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식으로는 1. 실린더 내로 연료를 직접분사하는 직접분사실식, 2. 실린더 헤드에 위치한 예연소실로 연료를 분사하는 예연소실식, 3. 공기의 와류를 일으키는 실린더 구조를 가진 와류실식이 있습니다. 앞글자만 따서 지금 예가 왔어(직예와)~ 이렇게 공부하시면 쉽게 암기가 됩니다. 또한가지 직접분사실식에서는 히트레인지를 사용하고 예연소실식에서는 예열플러그를 사용하는 문제도 나오니 같이 공부해 두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밸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이다.
나.
연소실 온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이다.
다.
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연소시키는 장치이다.
라.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순환장치 이며 연소가스를 포집하였다가 가능한 연소를시키고 질소산화물(NOx)배출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전역하고싶은1인]
(연료)증발가스 -> 캐니스터 [해설작성자 : 탁미]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EGR밸브는 연소된 배기가스를 흡기다기관으로 돌려보내 재연소 시키는 장치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장치다.
이미 많은 분들이 댓글을 남겨주셔서 저는 EGR 가스가 연소실로 유입되면 왜 연소실 온도가 내려가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배기가스는 연소실 내에서 연료+공기가 반응이 완료된 물질입니다. 따라서 CO, HC, CO2, NOX 등의 물질이 많은 상태이지요~ 이런 배기가스를 다시 연소실로 재유입시키다 보니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연소실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미연소된 HC가스도 재연소가 되다보니 자연스레 배기가스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공부하다가 늦게나마 깨닫게 된 것을 적어봅니다.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작동되려면 어떤 조건일까요? 엔진의 온도가 과열(약 1,100도)된 상태입니다. 즉.연소실의 온도를 낮출 필요성이 없을때(냉간시나 가속시, 워밍업시 등)는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작동을 컨트롤하는 것이 ECU(전자적제어), 서머밸브(기계적제어)인 것이죠. EGR밸브는 연소된 배기가스를 흡기다기관으로 돌려보내 재연소 시키는 장치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장치이지만 왜 작동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가솔린 기관의 흡기 다기관과 스로틀 보디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서지탱크의 역할 중 틀린 것은?
가.
실린더 상호간에 흡입공기 간섭 방지
나.
흡입공기 충진 효율을 증대
다.
연소실에 균일한 공기 공급
라.
배기가스 흐름 제어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흡기 장치의 부품으로 적당한 체적의 공동부를 갖는 공기탱크를 말한다. 이 공동부에 의해 각 실린더 간의 흡입 행정에 의한 흡기 간섭이 완화되고, 흡기 관성 효과가 향상된다. ECI-MULTI 엔진에서는 스로틀 밸브와 보디 사이에 장착되고, 터보 차량에서는 기화기 윗면에 장착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화이부동]
배기가스 흐름제어는 머플러에서 한다 [해설작성자 : 후루꾸]
배기가스 흐름제어는 배기가스재순환장치가 한다.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저감하기위해 흡기부압에 의하여 열려 배기가스 중의 일부를 배기다기관에서 빼내어 흡기다기관으로 순환시켜 연소실로 다시 유입시킨다. 이것이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위한 배기가스재순환장치의 배기가스 흐름제어의 원리이다. [해설작성자 : 판타스틱]
4.
전자제어 연료분사 가솔린 기관에서 연료펌프의 체크 밸브는 어느 때 닫히게 되는가?
가.
기관 회전 시
나.
기관 정지 후
다.
연료 압송 시
라.
연료 분사 시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체크밸브 (Check Valve) 연료펌프가 멈추면 체크 밸브는 스프링 힘에 의해 닫히고, 일정 압력이 연료라인에 남게된다. 연료라인에 남은 일정한 압력은 엔진의 재시동을 용이하게 하며 베이퍼록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휴가가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에 무게가 있어야 합니다. 1톤짜리 자동차가 빙판길에서 급제동했을경우와 2톤짜리 자동차가 빙판길에서 급제동했을때 급제동직전 속도가 같도고 했을 때, 정지 위치가 같을까요? 위 해설에서 질량을 1로 한다는 근거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닥터C라고 해두죠.]
[오류신고 반론] 오류 신고 내용에 대한 답입니다. 이 문제는 질량을 미지수로 두고 풀어도 됩니다.
