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바이러스는 오직 유기체의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
2.
식물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충 중 구침전염형(Stylet-borne) 바이러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진딧물
2.
멸구
3.
매미충
4.
가루이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충매전염: 식물바이러스병에 가장 큰 역활을 하는 것응 매개곤충으로 비영속성바이러스와 영속성바이러스로 구분
비영속성바이러스 : 병든식물에서 획득한 바이러스가 곤충의 체네에 들어가지 않고 구침(口針)에 머문상태에서 전염되는 바이러스로 주로 진디물류에 의해 전염 된다. 오이,배추,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
영속성바이러스 : 매개충이 획득한 바이러스가 일단 곤춘의 체내에 들어가거나 체네에서 증식한 후에 비로소 전염되는 바이러스로 주로 멸구나 매미충류에 의해 전염된다. 감자 잎말이바이러스, 벼 오갈바이러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구침전염형은 바이러스에 걸린 식물을 가해한 곤충의 구침 끝에 바이러스가 묻어 다른 식물로 전반하는 방법으로 진딧물이 대표적이다. [해설작성자 : 산새이해수]
3.
토양에 열처리하여 소독하는 것은 무슨 방제법인가?
1.
생물학적 방제법
2.
재배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생물학적 방제법 표적 해충에 대한 상위 포식자를 살포하여, 천적(포식자)-피식자의 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며,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해 무당벌레를 살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외에 불임개체를 이용한 번식 억제, 곤충 페로몬을 이용한 유인 등이 있다.
2) 재배적 방제법 식물체 내부•외부적 환경 요인을 조절하는 것으로 유전적으로 병해에 강하게 품종을 개량하거나, 기상 조건, 토양의 산성도를 조절하는 것 등이 있다.
3) 화학적 방제법 화학 물질, 쉽게 말해 약제(농약)를 이용한 방제법으로 약제의 이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다. 약제 희석 후 분무식 살포, 관개식 살포, 독토(毒土) 배합 후 시비하거나, 훈증제(휘발성 살충제)를 토양 내 주입 후 비닐막 등으로 덮어 방제하는 등의 방식이 있다.
4) 물리적 방제법 토양 밀폐 후 태양열을 직접 이용하여 지열을 높여 살균하거나 증기열을 토양 내부에서부터 발산하여 소독한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
4.
어떤 식물병에 대하여 저항성이었던 품종이 갑자기 해당 식물병에 감수성이 되는 주된 원인은?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
불완전균류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균사의 형성이 불완전한 균류
2.
무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3.
기주범위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4.
유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다음 중 불완전균류의 특징은? 유성 세대가 알려져 있지 않다. 13.2 ♣ 유성번식을 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하는 것은? 불완전균류 16.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불완전균류는 유성세대가 존재하지 않거나 매우 드문 (그러나 이것은 인간의 실험과 관찰에 따른 정의이므로, 어디까지나 '인간'에게 있어 유성세대가 흔히 알려져 있지 않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균류를 별칭하여 분류해 놓은 집단이다. 생식방법 외의 특징은 자낭균류와 거의 같기 때문에 자낭균문에 분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학자에 따라서는 별도의 문(phylum)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7.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밀식
2.
약제살포
3.
포장위생
4.
합리적인 비배관리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밀식 - 벼잎집무늬마름병의 증상으로 (밀식, 다비, 고온다습)이 있다. 2.약제살포-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방제 3. 포장위생- 과수탄저병, 사과부란병이 해당
<문제 해설> 흰가루 -분생포자의 형태로 공기를 통해 전염 -잎과 덩굴이 복잡하게 얽혀 통풍이 불량한 환경 -습하고 그늘진곳에서 발생 뿌리혹병 -빗물,관개수,흙바람,동물,농기구등에 의해 전염 -기온이 20~25℃이고, 토양산도가 6.0이하의 산성토양에서 병발생이 많음 - 보통 토양산도가 7.2이상 되거나 토양수분이 45%이하인 포장에서는 발병되지 않음 시들음병 -토양전염성 병해 -수확전에 비가 오고 포장이 과습해지면 쉽게 감염 잿빛곰팡이병 -무가온비닐하우스에서 많이 발생 -비교적 저온(15~20℃)에서 발생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농지]
15.
