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40437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발달과정에 문화적ㆍ환경적 요인은 중요하지 않다.
     2.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개인적 차이는 없다.
     3. 태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변화이다.
     4. 특정단계에서의 발달은 이전단계의 발달과업 성취와 무관하다.
     5. 하부에서 상부로, 말초에서 중심으로, 복잡한 것에서 단순한 것으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발달과정에 문화적, 환경적 요인이 중요함
2. 개인적 차이가 약간씩이 있음
4. 이전단계의 발달과업에 따라 특정단계의 발달이 나타남.
5. 인간발달은 상부에서 하부로, 중심부위에서 말초부위로, 전체운동에서 특수운동으로 진행됨.
[해설작성자 : 김왕자]

2. 인간발달의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개인의 유전형질도 인간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2. 인간발달은 퇴행적 변화보다는 상승적 변화를 의미한다.
     3. ‘환경속의 인간’은 인간발달 이해를 위한 기본 관점이다.
     4. 인간발달은 인간의 내적변화 뿐만 아니라 외적변화도 포함한다.
     5. 생물학적ㆍ심리적ㆍ사회적 체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인간발달은 퇴행적 변화와 상승적 변화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3. 융(C. Jun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니마 - 남성 속의 여성적 원형
아니무스 - 여성 속의 남성적 원형
[해설작성자 : ^^]

4.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구별되는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인간행동과 경험의 역동적이고 무의식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2. 인간의 성격은 과거사건 및 미래에 대한 열망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3. 성격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며 후천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보았다.
     4. 프로이트의 성적에너지인 리비도의 개념을 확장시켜 창의적인 생활력으로 보았다.
     5. 성격의 여러 측면을 통합하여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인생의 후반기를 강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
[해설작성자 : 피즈치자]

5. 방어기제와 그 예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부정 - 부모에게 꾸중을 듣고 적대감으로 개를 발로 차는 아이
     2. 퇴행 - 불치병에 걸렸음을 알고도 미래의 계획을 화려하게 세우는 환자
     3. 승화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죄책감으로 독거노인을 극진히 부양하는 자식
     4. 억압 - 입원 중 간호사에게 아기 같은 행동을 하며 불안을 감소시키는 노인
     5. 반동형성 - 남편이 바람피워 데려온 아이를 싫어함에도 오히려 과잉보호로 키우는 부인

     정답 : []
     정답률 : 79%

6. 에릭슨(E. Eriks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에릭슨은 자아심리이론가이다.
     2. 에릭슨의 이론을 심리사회적 이론이라고 한다.
     3. 개인의 발달은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고 하였다.
     4. 성격발달에서 유전적 요인의 영향력을 배제하였다.
     5. 각 단계별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자아특질(ego quality)이 강화된다고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7. 성인초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직업을 선택하고 경력을 쌓아야 한다.
     2.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친밀감을 형성한다.
     3. 신체발달이 완성되며 매우 건강한 시기이다.
     4. 자신의 과거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변화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
     5. 삶과 직업에 관한 목표와 희망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 파블로프(I. Pavlov)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환경적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행동에 관심을 가진다.
     2. 인간행동은 학습되거나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고 가정한다.
     3. 관찰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개인의 사고와 인지적 역할을 강조한다.
     5. 강화와 처벌을 중요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9. 태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임산부의 연령이 16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일 경우, 태아의 선천성 결함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정자의 X염색체와 난자가 만나 XX로 결합하면 여아가 태어나게 된다.
     3.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의 이상으로 나타난다.
     4. 터너증후군은 47개의 염색체를 가짐으로 남성에게 여성적인 성징이 나타난다.
     5. 일반적으로 16-20주가 되면 임신부가 태동을 느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염색체 47개는 다운증후군 입니다. 터너증후군은 45개의 염색체를 가지며 x염색체가 하나만 있습니다.

10. 유아기(3-6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콜버그의 후 인습적 도덕발달단계에 해당하며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는데 치중하는 시기이다.
     2. 프로이트(S. Freud)의 남근기에 해당하며 이성부모에게 관심을 갖는 시기이다.
     3. 피아제의 전조작기에 해당하며 상징적 사고가 활발한 시기이다.
     4. 에릭슨의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에 해당하며 책임의식이 고취되는 시기이다.
     5. 융의 아동기에 해당하며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11. 파블로프(I. Pavlov)의 실험에서 음식을 벨소리와 연합하여 여러번 제시하자 개는 음식없이 벨소리만 듣고도 타액을 분비하였다. 고전적 조건화와 실험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1%

