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율이 각각 다른 두 종류의 유전체 경계면에 전속이 입사될 때 이 전속은 어떻게 되는가? (단,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하지 않는 경우이다.)
가.
굴절
나.
반사
다.
회절
라.
직진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수직 입사 시: 직진 수직 x 시: 굴절(유전율1>유전율2 -> @1>@2)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
반지름이 9cm인 도체구 A에 8C의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 도체구에 반지름 3cm인 도체구 B를 접촉시켰을 때 도체구 B로 이동한 전하는 몇 C인가?
가.
1
나.
2
다.
3
라.
4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반지름이 9cm이었던 도체구에 반지름이3cm인 도체구를 접촉시키면 두 도체구의 반지름의 합이 12cm가 되고 비율로 따지면 3:1의 비율을 갖는다. 이때 전하도 똑같은 비율을 적용하면 도체구A에는 6C의 전하가, 도체구B에는 2C의 전하가 분포되게 되므로 정답은 2번이다 [해설작성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회동3길 30 김현숙]
a2/a1+a2 = 3/9+3 = 1/4 = 8*1/4 = 2 [해설작성자 : 전기충]
도체구의 축전량 공식 C=4*pi*엡실론제로*r 를 보면 축전량은 반지름으로 결정된다. 접촉된 두 구의 반지름 비율은 9:3이므로 전하도 9:3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도체구B의 전하는 8x(3/9+3) = 2C [해설작성자 : 전기 초보]
3.
내구의 반지름 a(m), 외구의 반지름 b(m)인 동심 구 도체 간에 도전율이 k(S/m)인 저항물질이 채워져 있을 때의 내외구간의 합성저항(Ω)은?
자기 인덕턴스가 L1, L2이고 상호 인덕턴스가 M인 두 회로의 결합계수가 1일 때, 성립되는 식은?
가.
L1 · L2 = M
나.
L1 · L2 < M2
다.
L1 · L2 > M2
라.
L1 · L2 = M2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M = K루트L1L2 = K(L1L2)^1/2 K는 결합계수이고 0 ~ 1 의 값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춘천폴리텍]
M=K루트L1*L2 입니다 여기서 문제에 K에 1을 대입해 달라 햇으니 M=루트L1*L2 가 나오고 여기서 모두 제곱을 해주면 M^2제곱 = L1*L2 가 나옵니다 이게 답입니다 ^^ [해설작성자 : 옥천 오한길]
14.
어떤 콘덴서의 비유전율 εs인 유전체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와 공기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0의 비(C/C0)는?
가.
εs
나.
1/εs
다.
√εs
라.
1/√εs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C0=ε0 , C= ε= ε0* εS
C/C0 = ε0 * εS/ ε0 = εS [해설작성자 : KET]
15.
유전체에서의 변위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변위전류가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킨다.
나.
변위전류의 크기는 유전율에 반비례한다.
다.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가 변위전류를 발생시킨다.
라.
유전체 중의 변위전류는 진공 중의 전계 변화에 의한 변위전류와 구속전자의 변위에 의한 분극전류와의 합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변위전류밀도 = @D/@t D = E * 유전율 [해설작성자 : ..]
16.
환상 솔레노이드의 자기 인덕턴스(H)와 반비례 하는 것은?
가.
철심의 투자율
나.
철심의 길이
다.
철심의 단면적
라.
코일의 권수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환상 솔레노이드 자기 인덕턴스 L =μS N^2 / l S는 단면적 N은 권수 l은 길이(2파이r) [해설작성자 : 춘천폴리텍]
17.
자성체에 대한 자화의 세기를 정의한 것으로 틀린 것은?
가.
자성체의 단위 체적당 자기모멘트
나.
자성체의 단위 면적당 자화된 자하량
다.
자성체의 단위 면적당 자화선의 밀도
라.
자성체의 단위 면적당 자기력선의 밀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J= Q/S = M/V [해설작성자 : ㅁ]
자기력선의 밀도 와 자화선의 밀도는 다릅니다. 자기력선의 밀도 개념은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기장이며 자화선의 밀도 개념는 내부에서 자화되려는 자기장 입니다. 자기모멘트는 면적을 체적으로 바꿀때 길이가 꼽해져 자기모멘트로 바뀐겁니다. 그래서 4번이 틀린거 입니다. [해설작성자 : FKTU직업전문학교 전기과교수 곽봉구]
18.