다음 중 인삼 또는 당근의 뿌리에 혹과 같은 병징을 일으키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뿌리혹박테리아
2.
노균병균
3.
뿌리혹선충
4.
더뎅이병균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뿌리혹박테리아 -콩과식물에 발생 노균병균 -오이류 ·파류 ·무류 ·시금치 ·홉 ·포도 ·장미 ·콩 그 밖의 많은 농작물에 발생 뿌리혹선충 -감자, 고구마, 당근, 인삼, 사탕무, 장미, 등 수 많은 작물에 발생 더뎅이병균 -감자더뎅이병균,창가병으로도 불림 -감자의 괴경(덩이줄기)에 발생 [해설작성자 : 농지]
16.
다음 중 감자 역병 발병의 최적 환경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온이 20℃ 내외이고 습기가 많은 곳
2.
기온이 30℃ 내외이고 건조한 곳
3.
기온이 40℃ 내외이고 건조한 곳
4.
기온이 45℃ 이상이고 습기가 많은 곳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감자역병 -토마토에도 발생한다. -섭씨 10도 이상, 습도 75% 이상인 상태로 이틀 정도만 있으면 작물 전체로 퍼진다. [해설작성자 : 농지]
17.
어떤 병원체가 식물체내에 침입되어 병징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잠복기
2.
사멸기
3.
유도기
4.
증식기
정답 : [
1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잠복기 -병원체가 생체에 침입하여 발병하기까지의 기간 사멸기 -죽는 비율이 생장비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는 시기 유도기 -어떤 반응의 개시 이후, 일정 기간 반응이 가시적인 진행을 하지 않는 시기 증식기 -생물이 먹이가 충분한 조건에서 초기의 폭발적인 증식 기간 [해설작성자 : 농지]
균사가 모여 구형 또는 입상의 검은색 덩어리를 형성한 것으로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것은?
1.
포자퇴
2.
균핵
3.
분생포자
4.
균사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균사가 모여 구형이나 입상의 검은색 덩어리가 형성되어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존 가능한 것으로 균핵이 있으며 벼 잎집무늬마름병, 호밀의 맥각병 등에서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산새이해수]
균핵은 균사들이 모여 구형 또는 덩어리 형태로 검은색 구조물을 형성한 것으로, 불리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구조. 식물병원균 중 곰팡이가 형성하여 생존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불리한 조건에서도 휴면 상태로 버틸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unS]
2과목 : 농림해충학
21.
다음 중 누에의 식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광식성
2.
단식성
3.
잡식성
4.
부식성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단식성 중 누에와 감꼭지나방, 벼멸구,솔나방이 있다. 잡식성은 거세미나방, 흰불나방, 메뚜기,쐐기나방,집시나방이 있다. 부식성은 좀,흰개비,바퀴벌레 등이 있다. 광식성은 열대거세미나방,미국흰불나방,진딧물류, 메뚜기류,가루까지벌레,전나무응애 등이 있다.기주 벙위가 광범위하다. [해설작성자 : 농지]
22.
다음 중 곤충의 중추신경계가 아닌 것은?
1.
전대뇌
2.
측대뇌
3.
중대뇌
4.
후대뇌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곤충의 신경계는 중앙신경계(중추신경계),내장신경계,주변신경계 로 구분한다. 중추신경계는 신경절과 신경선(신경줄과 신경색)으로 구성된다. 신경절은 몸의 마디마다 한쌍이 가까이 붙어서 존재하고 그사이를 한쌍의 신경선이 이어준다. 뇌는 세가지의 신경절이 연합된것으로 전대뇌(겹눈과 홑눈의 시신경을 담당) 중대뇌(촉각감각을 지배) 후대뇌(윗입술과 식도의 감각 및 운동에 관여 함)가 있다. [해설작성자 : 농지]
비사회성 곤충에서는 방어물질 중 개미들의 경보 페로몬과 같거나 비슷한 구조의 화합물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카이로몬이란 어떤생물이 생산한 물질이 다른 종류의 생물과 접촉할 때, 생산자보다 후자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물질이다. 식물에 들어 있는 곤충유인물질이나 섭식자극물질, 포식자의 섭식행동을 유발하는 물질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곤충의 방어물질은 총칭 알로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풀잠자리목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완전변태를 한다.