F = umg = 0.5 * m * 9.81 F = ma --> a = 0.5 *9.81 = 4.905 m/s^2
무게가 1톤이든 2톤이든 상관없겠죠? ^^ [해설작성자 : 누누와윌럼프]
[오류신고 반론] F = μmg = ma (μ= 마찰계수 = 0.5 , g = 중력가속도 = 9.8 m/s2) a = 0.5 × 9.8 m/s2 = 4.9 m/s2 E (운동에너지) = 1/2 mv2 E 변화량(일) w = 1/2 mv(초기)2- 1/2 mv(최종)2 = Fs = mas s= 이동거리 = 문제에서 구해야 할 값 v(초기)2- v(최종)2 = 2as 102m2/s2- 0 = 4.9 m/s2× s s = (102m2/s2)/(4.9 m/s2) = 10.2 m [해설작성자 : 위단]
[오류신고 반론] 정지거리에서 주어지는 마찰계수는 급제동할 때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고 노면에 쓸리면서 생기는 저항입니다. 즉, 급제동 할 때는 차량의 무게와는 관련 없이 오직 타이어와 노면간의 일정한 마찰력에 의해서만 정지거리가 결정됩니다. 문제에서 차량이 급제동한다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마찰계수는 급제동 시 적용되는 값이므로 문제에서 마찰계수가 나오면 급제동을 하는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223]
14.
전자제어 가솔린분사장치에서 기관의 각종센서 중 입력 신호가 아닌 것은?
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
나.
냉각 수온 센서
다.
크랭크 각 센서
라.
인젝터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인젝터는 센서(입력)가 아니라 액추에이터(출력)다
15.
LPG기관의 연료장치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는?
가.
기상밸브
나.
액상밸브
다.
안전밸브
라.
과류방지밸브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관 냉각수의 온도 약 15도를 기준으로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기상밸브를 작동시킨다. [해설작성자 : 김강민]
행정의 길이가 250mm인 가솔린 기관에서 피스톤의 평균속도가 5m/s라면 크랭크축의 1분간 회전수(rpm)는 약 얼마인가?
가.
500
나.
600
다.
700
라.
800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5000/250)/2=10 초당 약 10회 회전 600 [해설작성자 : 근호근호근호]
(60 x 1000 x 5) / (2 x 250) = 600 [해설작성자 : Shawn]
엔진 회전수 : 30 * 피스톤 평균속도[m/s]/행정[m]
그러므로, 30 * 5/0.25 = 600 [해설작성자 : 병 1223기]
피스톤 상하 왕복1회 운동이 크랭크축 1회전 피스톤 속도를 프스톤 길이 단위와 mm로 동일하게 변환하면, 5000 mm/s 피스톤 속도가 초당 5000mm를 움직이는 것은 피스톤이 초당 10번 상하 왕복운동한 것임 (5000 / (250 *2)=10) 결국 크랭크축이 초당 10번 회전한 것과 같음. 1분동안은 60초를 곱해서 600번 회전 10 x 60 = 600 rpm [해설작성자 : 명이도령]
18.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가.
무화
나.
분포
다.
조정
라.
관통력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연료분사에 필요한 조건은 무화(안개화),분포(분무),관통력이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19.
가솔린 전자제어 기관에서 축전지 전압이 낮아졌을 때 연료분사량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은?
가.
분사시간을 증가시킨다.
나.
기관의 회전속도를 낮춘다.
다.
공연비를 낮춘다.
라.
점화시기를 지각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축전지 전압이 낮아지면 무효분사시간이 길어지므로 연료 분사시간을 증가 시킨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20.
자동차 주행빔 전조등의 발광면을 상측, 하측, 내측, 외측의 몇 도 이내에서 관측 가능해야 하는가?
가.
5
나.
10
다.
15
라.
20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자동차 주행빔 전조등의 발광면은 상측,하측,내측,외측에서 5도 이내에서 관측이 가능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2과목 :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배기밸브가 하사점 전 55°에서 열려 상사점 후 15°에서 닫힐 때 총 열림각은?
가.
240°
나.
250°
다.
255°
라.
260°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55+180+15=250 [해설작성자 : 타르타르트]
열림각: 하사점 전 각도 + 상사점 후 각도 + 180 = 총 열림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기관의 습식 라이너(wet typ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습식 라이너를 끼울 때에는 라이너 바깥둘레에 비눗물을 바른다.
나.
실링이 파손되면 크랭크 케이스로 냉각수가 들어간다.
다.
냉각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라.
냉각 효과가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습식 라이너는 냉각수와 직접 접촉으로 냉각효과가 크다.실링이 파손되면 크랭크 케이스로 냉각수가 들어갈 우려가 있으며, 라이너를 끼울 때에는 라이너 바깥둘레에 비눗물을 바른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23.
공기량 계측방식 중에서 발열체와 공기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이용한 방식은?
가.
열선식 질량유량 계량방식
나.
베인식 체적유량 계량방식
다.
칼만와류 방식
라.
맵 센서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번. 베인식 체적유량 계량방식 : 포텐시오 미터의 저항이 변하도록 흡입공기를 측정하는 방식
3번. 칼만와류 방식 : 기둥을 설치하여 공기중의 와류를 형성시키는 방식
4번. 맵 센서방식 : 1사이클당 공기 흡입량을 추정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24.
