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엽수와 활엽수의 씨젖(배유)은 염색체 구성이 다른 것이 가장 큰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침엽수 씨젖(배유)과 활엽수 씨젖(배유)의 염색체 구성을 바르게 서술한 것은?
1.
침엽수 씨젖(배유)(2n), 활엽수 씨젖(배유)(n)
2.
침엽수 씨젖(배유)(3n) 활엽수 씨젖(배유)(n)
3.
침엽수 씨젖(배유)(n), 활엽수 씨젖(배유)(3n)
4.
침엽수 씨젖(배유)(n), 활엽수 씨젖(배유)(n)
정답 : [
3
] 정답률 : 95%
5.
측방천연하종갱신에서 교호대상(帶狀)개벌시 일반적으로 대상 벌채구의 폭은 어느 정도로 하는가?
1.
모수림 수고의 8-9배
2.
모수림 수고의 6-7배
3.
모수림 수고의 5-6배
4.
모수림 수고의 2-3배
정답 : [
4
] 정답률 : 87%
6.
다음 중 가지치기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무절(無節)의 완만재의 생산
2.
하목(下木)의 보호 및 생장촉진
3.
삼림의 위해를 예방
4.
개화결실의 촉진
정답 : [
4
] 정답률 : 78%
7.
산벌작업의 갱신기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 풍산(豊産)의 해가 빈번히 오는 경우에는 갱신 기간이 길어진다.
2.
양수(陽樹)는 음수(陰樹)보다 갱신기간이 짧아진다.
3.
윤벌기(輪伐期)가 긴 것은 짧은 것보다 갱신기간이 길다.
4.
외계(外界)에 대한 저항력이 큰 수목은 약한 수목보다 갱신기간이 짧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8.
산성땅에서 좋은 자람을 보이는 것은?
1.
진달래, 소나무
2.
플라타너스, 단풍나무
3.
호두나무, 백합나무
4.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95%
9.
1년생 묘목을 판갈이(床替)하면 고사율이 높은 수종은?
1.
소나무
2.
신갈나무
3.
낙엽송
4.
해송
정답 : [
2
] 정답률 : 94%
10.
다음 공식은 종자 m2당 파종량을 산정하기위한 공식이다. A x S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파종면적에 m2당 묘목의 잔존본수를 곱한 값이다.
2.
종자입수에 파종 면적을 곱한 값이다.
3.
순량율과 발아율을 곱한 값이다.
4.
순량율과 발아세를 곱한 값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91%
11.
다음 수목 중 자웅이주가 아닌 것은?
1.
소나무
2.
은행나무
3.
꽝꽝나무
4.
사시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95%
12.
광합성에 의해 유기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1.
glucose 혹은 fructose - sucrose - starch - cellulose
2.
sucrose - glucose 혹은 fructose - starch -cellulose
3.
starch - sucrose - cellulose - glucose 혹은 fructose
4.
cellulose - glucose 혹은 fructose - sucrose - starch
정답 : [
1
] 정답률 : 77%
13.
묘간거리, 열간거리가 동일한 경우 정삼각형 식재는 정방형 식재보다 얼마 더 식재할 수 있는가?
1.
3%
2.
15%
3.
30%
4.
40%
정답 : [
2
] 정답률 : 71%
14.
윤벌기와 함께 회귀년 이란 말이 쓰여지는 작업종은?
1.
산벌작업
2.
중림작업
3.
모수작업
4.
택벌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77%
15.
간벌율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주수율
2.
재적율
3.
수광율
4.
흉고 단면적율
정답 : [
3
] 정답률 : 80%
16.
양묘시 묘목을 이식이나 단근(斷根)하는 이유 중 가장 타당성이 있는 것은?
1.
근계 발달을 좋게하여 산지이식 후 묘목 활착을 좋게하기 위함이다.
2.
모든 묘목의 곧은뿌리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꼭 실시해야 한다.
3.
도장묘 발생을 위해서 묘목 출하시 중량이 적게 나가기 위함이다.
4.
묘목 주변의 잡초 제거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행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6%
17.
일반적으로 연료재와 소경재, 일반용재를 동일임지에서 생산하는 삼림작업종은?
1.
군상개벌법
2.
택벌작업법
3.
중림작업법
4.
왜림작업법
정답 : [
3
] 정답률 : 84%
18.
