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상승과 이에 따른 토양의 건조화는 남방계생물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만 북방계생물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면 상승은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다르게 발생한다. 2. 오존의 분해반응을 촉진시켜 대류권의 오존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4. 기온상승과 이에 따른 토양의 건조화는 생물성장의 남방/북방한계 모두 영향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수용모델 : 수많은 오염원의 기여도를 추정하는 모델 - 지형이나 기상학적 정보 없이 사용 가능 - 오염원의 조업이나, 운영상태에 대한 정보 없이 사용 가능 - 수용체 입장에서 영향평가가 현실적으로 이용 - 입자상, 가스상물질, 가시도 문제 등 환경과학 전반에 응용 - 현재나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추정하여 미래 전략 수립은 가능하나, 미래 예측은 불가능 - 측정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므로 시나리오 작성 불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Fick의 확산방정식의 기본 가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가 없는 정상상태이다.
2.
풍속이 높이에 반비례한다.
3.
오염물질이 점원에서 계속적으로 방출된다.
4.
바람에 의한 오염물질의 주 이동방향이 x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Fick 확산방정식의 가정조건 1. 오염물은 점원으로부터 계속 방출 2. 과정은 안정상태(dc/dt = 0) 3. 풍속은 x, y, z축 어디서든 일정 4. 바람에 의한 오염물의 주이동방향은 x축 5. x축방향으로의 이동이 하류로의 확산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정호니]
10.
다음 악취물질 중 최소감지농도(ppm)가 가장 낮은 것은?
1.
암모니아
2.
황화수소
3.
아세톤
4.
톨루엔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황화수소는 0.00005로 어지간하면 가장 낮고, 그 다음으로 고를만한 선택지는 페놀. 0.047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는무너꿈을꾸는무너]
하수구 정화조 처럼 밀폐공간 작업을 할때 대부분 사망 사고가 황화수소 중독 사고입니다. 냄새 나는 하수구에서 사람이 감지도 못하고 죽는다로 생각하면 더 쉽겠쥬 [해설작성자 : 대기환경챌린저]
11.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인 CO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한다.
2.
대기 중의 CO2 농도는 북반구가 남반구보다 높다.
3.
대기 중의 CO2는 바다에 많은 양이 흡수되나 식물에게 흡수되는 양보다는 작다.
4.
대기 중의 CO2 농도는 약 410ppm 정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해양활동으로 29% 제거, 식물활동으로 20% 제거되므로 해양활동으로(해양에흡수되는)양이 더 많다. 대기중에는 50% 축적됨 [해설작성자 : 정호니]
12.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석면의 위험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석면의 분류에 해당하는것으?
침강역전은 고기압 기류가 상층에 장기간 체류하며 상층의 공기가 하강하여 발생하는 역전이다.
2.
침강역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오염물질이 장기 축적될 수 있다.
3.
복사역전은 주로 지표 부근에서 발생하므로 대기오염에 많은 영향을 준다.
4.
복사역전은 주로 구름이 많은 날 일출 후 겨울보다 여름에 잘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침강역전 : 고기압의 기류가 상층에 장기간 동안 체류하게 되면서 상층의 공기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역전현상. 복사역전 : 낮에는 태양복사열이 지표를 가열하여 불안정한 대류를 형성하지만, 밤이되면 지표부근이 복사냉각되어 상당히 안정한 형태를 갖게되면서 발생하는 역전을 말하며, 보통 바람이 약한 맑은날에 잘 발생하고, 일출후에는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킹성균]
15.
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납 중독현상은 Hunter Russel 증후군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2.
납 중독의 해독제로 Ca-EDTA, 페니실아민, DMSA 등을 사용한다.
3.
헤모글로빈의 기본요소인 포르피린 고리의 형성을 방해하여 빈혈을 유발한다.
4.
세포 내의 SH기와 결합하여 헴(heme)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포함한 여러 효소 작용을 방해한다.
