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기체 몰수 비는 부피비와 같다. 5m3의 탄산가스(이산화탄소)를 만들기 위해서 10m3의 탄산수소나트륨이 필요하다. 기체 1mol은 22.4L → 1kmol은 22.4m3 10/22.4 = 0.446kmol NaHCO3= 23+1+12+16*3 = 84kg/kmol, 즉 탄산수소나트륨 1kmol당 84kg
탄산칼슘(CaCO3)은 물과 반응할 때 위험성이 증가하는 물질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탄산칼슘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물과 직접적인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아요. 하지만, 산(예: 염산, 황산)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CO2) 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의 제조소에 설치하는 주의사항 게시판의 바탕색과 문자색을 옳게 나타낸 것은?
가.
청색바탕에 황색문자
나.
황색바탕에 청색문자
다.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라.
백색바탕에 청색문자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시행규칙 별표4 제조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의 기준(제28조관련) Ⅲ표지 및 게시판 2의 라,마 라. 1)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과 이를 함유한 것 또는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에 있어서는 "물기엄금" 2) 제2류 위험물(인화성고체를 제외한다)에서 있어서는 "화기주의" 3)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고체,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물질 제4류 위험물 또는 제5류 위험물에 있어서는 "화기엄금" 마. 라목의 게시판의 색은 "물기엄금"을 표시하는 것에 있어서는 청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화기주의" 또는 "화기엄금'을 표시하는 것에 있어서는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할 것 [해설작성자 : 한윤철]
6.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의 화재시에 가장 적당한 소화방법은?
가.
물에 의한 냉각소화
나.
질소에 의한 질식소화
다.
사염화탄소에 의한 부촉매 소화
라.
이산화탄소에 의한 질식소화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5류 위험물 일반적성질 :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연소속도가 빠르다, 대부분 물질 자체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 소화방법 : 다량의 냉각주수소화과 효솨적, 초기화재에는 이산화탄소, 분말소화약제로 소화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빠]
제5류 위험물 화재 시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가 효과적이다 (참고) 제1류 위험물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 주수금지 제1류 위험물 그외 - 주수소화 제2류 위험물 - 주수금지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 - 주수금지 제3류 위험물 중 자연발화성물질 - 주수소화 제4류 위험물 - 질식소화 제5류 위험물 - 주수소화 제6류 위험물 0 주수소화 냉각소화(주수소화) : 물소화약제, 강화액소화약제 주수금지 : 탄산수소염류 분말소화약제, 간이소화약제 질식소화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분말소화약제, 포소화약제 [해설작성자 : 다빛]
제2류 위험물 - 주수금지 -> 제2류 위험물 - 주수소화 (단,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류의 경우 모래 또는 소다재) [해설작성자 : 소방이]
7.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한계산소량 이하로 낮추어 연소를 중지시키는 소화방법은?
가.
냉각소화
나.
제거소화
다.
억제소화
라.
질식소화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가연물을 제거한다(제거소화법). (2) 산소를 차단한다(질식소화법). (3) 산화반응의 진행을 차단한다(억제소화법). (4) 화점의 온도를 낮춘다(냉각소화법). (5) 기름 등 화재 시 유면을 에멀젼 시키다(유화소화법). (6) 가연물의 농도를 희석시킨다(희석소화법). [해설작성자 : 민준아]
8.
폭굉 유도거리(DID)가 짧아지는 경우는?
가.
정상 연소속도가 작은 혼합가스일수록 짧아진다.
나.
압력이 높을수록 짧아진다.
다.
관지름이 넓을수록 짧아진다.
라.
점화원 에너지가 약할수록 짧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상 연소속도가 큰 혼합가스일수록 -관지름이 작거나, 관속에 장애물이 있을 때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할수록 DID는 짧아진다. [해설작성자 : 오른이]
폭굉 유도거리 - 관중에 폭굉 가스가 존재할때 최초의 완만한 연소가 격렬한 폭굉으로 발전할때 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환안가장]
. Halon 번호를 보고 남아 있는 수소 원자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은 포화탄화수소가 가지고 있는 수소의 수[(탄소수 × 2) + 2]에서 치환된 할로겐족 원소의 합인 나머지 숫자를 빼면 된다. 수소 원자의 수 = (첫번째 숫자 × 2) + 2 - 나머지 숫자의 합 예를 들면 Halon 1001(CH3Br)의 경우에 치환되지 않은 수소 원자의 수는(1×2)+2-1=3이다.