12. 스키너(B. F. Skinner)의 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부적강화의 예로 체벌을 들 수 있다.
     2. 일차적 강화물은 미소, 칭찬, 점수 등이다.
     3. 가변비율 강화계획의 예로 월급을 들 수 있다.
     4. 고정간격 강화계획은 반응에 대해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강화를 주는 것이다.
     5. 반응율이 높은 강화계획 순서는 가변간격, 고정간격, 가변비율, 고정비율 순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체벌은 정적처벌에 해당하며, 부적강화의 예시로는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 등이 있다.
2. 일차적 강화물은 다른 강화물과 연합하지 않은 보상 그 자체로 사람들이 귀중하다고 여기는 대상과 활동이 포함됨.
3. 가변비율 강화계획은 평균적으로 몇 번의 반응이 일어난 후 무작위로 강화물 제시하는 것으로 월급은 고장간격 강화계획에 해당한다.
5. 반응율이 높은 강화계획 순서는 가변비율 > 고정비율 > 가변간격 > 고정간격이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13. 노년기(65세 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자아통합 대 절망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한다.
     2. 치매는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의 감퇴로 일상적 사회활동이나 대인관계에 지장을 준다.
     3. 조심성, 경직성, 능동성, 외향성이 증가한다.
     4. 남성노인은 생식기능이 저하되고 성교능력이 저하되긴 하지만 여성보다는 기능 저하가 덜하다.
     5. 일반적으로 단기기억 능력이 감퇴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14. 문화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7%

15. 로저스(C. Rogers)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1%

16.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17. 학자와 주요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0%

18. 임신 9-11주에 가능하며 염색체 이상이 의심되거나 35세 이상 임산부에게만 제한적으로 실시되는 태아진단검사는?(2012년 02월)
     1. 양수검사
     2. 융모생체표본검사
     3. 초음파검사
     4. 산모혈액검사
     5. 풍진감염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19. 아동기(7-12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프로이트의 남근기에 해당한다.
     2. 단체놀이를 통하여 노동배분의 개념을 익힌다.
     3. 제1성장 급등기에 해당한다.
     4. 주요과업은 대상영속성 개념의 획득이다.
     5. 신체적 성숙이 거의 완성되며 성역할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다음 제시된 사례와 관계있는 개념은?(2013년 01월)

    

     1. 엔트로피(entropy)
     2. 넥엔트로피(negentropy)
     3. 시너지(synergy)
     4. 균형(equilibrium)
     5. 항상성(homeostasis)

     정답 : []
     정답률 : 57%

21. 아들러(A. Adl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우월의 목표에는 긍정적 경향과 부정적 경향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2. 개인은 환경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객관적 믿음에 따라 행동한다.
     3. 치료목표는 증상의 경감이나 제거에 있다.
     4. 기본적인 생활양식은 4-5세경에 형성되며 그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5. 인간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기 어려운 의존적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들러의 이론
- 개인은 환경을 주관적으로 파악하고 주관적 믿음에 따라 행동한다.
[해설작성자 : ^^]

22. 고정비율(fixed-ratio) 강화스케줄의 사례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공부하는 자녀에게 1시간 간격으로 간식을 제공한다.
     2. 공부하는 자녀에게 처음에는 2과목 문제풀이를 끝낸 후, 두 번째는 5과목을 끝낸 후에 간식을 제공한다.
     3. 공부하는 자녀에게 매주 정기적으로 용돈을 준다.
     4. 공부하는 자녀에게 한 과목 문제풀이를 끝낼 때마다 한 번의 간식을 제공한다.
     5. 공부하는 자녀에게 하루 중 세 번의 간식을 주기로 하고 아무 때나 간식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3. 노년기(65세 이상)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8%

24. 인생주기에 따른 주요 발달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영ㆍ유아기(0-6세) - 언어학습, 보행학습, 배설통제학습
     2. 아동기(7-12세) - 양심의 발달,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독립
     3. 청소년기(13-18세) - 직업선택, 배우자선택, 성역할학습
     4. 중년기(40-64세) - 동년배 사귀는법 학습, 놀이에 필요한 신체 기술학습
     5. 노년기(65세 이상) - 노년기 부모에 대한 적응, 경제적 독립의 필요성 인식

     정답 : []
     정답률 : 75%

25. 엘리스(A. Ellis)의 '비합리적 신념'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나는 모든 일에 완벽해야 한다.
     2. 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아야 한다.
     3. 어떤 문제든지 완전한 해결책은 없다.
     4. 인간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나쁜 일의 외부원인에 관해서는 통제할 수 없다.
     5. 삶의 어려움은 직면하기보다는 피해야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6. 청소년기(13-19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개인적 우화: 자신의 사고와 감정은 매우 독특하기 때문에 타인은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함.
보기의 설명은 '상상 속의 관중'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내일은 1급]

27. 중년기(40-64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왕성한 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직업전환에 필요한 기술습득을 위한 교육은 필요하지 않다.
     2. 폐경기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감소로 인하여 관상동맥질환과 골다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3. 자아통합이 완성된 시기이므로 자신의 삶과 미래를 평가하려고 한다.
     4. 어휘력과 언어능력이 저하되므로 학습과 경험을 통합하여 사고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5. 결정성 지능은 중년기에도 계속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8. 인생주기별 주요 발달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영아기(0-2세) - 애착발달, 자기중심성, 직관적 사고
     2. 아동기(7-12세) - 자존감의 발달, 부모로부터 독립
     3. 청소년기(13-18세) - 자아정체감 형성, 형식적 조작사고 발달
     4. 중년기(40-64세) - 직업선택, 도덕성 발달, 노부모 부양
     5. 노년기(65세 이상) - 가족 내 역할변화와 적응, 만족스러운 직업성취