2.
더듬이는 짧고 흩눈이 3개이다.
3.
생물적 방제에 이용된다.
4.
유충과 성충은 대부분 포식성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더듬이는 길고 잘 발달된 겹눈이 존재
+ 유충의 배에는 다리가 없다. 유충은 3쌍의 다리가 있다. 일락명주잠자리는 잠자리목이 아니고 풀잠자리목. [해설작성자 : 밍앤동쓰]
28.
다음 중 반전현상(resurge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이 다른 약제에는 도리어 감수성인 현상
2.
약제처리 후 해충밀도의 회복 속도가 매우 느린 현상
3.
해충이 3종 이상의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
4.
약제처리 후 해충밀도의 회복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반전 현상 : 약제처리 후 해충밀도의 회복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현상. 농약의 부작용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부상관교차저항성: 한 약제에 저항성이나 다른 약제에 감수성이 증가 복합저항성: 2종 이상의 살충제를 처리했을 때 각 살충제에 모두 저항성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29.
다음 중 유시류에 속하는 것은?
1.
톡토기
2.
낫발이
3.
좀붙이
4.
하루살이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무시류-톡토기,낫발이,좀붙이,좀 유시류-날개를 가진 곤충,2차적으로 날개가 톼화된 곤충(ex벼룩,이) [해설작성자 : 농지]
30.
다음 중 거미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태를 한다.
2.
곁눈과 홑눈으로 되어 있다.
3.
몸의 구분은 머리·가슴과 배의 2부분으로 되어 있다.
4.
더듬이를 가지고 있어 이동이 빠르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곤충강-머리,가슴,배의 3부로 구분된다. 거미강-다리가 변형된 더듬팔은 있고 더듬이는 없다. -홑눈만 있다. [해설작성자 : 농지]
31.
곤충의 종간상호작용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경쟁
2.
밀도
3.
공생
4.
포식자 – 먹이상호작용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곤충개체 간의 상호작용은 경쟁, 공생, 포식 등의 종간경쟁이 일어나 한쪽 개체군은 서식처로부터 제거당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정진수]
<문제 해설> * 휘묻이(=보통법):식물의 가지를 잘라내지 않고 뿌리를 내어 번식시키는 방법. * 저취법: 휘는 가지를 땅에 내어 뿌리를 냄. * 당목취법: 가지에 마디마다 상처를 내어 땅에 묻어 뿌리를 냄.가지를 수평으로 묻음. * 파상취목법: 덩굴식물처럼 잘 휘는 식물의 가지를여러개 묻어 뿌리를 냄. * 고취법: 가지를 지표까지 휘어내리지 못할 경우, 가지를 그대로 두고 흙이나 물이끼로 싸매주어 뿌리를 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저취법과 비교하여 많이 쓰이나 고취법은 가지를 휘어서 묻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휘묻이 보다는 취목으로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1: <(AxB)x(CxD)>x<(ExF)x(GxH)> 혹은 더 많은 계통을 교잡 2: A와 B를 교배한 F1세대를 양친 중 하나와 다시 교잡. 목적하는 형질이 한 가지이거나 감정하기 쉬울 때(예: 저항성, 형태) 사용 3: 계통육종과 집단육종의 절충안. 서로 다른 품종을 교배하여 우량한 형질만 모아놓는다. 4: 육종초기에는 따로 선발하지 않고 재배와 채종을 반복하다가, 후세대에서 집단의 80% 가량이 동형접합체가 되면 선발과 순계육종 시작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58.
다음 중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벼
2.
메밀
3.
담배
4.