16.
다음 중 강화액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원리에 해당하는 것은?
가.
냉각소화
나.
절연소화
다.
제거소화
라.
발포소화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강화액소화약제는 물소화약제의 성능을 강화시킨 소화약제로써 물에 탄산칼륨(K2CO3)를 용해 시킨 소화약제이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홧팅이라능]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7A) 제3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2.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라 함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3. 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라 함은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현대공고]
1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가 아닌 것은?
가.
이산화탄소소화기
나.
봉상강화액소화기
다.
포소화기
라.
인산염류분말소화기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류위험물은 인화성액체 (기름이 주를이룹니다)입니다. 고로 수계를 사용하지 않는다를 원칙으로합니다(예외는 있습니다.) 예를 몇가지 들자면 1 포같은경우는 기름을 덮어 끄기위해 물에다가 약재를 섞은것이니 4류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다고볼수있고(알코올류와같은 수용설위험물은 특수한 안정제를 가한 알코올형 포소화약제를 사용해야합니다) 2 비주이 물보다 큰중유화재일경우에도 물을 무상으로 방사하는 물분무소화가 적응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운정119안전센터 소방사 ]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액체이며 주로 물보다 가벼워서 화재 시 봉상의 강화액소화기를 사용하면 화재면을 확대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 안 함. [해설작성자 : 00]
20.
물과 친화력이 있는 수용성 용매의 화재에 보통의 포소화약제를 사용하면 포가 파괴되기 때문에 소화 효과를 잃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소화약제로 가연성인 수용성 용매의 화재에 유효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가.
알코올형포소화약제
나.
단백포소화약제
다.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라.
수성막포소화약제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수용성 물질의 화재 시 일반 포를 사용하면 소포성으로인해 포가 파괴됩니다. 따라서 수용성 물질의 화재에는 내알코올포 소화약제 또는 알코올형포 소화약제를 사용해야합니다.
<문제 해설> (주유취급소에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1.주유 또는 등유*경유를 옮겨 담기 위한 작업장 2.주유취급소에 출입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점포*휴게음식점 또는 전시장 3.자동차 등의 점검 및 간이정비를 위한 작업장 4.자동차 등의 세정을 위한 작업장 5.주유취급소에 출입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점포*휴게음식점 또는 전시장 6.주유취습소의 관계자가 거주하는 주거시설 7.전기자동차용 충전설비 8.그 밖의 국민안전처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 9.위의 2,3 및 5의 용도에 제공하는 부분의 면적의 합은 1,000m2을 초과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홧팅이라능]
44.
위험물관리법령상 옥외저장소 중 덩어리상태의 유황만을 지반면에 설치한 경계표시의 안쪽에서 저장 또는 취급할 때 경계표시의 높이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가.
1
나.
1.5
다.
2
라.
2.5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옥외저장소 중 덩어리 상태의 유황만을 지반면에 설치한 경계표시의 안쪽에서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술기준은 다음 각목과 같다. 가. 하나의 경계표시의 내무의 면적은 100m2 이하일 것 나. 2 이상의 경계표시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경계표시 내부의 면적을 합산한 면적은 1,000m2 이하로 하고, 인접하는 경계표시와 경계표시와의 간격을 제1호 라목의 규정에 의한 공지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인 경우에는 10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 경계표시는 불연재료로 만드는 동시에 유황이 새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라. 경계표시의 높이는 1.5m 이하로 할 것 마. 경계표시에는 유황이 넘치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천막 등을 고정하는 장치를 설치하되, 천막 등을 고정하는 장치는 경계표시의 길이 2m마다 한 개 이상 설치할 것 바. 유황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의 주위에는 배수구와 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강화반-문세준]
45.
위험물옥외저장탱크의 통기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밸브없는 통기관의 직경은 30 mm 이상으로 한다.
나.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은 항시 열려 있어야 한다.
다.
밸브 없는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보다 45도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의 침투를 막는 구조로 한다.