     정답 : []
     정답률 : 61%

29. 청소년(13-19세) 대상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30. 영아기(0-2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피아제에 의하면, 통찰기 단계에서 상징적 표상 사고가 시작된다.
     2. 영아는 움직이는 것보다 정지된 것을 선호하여 지각한다.
     3. 신생아의 두개골에는 6개의 숫구멍이 존재한다.
     4. 모로반사는 큰 소리가 나면 팔과 다리를 벌리고 마치 무엇인가 껴안으려는 듯 몸 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츠리는 반사운동이다.
     5. 바빈스키반사는 발가락을 펴고 오므리는 반사운동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31. 사회복지실무자에게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지식이 필요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지역주민의 복지욕구 분석
     2. 클라이언트에 관한 임상적 자료의 체계적 수집
     3. 조사대상에 대한 비윤리적 행위의 예방
     4.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실행
     5. 사회복지실무자의 정치적 민감도 제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회복지실무자에게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지식이 필요한 이유
- 사회복지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서 개인의 복지욕구를 충족
-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지식탐구절차
- 사회복지조사를 통해 실천가는 개입결과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인과성을 증명
- 인간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게 되므로 조사과정에서 방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조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필요

32. 대규모 설문조사와 비교하여 주요정보제공자(key informants)를 활용한 욕구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표본추출이 용이하다.
     2. 표본의 대표성이 높다.
     3. 비용이 적게 든다.
     4. 양적정보 뿐만 아니라 질적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5. 정보제공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과 질에 의존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실증주의와 해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해석주의는 주로 언어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한다.
     2. 실증주의는 흔히 경험주의라고도 불린다.
     3. 해석주의는 현상에 대한 직접적 이해가 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4. 실증주의는 객관적 실재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본다.
     5. 해석주의는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분석도구가 존재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55%

34. 측정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는 비율변수이다.
     2. 명목변수의 수치에는 서열이나 양적 의미가 없다.
     3. 온도 1℃와 2℃의 차이는 10℃와 11℃의 차이와 동일하다.
     4. 비율변수 0 은 경험세계에서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5. 100 Kg은 50 Kg보다 두 배 무겁다.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사례의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은?(2013년 01월)

    

     1. 후광효과
     2. 통계적 회귀
     3. 실험대상 변동
     4. 도구효과
     5. 인과적 시간 순서

     정답 : []
     정답률 : 63%

36.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비해 면접설문조사가 갖는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37. ( )안에 알맞은 것은?(2013년 01월)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2.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3. 액면타당도(face validity)
     4.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
     5.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 : []
     정답률 : 58%

38. 설문지의 회수율 모니터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추가설문지의 발송시기를 예측한다.
     2. 비응답자들의 추가응답률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3. 모니터링을 중단하는 시점은 회수율이 50%인 때이다.
     4. 여러 시점에서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면 표본추출의 편향을 추정할 수 있다.
     5. 그래프로 일일 회수빈도와 누적빈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9. 검사효과(testing)를 통제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1%

40. 비반응성 혹은 비관여적 연구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관찰현상에 대한 연구자의 영향력을 줄인다.
     2. 드러난 내용과 숨어있는 내용을 이해한다.
     3. 연구자가 타당도와 신뢰도간의 선택에 따른 딜레마로 고민할 수 있다.
     4. 자료수집을 위해 다원측정(triangulation)의 원칙을 활용한다.
     5. 명목수준의 측정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41.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외생(extraneous)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대안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통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허위적 관계를 밝히는데 활용된다.
     3. 매개변수와 통제변수는 같은 의미이다.
     4. 종속변수는 결과변수로서 독립변수에 의해 변이값을 가진다.
     5. 변수는 최소한 둘 이상의 변수값으로 구성된 변량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2.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조사설계는?(2013년 01월)

    

     1.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2.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3.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4.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5.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정답 : []
     정답률 : 57%

43. 개념의 조작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표준화된 척도는 조작화의 산물이다.
     2.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작업이다.
     3. 명목적 정의(nominal definition)로서 충분히 조작화가 가능하다.
     4. 개념적으로 정의된 내용이 실제로 관찰되게 정의하는 것이다.
     5. 양적조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44. 영가설(null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가설검증과정에 불필요한 가설이다.
     2. 일반적으로 연구가설을 말한다.
     3. 조작화되기 이전의 가설형태를 말한다.
     4. 연구가설을 반증하는 과정에서 활용된다.
     5. 가설검증을 통하여 거짓으로 판명난 가설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다음과 같은 유형의 질문은?(2013년 01월)

    

     1. 복수응답 유발형 질문
     2. 행렬식 질문
     3. 동일유형 질문
     4. 수반형 질문
     5. 개방형 질문

     정답 : []
     정답률 : 60%

46. 다음 ( )에 알맞은 것은?(2012년 02월)

    

     1. ㉠ 패러다임, ㉡ 외적 타당성
     2. ㉠ 일상적 지식, ㉡ 내적 타당성
     3. ㉠ 이론, ㉡ 결정주의
     4. ㉠ 객관성, ㉡ 간(間)주관성
     5. ㉠ 일반화, ㉡ 내적 한계