유압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컨트롤유닛(ECU)의 입력 요소는?
가.
브레이크 스위치
나.
차속 센서
다.
흡기온도 센서
라.
휠 스피드 센서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차속센서 신호가 동력 조향장치컨트롤 유닛에 입력되면 차속에 따라 조향력을 적절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랜슨]
차속센서 외 조향각센서, TPS 가 있다 [해설작성자 : 보란치]
25.
ABS 차량에서 4센서 4채널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ABS 작동 시 각 휠의 제어는 별도로 제어된다.
나.
휠 속도센서는 각 바퀴마다 1개씩 설치된다.
다.
톤 휠의 회전에 의해 전압이 변한다.
라.
휠 속도센서의 출력 주파수는 속도에 반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센서 4채널 방식이란 4개의 휠 스피드 센서와 4개의 제어 채널을 지니고 있으며, 각 바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휠 속도센서의 출력 주파수는 속도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26.
일반적인 브레이크 오일의 주성분은?
가.
윤활유와 경유
나.
알콜과 피마자기름
다.
알콜과 윤활유
라.
경유과 피마자기름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오일은 알콜과 피마자기름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27.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 기능에 해당 되는 것이 아닌 것은?
가.
앤티 스키드
나.
앤티 롤
다.
앤티 다이브
라.
앤티 스쿼트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앤티'란 반대의, ~에 대항하는 이라는 뜻이다)
1. 앤티 스키드 : 미끄러운 노면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타이어가 로크(lock)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장치이다.
2. 앤티 롤 :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언덕길에서 일시 정지하였다가 다시 출발할 때 차가 뒤로 구르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다.
3. 앤티 다이브 : 다이브는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 차의 앞부분이 내려가는 것을 말하고, 리프트는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 차체 뒤쪽이 올라가는 것을, 스쾃은 급가속했을 때 차의 뒷부분이 밑으로 내려앉는 것을 말한다.
4. 앤티 스쿼트 : 급출발 또는 급가속할 때 차체의 앞쪽은 들리고, 뒤쪽이 낮아지는 노스업(nose-up)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28.
후축에 9890kgf의 하중이 작용될 때 후축에 4개의 타이어를 장착하였다면 타이어 한 개당 받는 하중은?
<문제 해설> 오버드라이브 장치 : 자동차에 설치된 자동 증속 장치 록킹 볼 장치 : 변속기의 기어가 결합 후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속 레일 고정 홈을 눌러 고정시키는 부품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31.
자동변속기에서 오일라인압력을 근원으로 하여 오일라인압력 보다 낮은 일정한 압력을 만들기 위한 밸브는?
가.
체크 밸브
나.
거버너 밸브
다.
매뉴얼 밸브
라.
리듀싱 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체크 밸브 : 액체의 역류를 막고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이다. 거버너 밸브 : 거버너는 ‘조속기(調速機)’의 뜻이다. 거버너 밸브는 자동차의 속도에 알맞은 오일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밸브로서,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다. 매뉴얼 밸브 :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변속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용 밸브로서, 오일 라인에 압력을 P, R, N, D, 2, L 레인 인에 따라 작동 부분에 유도된다.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오일 라인 압력을 근원으로 하여 오일 라인 압력보다 낮은 일정한 압력을 만든다 = 다시 프로듀싱한다 = 리듀싱 밸브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봄]
32.
기관의 회전수가 3500rpm, 제2속의 감속비 1.5, 최종감속비 4.8, 바퀴의 반경이 0.3m일 때 차속은? (단, 바퀴의 지면과 미끄럼은 무시한다.)
가.
약 35km/h
나.
약 45km/h
다.
약 55km/h
라.
약 65km/h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우선 3500RPM은 '분'을 기준으로 한 단위죠. 따라서 '초'나 '시'로 기준을 바꿔야 합니다. 편하게 '초'단위로 바꿔보죠. 3500RPM은 1분, 즉 60초 동안의 회전수이니 1초의 회전수를 알려면 60을 나눠주면 됩니다. 3500RPM / 60 = 약 58RPS (RPS는 Revolutions Per Second 매초 회전수를 말합니다.)
감속비는 저 기어를 거치면 저 배수만큼 회전수가 줄어드는 것이므로 위에 RPS에 감속비를 각각 나눠줍니다. 58 / 1.5 / 4.8 = 8.06RPS
즉, 엔진이 3500RPM으로 회전할 때 바퀴는 1초에 약 8번 회전하는 겁니다.