두 전하 사이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가.
두 구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나.
전기쌍극자에 의한 전계
다.
직선 전하에 의한 전계
라.
전하의 의한 전위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세제곱에 반비례 하는 것을 찾아라는 문제여야 하는데 비례하는 것으로서 답이 없음. 그래서 전체 정답 처리 된듯 세제곱에 반비례 하는 것일 경우 전기쌍극자에 의한 전계 [해설작성자 : KET]
<문제 해설> # 비율차동계전기 KIL(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에 의한 입력되는 전류와 전력 계통을 거쳐 되돌아 오는 합성 전류의 차이를 비교 (EX : 10A가 입력되면, 기기 및 계통에서 누설되는 전류가 없다면 되돌아 오는 합성전류도 10A 이여함) [해설작성자 : KET]
29.
송전선로에서 역섬락을 방지하는 가장 유효한 방법은?
가.
피뢰기를 설치한다.
나.
가공지선을 설치한다.
다.
소호각을 설치한다.
라.
탑각 접지저항을 작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피뢰기 - 이상전압을 대지로방전. 기기의 전연보호 (이상전압이 생기면 한전 기기 보호하겠다는 거죠. 변압기 변성기 등) 가공지선 - 낙뇌(벼락, 번개)로 부터 송전선로 보호 소호각 - 이상전압으로 부터 애자련 보호 (이상전압이 생기면 한전 기기 보호하겠다는 거죠.)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30.
교류 송전방식과 직류 송전방식을 비교할 때 교류 송전방식의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
가.
전압의 승압, 강압 변경이 용이하다.
나.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다.
다.
송전효율이 좋다.
라.
안정도가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1.전압의 승압, 강압 변경이 용이하다. - 상용전원으로서 교류 송전방식을 채택한 가장 결정적인 이유 에디슨 : 직류(DC)송전방식 주창 테슬라 : 교류(AC)송전방식 주창 결정적으로, 경제적 비용적인 측면의 합리성 및 당시 기술의 한계라는 복합적인 면에서 송전간 교류 특유의 리액턴스 성분의 존재라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교류송전 방식이 표준으로서 채택됨 현재는, 기술의 발달로 송전효율이 높은 직류 송전 방식의 장점을 이용하여 해상송전로 등 직류 송전 방식을 점차 사용중
[해설작성자 : KET]
31.
단상 2선식 교류 배전선로가 있다. 전선의 1가닥 저항이 0.15Ω이고, 리액턴스는 0.25Ω이다. 부하는 순저항부하이고 100V, 3kW 이다. 급전점의 전압(V)은 약 얼마인가?
가.
105
나.
110
다.
115
라.
124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단상 2선식 2I(Rcosθ+Xsinθ) 급전점의 전압(송전단전압) Vs=Vr+e =Vr+2I(Rcosθ+Xsinθ) 부하는 순저항부하이고 라는 말은 Xsinθ는0이고 cosθ는 1이 됩니다. Vr+2IR (I=P/V 3000/100=30) 100+2*30*0.15=109V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계자전류=220/40=5.5[A] 기동전류=105*1.5= 157.5[A] 전기자전류=157.5-5.5=152[A] R=V/I=220/152=1.45 기동저항=1.45-0.1=1.35 [해설작성자 : 전기 정말 초보]
계자전류)If[A] = V / Rf ▶ 220 / 40 = 5.5[A] 기동전류)I[A] = 105 * 1.5 = 157.5[A](※기동전류는 정격의 150[%] 이므로) 전기자전류)Ia[A] = I - If ▶ 157.5 - 5.5 = 152[A] 전체저항)R[Ω] = V / Ia ▶ 220 / 152 = 1.45[Ω] 기동저항)Rs[Ω] = R - Ra ▶ 1.45 - 0.1 = 1.35[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5.