     정답 : []
     정답률 : 62%

47. 연구질문에 대한 연역적 탐구방법의 과정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이론적 이해 → 가설 → 조작화 → 측정 → 가설검증
     2. 이론적 이해 → 조작화 → 측정 → 가설 → 가설검증
     3. 관찰 → 잠정적 결론 → 일반화
     4. 관찰 → 유형의 발견 → 잠정적 결론
     5. 관찰 → 잠정적 결론 → 유형의 발견

     정답 : []
     정답률 : 72%

48.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표본의 사례수와 무관하게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2. 표준정규분포의 평균은 0 이고 분산과 표준편차는 동일하다.
     3. 정규분포의 모양은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된다.
     4. 최빈값과 중위수는 같다.
     5. 정규분포곡선은 좌우대칭이며 종모양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49. '연장입양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와 같은 연구주제를 다룰 때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초기의 분석틀을 도중에 변경할 수 있다.
     2. 개방형 질문과 구조화 면접으로 심층정보를 얻는다.
     3. 연구도구로서 연구자가 가진 자질이 중요하다.
     4.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단계상 분명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5.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구조화된 면접으로 심층정보를 얻을 수 없음
비구조화 면접으로 응답자의 깊은 주관적 느낌, 심층정보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창문밖의그대]

50. 귀납법과 연역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귀납법과 연역법은 상호 배타적이다.
     2. 귀납법은 이론에서 조작화와 관찰로 이어진다.
     3. '모든 사람은 죽는다'와 같은 명제에서 시작하는 것은 귀납법이다.
     4. 연역법은 개별 사례의 관찰에서 출발한다.
     5. 경험적 관찰에서 보편적 유형을 찾는 것은 귀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51. 동일대상에게 시기만 달리하여 동일 측정도구로 조사한 결과를 비교하는 신뢰도 측정법은?(2012년 02월)
     1. 검사-재검사법
     2. 평행양식법
     3. 반분법
     4. 복수양식법
     5. 내적 일관성법

     정답 : []
     정답률 : 74%

52. 정규분포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4%

53. 다음 설문문항은 어떤 척도를 활용한 것인가?(2012년 02월)

    

     1. 총화평정(summated rating)척도
     2. 사회적거리감(social distance)척도
     3. 써스톤(Thurstone)척도
     4. 리커트(Likert)척도
     5. 어의변별(semantic differential)척도

     정답 : []
     정답률 : 73%

54. 다음에 해당하는 표집방법은?(2012년 02월)

    

     1. 층화(stratified)표집
     2. 군집(cluster)표집
     3. 할당(quota)표집
     4. 체계적(systematic) 무작위표집
     5. 단순(simple) 무작위표집

     정답 : []
     정답률 : 63%

55. 바람직한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의 관계로 기술되어야 한다.
     3. 표현이 간단명료하여야 한다.
     4. 이론과 연관되어야 한다.
     5. 변수 간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정(+)의 관계 뿐만아니라, 부(-)의 관계도 기술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투명한감각]

56.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2012년 02월)

    

     1. 내용(content)
     2. 동시(concurrent)
     3. 수렴(convergent)
     4. 판별(discriminant)
     5. 예측(predictive)

     정답 : []
     정답률 : 64%

57.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양적 연구의 결과에서 질적 연구가 시작될 수 있다.
     2. 두 가지 연구방법 모두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3. 연구자에 따라 두 가지 연구방법의 비중은 상이할 수 있다.
     4.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5. 질적 연구결과와 양적 연구결과는 상반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단일사례설계 중 ABCD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BCD설계
(순서효과,이월효과,우연한사건)과 관련된 제한점이 발생
[해설작성자 : 고요한시간]

59.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극단적 사례(extreme case)표집
     2. 전형적 사례(typical case)표집
     3. 눈덩이(snowball)표집
     4. 편의(convenience)표집
     5. 체계적(systematic)표집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질적연구에는 비확률표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의 의도에 따라 극단적인 사례를 표집할 수도 있고. 보다 전형적인 사례를 표집할 수도 있다. 체계적 표집은 확률표집방법 중 하나로 표본의 대표성과 결과의 일반화에 초점을 두는 양적 연구에서 사용되는것이 일반적이다.
[해설작성자 : ^^]

60. 다음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적합한 실험설계방식은?(2012년 02월)

    

     1. 1회 검사사례설계
     2.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
     3. 요인설계
     4. 복수시계열설계
     5.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요인설계는 독립변수가 두 개 이상일 때 적용되는 설계이다 독립변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이들 독립변수의 속성에 따라 할당행력을 만들고 행령상의 각 범주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개별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그리고 두 개이상의 독립변수가 상호작용하여 종속변수가 갖게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이다
[해설작성자 : 영나니]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40437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발달과정에 문화적ㆍ환경적 요인은 중요하지 않다.
     2.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개인적 차이는 없다.
     3. 태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변화이다.
     4. 특정단계에서의 발달은 이전단계의 발달과업 성취와 무관하다.
     5. 하부에서 상부로, 말초에서 중심으로, 복잡한 것에서 단순한 것으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발달과정에 문화적, 환경적 요인이 중요함
2. 개인적 차이가 약간씩이 있음
4. 이전단계의 발달과업에 따라 특정단계의 발달이 나타남.
5. 인간발달은 상부에서 하부로, 중심부위에서 말초부위로, 전체운동에서 특수운동으로 진행됨.
[해설작성자 : 김왕자]

