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1.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0%

2. 상담 초기단계에 이루어지는 상담구조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명료화한다.
     2. 상담 진행과정에 대해 합의하는 과정이다.
     3. 상담자는 비밀보장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4. 상담시간에 오지 못할 경우 연락하는 방법에 대해 상의한다.
     5. 내담자가 상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성과에 대한 보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청소년 상담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치료적 접근이 예방적 접근보다 더 유용하다.
     2. 청소년 내담자는 부모나 교사에 의해 의뢰되는 경우가 많다.
     3. 청소년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므로 상담자는 사회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4. 가족과 교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5. 언어적 의사소통 이외에도 다양한 상담접근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4. 개인심리학의 '가상적 목표'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 철학자는?(2016년 10월)
     1. 바이힝거(H. Vaihinger)
     2. 안스바허(H. Ansbacher)
     3. 하이데거(M. Heidegger)
     4. 헤링톤(G. Harrington)
     5. 빈스방거(L. Binswanger)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가상적인 최종목표
- 인간이 누구나 가지는 실현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
- 독일 철학자 Vaihinger(바이힝거)의 저서 The Philosopsy of the As if에서 영감을 받음
- 가상적 목표는 아동기에 형성되며 허구적인 이상으로서 개인의 인생에 있어서 최상의 지침으로 적용됨
- 개인의 열등감을 보상하는 기능을 지님
[해설작성자 : 뇨뇨]

5. 실존치료자들의 공통된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인간은 계속해서 되어가는 존재이다.
     2. 인간은 자기인식의 능력을 지닌 존재이다.
     3. 인간은 존엄성과 가치를 지닌 존재이다.
     4. 인간은 비합리적이며 본능적 충동에 의해 행동하는 존재이다.
     5. 인간은 실존적으로 단독자이면서 타자와의 관계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95%

6.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2. 생활양식은 개인이 지니는 독특한 삶의 방식으로 가족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출생순위는 성격형성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지만, 가족 내 역할과 심리적 출생순위가 더 중요하다.
     4. 열등감은 신경증의 원천으로 잠재 능력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다.
     5.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 존재로서 과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인간은 성적동기보다 사회적 충동에 의해 동기화되는 사회적 존재이다.
2. 생활양식은 개인의 행동, 습관을 이야기 하며, 출생순위로 인해 형제간에 다르게 나타나는 경험도 생활양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4. 열등감은 잠재능력을 발달시키는 자극제,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5.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을 갖지만 과거의 경험이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지몬]

7. 다음과 같이 반응한 상담자가 사용한 상담기법은?(2016년 10월)

   

     1. 해석
     2. 반영
     3. 초점화
     4. 명료화
     5. 즉시성

     정답 : []
     정답률 : 74%

8.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이다.
     2. 내담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수정, 보완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전문적 소견이므로 이론적, 추상적 용어를 사용한다.
     4. 사례개념화는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5.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9.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및 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며 경험에 개방적이고 수용적이다.
     2. 자기성찰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나 원숙한 적응상태까지는 추구하지 않는다.
     3. 지역사회 자원, 상담연계기관의 특성 및 사회 환경에 대한 이해가 있다.
     4. 다른 문화권의 내담자를 상담할 때 자신의 가치관이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안다.
     5. 상담자가 내담자의 어려움과 비슷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을 경우 역전이 문제를 인식하려고 노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10. 다음 사례에서 나타난 청소년기 사고의 특징을 나타내는 개념은?(2023년 09월)

    

     1. 개인적 우화
     2. 상상적 청중
     3. 구체적 사고
     4. 절대적 사고
     5. 과업지향적 사고

     정답 : []
     정답률 : 85%

11. 다른 사람들이 나의 행동을 '우스꽝스럽다' 고 생각할까봐 하지 못하는 그 행동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해보도록 권하는 상담기법은?(2017년 09월)
     1. 판단중지(bracketing)
     2. 체계적 직면(systematic confrontation)
     3. 인지적 과제(cognitive homework)
     4. 수치심 깨뜨리기(shame - attacking exercises)
     5.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정답 : []
     정답률 : 80%