각 연료 1m3 연소하기 위한 이론산소량 C2H4 = 3m3 C2H2 = 2.5m3 C3H8 = 5m3 C3H4 = 4m3 공기 중 산소의 농도는 21vol% 이므로 C2H4 = 3m3/0.21 = 14.28m3 C2H2 = 2.5m3/0.21 = 11.9m3 C3H8 = 5m3/0.21 = 23.8m3 C3H4 = 4m3/0.21 = 19.04m3 [해설작성자 : KIIK]
29.
A(g) → 생성물 반응의 반감기가 0.693/k 일 때, 이 반응은 몇 차 반응인가? (단, k는 반응속도상수)
1.
0차 반응
2.
1차 반응
3.
2차 반응
4.
3차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차 반응 반감기 = ln2/k k: 반응속도상수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행인]
30.
기체연료의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혼합연소에는 포트형과 버너형이 있다.
2.
확산연소는 화염이 길고 그을음이 발생하기 쉽다.
3.
예혼합연소는 화염온도가 높아 연소부하가 큰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4.
예혼합연소는 혼합기의 분출속도가 느릴 경우 역화의 위험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트형과 버너형은 기체연료의 연소 중 확산연소 기체연료의 연소에는 확산연소와 예혼합연소가 있다. 예혼합연소: 기체연료와 연소공기를 미리혼합하여 버너로 로내에 분출시켜 연소시키는방식 예혼합연소의 특징: 화염온도가 높아 연소부하가 매우 큰 경우 사용. 화염길이가 짧음. 연소조절이 쉽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음. 속도가 느리면 역화 가능성이 있어 역화방지기 필수. 예혼합연소에 사용되는 버너: 저압, 고압, 송풍버너 [해설작성자 : 정호니]
31.
매연 발생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C-(사슬모양)의 탄소결합을 절단하기 쉬운 쪽이 탈수소가 쉬운 쪽보다 매연이 잘 발생한다.
2.
연료의 C/H비가 클수록 매연이 잘 발생한다.
3.
LPG를 연소할 때 보다 코크스를 연소할 때 매연의 발생빈도가 더 높다.
4.
산화되기 쉬운 탄화수소는 매연발생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매연발생 특징 - C/H비가 크면 매연 증가 - 탈수소가 쉬우면 매연 증가 - 중합 및 고리 화합물 반응 쉬울수록 매연 증가 - 산화나 분해가 쉬울수록 매연 감소 - 발생빈도: 코크스>석탄가스>제조가스>LPG>천연가스 [해설작성자 : KIIK]
32.
고체연료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소 시 많은 공기가 필요하므로 연소장치가 대형화된다.
2.
석탄을 이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흑연으로 분류할 때 무연탄의 탄화도가 가장 작다.
3.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에 비해 수소함유량이 작다.
4.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에 비해 산소함유량이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무연탄의 탄화도가 가장 크고 이탄의 탄화도가 가장 작다. [해설작성자 : 정호니]
<문제 해설> (CO2)max는 연료의 조성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뚜니]
3과목 : 대기오염 방지기술
41.
80%의 집진효율을 갖는 2개의 집진장치를 연결하여 먼지를 제거하고자 한다. 집진장치를 직렬 연결한 경우(A)와 병렬 연결한 경우(B)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두 집진장치의 처리가스량은 동일)
1.
(A)방식의 총 집진효율은 94% 이다.
2.
(A)방식은 높은 처리효율을 얻기 위한 것이다.
3.
(B)방식은 처리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 사용된다.
4.
(B)방식의 총 집진효율은 단일집진장치와 동일하게 80%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직렬 집진효율 식은 ηT = 1-(1-η1)*(1-η2) ηT = 1-(1-0.8)*(1-0.8) = 0.96 A방식은 96%의 효율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KIIK]
42.
중력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가스의 점도가 높을수록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2.
