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서 열은 주울효과입니다. 전기로 인해 열을 흡수또는 방출하는 효과가 펠티어 효과입니다 [해설작성자 : 애플파이]
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하고 한 쪽 금속에서 다른 쪽 금속으로 전류를 흘리면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열전현상] 1. 톰슨 효과 - 전도체 양 끝에 온도차를 주면 기전력이 발생함. - 온도변화가 큰 전기 시스템에서 연 관리 및 효율분석 2.제벡효과 -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 전위차(전압)가 발생 -열전발전기(열 -] 전기로 변환) -온도센서(열전쌍) 3. 주울 효과 - 전류가 도체를 통과할 때 저항으로 인해 열발생 - 전기히터, 전기주전자 등 전열기기 4. 펠티에 효과 - 두가지 금속이나 반도체 접합부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열이 흡수 or 방출되는 현상 - 열각 냉각기(전자 냉장고, CPU 냉각기) - 정밀 온도 제어 시스템 [해설작성자 : 쑤]
14.
자속밀도가 2Wb/m2인 평등 자기장 중에 자기장과 30°의 방향으로 길이 0.5m인 도체에 8A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자력(N)은?
어떤 3상 회로에서 선간전압이 200V, 선전류 25A, 3상 전력이 7kW이었다. 이때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가.
0.65
나.
0.73
다.
0.81
라.
0.97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어떤 3상회로 델타인지 Y인지는 모르지만 전력을 구할때 루트3을 곱하는건 같습니다 그러므로 200x25x루트3 하면 8660 이나옵니다 이때 역률을구하려면 유효전력7kw/피상전력8.66kw 하면 0.808이나옵니다 반올림하면 0.81 이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kms990107]
어떤 3상 회로 = 델타or성형결선 델타 선간전류 = 루트3전류 성형 선간전압 = 루트3전압 V와 I 는 비례관계 이기 때문에 회로에 관계가 없습니다. 델타 용량= 선간전압X루트선간전류Xcos 성형 용량= 선간전류X루트선간전압Xcos 따라서 P=루트3 x 전압 x 전류 x cos [해설작성자 : 전기린이]
P=루트3vicos세타 7000 = 루트3 x 200 x 25 x X 이대로 계산기 계산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16.
3상 220V, Δ결선에서 1상의 부하가 Z=8+j6Ω이면 선전류(A)는?
가.
11
나.
22√3
다.
22
라.
22 / √3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상 델타 220V 선간전압 = 상전압 선전류 = (루트3)상전류 8+6i 의 임피던스는 삼각함수 구하듯이 (루트제곱더하기제곱) 하시면 10옴이 나옵니다 I=V/R I=220/10 I=22 여기서 1상의부하가 10옴이였으니 22A가나왔고 선전류로 바꿔주면 루트3배인 22루트3 이 답이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kms990107]
이런류와 비슷한 문제는 굳이 어렵게 풀기보단 아래에 설명하는 걸 다 외우시는게 편해요. Y결선 : 상전류 x 루트3 = 선간전압 Y결선 : 상전류 = 선전류 D결선 : 상전압 = 선간전압 D결선 : 상전류 x 루트3 = 선전류
사용하는 공식은 I = V/Z I = 220 / 8+j6 -> 220 / 루트(8제곱 + 6제곱) -> 22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17.
환상솔레노이드에 감겨진 코일에 권회수를 3배로 늘리면 자체 인덕턴스는 몇 배로 되는가?
가.
3
나.
9
다.
1/3
라.
1/9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NI/2파이r 식은 자기장세기 식이고 이 문제에서 묻는건 자체 인덕턴스입니다
자체 인덕턴스 L=투자율x단면적x권선수^2/길이 여서 자체 인덕턴스 L=N^2이 아니라 L은 N^2에 비례하는거여서 답은 2번이 맞습니다
[추가 해설]
윗설명을 도식화만 해봅니다 L[H]= μ(투자율)x A(단면적) x N2(권선수)÷ℓ(길이) L∝N2이 됩니다 ∴32= 9 가 되는 것이죠 [해설작성자 : Baik]
음..보면 3배되는 부분에서 N22= (N1×3)2이니 초기 N12 에서 N12×32이라 9배 [해설작성자 : 환영이]
18.
+Q1(C)과 -Q2(C)의 전하가 진공 중에서 r(m)의 거리에 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F(N)는?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4πε=9*10^9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9*10^9*Q1Q2/r^2 정전기력에 대한 공식. [해설작성자 : 갓기공]
19.
다음에서 나타내는 법칙은?
가.
줄의 법칙
나.
렌츠의 법칙
다.
