVA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수차의 압유 장치의 유압 또는 전동식 가이드밴 제어장치, 전동식 니이들 제어장치 또는 전동식 디플렉터 제어장치의 전원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3. 용량 100kVA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차(風車)의 압유장치의 유압, 압축 공기장치의 공기압 또는 전동식 브레이드 제어장치의 전원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4. 용량이 2,000kVA 이상인 수차 발전기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 경우 5. 용량이 10,000kVA 이상인 발전기의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6. 정격출력이 10,000kW를 초과하는 증기터빈은 그 스러스트 베어링이 현저하게 마모되거나 그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 경우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기술기준 - 판단기준 전문]
95.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 적합한 누전차단기는?
가.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
나.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압동작형 누전차단기
다.
정격감도전류 20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
라.
정격감도전류 20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압동작형 누전차단기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감전 우려가 있는 콘센트] -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내인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기계 기구] -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내인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6.
풀장용 수중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변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절연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은 150V 이하이어야 한다.
나.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는 반드시 제2종 접지 공사를 하며, 그 저항값은 5Ω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
절연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경우에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금속제의 혼촉방지판이 있어야 한다.
라.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가 있어야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수중조명등 시설] 1. 절연변압기: 1차측 400V 미만, 2차측 150v 이하 2. 사용 전압 가. 30kV 이하: 혼촉방지판 시설 나. 30kV 초과: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의 누전차단기 시설 3. 각 극에 과전류차단기와 개폐기 시설 4. 수중조명등 용기 - 부식이 안 되는 것, 나사같은 것은 자기제로 만들 것, 완성품은 2kV 교류 전압에 1분 간 절연 시험할 것 5. 사람이 출입 우려가 없는 곳의 대지전압: 150V 이하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7.
건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안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은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한하여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에 접촉하여 시설할 수 있다. 이때 전선의 붙임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0.5
나.
1.0
다.
1.5
라.
2.0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진열장 사용전압 400 v이하 단면적 0.75mm^2이상인 코드 또는 케이블 붙임점간의 거리 1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KEC 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사용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가.
지선에 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소선(素線)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나.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 허용 인장하중의 최저는 3.31kN으로 할 것
다.
지선에 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소선의 지름이 2.6mm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
라.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철탑은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시키지 않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최소 인장하중 4.31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9.
뱅크용량 15000kVA 이상인 분로리액터에서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가.
내부 고장 시
나.
과전류 발생 시
다.
과전압 발생 시
라.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동 전로 차단장치 시설 가) 분로리액터, 전력용 커패시터 1. 500~15000kVA : 내부 고장, 과전류 2. 15000kVA 이상: 내부 고장, 과전류, 과전압 나) 조상기 15000kVA 이상: 내부 고장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100.
발열선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 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