12. 아들러(A. Adler)가 제시한 생활양식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생활양식은 개인의 허구적 결정론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2. 획득형은 사회적 관심이 높아 타인과 협동할 수 있는 유형이다.
     3. 생활양식은 대부분 9∼10세 정도에 형성된다.
     4. 지배형은 자신의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여 충족하는 유형이다.
     5. 회피형은 삶의 문제에 대해 자신감이 없어 매사에 소극적인 유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스마트폰 과의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에는 SNS, 게임, 음란물, 도박, 검색 등이 있다.
     2. 금단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초조하고 불안함을 느끼는 현상이다.
     3.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S-척도) 결과가 35점 이상이면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된다.
     4. 고위험 사용자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로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5. 스마트폰 과의존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성이 증가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해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스마트 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 (S-척도)청소년 점수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이 검사는 조절 실패, 현저성, 문제적 결과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특히 1~3번 문항은 역채점(점수를 반대로 계산) 방식이 적용되니, 채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 진단 S형(10~19세 청소년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적절한 수준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조절력이 약해질 가능성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PMO]

14. 효과적인 상담 목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내담자의 증상과 문제들을 모두 상담 목표로 설정한다.
     2. 측정 가능한 행동 목표를 설정한다.
     3. 전문적 관점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합의 없이 목표를 설정한다.
     4. 내담자가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한다.
     5. 상담 초기 설정한 목표는 수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15. 로저스(C. Rogers)의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에 관한 특징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자신에 대한 신뢰
     2. 경험에 대한 개방성
     3. 창의성
     4. 사회적 가치나 규범에 따른 결정
     5. 실존적 삶에 대한 가치부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아들러(A. Adler) 개인심리학의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2. 인간의 행동은 삶에 대한 허구적인(fictional) 중심 목표에 의해 인도된다.
     3.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teleological) 존재로서, 과거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4. 열등감(inferiority)은 신경증의 원천으로, 잠재 능력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다.
     5. 자신의 행복과 복지를 추구함으로써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 정신분석상담
2. 아들러는 '사람은 허구적인 목표(가상적목표)로 살아간다' 는 철학자 바이힝거의 영향을 받았다.
3.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 존재로서 과거의 영향을 받는다(초기기억회상)
4. 열등감은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긍정적 요인이다.
5. 자신의 우월감을 추구함으로써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청풍]

17.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에 따른 상담의 기록과 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2. ㄱ, ㄴ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0%

18. REBT상담에서 비합리적 사고의 요소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0%

19. 청소년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청소년의 잠재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청소년 고용, 보호 기관 관련자도 상담 대상에 포함된다.
     3.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보다는 대면상담에 주력한다.
     4. 일상에서 당면한 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해 교육을 실시한다.
     5. 위기개입 및 자립을 지원하여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20. 합리정서행동치료(REB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심리적 부적응은 미해결 과제가 해소되지 못할 때 발생한다.
     2. 구체적인 상담 기법보다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를 더 중요시한다.
     3.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4. 인간은 실존적 불안을 지니며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한다.
     5.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기 위하여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21. 또래와의 갈등으로 삶이 불행하다고 호소하는 17세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유쾌하거나 불쾌했던 상황을 상상해 보도록 하고, 그 이미지에 동반되는 감정들을 살펴보게 한 후,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지를 자신이 결정할 수 있음'을 알게 했다.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23년 09월)
     1. 즉시성
     2. 수렁 피하기
     3. 단추 누르기
     4. 스프에 침 뱉기
     5.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정답 : []
     정답률 : 70%

22. 상담기법과 상담자 반응이 옳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ㄱ 감정반영 X => 재진술 O
ㄷ 재진술 X => 감정반영 O
[해설작성자 : 정다원]

ㄹ. 자기개방 X => 개방적 질문
[해설작성자 : 청풍]

23. 현실치료에서 우볼딩(R. Wubbolding)이 제안하는 행동계획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우볼딩이 제안한 행동계획 특징
> 단순성/실행가능성/측정가능성/즉시성/개인통제가능성/지속가능성
[해설작성자 : 청주]