플레밍의 법칙
라.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렌츠의 법칙 =유도기전력의 방향 [해설작성자 : 인천대산다니는훈낭]
법칙 설명충 자속의 변화를 방해라는 말이 나오면 무조건 렌츠의 법칙입니다! [해설작성자 : 설명충]
위의 설명이 제대로 분별력도 없고 이해가 안되게 풀어놔서 제대로 풀어봅니다. 위의 문제를 풀려면 Y = 1/Z공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즉 1/6+8i가 되겠네요 계산기 사용하셔서 푸시면 0.06-0.08i가 나옵니다. 여기서 앞의 0.06 컨덕턴스 뒤의 0.08은 서셉턴스입니다.
계산기를 사용해서 안풀경우의 상세 풀이방법은 6+8i/(6+8I)(6-8i)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2과목 : 전기 기기
21.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를 바꾸어 준다.
나.
Δ-Y 결선으로 결선법을 바꾸어 준다.
다.
기동보상기를 사용하여 권선을 바꾸어 준다.
라.
전동기의 1차 권선에 있는 3개의 단자 중 어느 2개의 단자를 서로 바꾸어 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 방향 변경은 임의의 3선 중 2선을 바꾸면 회전방향이 변경됩니다.
22.
발전기를 정격전압 220V로 전부하 운전하다가 무부하로 운전 하였더니 단자전압이 242V가 되었다. 이 발전기의 전압변동률(%)은?
<문제 해설> AC - DC Converter (순변환) : 제어정류기(controlled rectifier) AC - AC Converter (교류변환) : 교류전압제어기, 사이클로컨버터 DC - DC Converter (직류변환) : chopper, 스위칭 레귤레이터 DC - AC Converter (역변환) : inverter [해설작성자 : hdel409]
인버터 : 직류 → 교류 컨버터 : 교류 → 직류 사이클로 컨버터 : 교류 → 교류 (주파수 변환기) 초퍼 : 직류 → 직류 (직류 전동기 제어)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36.
동기 와트 P2, 출력 P0, 슬립 s, 동기속도 Ns, 회전속도 N, 2차 동손 P2c일 때 2차 효율 표기로 틀린 것은?
<문제 해설> △결선으로 통신선 유도장애를 줄이고 고조파을 억제시킬 수 있다. △결선이 안들어간 Y-Y 결선은 3고조파를 제거할수없다.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결선에서는 3고조파가 순환하기 때문에 외부로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순수한 Y결선에서만 3고조파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sung316]
Y-Δ 또는 Δ-Y 결선 1. Δ-Y 결선 : 낮은 전압을 높은 전압으로 올릴 때 사용합니다. (승압용) 2. Y-Δ 결선 :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낮추는데 사용합니다. (강압용) 3.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고, 제3고조파에 의한 장애가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38.
부흐홀츠 계전기의 설치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가.
콘서베이터 내부
나.
변압기 고압측 부싱
다.
변압기 주 탱크 내부
라.
변압기 주 탱크와 콘서베이터 사이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부흐홀츠계전기 변압기 내부 고장으로 인한 절연유의 온도 상승 시 발생가는 유증기를 검출하여 경보 및 차단하기 위한 계전기로 변압기 탱크와 컨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39.
3상 유도전동기의 운전 중 급속 정지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제동방식은?
가.
단상 제동
나.
회생 제동
다.
발전 제동
라.
역상 제동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동기의 제동법 발전제동:제동시 전원을 개방하여 발전기로 이용하여 발전된 전력을 제동용 저항에 열로 소비시키는 방법이다. 회생제동:제동시 전원을 개방하지 않고 발전기로 이용하여 발전된 전력을 다시 제동용 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역상제동(플러깅):급제동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기자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회전방향과 반대의 토크를 발생시켜 제동한다.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40.
슬립 4%인 유도 전동기의 등가 부하 저항은 2차 저항의 몇 배인가?
가.
5
나.
19
다.
20
라.
24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s 1-0.04 r = r'* ----------- = r'---------- = r'x24 s 0.04
r = 24r'
r : 등가 부하 저항 r': 2차 저항
∴ 등가 부하 저항은 2차 저항의 24배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상산전자 김윤섭]
R=(1-s/s)r (1-0.04)/0.04 = 24 [해설작성자 : 기능사책 잃어버린 태범이]
<문제 해설> 역률=손실 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손실이 줄었다 하여 감전사고가 감소하는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한전준비]
역률 개선시 유효전류의 값이 더 커지기 때문에 감전사고시 더 큰 피해를 입습니다. [해설작성자 : 파지직]
42.