침강실 내의 처리가스 속도가 느릴수록 미립자를 포집할 수 있다.
3.
침강실의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길수록 집진효율이 높아진다.
4.
배출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중력에 의해 자연 침강하도록 하여 배출가스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분리·포집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중력집진시설 집진율 향상조건 - 처리가스의 속도가 작을수록 미립자 포집 - 배기가스 기류는 균일해야 - 침강실 높이가 낮고, 중력장 길이가 길수록 - 다단일 경우 단수가 증가할 수록 집진율 및 압력손실 증가 - 침강실 입구 폭이 클수록 유속이 느려지며 미세한 입자 포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여과집진장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분이나 여과속도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2.
폭발성, 점착성 및 흡습성 먼지의 제거가 어렵다.
3.
다양한 여과재의 사용으로 설계 융통성이 있다.
4.
여과재의 교환이 필요해 중력집진장치에 비해 유지비가 많이 든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장점 - 고효율 집진장치로 미세입자 처리도 가능하다 - 다양한 여과재의 사용으로 설계시 융통성이 있다 단점 - 폭발성, 점착성 및 흡습성 분진의 제거가 곤란하다 - 가스의 온도에 따른 여과재의 사용이 제한적이다(최고 내열온도 250℃이하) - 수분이나 여과속도에 대한 적응성이 낮다 - 여과재 교환으로 인한 비용부담이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동일한 밀도를 가진 먼지입자 A, B가 있다. 먼지입자 B의 지름이 먼지입자 A 지름의 100배일 때, 먼지입자 B의 질량은 먼지입자 A 질량의 몇 배인가?
<문제 해설> 1차 전압이 낮고 과도한 전류가 흐를경우 고압부의 절연회로를 점검한다 2차전류가 주기적으로 변하거나 불규칙적으로 흐를 때 1)충분히 분진을 탈리시킨다 2)1차 전압을 스파크가 안정되고 전류의 흐름이 안정될 때까지 낮추어 준다 3)방전극과 집진극을 점검한다 2차 전류가 현저하게 떨어질 때 1)입구의 분진농도를 조절한다 2)조습용 스프레이의 수량을 늘린다 3)스파크 횟수를 늘린다 2차 전류가 많이 흐를 떄 1)입구의 분진농도를 조절한다 2)처리가스를 조절한다 3)방전극을 교체한다 재비산 현상 1)처리가스의 속도를 낮추어 준다 2)처리가스를 조절해 준다 3)Baffle 설치 역전리 현상 1)처리가스를 조절해 준다 2)집진극의 타격을 강하게 하거나 빈도를 늘려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배출가스 중의 NOx를 저감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단연소 시킨다.
2.
배출가스를 재순환 시킨다.
3.
연소용 공기의 예열온도를 낮춘다.
4.
과잉공기량을 많게 하여 연소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배출가스중 NOx를 저감하는 방법 저 산소 연소, 저 온도 연소, 2단연소, 배기가스 재순환, 버너 및 연소실의 구조개량, 연소부분 냉각, 희박예혼합 연소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후드의 압력손실이 3.5 mmH2O, 동압이 1.5 mmH2O일 때, 유입계수는?
1.
0.234
2.
0.315
3.
0.548
4.
0.734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P = F*r*V^2/(2*g) F= (1-Ce^2)/Ce^2 여기서 Ce는 유입계수 그리고 r*V^2/(2*g)= 동압 그러므로 3.5=(1-Ce^2)/Ce^2*1.5 Ce=0.547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상온에서 유체가 내경이 50cm인 강관 속을 2m/s 의 속도로 흐르고 있을 때, 유체의 질량유속(kg/s)은? (단, 유체의 밀도는 1 g/cm3)
흡수탑 순환액에 산화탑에서 생성된 석고를 반송하고 슬러리의 석고농도를 5% 이상으로 유지하여 석고의 결정화를 촉진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습식 석회법은 pH의 영향을 받기에 변동을 작게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대기오염물질의 입경을 현미경법으로 측정할 때, 입자의 투영면적을 2등분하는 선의 길이로 나타내는 입경은?