화기(花器)의 구조와 종자 및 열매의 구조관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씨방(자방) - 종자
2.
배주 - 열매
3.
주피 - 종피
4.
주심 - 배
정답 : [
3
] 정답률 : 85%
19.
삼림 작업종 분류의 기준(또는 기초)이 될 수 없는 것은? (단, 대나무는 제외함)
1.
벌채면의 크기
2.
수종 또는 품종
3.
벌채 종류
4.
벌채면의 모양
정답 : [
2
] 정답률 : 65%
20.
다음 그림은 갱신벌채에 있어서 벌채된 나무의 부분을 보이는 것이다. 다음 설명 중 이 그림의 내용에 가장 적당한 것은? (단, 벌채되기전 1ha에서 있었던 나무의 수는 1200그루였다.)
1.
모수작업 실시 후
2.
산벌갱신의 하종벌 실시 후
3.
택벌작업 실시 후
4.
대상개벌 실시 후
정답 : [
2
] 정답률 : 71%
2과목 : 임목육종학
21.
소나무의 종자는 수분된 후 몇 개월만에 성숙되는가?
1.
5개월
2.
13개월
3.
18개월
4.
23개월
정답 : [
3
] 정답률 : 65%
22.
강원도 지방에서 소나무 수형목 50 그루를 선발하여 그 후대(後代)를 양성하고 모아서 채종원을 조성하여 우량종자를 얻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육종 방법은?
1.
집단 선발 육종법
2.
개체 선발 육종법
3.
교잡육종법
4.
영양계 선발육종법
정답 : [
1
] 정답률 : 88%
23.
제 1세대 채종원으로부터 차대검정 결과에 따라 불량수형목을 제거한 채종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1.5세대 채종원
2.
2세대 채종원
3.
2.5세대 채종원
4.
3세대 채종원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1.5세대 소나무 채종원은 1세대 채종원에서 생산된 종자로 키운 나무를 차대검정해 유전적으로 우수한 나무들만 1세대 채종원에서 다시 선발한 후 접목 증식, 조성하는 채종원으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종자는 1세대 채종원에서 생산되는 종자보다 10∼20% 이상 개량효과가 있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 채종원이란? 채종원(Seed orchard)은 유전적으로 개량된 산림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임분을 말하며, 유전적 개량정도에 따라 1세대 채종원, 2세대 채종원 등으로 구분된다 ♠ 1세대 채종원 : 천연집단에서 표현형이 우수한 개체(수형목)들을 선발한 후 무성번식을 통해 증식한 클론들로 조성 (개량효과 10%) ♠ 1.5세대 채종원 : 차대검정 결과를 토대로 1세대 채종원내에서 유전적으로 불량한 클론들을 제거(유전간벌)한 상태 (개량효과 15%) ♠ 2세대 채종원 : 1세대에서 선발된 우수클론 간의 교배에서 얻어진 차대 중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조성 (개량효과 35%) [해설작성자 : 단교배]
24.
특수 조합능력이 큰 개체간에 교잡을 하였을 때에는 다음 중 무엇이 생기기 쉬운가?
1.
배수체(倍數體)가 생기기 쉽다.
2.
헤테로시스(Heterosis)가 생기기 쉽다.
3.
변이체(變異體)가 생기기 쉽다.
4.
반수체(半數體)가 생기기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헤테로시스는 잡종강세 [해설작성자 : 단교배]
25.
대부분의 식물은 2배체이나 보통, 반수체라 하면 1배체를 말한다. 다음 반수체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반수체는 2배체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생육이 빈약하다.
2.
반수체는 불임(不姙)이므로 종자를 맺지 못한다.
3.
반수체는 2배체에서 염색체 수가 한 개 혹은 2개가 감소된 개체를 말한다.
4.
1배체의 염색체를 배가시키면 유전적으로 동질접합체인 2배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육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26.
수형목의 유전자형을 판별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1.
차대검정
2.
산지시험
3.
효소분석검정
4.
표현형 검정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발된 개체나 육종재료들의 표형형 우수성이 얼마나 유전적인 소질에 기인하는지를 알기 위해 이들의 후대를 일정한 환경하에서 검정하는 방법. 검정 대상개체들의 다양한 교배와 얻어진 후대들의 식재시험을 포함한다. 양친수의 유전적 가치를 검정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후대의 성적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대검정으로 불리운다. 후대검정이라고도 하며 양친의 검정이라는 개념에서 원형검정이란 용어도 같이 쓰인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27.