옥내배선 공사에서 절연전선의 피복을 벗길 때 사용하면 편리한 공구는?
가.
드라이버
나.
플라이어
다.
압착펜치
라.
와이어스트리퍼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와이어 게이지 : 전선의 굵기를 측정 버니어 캘리퍼스 : 바깥지름, 안지름, 깊이 등 측정 와이어 스트리퍼 : 피복 절연물을 벗기는 자동 공구 프레서 툴 : 터미널을 압착 클리퍼 :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 오스터 : 금속관의 나사를 내는 공구 리머 : 관 안의 날카로운 것을 다듬늠 공구 ( 리이머 라고도 하던데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박수훈]
4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하여 애자사용공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고자 한다.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이상 이어야 하는가?
가.
2.5
나.
4.5
다.
6.0
라.
12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선과 조영재와의 거리 -400V미만:2.5cm 이상 -400V이상:4.5cm 이상 (단,건조한 곳은 2.5cm 이상)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문제 해설> 트위스트 접속 : 6mm2 이하 단선 브리타니어 접속 : 10mm2 이상 전선 [해설작성자 : 떳다경이]
트위스트 접속은 2.6mm이하의 가는 단선에 적합 브리타니어 분기 접속은 3.2mm이상의 굵은 단선에 적합 [해설작성자 : 그냥 지나간다 ]
45.
건축물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제거할 수 있거나 개폐할 수 있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절연전선, 케이블 및 코드를 완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배선설비의 명칭은?
가.
케이블 래더
나.
케이블 트레이
다.
케이블 트렁킹
라.
케이블 브라킷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트렁크 = 트렁킹 으로 외우자. [해설작성자 : 축구왕박농구]
사진으로 올리면 정말 설명쉬운데.. 쉽게 말해서 케이블 트레이는 사다리 같이 생겨서 케이블 올려놓고 묶어 놓는것은 아시죠? 래더는 트레이의 종류이기도 한데 여기서는 트레이의 래너타입을 말한것 같네요.. 그냥 쉽게 풀어서 사리모양의 트래이에서 아래와 옆을 덕트처럼 막아 놓은 모양을 래더라고 하고 브라킷은 우리가 흔히 벽걸이 선풍기 벽걸이 TV 설치시에 "브라킷 단다"라는 의미처럼 케이블을 떨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도구의 총 칭입니다. 그리고 정답인 트렁킹은 원어 그대로 하면 전선을 감싸는 절연체 란 뜻이지만 사무실이나 인테리어 용품보시면 멀티탭/리드선 역할인데 전선이나 코드 보이지 않게 깔끔하게 처리해서 복사기나 책상 옮길때 뚜껑 열고 콘센트 위치를 옆으로 옮길수도 있습니다. 병원 침대위에 전기코드 꼽을수 있게 해놓은것도 케이블 트렁킹의 종류중 하나라고 볼수 있습니다.
파이프 렌치 -배관 조이고 풀를때 녹아웃 펀치 - 배전함등 구멍뚫기 드라이브 이트 - 화약을 이용하는 볼트나 앵커 박기위한 총 [해설작성자 : 멋진 정민]
2021년 에듀윌 드라이브 이트: 콘크리트 또는 목재 등에 볼트나 특수 못 등을 박아 넣는 공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실내 면적 100m2인 교실에 전광속이 2500lm인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를 150lx로 하려면 몇 개의 등을 설치하면 되겠는가? (단, 조명률은 50%, 감광 보상률은 1.25로 한다.)
가.
15개
나.
20개
다.
25개
라.
30개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FUN = EAD F:광속, U:조명률, N:등의 수, E:조도, A:면적, D:감광 보상률(빛의 능력이 저하되는 것까지 고려하여 약간 크게 계산) N = EAD/FU = (150x100x1.25)/(2500x0.5) = 15(개) [해설작성자 : sung316]
설비에서 공식외우기 싫어 하시는 분.. 약간 억지스럽지만.. 공식은 "펀이다" FUN(펀)=EDA(이다) 공식을 필요없고 내용만 알면 되는데 광명수=조보면 ----------------- 광 : 광속 명 : 명률(조명률) 수 : 갯수 ----------------- 조 : 조도 보 : 보상률 면 : 면적 --------------- 이렇게 외우고 문제에서 하나씩 대입하시면 됩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광명시 근처 살고..조보연 이라고 가족분이 계셔서.. 저는 이렇게 했네요^^ 일단 붙고 봅시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50.
교류 배전반에서 전류가 많이 흘러 전류계를 직접 주 회로에 연결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기기는?
가.
전류 제한기
나.