1.
Feret경
2.
장축경
3.
Heyhood경
4.
Martin경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투영면적을 2등분 = 마틴직경(Martin 경) 투영면적에 원을 그려 그 안에 들어온 구역울 이등분하는 선의 길이 = 투영면적직경(heyhood 경) 투영면적의 양 끝점에서 수직으로 선을 내려 두 선 사이의 거리를 재는 직경 = 휘렛직경(Feret 경) 길이는 일반적으로 마틴직경 < 투영면적직경 < 휘렛직경 순으로 길다. [해설작성자 : 문제푸는 알파카]
56.
유입구 폭이 20cm, 유효회전수가 8인 원심력 집진장치(cyclone)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의 배출가스를 처리할 때, 절단입경(μm)은?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전도도 검출기를 많이 사용하고 그 외 자외선/가시선 흡수검출기, 전기화학적 검출기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IC에서 분리관은 내압성, 내부식성으로 용리액 및 시료액과 반응성이 적은 것을 선택, 에폭시 수지관 또는 유리관이 사용 일부 스테인레스관이 사용되나 금속이온 분리용으로는 좋지 않음. 송액펌프는 : 맥동이 적고, 필요압력을 얻을수 있고,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용리액 교환이 가능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굴뚝 배출가스 중의 이산화황을 연속적으로 자동 측정할 때 사용하는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출한계 : 제로드리프트의 2배에 해당하는 지시치가 갖는 이산화황의 농도를 말한다.
2.
제로드리프트 : 연속자동측정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조건하에서 제로가스를 일정시간 흘려준 후 발생한 출력신호가 변화한 정도를 말한다.
3.
경로(path) 측정시스템 : 굴뚝 또는 덕트 단면 직경의 5% 이하의 경로를 따라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가스 연속자동측정시스템을 말한다.
4.
제로가스 : 정제된 공기나 순수한 질소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경로 시스템은 직경 10%이상 경로를 따라 측정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정성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조건에서 특정한 미지성분의 머무름 값과 예측되는 물질의 봉우리의 머무름 값을 비교해야 한다.
2.
머무름 값의 표시는 무효부피(dead volume)의 보정유무를 기록해야 한다.
3.
일반적으로 5~30분 정도에서 측정하는 봉우리의 머무름시간은 반복시험을 할 때 ±10% 오차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4.
머무름시간을 측정할 때는 3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5~30분정도에 측정하는 봉우리의 머무름시간은 반복시험을 할 때 ±3% 오차범위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특정 발생원에서 일정한 굴뚝을 거치지 않고 외부로 비산되는 먼지의 농도를 고용량공기 시료채취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측정조건과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비산먼지의 농도(μg/m3) 는?
1.
185.76
2.
283.80
3.
294.81
4.
372.70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유량 평균 1.5, 채취시간 24 => 1.5 * 60 * 24 => 부피 질량 => 3.8 - 3.4 = 0.4 (질량 / 부피 - 대조위치 농도) * 보정값 * 보정값. 풍향 보정값 1.5 / 1.2 / 1 중 하나, 풍속 보정값 1.2 / 1.0 중 하나. 풍향 변화량이 클수록, 일정 풍속 유지시간이 길수록 보정을 크게 해줘야함. 의외로 굉장히 쉬운 문제 [해설작성자 : 나는무너꿈을꾸는무너~]
수직굴뚝에서 가스상 물질의 측정위치는 굴뚝 하부 끝에서 위를 향하여 굴뚝내경의 1/2배 이상이 되는 지점으로 한다.
4.