다음 중 영양 생장만이 가능한 수목은?
1.
2 배체(2n)수목
2.
3 배체(3n)수목
3.
4 배체(4n)수목
4.
8 배체(8n)수목
정답 : [
2
] 정답률 : 80%
28.
다음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나무의 genotype(유전자형)은 보통 유전자의 구성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2.
한나무의 phenotype(표현형)은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phenotype(표현형)은 genotype(유전자형)의 영향을 받는다.
4.
phenotype(표현형)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29.
임목 집단에서 타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타식은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개체간 즉 연(緣)이먼 개체간에 교배를 말한다.
2.
타식을 하면 유전변이가 높아지므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진다.
3.
타식을 하면 대립유전자가 이형접합체가 될 때 초우성이 일어날 수 있다.
4.
타식을 하면 집단내에 유전자 구성이 다양하지 못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타식: 동일집단 또는 상이한 집단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유연관계가 먼 개체들간의 교배 또는 교잡. 이계교잡이라고도 불리우며 영어로는 outcrossing, crossbreeding의 단어가 혼용. 따라서 유전자 구성이 다양해진다. [해설작성자 : 쿠키]
30.
만약 생식세포가 감수분열을 하지 않고 체세포분열을 한다면 어떤 결과가 생기겠는가?
1.
세대를 거듭할수록 더욱 높은 배수체가 된다.
2.
배우자의 염색체수는 n이 되고 후대의 염색체수는 2n이 된다.
3.
배우자와 후대의 접합자 모두 2n이 된다.
4.
감수분열할 때와 마찬가지 결과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31.
외국 수종의 도입에 앞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자연분포지에서의 생장과 성질
2.
자연분포지에서의 유전적 변이
3.
자연분포지와 도입지의 기후의 유사성
4.
자연분포지의 크기와 위도
정답 : [
4
] 정답률 : 78%
32.
다음은 화분, 난세포, 종자의 유전내용에 관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한나무에서 나온 화분은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갖게된다.
2.
한나무에서 나온 난세포는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갖게된다.
3.
한나무에서 자가수정되어 나온 종자는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갖게 된다.
4.
한나무에서 나온 화분, 난세포, 종자는 모두 다른 유전자를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33.
는 무엇을 나타내는 식인가? (단, VG : 유전분산, VE : 환경분산)
1.
넓은 의미의 유전력
2.
좁은 의미의 유전력
3.
육종의 효과
4.
잡종강세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광의의 유전력 광의의 유전력(broad-sense heritability, 넓은 의미의 유전력)은 유전자형 분산(VG)를 전체 표현형 분산(Vp)으로 나눈 값이다. 집단에서 광의의 유전력은 0.0에서부터 1.0의 범위에 있다. 값이 0이면 표현형의 차이는 모두 환경 변이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고, 값이 1이면 표현형 분산이 모두 유전적 차이 때문에 생긴다는 뜻이다. 광의의 유전력 측정은 일반적으로 유전자형이나 환경을 고정시킨 다음, 표현형 변이를 측정한다. h2B = VG / VPH 협의의 유전력 광의의 유전력에서 측정된 유전자형 변이는 세 종류의 유전적 분산, 즉 상가적 유전분산, 우성분산, 그리고 상위(상호작용) 분산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협의의 유전력(narrow-sense heritability, 좁은 의미의 유전력)은 상가적인 유전분산(VA)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표현형 분산과 전체 표현형 분산(VPH)의 비율이다. h2N = VA / VPH 광의의 유전력과 협의의 유전력 따라서 광의의 유전력은 해당 형질이 환경에 의해 어느 정도 변화되는 형질인지 알려주는 것이고, 협의의 유전력은 육종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광의의 유전력 [broad-sense heritability] (식물학백과) [해설작성자 : 단교배]
34.
다음 중 채종원에서 개화결실 촉진 효과가 가장 낮은 처리는?
1.
환상박피처리
2.
단근처리
3.
방풍처리
4.
비배처리
정답 : [
3
] 정답률 : 87%
35.
반형매 차대 검정(half-sib progeny test)란?
1.
모수별 풍매 종자의 차대 검정
2.