계기용 변압기
다.
계기용 변류기
라.
전류계용 절환 개폐기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교류배전반에서 전류가 많이 흘러 전류계를 직접 주 회로에 연결할 수 없을 때 사용 하는 기기는 계기용 변류기이다. [해설작성자 : 석화고 계전 6번]
교류 배전반에서 전류가 많이 흘러 전류계를 직접 주 회로에 연결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기기는 계기용 변류기이다. 전류계! 계로 끝나니까 계로 시작하는 계기용 변류기가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여수석유화학고 5기 계전 6번]
전류기, 변류기(병렬연결)=류류병 이라고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쿠쿠다스]
계기용 변류기 (CT, Current Transformer) : 전류, 직렬 계기용 변압기 (PT, Potential Transformer) : 전압, 병렬
Transformer, 트랜스포머라는 영화 아시나요? YBM올인올 영한사전에서는 트랜스포머를 변신 로봇으로 표기 하였습니다. 전류와 전압을 변성 해주기 때문에 T가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51.
플로어 덕트 공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덕트의 끝 부분은 막는다.
나.
플로어 덕트는 접지 공사를 하지 않는다.
다.
덕트 상호 간 접속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라.
덕트 및 박스 기타 부속품은 물이 고이는 부분이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는 400V미만이기 때문에 제3종 접지공사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ung316]
21년 법개정으로 종별접지공사는 삭제됨 [해설작성자 : 가자]
52.
진동이 심한 전기 기계·기구의 단자에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되는 것은?
가.
커플링
나.
압착단자
다.
링 슬리브
라.
스프링 와셔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진동을 잡아주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실바나스]
2중너트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전기]
5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하여 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은 조가용 선에 행거로 시설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전압이 고압인 때에는 그 행거의 간격은 몇 ㎝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50
나.
60
다.
70
라.
80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행거의 간격 물어보는 문제는 50cm이하 이다 라고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ㅇ]
조가용선 행거:50cm 이하 금속테이프:20cm 이하 [해설작성자 : 경공코멧]
54.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덕트의 끝부분은 막을 것
나.
덕트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붙일 것
다.
덕트의 개구부는 위로 향하여 시설할 것
라.
덕트는 조영재를 관통하여 시설하지 아니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덕트의 개구부는 먼지나 빗물이 침입하지 못하게 아래로 향하게 시설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서울공고 신재생]
55.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한 고압 가공전선로 철탑의 경간은 몇 m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가?
[오류신고 반론] 1. 설계하중 6.8kN 이하, 전장 15m 이하일 때, 땅에 묻히는 깊이는 콘크리트주의 길이 x 1/6 이상 2. 설계하중 6.8kN 초과 9.8kN 이하, 전장 14m 이상 15m 이하일 때, 땅에 묻히는 깊이는 콘크리트주의 길이 x 1/6 + 0.3m 이상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57.
전선의 접속법에서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각 전선의 굵기는 구리인 경우 50mm2 이상이어야 한다.
나.
각 전선의 굵기는 알루미늄인 경우 70mm2 이상이어야 한다.
다.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은 각각에 퓨즈를 설치할 것
라.
동극의 각 전선은 동일한 터미널러그에 완전히 접속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병렬로 전선을 사용할 때는 각각이 아닌 공동의 퓨즈를 설치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공고소민재]
2개의 A 전선, B 전선을 병렬로 보기 3번과 같이 시설 하였다고 가정 하였을 때, A 전선의 퓨즈가 끊어지면 B 전선에 과전류가 흘러 B 전선에 설치된 퓨즈도 끊어져 결국 A, B 전선 모두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58.
정격전류가 50A인 저압전로의 과전류차단기를 배선용차단기로 사용하는 경우 정격전류의 2배의 전류가 통과하였을 경우 몇 분 이내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추가 오류 신고] 오래된 문제인데 제가 공부한 최신 기준으로는 1/3을 초과하면 안되면 33퍼라고 한국설비규정에서 명시되어져 있는데 최신판으로 수정부탁드립니다
60.
제3종 접지공사를 시설하는 주된 목적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기기의 효율을 좋게 한다.
나.
기기의 절연을 좋게 한다.
다.
기기의 누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한다.
라.
기기의 누전에 의한 역률을 좋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접지의 목적 1.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방지, 2. 화재사고 방지, 3. 기기손상 방지, 4. 뇌해 방지 5. 기기 및 배전선에서 이상전압으로 부터 대지 전위 억제 6. 지락사고시 보호계전기 확실한 동작, 7. 외부유도에 이한 장애 방지 등 [해설작성자 : 천안전기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