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 실제 직접노동시간 -> 2,000,000/10,000 = 200 / 200시간만큼 표준노동시간보다 많다. 그러므로 실제 직접노동시간은 200+1,000=1,200 [해설작성자 : ㅇㅇ]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공급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급시기가 되기 전에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대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고, 그 받은 대가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경우에는 발급하는 때를 공급시기로 본다.
2.
대금을 계약금과 잔금으로 2회 분할하여 수령하고, 계약금을 받기로 한 날의 다음날부터 용역의 제공이 완료되는 날까지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중간지급조건부에 해당한다.
3.
무인판매기의 경우 해당 사업자가 무인판매기에서 현금을 인취한 시점을 공급시기로 본다.
4.
폐업 전에 공급한 재화의 공급시기가 폐업일 이후에 도래하는 경우 폐업일을 공급시기로 본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대금은 계약금과 잔금으로 3회 분할하여 지급되어야 하고, 계약금을 받기로 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용역의 제공이 완료되는 날까지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중간지급조건부에 해당한다. 대금이 2회 분할 지급이거나, 3회 이상 분할 지급되었더라고 6개월 미만일 경우 일반 거래이다. [해설작성자 : >0<]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공통매입세액 안분계산의 배제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당 과세기간 중의 공통매입세액이 5만원 미만인 경우
2.
해당 과세기간의 공통매입세액이 300만원이면서 면세공급가액 비율이 4%인 경우
3.
해당 과세기간에 신규로 사업을 시작한 사업자가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한 공통사용재화인 경우
4.
해당 과세기간의 공통매입세액이 1,000만원이면서 면세공급가액 비율이 4% 미만인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5%
13.
다음 중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타소득의 유형과 유사한 소득이라 하더라도 그 소득이 사업의 형태를 갖추고 계속적,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사업소득에 해당한다.
2.
광업권을 양도하거나 대여하고 그 대가로 받는 금품은 기타소득에 해당한다.
3.
서화·골동품을 박물관 또는 미술관에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기타소득은 비과세한다.
4.
기타소득금액이 건당 10만원 이하인 경우 납부할 기타소득세는 없다(단, 연금 외 수령으로 인한 기타소득은 제외).
정답 : [
4
] 정답률 : 30%
14.
다음 중 소득세법상 특별세액공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의료비, 교육비에 대한 세액공제는 근로소득자만 공제가능하다.
2.
근로자의 경우 연금계좌세액공제와 표준세액공제는 중복적용이 가능하다.
3.
정치자금기부금은 본인명의만 공제 가능하다.
4.
근로자가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해 근로소득에서 지출한 의료비는 기본공제대상자의 나이, 소득금액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15.
다음 중 법인세법상 세무조정과 소득처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업업무추진비 한도초과액은 자본금과 적립금조정명세서(을) 서식에서 기록·관리 한다.
2.
사외유출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소득의 귀속자가 불분명한 경우 대표자에게 상여로 소득처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