2. 인간발달의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개인의 유전형질도 인간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2. 인간발달은 퇴행적 변화보다는 상승적 변화를 의미한다.
     3. ‘환경속의 인간’은 인간발달 이해를 위한 기본 관점이다.
     4. 인간발달은 인간의 내적변화 뿐만 아니라 외적변화도 포함한다.
     5. 생물학적ㆍ심리적ㆍ사회적 체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인간발달은 퇴행적 변화와 상승적 변화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3. 융(C. Jun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니마 - 남성 속의 여성적 원형
아니무스 - 여성 속의 남성적 원형
[해설작성자 : ^^]

4.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구별되는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인간행동과 경험의 역동적이고 무의식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2. 인간의 성격은 과거사건 및 미래에 대한 열망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3. 성격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며 후천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보았다.
     4. 프로이트의 성적에너지인 리비도의 개념을 확장시켜 창의적인 생활력으로 보았다.
     5. 성격의 여러 측면을 통합하여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인생의 후반기를 강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
[해설작성자 : 피즈치자]

5. 방어기제와 그 예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부정 - 부모에게 꾸중을 듣고 적대감으로 개를 발로 차는 아이
     2. 퇴행 - 불치병에 걸렸음을 알고도 미래의 계획을 화려하게 세우는 환자
     3. 승화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죄책감으로 독거노인을 극진히 부양하는 자식
     4. 억압 - 입원 중 간호사에게 아기 같은 행동을 하며 불안을 감소시키는 노인
     5. 반동형성 - 남편이 바람피워 데려온 아이를 싫어함에도 오히려 과잉보호로 키우는 부인

     정답 : []
     정답률 : 79%

6. 에릭슨(E. Eriks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에릭슨은 자아심리이론가이다.
     2. 에릭슨의 이론을 심리사회적 이론이라고 한다.
     3. 개인의 발달은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고 하였다.
     4. 성격발달에서 유전적 요인의 영향력을 배제하였다.
     5. 각 단계별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면 자아특질(ego quality)이 강화된다고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7. 성인초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직업을 선택하고 경력을 쌓아야 한다.
     2.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친밀감을 형성한다.
     3. 신체발달이 완성되며 매우 건강한 시기이다.
     4. 자신의 과거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변화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
     5. 삶과 직업에 관한 목표와 희망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 파블로프(I. Pavlov)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환경적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행동에 관심을 가진다.
     2. 인간행동은 학습되거나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고 가정한다.
     3. 관찰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개인의 사고와 인지적 역할을 강조한다.
     5. 강화와 처벌을 중요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9. 태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임산부의 연령이 16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일 경우, 태아의 선천성 결함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정자의 X염색체와 난자가 만나 XX로 결합하면 여아가 태어나게 된다.
     3.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의 이상으로 나타난다.
     4. 터너증후군은 47개의 염색체를 가짐으로 남성에게 여성적인 성징이 나타난다.
     5. 일반적으로 16-20주가 되면 임신부가 태동을 느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염색체 47개는 다운증후군 입니다. 터너증후군은 45개의 염색체를 가지며 x염색체가 하나만 있습니다.

10. 유아기(3-6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콜버그의 후 인습적 도덕발달단계에 해당하며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는데 치중하는 시기이다.
     2. 프로이트(S. Freud)의 남근기에 해당하며 이성부모에게 관심을 갖는 시기이다.
     3. 피아제의 전조작기에 해당하며 상징적 사고가 활발한 시기이다.
     4. 에릭슨의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에 해당하며 책임의식이 고취되는 시기이다.
     5. 융의 아동기에 해당하며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11. 파블로프(I. Pavlov)의 실험에서 음식을 벨소리와 연합하여 여러번 제시하자 개는 음식없이 벨소리만 듣고도 타액을 분비하였다. 고전적 조건화와 실험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1%

12. 스키너(B. F. Skinner)의 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부적강화의 예로 체벌을 들 수 있다.
     2. 일차적 강화물은 미소, 칭찬, 점수 등이다.
     3. 가변비율 강화계획의 예로 월급을 들 수 있다.
     4. 고정간격 강화계획은 반응에 대해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강화를 주는 것이다.
     5. 반응율이 높은 강화계획 순서는 가변간격, 고정간격, 가변비율, 고정비율 순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체벌은 정적처벌에 해당하며, 부적강화의 예시로는 안전벨트 경고음 제거 등이 있다.
2. 일차적 강화물은 다른 강화물과 연합하지 않은 보상 그 자체로 사람들이 귀중하다고 여기는 대상과 활동이 포함됨.
3. 가변비율 강화계획은 평균적으로 몇 번의 반응이 일어난 후 무작위로 강화물 제시하는 것으로 월급은 고장간격 강화계획에 해당한다.
5. 반응율이 높은 강화계획 순서는 가변비율 > 고정비율 > 가변간격 > 고정간격이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13. 노년기(65세 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자아통합 대 절망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한다.
     2. 치매는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의 감퇴로 일상적 사회활동이나 대인관계에 지장을 준다.
     3. 조심성, 경직성, 능동성, 외향성이 증가한다.
     4. 남성노인은 생식기능이 저하되고 성교능력이 저하되긴 하지만 여성보다는 기능 저하가 덜하다.
     5. 일반적으로 단기기억 능력이 감퇴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14. 문화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7%