인공 교배 종자의 차대 검정
3.
산지별 풍매 종자의 차대 검정
4.
혼합 화분의 인공 교배 종자의 차대 검정
정답 : [
1
] 정답률 : 70%
36.
동일 종의 경우 건조한 지역 집단을 습한 지역 집단에 비교하여 적응 형질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생장 지연
2.
작은 종자
3.
심근성
4.
다량의 결실량
정답 : [
2
] 정답률 : 85%
37.
세포융합에 의한 임목 육종의 장점은?
1.
대형 세포의 기능 증진
2.
조직 배양체의 대량 생산
3.
유용 물질의 생산
4.
불화합성 수종의 교잡
정답 : [
4
] 정답률 : 60%
38.
라틴 방격법의 특징은?
1.
처리수가 반복수보다 많다.
2.
처리수와 반복수는 상관이 없다.
3.
반복수가 처리수보다 많다.
4.
반복수와 처리수는 항상 같다.
정답 : [
4
] 정답률 : 95%
39.
Pinus densiflora x Pinusthunbergii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 하는가?
1.
종내교잡
2.
속내교잡
3.
종간교잡
4.
품종간교잡
정답 : [
3
] 정답률 : 77%
40.
일반 조합능력(general combining ability)이란?
1.
여러나무와 교잡이 잘되는 일반적인 정도
2.
다른 나무들과 교잡하여 일반적으로 우수한 차대를 내는 능력
3.
접목할 때 접수와 대목의 친화력
4.
자가 불화합성을 나타내지 않고 일반적으로 자가 수정이 가능한 정도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조합능력 : 일대잡종품종 육성을 위해서는 우수한 유전자원 선발과 꾸준한 집단 양성의 과정이 필요한데, 교잡에서 잡종강세가 유도될 수 있는 능력은 일반조합능력 및 특수조합능력평가를 통해 잡종품종의 육종이 가능하다.2) 일반조합능력 : 일반조합능력(GCA, general combining ability)은 우수한 유전형질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GCA는 잡종에서 나타나는 부가적인 상승적 유전효과(addictive gene effects)를 나타낸다. 특수조합능력 : 특수조합능력(SCA, specific combining ability)는 일대잡종조합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1), 비부가적인 유전효과(non-addictive gene effects)의 형질을 나타내므로 조합능력 검정을 통해 특정 형질의 유전적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3) 참고문헌[네이버 지식백과]조합능력 [combining ability] (식물학백과) [해설작성자 : 단교배]
3과목 : 산림보호학
41.
흰불나방 방제에 가장 좋은 약제는?
1.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
2.
비피유제(밧사)
3.
메치온유제(수푸라사이드)
4.
디프수화제(디프록스)
정답 : [
4
] 정답률 : 65%
42.
아황산가스의 피해로 가장 심하게 손상되는 부분은?
1.
목부조직(木部組織)
2.
해면조직(海綿組織)
3.
통도조직(通導組織)
4.
사부조직(篩部組織)
정답 : [
2
] 정답률 : 74%
43.
솔나방의 대략적인 산란수는?
1.
100 - 300개
2.
600개 내외
3.
900 - 1000개
4.
1500 - 2000개
정답 : [
2
] 정답률 : 85%
44.
다음 중에서 수목에 발생하는 전염성병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선충
2.
곰팡이
3.
대기오염물질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3
] 정답률 : 80%
45.
다음 그림은 녹병균의 겨울포자가 발아한 모습이다. "a"는 어떤 포자인가?
1.
담자포자(小生子)
2.
녹포자(銹胞子)
3.
여름포자(夏胞子)
4.
자낭포자(子囊胞子)
정답 : [
1
] 정답률 : 90%
46.
잣나무 털녹병균이 잣나무에서 중간기주로 날아가는 포자는?
1.
녹병포자
2.
여름포자
3.
겨울포자
4.
녹포자
정답 : [
4
] 정답률 : 65%
47.
서남향에서 생육하고 있는 흉고직경 15-20 cm 이상의 수령을 가진 임목에서 많이 나타나는 기상 피해는?
1.
한해(寒害)
2.
볕데기(皮燒)
3.
풍해(風害)
4.
설해(雪害)
정답 : [
2
] 정답률 : 87%
48.
녹병균 중에서 기주교대(寄主交代)는 다음 어느 경우에 이루어지는가?