전기자저항과 계자저항이 각각 0.8Ω인 직류 직권전동기가 회전수 200rpm, 전기자전류 30A 일 때 역기전력은 300V이다. 이 전동기의 단자전압을 500V로 사용한다면 전기자전류가 위와 같은 30A로 될 때의 속도(rpm)는? (단, 전기자 반작용, 마찰손, 풍손 및 철손은 무시한다.)
2차 임피던스를 1차로 환산하려면 권수비의 제곱을 곱해주면 됩니다. 1차 임피던스를 2차 임피던스로 환산하려면 권수비의 제곱으로 나눠주면 되고요.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52.
동기발전기의 단자 부근에서 단락이 발생되었을 때 단락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서서히 증가한다.
나.
발전기는 즉시 정지한다.
다.
일정한 큰 전류가 흐른다.
라.
처음은 큰 전류가 흐르나 점차 감소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평형 3상 전압을 유기하고 있는 발전기의 단자를 갑자기 단락하면 단락 초기에 전기자 반작용이 순간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막대한 과도전류가 흐르고, 그 후 전기자 반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단락전류가 서서히 감소하고 수 초 후에 영구 단락전류값에 이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ㅇㅇ]
53.
어떤 공장에 뒤진 역률 0.8인 부하가 있다. 이 선로에 동기조상기를 병렬로 결선해서 선로의 역률을 0.95로 개선하였다. 개선 후 전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반콘분셰는 기동토크가 큰 순서로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단락장치의 유무와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동 시 정류자에 불꽃이 일어나려면 기동 토크가 강해야합니다 또한 단락장치에 고장이 일어나야 하니 단락장치가 있어야겠죠 직권 전동기에는 정류자,전기자,계자,브러쉬가 있고 단락장치는 없으며, 셰이딩 코일형은 기동토크가 매우 작습니다. 그러므로 지문의 조건에 모두 충족하는 답은 3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r1(Ω)인 저항에 r(Ω)인 가변저항이 연결된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를 최소로 하기 위한 저항 r2(Ω)는? (단, r(Ω)은 가변저항의 최대 크기이다.)
가.
r1/2
나.
r/2
다.
r1
라.
r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류를 최소로 하기 위한 저항 -> 가변저항을 반반으로 동일하게 나누어짐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64.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Va, Vb, Vc(V)를 평형 3상 전압이라 할 때 전압 V0(V)은?
가.
0
나.
V1/3
다.
라.
V1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평형 시 영상 정상 역상 중 정상분 값만 존재한다. 이때 세 전압 Va Vb Vc의 합은 0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65.
9Ω과 3Ω인 저항 6개를 그림과 같이 연결하였을 때, a와 b 사이의 합성저항(Ω)은?
가.
9
나.
4
다.
3
라.
2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위에서 1,2번째 검은 점을 가운데 하나로 모으고 밑에 검은 점을 중앙으로 옮기면은 휘스톤 브리지가 만들어지는데 1,4번째 저항의 곱과 2,3번째 저항의 곱이 각각 27로 같아지면서 가운데 3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의미가 없어집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9옴 두개 직렬, 3옴 2개 직렬, 9옴 하나 이렇게 3병렬이 되고 18,6,9 병렬접속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이 회로는 델타 결선 안에 y결선이 있는 회로로 변환이 가능 변환시킨 회로에서 y결선을 델타결선으로 바꿔주면 9옴과 9옴이 병렬로 연결 되있음 계산하면 4.5옴이 델타 결선으로 연결 마지막으로 계산하면 (4.5+4.5) * 4.5 40.5 ------------------ = ---- = 3 (4.5+4.5)+4.5 10.5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문제 해설> I=I1+I2=0+1=1[A] 5V 단락시키면 전압이 있던 자리의 저항이 0이 되므로 5Ω에 흐르는 전류는 0 10V 단락시키면 10Ω과 5Ω이 전압과 병렬을 이루게 됩니다. 셋다 5V가 걸리게 되고 5Ω에 5V가 걸리므로 흐르는 전류는 1A, 10Ω에도 5V로 0.5A가 흐르게 되니 저항에 따라 전류가 잘 흐르네요.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A]
68.