조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벼, 콩 > 담배 > 조 > 추파맥류 > 봄보리 > 아마 > 감자 > 메밀 [해설작성자 : ㅎㅋ]
<문제 해설> 피레트린 - 국화과 숙근초인 제충국의 유효성분으로 곤충의 신경계통에 작용하여 마비시켜서 살충한다.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없고 파리, 모기, 등 위생 해충의 구제에 액제의 형태로 이용된다. 제충국의 유효성분에는 피레트린 I, II / 시네린 I, II / 자스모린 I, II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살충력은 피레트린 II > 피레트린 I > 시네린 = 자스모린 순으로 강하다. [해설작성자 : Hㅇㅋ]
피레스린 2가 일반적인 살충력 제일 높고, 집파리 독성은 피레스린 1이 높음 [해설작성자 : 잘 모르겠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답안은 2번이었습니다. 다만 다른 출판사들 정답을 확인한 결과 위 해설 내용들이 맞습니다.
따라서 정답을 3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답에 이의가 있으실 경우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다음 농약 중 살균제가 아닌 것은?
1.
mancozeb
2.
mepronil
3.
thiram
4.
parathion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parathion은 유기인계 살충제이다. [해설작성자 : 16학번]
73.
만코제브 원제에 함유한 ETU(Ethylene thiourea)는 발암성이 높은 화합물로 지정되어 규제하고 있다. 농약관리법령상 이 물질의 규제 기준은?
1.
0.01% 이하
2.
0.05% 이하
3.
0.1% 이하
4.
0.5%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만코제브 원제에 함유한 ETU (Ethylene thiourea)는 발암성이 높은 화합물로 지정되어 0.5% 이하로 규제 (몰랑이님 자료+a) [해설작성자 : YY]
74.
NOAEL(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이란?
1.
일일섭취허용량
2.
식품 중 잔류농약의 허용기준
3.
농약이 잔류할 우려가 있는 식품 중의 농약잔류평균
4.
일생동안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약량
정답 : [
4
] 정답률 : 74%
75.
농약관리법령상 농약의 급성독성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을 단 1회 투여하여 생물집단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2.
독성정도는 생물집단의 반수가 치사되는 양으로 평가한다.
3.
농약이 살포된 농산물을 섭취하는 소비자에 대한 독성평가를 위한 것이다.
4.
급성독성 정도에 따른 구분은 Ⅰ~Ⅳ급까지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농산물을 섭취하는 소비자와 관련된 것은 1일 섭취허용량(ADI)로 농약을 일생동안 매일 섭취하여도 시험동물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 농약의 최대약량(NOAEL, 최대무작용량)을 구한 후 안전계수(1/100)를 곱한 값이다. [출처 : 몰랑이님 블로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잔류농약의 피해대책을 위하여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반감기 및 반치사농도(LC50)등에 따라 잔류성 농약을 구분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문제 해설> 1번 정답이 맞습니다. 농약의 정확한 정의가 "농작물(수목 및 농림산물을 포함)을 해하는 균`곤충`응애`선충`바이러스`잡초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살충제`제초제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약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약제를 말한다." 이므로 1번이 가장 정확한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송아지]
79.
제초제의 살초기작이 아닌 것은?
1.
신경전달 저해
2.
광합성 저해
3.
에너지생성 저해
4.
세포분열 저해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신경전달 저해는 살충제의 살충기작이다. [해설작성자 : 전설의삼기사]
80.
곤충을 질식시켜 치사시키는 물리적 작용을 갖는 살충제는?
1.
기계유 유제
2.
피레스 유제
3.
에이카롤 유제
4.
밀베멕틴 유제
정답 : [
1
] 정답률 : 75%
81.
제초제가 식물체에 흡수 이행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초제의 농도
2.
식물의 영양상태
3.
식물의 형태적 특성
4.
제초제의 처리 부위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제초제가 식물체에 흡수 이행에 관여하는 요인은 제초제의 처리 부위, 식물의 영양상태 및 삼투압 조건, 식물의 형태적 특성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산새이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