수평굴뚝에서 가스상 물질의 측정위치는 외부공기가 새어들지 않고 요철이 없는 곳으로 굴뚝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으로부터 굴뚝내경의 2배 이상 떨어진 곳을 선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직굴뚝에서 가스상 물질의 측정위치는 굴뚝 하부 끝에서 위를 향하여 굴뚝내경의 2배 이상이 되고, 상부 끝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굴뚝 상부 내경의 1/2배 이상이 되는 지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
73.
다음 중 2,4-다이나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DNPH)과 반응하여 생성된 하이드라존 유도체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정량하는 물질은?
1.
아민류
2.
알데하이드류
3.
벤젠
4.
다이옥신류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ES 01501.1c 배출가스 중 폼알데하이드 및 알데하이드류 -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2021) 배출가스 중의 알데하이드류를 흡수액 2,4-다이나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 (DNPH,dinitrophenylhydrazine)과 반응하여 하이드라존 유도체 (hydrazone derivative)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정량한다.
<문제 해설> 환경대기 중 벤조(a)피렌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 형광분광광도법 사용. 다환방양족탄화수소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알데히드류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유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는 캐니스터법, 고체흡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기준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단위는 mg/m2·h)
1.
㉠ 0.02이하, ㉡ 0.05 이하, ㉢ 1.5 이하
2.
㉠ 0.05이하, ㉡ 0.1 이하, ㉢ 2.0 이하
3.
㉠ 0.08이하, ㉡ 2.0 이하, ㉢ 2.5 이하
4.
㉠ 0.10이하, ㉡ 2.5 이하, ㉢ 4.0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톨루엔: 모든 건축자재에서 0.08 이하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8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탄화수소
2.
알데하이드
3.
질소산화물
4.
일산화탄소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휘발유, 알코올 또는 가스 사용 자동차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알데히드 2. 경유 사용 자동차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연, 입자상물질 [해설작성자 : 금쪽이]
83.
대기환경보전법령상의 운행차 배출허용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측정 및 배출허용기준은 가스의 기준을 적용한다.
2.
건설기계 중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스트럭, 콘크리트펌프트럭의 배출허용기준은 화물자동차기준을 적용한다.
3.
희박연소 방식을 적용하는 자동차는 공기과잉률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4.
알코올만 사용하는 자동차는 탄화수소 기준을 적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알코올만 사용하는 자동차는 탄화수소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나만 몰라요]
84.
악취방지법령상 악취배출시설의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악취배출시설을 폐쇄하는 경우
2.
사업장의 명칭을 변경하는 경우
3.
환경담당자의 교육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4.
악취배출시설 또는 악취방지시설을 임대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변경신고 대상 1. 악취방지계획서 또는 악취방지시설을 변경하는 경우 2. 악취배출시설을 폐쇄하는 경우 3. 사업장 명칭 또는 대표자 변경하는 경우 4. 악취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을 임대하는 경우 5. 원료를 변경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아사히카]
8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중 일반보일러만 설치한 사업장은 5종사업장에 해당하는 기술인을 둘 수 있다.
2.
2종사업장의 환경기술인 자격기준은 대기환경산업기사 이상의 기술자격 소지자 1명 이상이다.
3.
대기환경기술인이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질환경기술인의 자격을 갖춘 경우에는 수질환경기술인을 겸임할 수 있다.
4.
1종사업장과 2종사업장 중 1개월 동안 실제 작업한 날만을 계산하여 1일 평균 12시간 이상 작업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장의 기술인을 각각 2명 이상 두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종사업장과 2종사업장 중 1개월 동안 실제 작업한 날만을 계산하여 1일 평균 17시간 이상 작업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장의 기술인을 각각 2명 이상 두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 참고로, 일반보일러만 설치한 사업장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물질 중 먼지만 발생하는 사업장도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8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존의 대기오염 중대경보 해제기준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0.3, ㉡ 0.5
2.
㉠ 0.5, ㉡ 1.0
3.
㉠ 1.0, ㉡ 1.2
4.