전류의 대칭분이 I0=-2+j4(A), I1=6-j5(A), I2=8+j10(A) 일 때 3상전류 중 a상 전류(Ia)의 크기(|Ia|)는 몇 A 인가? (단, I0는 영상분이고, I1은 정상분이고, I2는 역상분이다.)
직류식 전기철도에서 배류선의 상승 부분 중 지표상 몇 m 미만의 부분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고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1.5
나.
2.0
다.
2.5
라.
3.0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KEC 개정으로 삭제된 문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고압전로 또는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혼촉 2종 [해설작성자 : 종명이 짝궁]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5.
변압기에 의하여 특고압전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에는 사용전압의 몇 배 이하인 전압이 가하여진 경우에 방전하는 장치를 그 변압기의 단자에 가까운 1극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3
나.
4
다.
5
라.
6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고압전로에 사용전압의 3배 이하의 전압이 가해진 경우 방전하는 장치를 가까운 1극에 시설 (하지만, 피뢰기를 시설했거나 혼촉방지판을 시설하여 접지저항값이 10옴 이하인 경우 제외)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86.
수상전선로의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는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나.
수상전선로에 사용하는 부대(浮臺)는 쇠사슬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한다.
다.
고압 수상전선로에 지락이 생길 때를 대비하여 전로를 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한다.
라.
수상전선로의 전선은 부대의 아래에 지지하여 시설하고 또한 그 절연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수상전선로 시설 기준] 1. 전선: 저압의 경우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고압의 경우: 캡타이어 케이블 2. 전선의 접속점: 육상에 있는 경우 5m(저압이고 도로에 시설하지 않은 경우: 4m) 3. 피복 내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시설 4. 부대는 쇠사슬로 견고하게 연결 5. 전선은 부대 위에 위에 시설하며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시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 전선 등 저압 또는 고압의 가공전선이나 저압 또는 고압의 전차선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60kV 이하 가공전선과 저고압 가공전선 등 또는 이들의 지지물이나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인가?
가.
1.2
나.
2
다.
2.6
라.
3.2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저압 0.6m(60cm) 케이블 0.3m(30cm) 저육삼 고압 0.8m(80cm) 케이블 0.4m(40cm) 고팔사 [해설작성자 : 초급전기]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는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지표상 몇 m 미만에는 시설하지 않아야 하는가?
가.
1.5
나.
1.8
다.
2.0
라.
2.2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발판볼트는 작업자 외에 함부로 일반인이 승주하면 안되기 때문에 평균 키 이상인 1.8m 이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89.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 사이에 보호망을 시설하는 경우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상호 간의 간격은 가로 및 세로를 각각 몇 m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0.75
나.
1.0
다.
1.25
라.
1.5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보호망 => 상호간 간격 1.5m이하, 1종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하나]
90.
옥내 고압용 이동전선의 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전선은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였다.
나.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였다.
다.
이동전선과 전기사용기계기구와는 볼트 조임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에 접속하였다.
라.
이동전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중성극에 전용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옥내용 고압 이동전선 시설] 1. 이동전선: 고압용 캡타이어 케이블 사용 2. 이동전선과 기계기구는 볼트 조임 등 기타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 3. 이동전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각 극에 전용 개폐기와 과전류 차단기, 지락 시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시설 (유도전동기 2차측 전로 제외, 중성극 제외)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1.
교통신호등의 시설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어장치의 금속제 외함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나.
교통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은 300V 이하로 한다.
다.
교통신호등 회로의 인하선은 지표상 2m 이상으로 시설한다.
라.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교통신호등의 설치는 KS C 7528 “LED 교통신호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선의 굵기, 높이 2.5 [해설작성자 : 전기초급]
제3종 접지. 300V 이하. 2.5m 이상 3325 삼삼이오 [해설작성자 : 소성]
[교통신호등 시설] 1. 2차측 전로의 최대 사용전압은 300V 이하 (사용전압이 150V 이상일 때 누전차단기 시설) 2. 단면적 2.5 이상의 연동선 사용 3. 인하선의 높이: 2.5m 이상 4. 다른 선과의 접근 및 교차 시 이격거리: 0.6m 이상(내부 배선을 케이블로 배선한 경우: 0.3m 이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2.