15. 로저스(C. Rogers)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1%

16.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17. 학자와 주요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0%

18. 임신 9-11주에 가능하며 염색체 이상이 의심되거나 35세 이상 임산부에게만 제한적으로 실시되는 태아진단검사는?(2012년 02월)
     1. 양수검사
     2. 융모생체표본검사
     3. 초음파검사
     4. 산모혈액검사
     5. 풍진감염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19. 아동기(7-12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프로이트의 남근기에 해당한다.
     2. 단체놀이를 통하여 노동배분의 개념을 익힌다.
     3. 제1성장 급등기에 해당한다.
     4. 주요과업은 대상영속성 개념의 획득이다.
     5. 신체적 성숙이 거의 완성되며 성역할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다음 제시된 사례와 관계있는 개념은?(2013년 01월)

    

     1. 엔트로피(entropy)
     2. 넥엔트로피(negentropy)
     3. 시너지(synergy)
     4. 균형(equilibrium)
     5. 항상성(homeostasis)

     정답 : []
     정답률 : 57%

21. 아들러(A. Adl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우월의 목표에는 긍정적 경향과 부정적 경향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2. 개인은 환경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객관적 믿음에 따라 행동한다.
     3. 치료목표는 증상의 경감이나 제거에 있다.
     4. 기본적인 생활양식은 4-5세경에 형성되며 그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5. 인간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기 어려운 의존적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들러의 이론
- 개인은 환경을 주관적으로 파악하고 주관적 믿음에 따라 행동한다.
[해설작성자 : ^^]

22. 고정비율(fixed-ratio) 강화스케줄의 사례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공부하는 자녀에게 1시간 간격으로 간식을 제공한다.
     2. 공부하는 자녀에게 처음에는 2과목 문제풀이를 끝낸 후, 두 번째는 5과목을 끝낸 후에 간식을 제공한다.
     3. 공부하는 자녀에게 매주 정기적으로 용돈을 준다.
     4. 공부하는 자녀에게 한 과목 문제풀이를 끝낼 때마다 한 번의 간식을 제공한다.
     5. 공부하는 자녀에게 하루 중 세 번의 간식을 주기로 하고 아무 때나 간식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3. 노년기(65세 이상)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8%

24. 인생주기에 따른 주요 발달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영ㆍ유아기(0-6세) - 언어학습, 보행학습, 배설통제학습
     2. 아동기(7-12세) - 양심의 발달,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독립
     3. 청소년기(13-18세) - 직업선택, 배우자선택, 성역할학습
     4. 중년기(40-64세) - 동년배 사귀는법 학습, 놀이에 필요한 신체 기술학습
     5. 노년기(65세 이상) - 노년기 부모에 대한 적응, 경제적 독립의 필요성 인식

     정답 : []
     정답률 : 75%

25. 엘리스(A. Ellis)의 '비합리적 신념'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나는 모든 일에 완벽해야 한다.
     2. 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아야 한다.
     3. 어떤 문제든지 완전한 해결책은 없다.
     4. 인간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나쁜 일의 외부원인에 관해서는 통제할 수 없다.
     5. 삶의 어려움은 직면하기보다는 피해야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6. 청소년기(13-19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개인적 우화: 자신의 사고와 감정은 매우 독특하기 때문에 타인은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함.
보기의 설명은 '상상 속의 관중'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내일은 1급]

27. 중년기(40-64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왕성한 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직업전환에 필요한 기술습득을 위한 교육은 필요하지 않다.
     2. 폐경기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감소로 인하여 관상동맥질환과 골다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3. 자아통합이 완성된 시기이므로 자신의 삶과 미래를 평가하려고 한다.
     4. 어휘력과 언어능력이 저하되므로 학습과 경험을 통합하여 사고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5. 결정성 지능은 중년기에도 계속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28. 인생주기별 주요 발달과업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영아기(0-2세) - 애착발달, 자기중심성, 직관적 사고
     2. 아동기(7-12세) - 자존감의 발달, 부모로부터 독립
     3. 청소년기(13-18세) - 자아정체감 형성, 형식적 조작사고 발달
     4. 중년기(40-64세) - 직업선택, 도덕성 발달, 노부모 부양
     5. 노년기(65세 이상) - 가족 내 역할변화와 적응, 만족스러운 직업성취