라.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은 5kPa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번과 4번의 답이 서로 겹친다. 누가봐도 항상 열려있으면 안될것 같지 않은가. 적당한 압력이 있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홧팅이라능]
"누가봐도 항상 열려있으면 안될것 같지 않은가"라는 식의 풀이로 하면 큰일남.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은 항시 열려있으면 안되지만, 가연성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밸브를 통기관에 설치하는 경우 통기관의 밸브는 위험물을 주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개방되어 있어야함.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사람]
가연성의 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밸브를 통기관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통기관의 밸브는 저장탱크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한편, 폐쇄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는 10kPa 이하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구조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문제집 보는 사람]
4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 중 건축물의 2층을 휴게음식점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있어 해당 건축물의 2층으로 부터 직접 주유취급소의 부지 밖으로 통하는 출입구와 해당 출입구로 통하는 통로ㆍ계단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가.
비상경보설비
나.
유도등
다.
비상조명등
라.
확성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출입구/통로/계단 주위에 항상 보이는 것이 유도등!! [해설작성자 : 위험물어떻게외워...]
<문제 해설> 급기구는 높은곳에 설치하고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Giovanni]
지문에 배출설비라고 나와있기 때문에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고, 인화방지망을 설치합니다 배출설비(급기구)- 높은곳 환기설비(급기구)- 낮은곳 [해설작성자 : 범진의진]
4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 장치에서 펌프의 토출량은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에 대해 해당 설치개수(5개 이상인 경우에는 5개)에 얼마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가.
260 L/min
나.
360 L/min
다.
460 L/min
라.
560 L/min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옥내소화전 수원의 수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설치개수(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에 5개)에 7.8m3을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수원의 양(Q)=Q(m3)=N x 7.8m3 (N, 5개 이상인 경우 5개) + 7.8m3란 법정 방수량 260L/min으로 30min 이상 기동할 수 있는양 ------이 두가지를 알아야하는 아주 주옥같이 이쁜 주옥같은 문제입니다. 하하 [해설작성자 : 위험물홧팅이라능]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년 4월 법개정으로 가장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최대수량(설치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 2개)로 변경되었네요 ^^ [해설작성자 : 강원도여행]
[관리자 입니다. 옥내소화전 설비 규정이 바뀌어서 최대 수량이 2개로 변경된것은 이미 확인되어 수정중에 있습니다.
다만, 본 문제는 일반적인 옥내소화전(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이 아니라.
위험물안전관리 법령에 따른 옥내 소화전설비 기준이므로 해당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중에 있습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된것이라면 정확한 근거 법령 링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펌프의 토출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 (옥내소화전이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130ℓ/min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소방시설의설치·유지및위험물제조소등시설의기준등에관한규칙
제7조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 ①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1984. 8. 16.>
3. 펌프의 1분당 토출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옥내소화전이 5개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5개)에 130리터를 곱한 양이상이 되도록 할 것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시행 2019. 1. 14.] [소방청고시 제2019-4호, 2019. 1. 14., 일부개정] ---중간생략--- 제 129조 옥내소화전 다.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1) 내지 (8)에 정한 것에 의할 것 (1) 펌프의 토출량은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에 대해 당해 설치개수(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에는 5개로 한다)에 260ℓ/min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법이 애매 하네요 아무튼 정답은 아직 1번 맞습니당 [해설작성자 : 펙트첵킹]
50.
위험물의 운반에 관한 기준에서 다음 ( ) 안에 알맞은 온도는 몇 ℃ 인가?
가.
40
나.
50
다.
55
라.
60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적재하는 제 5류 위험물중 55도 이하의 온도에서 분해될 우려가 있는 것은 보냉 컨테이너에 수납하는 등 적당한 온도관리를 유지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강화반-KJH]
51.
위험물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의 품명에 따른 위험등급과 옥내저장소 하나의 저장창고 바닥면적 기준을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전용의 독립된 단층건물에 설치하며, 구획된 실이 없는 하나의 저장창고인 경우에 한한다.)
가.
제1석유류:위험등급 I, 최대 바닥면적 1000m2
나.
제2석유류:위험등급 I, 최대 바닥면적 2000m2
다.
제3석유류:위험등급 II, 최대 바닥면적 1000m2
라.