터널 안의 윗면, 교량의 아랫면 기타 이와 유사한 곳 또는 이에 인접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3
나.
3.5
다.
4
라.
4.5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 일반 4.8 전용부지 4.4 강색차선 4 터널, 교량 3.5 광산 갱도 1.8 [해설작성자 : 전기초급]
KEC 개정으로 인해 삭제
93.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 배선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사용전압은 저압에 한한다.
나.
전로에는 터널의 입구에 가까운 곳에 전용 개폐기를 시설한다.
다.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노면상 2m 이상의 높이에 시설한다.
라.
공칭단면적 2.5mm2 연동선과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절연전선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터널 안 전선로 시설] 1. 일반적인 경우 가. 저압 - 단면적 2.6 이상의 경동선, 절연전선 사용 - 애자사용 공사 시 노면상 2.5m 나. 고압 - 단면적 4 이상의 경동선, 절연저넛ㄴ - 애자사용 공사 시 노면상 3m
2.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경우(저압/고압만 사용) 가. 저압 - 단면적 2.6 이상의 경동선, 절연전선 사용 - 애자사용 공사 시 노면상 2.5m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94.
고압 가공전선이 교류 전차선과 교차하는 경우, 고압 가공전선으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는 단면적 몇 mm2 이상의 경동연선(교류 전차선 등과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간에 접속점이 없는 것에 한한다.)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가.
14
나.
22
다.
30
라.
38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저/고압 가공전선과 교류 전차선이 교차하는 경우 1. 저압 가공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단면적 35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으로 조가할 것 2. 고압 가공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단면적 38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으로 조가할 것 -> 케이블 이외는 단면적 38 이상의 경동연선 사용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5.
1차측 3300V, 2차측 220V 인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각각 몇 V에서 10분간 견디어야 하는가?
[오류신고 반론] 양쪽이 나전선인 경우 이격거리는 1.5m 이상 맞습니다. KEC 333.32-9 15kV 초과 25 kV 이하 특고압 가공전선 이격거리 특고압 가공전선로가 상호 간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의할 것 사용전선의 종류 이격거리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나전선인 경우 1.5m 양쪽이 특고압 절연전선인 경우 1.0m 한쪽이 케이블이고 다른 한쪽이 케이블이거나 0.5m 특고압 절연전선인 경우 [해설작성자 : 오류 아닙니다]
98.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과 금속제외 울타리가 교차하는 경우 교차점과 좌, 우로 몇 m 이내에 개소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25
나.
35
다.
45
라.
55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동일출판사 22년도 책 현재 이문제 나옵니다 책에는 페이지 1078 94번 [해설작성자 :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99.
의료장소 중 그룹 1 및 그룹 2의 의료 IT 계통에 시설되는 전기설비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정격출력은 10kVA이하로 한다.
나.
의료용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정격변압은 교류 250V 이하로 한다.
다.
전원측에 강화절연을 한 의료용 절연변압기를 설치하고 그 2차측 전로는 접지한다.
라.
절연감시장치를 설치하되 절연저항이 50kΩ 까지 감소하면 표시설비 및 음향설비로 경보를 발하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의료기기] 그룹0: TN, TT계통 접지 적용 그룹1: "(하지만 의료 상황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의료IT 계통 사용 가능) 그룹2: 의료 IT 계통 사용 1. 그룹 1, 그룹 2 의료 IT 계통 사용 시 가. 비단락보증 절연 변압기 사용 나. 단상 2선식으로 공급하고 2차측 교류 250V 이하일 것, 정격 출력은 10kVA 이하일 것 다. 과전류 및 온도 계측 장치 설치 라. 절연감시장치를 시설해 50k옴 이하로 내려가면 표시, 음향 설비에 의해 경보할 것 마. 함에 설치하고 함과 분전반은 의료장소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KEC 개정된 기준임)]
100.
전력 보안통신 설비인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지지하는 목주의 풍압하중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