     정답 : []
     정답률 : 61%

29. 청소년(13-19세) 대상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30. 영아기(0-2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피아제에 의하면, 통찰기 단계에서 상징적 표상 사고가 시작된다.
     2. 영아는 움직이는 것보다 정지된 것을 선호하여 지각한다.
     3. 신생아의 두개골에는 6개의 숫구멍이 존재한다.
     4. 모로반사는 큰 소리가 나면 팔과 다리를 벌리고 마치 무엇인가 껴안으려는 듯 몸 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츠리는 반사운동이다.
     5. 바빈스키반사는 발가락을 펴고 오므리는 반사운동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31. 사회복지실무자에게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지식이 필요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지역주민의 복지욕구 분석
     2. 클라이언트에 관한 임상적 자료의 체계적 수집
     3. 조사대상에 대한 비윤리적 행위의 예방
     4.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실행
     5. 사회복지실무자의 정치적 민감도 제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회복지실무자에게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지식이 필요한 이유
- 사회복지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서 개인의 복지욕구를 충족
-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지식탐구절차
- 사회복지조사를 통해 실천가는 개입결과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인과성을 증명
- 인간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게 되므로 조사과정에서 방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조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필요

32. 대규모 설문조사와 비교하여 주요정보제공자(key informants)를 활용한 욕구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표본추출이 용이하다.
     2. 표본의 대표성이 높다.
     3. 비용이 적게 든다.
     4. 양적정보 뿐만 아니라 질적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5. 정보제공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과 질에 의존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실증주의와 해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해석주의는 주로 언어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한다.
     2. 실증주의는 흔히 경험주의라고도 불린다.
     3. 해석주의는 현상에 대한 직접적 이해가 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4. 실증주의는 객관적 실재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본다.
     5. 해석주의는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분석도구가 존재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55%

34. 측정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는 비율변수이다.
     2. 명목변수의 수치에는 서열이나 양적 의미가 없다.
     3. 온도 1℃와 2℃의 차이는 10℃와 11℃의 차이와 동일하다.
     4. 비율변수 0 은 경험세계에서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5. 100 Kg은 50 Kg보다 두 배 무겁다.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사례의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은?(2013년 01월)

    

     1. 후광효과
     2. 통계적 회귀
     3. 실험대상 변동
     4. 도구효과
     5. 인과적 시간 순서

     정답 : []
     정답률 : 63%

36.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비해 면접설문조사가 갖는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37. ( )안에 알맞은 것은?(2013년 01월)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2.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3. 액면타당도(face validity)
     4.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
     5.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 : []
     정답률 : 58%

38. 설문지의 회수율 모니터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추가설문지의 발송시기를 예측한다.
     2. 비응답자들의 추가응답률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3. 모니터링을 중단하는 시점은 회수율이 50%인 때이다.
     4. 여러 시점에서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면 표본추출의 편향을 추정할 수 있다.
     5. 그래프로 일일 회수빈도와 누적빈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9. 검사효과(testing)를 통제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1%

40. 비반응성 혹은 비관여적 연구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관찰현상에 대한 연구자의 영향력을 줄인다.
     2. 드러난 내용과 숨어있는 내용을 이해한다.
     3. 연구자가 타당도와 신뢰도간의 선택에 따른 딜레마로 고민할 수 있다.
     4. 자료수집을 위해 다원측정(triangulation)의 원칙을 활용한다.
     5. 명목수준의 측정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41.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외생(extraneous)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대안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통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허위적 관계를 밝히는데 활용된다.
     3. 매개변수와 통제변수는 같은 의미이다.
     4. 종속변수는 결과변수로서 독립변수에 의해 변이값을 가진다.
     5. 변수는 최소한 둘 이상의 변수값으로 구성된 변량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42. 다음이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조사설계는?(2013년 01월)

    

     1.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2.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3.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4.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5.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정답 : []
     정답률 : 57%

43. 개념의 조작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표준화된 척도는 조작화의 산물이다.
     2.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작업이다.
     3. 명목적 정의(nominal definition)로서 충분히 조작화가 가능하다.
     4. 개념적으로 정의된 내용이 실제로 관찰되게 정의하는 것이다.
     5. 양적조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44. 영가설(null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가설검증과정에 불필요한 가설이다.
     2. 일반적으로 연구가설을 말한다.
     3. 조작화되기 이전의 가설형태를 말한다.
     4. 연구가설을 반증하는 과정에서 활용된다.
     5. 가설검증을 통하여 거짓으로 판명난 가설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다음과 같은 유형의 질문은?(2013년 01월)

    

     1. 복수응답 유발형 질문
     2. 행렬식 질문
     3. 동일유형 질문
     4. 수반형 질문
     5. 개방형 질문

     정답 : []
     정답률 : 60%

46. 다음 ( )에 알맞은 것은?(2012년 02월)

    

     1. ㉠ 패러다임, ㉡ 외적 타당성
     2. ㉠ 일상적 지식, ㉡ 내적 타당성
     3. ㉠ 이론, ㉡ 결정주의
     4. ㉠ 객관성, ㉡ 간(間)주관성
     5. ㉠ 일반화, ㉡ 내적 한계