알코올류:위험등급 II, 최대 바닥면적 1000m2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석유류는 알코올과 함께 위험등급 2등급임 나머지 2석유 3석유 4석유 동식물유류는 위험등급 3등금임 [해설작성자 : 기능사합격하자]
제 1석유류의 위험등급은 2등급 / 제 2석유류의 위험등급은 3등급 / 제 3석유류 역시 3등급이므로 4번이 정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린사이]
위험등급1급짜리 1류위험물:무기과산화물(50),염소산염류(50),아염소산염류(50),과염소산염류(50) 외 50kg짜리 3류위험물:알킬리튬(10),알킬알루미늄(10),나트륨(10),칼륨(10),황린(20) 외 10kg짜리 4류:특수인화물(50L) 5류:유기과산화물(10),질산에스테르(10) 외 10kg 6류:all
위험등급 2급짜리 물질 1류:질산염류(300) 요오드산염류(300) 브롬산염류(300) 그 외 300kg 2류:황화린(100),적린(100),유황(100) 외 100kg 3류:알칼리금속(50),알칼리토금속(50),유기금속화합물(50) 그 외 50kg (나트륨,칼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제외한) 4류:1석유류 알코올류 5류:그외 나머지 [해설작성자 : 문제 (패드립 아닌 심한말) 꼬았네]
52.
인화점이 21℃ 미만인 액체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 주입구에 설치하는 "옥외저장탱크 주입구"라고 표시한 게시판의 바탕 및 문자색을 옳게 나타낸 것은?
가.
백색바탕 - 적색문자
나.
적색바탕 - 백색문자
다.
백색바탕 - 흑색문자
라.
흑색바탕 - 백색문자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0조 관련별표6 VI 제9호 마목 인화점이 21℃ 미만인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의 주입구에는 보기 쉬운 곳 [해설작성자 : 김효민]
제조소등=백색바탕에흑색문자 [해설작성자 : 준비생]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안전관리자의 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 업무
나.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응급조치
다.
위험물 취급에 관한 일지의 작성ㆍ기록
라.
위험물안전관리자의 선임ㆍ신고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자신이 자신을 선임하고 신고한다? 완전 비리 아닌가. [해설작성자 : 위험물홧팅이라능]
1. 위험물의 취급작업에 참여하여 당해 작업이 법 제5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한 기술기준과 법 제17조의 규정에 의한 예방규정에 적합하도록 해당 작업자(당해 작업에 참여하는 위험물취급자격자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지시 및 감독하는 업무 2.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한 경우 응급조치 및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업무 3. 위험물시설의 안전을 담하는 자를 따로 두는 제조소등의 경우에는 그 담당자에게 다음 각목의 규정에 의한 업무의 지시, 그 밖의 제조소등의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규정에 의한 업무 가. 제조소등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를 법 제5조제4항의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점검과 점검상황의 기록ㆍ보존 나. 제조소등의 구조 또는 설비의 이상을 발견한 경우 관계자에 대한 연락 및 응급조치 다.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현저한 경우 소방관서 등에 대한 연락 및 응급조치 라. 제조소등의 계측장치ㆍ제어장치 및 안전장치 등의 적정한 유지ㆍ관리 마. 제조소등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에 관한 설계도서 등의 정비ㆍ보존 및 제조소등의 구조 및 설비의 안전에 관한 사무의 관리 4. 화재 등의 재해의 방지와 응급조치에 관하여 인접하는 제조소등과 그 밖의 관련되는 시설의 관계자와 협조체제의 유지 5.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일지의 작성ㆍ기록 6. 그 밖에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를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 위험물설비를 보수하는 작업 등 위험물의 취급과 관련된 작업의 안전에 관하여 필요한 감독의 수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탱크저장소의 기준에서 옥내저장탱크 상호간에는 몇 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가?
가.
0.3
나.
0.5
다.
0.7
라.
1.0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옥내탱크저장소의 탱크와 탱크전용실과의 상호거리 - 탱크와 탱크전용실 외벽 : 0.5m이상 - 탱크와 탱크 상호 간의 거리 : 0.5m이상 - 탱크의 점검 및 보수에 지장이 없는 경우 : 상호거리 제한 없음 [해설작성자 : 오백이]
55.
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 고체의 제조소에 설치하는 주의사항 게시판에 표시할 내용을 옳게 나타낸 것은?
가.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화기엄금" 표시
나.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화기주의" 표시
다.
백색바탕에 적색문자로 "화기엄금" 표시
라.
백색바탕에 적색문자로 "화기주의" 표시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위험물 제조소의 표지판 : 백색바탕 흑색문자 - 표지판 및 게시판의 규격 : 한변의 길이 30c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 0.6m이상 직사각형
옥내, 옥외탱크저장소의 주입구 및 펌프설비 표지판 등 : 백색바탕 흑색문자 이나 주의사항 게시판은 백색바탕 적색문자(화기엄금) [해설작성자 : 오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