㉠ 1.2, ㉡ 1.5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PM 10 - 주의보 150ug/m2 2시간 이상 (시간당 100ug/m2 미만 해제) , 경보 300ug/m2 2시간 이상 (시간당 150ug/m2 미만 주의보) PM 2.5 - 주의보 75ug/m2 2시간 이상 (시간당 35ug/m2 미만 해제) , 경보 150ug/m2 2시간 이상 (시간당 75ug/m2 미만 주의보) 오존 - 주의보 0.12ppm (0.12ppm 미만 해제), 경보 0.3 (0.12~0.3ppm 미만 주의보 전환) 중대경보 0.5 (0.3~0.5ppm 미만 경보 전환)
주의보 : 주민의 실외활동, 자동차 사용 자제요청 경보 : 주민의 실외활동 제한요청, 자동차 사용의 제한 및 사업장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중대 경보 :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요청, 자동차 통행 금지 , 사업자 조업시간 단축 명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배출시설로부터 나오는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인해 환경기준 유지가 곤란하다고 인정되어 시·도지사의 특정대기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5톤, ⓑ 10톤
2.
ⓐ 5톤, ⓑ 20톤
3.
ⓐ 10톤, ⓑ 20톤
4.
ⓐ 10톤, ⓑ 25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추가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량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인 배출시설을 특별대책지역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배출시설 설치 제한이 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가지 10톤 2가지이상 25톤 [해설작성자 : 금쪽이 해설 ㄱ,만 보고싶다]
8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자동차 결함확인검사에 관한 내용 중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상 자동차의 선정기준
2.
자동차의 검사방법
3.
자동차의 검사수수료
4.
자동차의 배출가스 성분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대상 자동차의 선정기준 2. 자동차의 검사방법 3. 자동차의 검사절차 4. 자동차의 판정방법 5. 자동차의 검사수수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악취방지법령상 지정악취물질과 배출허용기준(ppm)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단, 공업지역 기준,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n-발레르알데하이드 : 0.02 이하
2.
톨루엔 : 30 이하
3.
프로피온산 : 0.1 이하
4.
i-발레르산 : 0.004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4년 7월 기준 공업지역 배출허용기준
n-발레르알데하이드: 0.02 이하 톨루엔: 30 이하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1 이하 i-발레르알데하이드: 0.006 이하 [해설작성자 : 라따뚜이]
구분 배출허용기준 (ppm) 2025년 2월 기준 암모니아 2 이하 메틸메르캅탄 0.004 이하 황화수소 0.06 이하 다이메틸설파이드 0.05 이하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0.03 이하 트라이메틸아민 0.02 이하 아세트알데하이드 0.02 이하 스타이렌 0.1 이하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8 이하 뷰틸알데하이드 0.1 이하 n-발레르알데하이드 0.02 이하 i-발레르알데하이드 0.006 이하 톨루엔 30 이하 자일렌 2 이하 메틸에틸케톤 35 이하 메틸아이소뷰틸케톤 3 이하 뷰틸아세테이트 4 이하 프로피온산 0.07 이하 n-뷰틸산 0.002 이하 n-발레르산 0.002 이하 i-발레르산 0.004 이하 i-뷰틸알코올 4 이하 [해설작성자 : 밥줘]
<문제 해설> 자동차제작자에게 과징금 처분하는 경우 1) 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자동차를 제작하여 판매한 경우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 또는 변경인증을 받은 경우 3) 인증받은 내용과 다르게 자동차를 제작하여 판매한 경우 [해설작성자 : 금쪽이]
9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공급지역 또는 사용시설에 황함유기준을 초과하는 연료를 공급·판매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자동차·선박 등의 배출가스 규제 - 벌칙 1.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 : 황함유기준을 초과하는 연료사용 제한조치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2.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 황함유기준을 초과하는 연료를 공급·판매한 자 3.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황함유기준을 초과하는 연료를 사용한 자 [해설작성자 : 금쪽이]
9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자동차의 운행정지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5일 이내
2.