1.
동종 기생성
2.
이종 기생성
3.
수종(數種)기생성
4.
이주(異株)기생성
정답 : [
2
] 정답률 : 80%
49.
솔잎혹파리 유충의 생활 습성을 기술한 것 중 틀리는 것은?
1.
잠토시에 부식질이 많은 토양을 좋아한다.
2.
한냉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3.
습기에 대한 저항력은 강하다.
4.
건조에 대한 저항력은 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50.
다음 중 만상(晩霜)의 피해는 어느 것인가?
1.
늦가을에 식물생육이 완전히 휴면되기 전에 급격한 온도 저하로 입는 피해
2.
가을에 이상 기온으로 조기에 잎이 변색된다.
3.
이른 봄에 수목의 발육이 시작된 후 급격한 온도 저하로 입는 상해
4.
이른 봄에 수목의 발육이 시작되기전 치수가 고사하는 상해
정답 : [
3
] 정답률 : 88%
51.
밤나무 순혹벌의 월동태는?
1.
알로 월동
2.
유충으로 월동
3.
성충으로 월동
4.
번데기로 월동
정답 : [
2
] 정답률 : 69%
52.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전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1.
바람
2.
밤나무 순혹벌
3.
종자
4.
토양
정답 : [
1
] 정답률 : 88%
53.
우리나라에서 솔나방은 1년에 몇 회 발생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 : [
1
] 정답률 : 74%
54.
모잘록병의 병원균이 아닌 것은?
1.
Armillaria mellea
2.
Pythium debaryanum
3.
Rhizoctonia solani
4.
Fusarium oxysporum
정답 : [
1
] 정답률 : 79%
55.
항속임업(恒續林業)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식생천이(plant succession)를 이용하여 각종 임목의 생산력을 증대시킨다.
2.
성목이 된 것을 계속하여 택벌(擇伐)하는 것이다.
3.
낙엽채취를 금하고 하층식생군을 보호하여 생산력을 증대한다.
4.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목재를 대상(帶狀)으로 수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56.
성충과 유충이 동시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거위벌레
3.
매미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 : [
4
] 정답률 : 93%
57.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이 기생하는 나무에서 흔히 관찰되는 수목병은?
1.
벗나무의 빗자루병
2.
수목의 흰가루병
3.
수목의 그을음병
4.
밤나무의 줄기마름병
정답 : [
3
] 정답률 : 94%
58.
항공기에 의한 해충 조사시 나무좀류에 대한 경, 심(輕, 甚)정도의 판정은 몇 등급으로 하는가?
1.
2등급
2.
3등급
3.
4등급
4.
5등급
정답 : [
3
] 정답률 : 63%
59.
연해(煙害)의 방제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연해의 염려가 있는 곳은 숲을 교림으로 한다.
2.
토양관리에 힘쓰며 특히 인산질비료를 주어야 한다.
3.
공해업소의 굴뚝높이는 10m 이상이면 된다.
4.
질소를 사용하여 연해물질을 흡수 중화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60.
다음의 빗자루병 중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질병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벚나무 빗자루병
2.
오동나무 빗자루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뽕나무 오갈병
정답 : [
1
] 정답률 : 91%
61.
비료를 사용할 때 토양산성화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황산칼륨
2.
요소
3.
염화칼륨
4.
황산암모늄
정답 : [
2
] 정답률 : 84%
62.
다음중 토양입단 구조형성에 가장 좋지 못한 것은?
1.
석회
2.
모래
3.
유기질
4.
수분
정답 : [
2
] 정답률 : 80%
63.
주된 토양 유황의 형태는?
1.
유화광(硫化鑛)
2.
유기태황
3.
아황산가스
4.
황산근
정답 : [
2
] 정답률 : 89%
64.
식물 생육에서 에너지대사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분은?
1.
칼륨
2.
황
3.
마그네슘
4.
인산
정답 : [
4
] 정답률 : 70%
65.
산성 토양을 개량하기 위하여 시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백운석
2.
석회석
3.
과석
4.
패사(貝砂)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알카리성 비료를 사용해야 한다 즉 석회질 백운석-시멘트 원료 석회석-시멘트원료 과석(과인산석회)인산 42%에 나머지는 석회이나 산성이다. 패사:조개 껍질 [해설작성자 : 단교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