     정답 : []
     정답률 : 62%

47. 연구질문에 대한 연역적 탐구방법의 과정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이론적 이해 → 가설 → 조작화 → 측정 → 가설검증
     2. 이론적 이해 → 조작화 → 측정 → 가설 → 가설검증
     3. 관찰 → 잠정적 결론 → 일반화
     4. 관찰 → 유형의 발견 → 잠정적 결론
     5. 관찰 → 잠정적 결론 → 유형의 발견

     정답 : []
     정답률 : 72%

48.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표본의 사례수와 무관하게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2. 표준정규분포의 평균은 0 이고 분산과 표준편차는 동일하다.
     3. 정규분포의 모양은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된다.
     4. 최빈값과 중위수는 같다.
     5. 정규분포곡선은 좌우대칭이며 종모양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49. '연장입양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와 같은 연구주제를 다룰 때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초기의 분석틀을 도중에 변경할 수 있다.
     2. 개방형 질문과 구조화 면접으로 심층정보를 얻는다.
     3. 연구도구로서 연구자가 가진 자질이 중요하다.
     4.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단계상 분명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5.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구조화된 면접으로 심층정보를 얻을 수 없음
비구조화 면접으로 응답자의 깊은 주관적 느낌, 심층정보를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창문밖의그대]

50. 귀납법과 연역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귀납법과 연역법은 상호 배타적이다.
     2. 귀납법은 이론에서 조작화와 관찰로 이어진다.
     3. '모든 사람은 죽는다'와 같은 명제에서 시작하는 것은 귀납법이다.
     4. 연역법은 개별 사례의 관찰에서 출발한다.
     5. 경험적 관찰에서 보편적 유형을 찾는 것은 귀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51. 동일대상에게 시기만 달리하여 동일 측정도구로 조사한 결과를 비교하는 신뢰도 측정법은?(2012년 02월)
     1. 검사-재검사법
     2. 평행양식법
     3. 반분법
     4. 복수양식법
     5. 내적 일관성법

     정답 : []
     정답률 : 74%

52. 정규분포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4%

53. 다음 설문문항은 어떤 척도를 활용한 것인가?(2012년 02월)

    

     1. 총화평정(summated rating)척도
     2. 사회적거리감(social distance)척도
     3. 써스톤(Thurstone)척도
     4. 리커트(Likert)척도
     5. 어의변별(semantic differential)척도

     정답 : []
     정답률 : 73%

54. 다음에 해당하는 표집방법은?(2012년 02월)

    

     1. 층화(stratified)표집
     2. 군집(cluster)표집
     3. 할당(quota)표집
     4. 체계적(systematic) 무작위표집
     5. 단순(simple) 무작위표집

     정답 : []
     정답률 : 63%

55. 바람직한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의 관계로 기술되어야 한다.
     3. 표현이 간단명료하여야 한다.
     4. 이론과 연관되어야 한다.
     5. 변수 간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정(+)의 관계 뿐만아니라, 부(-)의 관계도 기술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투명한감각]

56.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2012년 02월)

    

     1. 내용(content)
     2. 동시(concurrent)
     3. 수렴(convergent)
     4. 판별(discriminant)
     5. 예측(predictive)

     정답 : []
     정답률 : 64%

57.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합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양적 연구의 결과에서 질적 연구가 시작될 수 있다.
     2. 두 가지 연구방법 모두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3. 연구자에 따라 두 가지 연구방법의 비중은 상이할 수 있다.
     4.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5. 질적 연구결과와 양적 연구결과는 상반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단일사례설계 중 ABCD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2년 02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ABCD설계
(순서효과,이월효과,우연한사건)과 관련된 제한점이 발생
[해설작성자 : 고요한시간]

59.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극단적 사례(extreme case)표집
     2. 전형적 사례(typical case)표집
     3. 눈덩이(snowball)표집
     4. 편의(convenience)표집
     5. 체계적(systematic)표집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질적연구에는 비확률표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의 의도에 따라 극단적인 사례를 표집할 수도 있고. 보다 전형적인 사례를 표집할 수도 있다. 체계적 표집은 확률표집방법 중 하나로 표본의 대표성과 결과의 일반화에 초점을 두는 양적 연구에서 사용되는것이 일반적이다.
[해설작성자 : ^^]

60. 다음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적합한 실험설계방식은?(2012년 02월)

    

     1. 1회 검사사례설계
     2. 통제집단 사후검사설계
     3. 요인설계
     4. 복수시계열설계
     5.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요인설계는 독립변수가 두 개 이상일 때 적용되는 설계이다 독립변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이들 독립변수의 속성에 따라 할당행력을 만들고 행령상의 각 범주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개별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그리고 두 개이상의 독립변수가 상호작용하여 종속변수가 갖게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이다
[해설작성자 : 영나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404370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설비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4043703)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120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5 8
119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8422591) 좋은아빠되기 2025.10.05 5
118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888803)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117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11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5 5
115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14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62049)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13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682737)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12 설비보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664416)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11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10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753449) 좋은아빠되기 2025.10.04 4
109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470430) 좋은아빠되기 2025.10.04 3
108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79326)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07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911377) 좋은아빠되기 2025.10.04 3
106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720874)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105 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2 4
104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2 6
103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1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