이제 이 바퀴 회전수에 바퀴의 둘레를 곱하면 속도가 나오겠네요. 바퀴의 반지름이 0.3M이므로 이를 원의 둘레길이 구하는 공식에 집어 넣으면 됩니다. 0.3*2*3.14 = 1.884M
따라서 1.884M * 8 = 15.19M가 되므로 이 차는 15.19m/s 의 속도로 움직이는 겁니다.
계산시, π를 3.14로 계산하면 60이상의 값이 나오므로 공학계산기의 π값을 이용하도록 하며, 문제에서 바퀴의 반경 0.3이 주어졌기에 바퀴의 지름을 구하기 위하여 *2를 해 0.6을 공식에 대입했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33.
유압식 브레이크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가.
뉴턴의 원리
나.
파스칼의 원리
다.
베르누이의 원리
라.
애커먼 장토의 원리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유압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이며, 파스칼의 원리란 밀폐된 용기 내에 액체를 가득 채우고 압력을 가하면 모든 방향으로 같은 압력이 적용한다는 원리이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34.
주행 시 혹은 제동 시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가.
좌·우 타이어의 공기 압력이 같지 않다.
나.
앞바퀴의 정렬이 불량하다.
다.
조향 핸들축의 축 방향 유격이 크다.
라.
한쪽 브레이크 라이닝 간격 조정이 불량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주행 중 조향핸들이 한쪽방향으로 쏠리는 원인 1. 브레이크 라이님 간극 조정이 불량하다. 2. 휠이 불평형하거나 컨트롤암(위 또는 아래)이 휘었다. 3. 쇽업소버의 작동이 불량하다. 4. 좌'우 타이어 공기압력이 불균일하다. 5. 앞바퀴 정렬(얼라인먼트)이 불량하다. 6. 한쪽 휠 실린더의 작동이 불량하다. 7. 뒤 차축이 차량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이 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감자늘보]
조향 핸들축의 축 방향 유격이 크면 핸들 떨림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기]
35.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가 아닌 것은?
가.
차고 센서
나.
유온 센서
다.
입력축 속도센서
라.
스로틀 포지션 센서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차고 센서 : 레버의 회전량이 센서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높이 변화에 따른 차축과 보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유온 센서 : 코어를 하우징에 설치하여 냉각수를 흐르게 하면, 코어에 흐르는 오일은 냉각수로 열을 방출하거나 열을 받아 오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스로틀 포지션 센서 : 기화기 또는 스로틀 보디의 스로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 전압이 변하며,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이 전압 변화를 기초로 하여 엔진의 가속 상태를 판단하고 제어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
36.
차동장치에서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의 백 래시 조정은?
가.
축받이 차축의 왼쪽 조정심을 가감하여 조정한다.
나.
축받이 차축의 오른쪽 조정심을 가감하여 조정한다.
다.
차동 장치의 링기어 조정 장치를 조정한다.
라.
스러스트(thrust) 와셔의 두께를 가감하여 조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차동장치에서 차동 피니언과 사이드 기어의 백 래시 조정은 스러스트 와셔의 두께를 가감하여 조정한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37.
빈칸에 알맞은 것은?
가.
㉠최소, ㉡작게, ㉢앞차축
나.
㉠최대, ㉡작게, ㉢뒷차축
다.
㉠최소, ㉡크게, ㉢앞차축
라.
㉠최대, ㉡크게, ㉢뒷차축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애커먼 장토의 원리는 조향각도를 최대로 하고, 선회할 때 선회하는 안쪽 바퀴의 조향각도가 바깥쪽 바퀴의 조향각도보다 크게 되며,뒷차축의 연장선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선회하여 사이드슬립 방지와 조향핸들 조작에 따른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정답:최대-크게-뒷차축 이 된다
38.
디스크 브레이크와 비교해 드럼 브레이크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가.
페이드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나.
구조가 간단하다.
다.
브레이크의 편제동 현상이 적다.
라.
자기작동 효과가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드럼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비해 자기작동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박준석]
39.
조향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적당하지 않는 사항은?
가.
적당한 회전 감각이 있을 것
나.
고속주행에서도 조향핸들이 안정될 것
다.
조향휠의 회전과 구동휠의 선회차가 클 것
라.
선회 후 복원성이 있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조향휠의 회전과 구동휠의 선회차가 작을 것 [해설작성자 : 박준석]
40.
수동변속기에서 클러치의 미끄러지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가.
클러치 디스크에 오일이 묻었다.
나.
플라이 휠 및 압력판이 손상 되었다.
다.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이 크다.
라.
클러치 디스크의 마멸이 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유간극 :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 릴리스 베어링이 릴리스 레버에 닿게 되면 베어링 손상과 클러치 슬립으로 인한 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두는 간극을 말한다. 클러치 페달을 가볍게 눌러 보았을 때 저항을 느낄 때까지 페달이 움직인 거리는 대개 20∼30mm이다. [해설작성자 : Aka나트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