7일 이내
3.
10일 이내
4.
15일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2023. 6. 28.] [법률 제19125호, 2022. 12. 27., 일부개정] 제70조의2(자동차의 운행정지) 환경부장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제70조제1항에 따른 개선명령을 받은 자동차 소유자가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확인검사를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10일"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해당 자동차의 운행정지를 명할 수 있다. <개정 2013.7.16> [해설작성자 : 법령 찾는거 재밌네]
9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기술인의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을 하는 경우를 제외)
1.
환경기술인으로 임명된 날부터 1년 이내에 1회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2.
환경기술인은 환경보전협회, 환경부장관, 시·도지사가 교육을 실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위탁하는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3.
교육과정의 교육기간은 7일 정도로 한다.
4.
교육대상이 된 사람이 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기한의 마지막 날 이전 3년 이내에 동일한 교육을 받았을 경우에는 해당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본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제 1항에 따른 교육기간은 4일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하려는 자가 배출시설 설치신고서에 첨부하여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에게 제출해야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질소산화물 배출농도 및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2.
방지시설의 연간 유지관리 계획서
3.
방지시설의 일반도
4.
배출시설 및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원료(연료를 포함한다)의 사용량 및 제품 생산량과 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배출시설 설치허가를 신청하는 경우에만 첨부한다) 2.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 3. 방지시설의 일반도(일반도) 4. 방지시설의 연간 유지관리 계획서 5. 사용 연료의 성분 분석과 *황산화물* 배출농도 및 배출량 등을 예측한 명세서(법 제41조제3항 단서에 해당하는 배출시설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6. 배출시설설치허가증(변경허가를 신청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특정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이 300(12)ppm 일 때, (12)의 의미는?
1.
해당배출허용농도(백분율)
2.
해당배출허용농도(ppm)
3.
표준산소농도(O2의 백분율)
4.
표준산소농도(O2의 ppm)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배출가스의 농도는 연료나 공정의 산소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공정마다 ‘표준 산소 농도’에 맞춰서 기준을 보정하므로 이 문제에서 300(12)ppm은 산소농도 12% 기준으로 환산된 배출허용농도 300ppm 이라는 뜻임 [해설작성자 : 또치누나]
9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경보 단계 중 '경보 발령' 단계의 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민의 실외활동 제한 요청
2.
자동차 사용의 제한
3.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4.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주의보 발령 1) 주민의 실외활동 및 자동차 사용의 자제 요청 등 경보 발령 1) 주민의 실외활동 제한 요청 2) 자동차 사용의 제한 및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등 중대경보 발령 1)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 요청 2) 자동차의 통행금지 및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 등 [해설작성자 : 금쪽이]
9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방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흡착에 의한 시설
2.
응축에 의한 시설
3.
응집에 의한 시설
4.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중력/관성력/원심력/세정/여과/전기/음파 집진시설 흡수/흡착/응축/산화·환원/연소조절 에 의한 시설 촉매반응/미생물 을 이용한 처리시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00.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실내공기질의 측정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연 1회, ⓑ 10년간
2.
ⓐ 연 2회, ⓑ 5년간
3.
ⓐ 2년에 1회, ⓑ 10년간
4.
ⓐ 2년에 1회, ⓑ 5년간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측정 기준은 유지기준(매년측정)과 권고기준(2년에 1회 측정) 2. 다중이용시설의 소유자 등은 실내공기질 측정결과를 10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규제「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제11조제6항 전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①
②
③
③
①
①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②
④
①
③
②
①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②
②
①
①
③
②
④
②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②
④
①
①
④
③
②
③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①
①
③
①
③
④
③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②
④
①
④
②
②
③
③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④
①
③
③
②
④
②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③
②
④
②
③
①
①
①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②
④
③
④
①
④
④
③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③
③
③
①
②
③
④
③
③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