24. 이건(G. Egan)이 제시한 경청의 자세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Egan의 SOLER 기법
- Squarely        : 내담자를 바로 바라본다
- Open                : 개방적인 자세를 취한다
- Leaning         : 내담자를 향해 몸을 기울인다
- Eye contact : 내담자와 눈을 맞춘다
- Relaxed         : 편안하고 이완된 자세를 취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청소년상담의 목표는?(2016년 10월)

    

     1. 삶의 지혜
     2. 문제 해결
     3. 성장 촉진
     4. 탁월성 성취
     5. 문제발생 예방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10월)

    

     1. A: 표절, B: 위조, C: 변조
     2. A: 위조, B: 표절, C: 변조
     3. A: 위조, B: 변조, C: 표절
     4. A: 변조, B: 표절, C: 위조
     5. A: 변조, B: 위조, C: 표절

     정답 : []
     정답률 : 82%

27.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명목척도로 측정된 표본은 한 집단에 속하면 다른 집단에 속하지 않는 상호배타적(mutually exclusive)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명목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이항분포 검증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3. 서열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변동계수 계산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4. 등간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표준편차 계산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5. 비율척도에서는 0의 의미를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명목척도 : 백분율, 최빈값 -> 이항분포검정, 카이스케어 검정
서열척도 : 명목척도의 통계량, 중앙값, 백분위수, 제4분위수 -> 분산분석
등간척도 : 서열척도의 통계량, 산술평균값, 표준편차 등 ->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
비율척도 : 등간척도의 통계량, 기하 조화평균, 변동계수 등을 비롯한 모든 통계량 -> 모든 분석방법 등
[해설작성자 : 카르페디엠]

- 변동계수(V)란?
변동계수는 데이터의 평균에 비해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받는 용돈이 어떤 달은 많고 어떤 달은 적다면 변동계수가 높아져 용돈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매달 비슷한 금액을 받는다면 변동계수가 낮아 안정적이라는 뜻이 됩니다.

- 3번이 틀린 이유
서열척도는 데이터의 순서만 알 수 있을 뿐, 점수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평균을 구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 순위(1등, 2등, 3등)는 순서는 알 수 있지만, 순위 간 점수 차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순위처럼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서열척도로는 변동계수를 구할 수 없습니다.

- 5번이 맞는 이유
비율척도에서 0은 '완전히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무게나 길이에서 0은 '존재하지 않음'을 뜻합니다. 이 0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주)미정]

28. 일반적인 주장이나 기존 이론에 근거하여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은?(2017년 09월)
     1. 귀납법
     2. 연역법
     3. 사례연구법
     4. 내용분석법
     5. 문헌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53%

29. 다음 내용에서 ( ㄱ )과 ( ㄴ )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7년 09월)

    

     1. ㄱ: 준거관련 ㄴ: 공인
     2. ㄱ: 공인 ㄴ: 행동
     3. ㄱ: 행동 ㄴ: 내용
     4. ㄱ: 내용 ㄴ: 구인
     5. ㄱ: 구인 ㄴ: 준거관련

     정답 : []
     정답률 : 45%

30.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수와 양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에 주목한다.
     2. 일반적이지 않은 특성을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활용된다.
     3. 연구자의 오랜 시간 현장 참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4. 특정 현상에 대한 의미의 차이 파악을 중시한다.
     5. 연구상황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문화기술지 연구는 질적연구 중 하나이다.
수와 양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에 주목하는 것은 양적 연구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1. 다음에 나타난 표본추출기법은?(2023년 09월)

    

     1. 할당표본추출법
     2. 집락표본추출법
     3.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4. 누적표본추출법
     5. 편의표본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44%

32. 실험연구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인과관계 파악이 용이하다.
     2. 가외변수의 통제가 어렵다.
     3. 종속변수의 조작이 용이하다.
     4. 현장조사연구에 비해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
     5.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정확하게 내리기 쉽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5%

33. 척도 (평균 10.0, 표준편차 3.0)의 예측타당도를 추정하기 위해 준거척도 (평균 3.0, 표준편차 1.0)와의 상관을 계산한 결과 =0.6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척도 A에서 타당하지 못한 점수의 분산비율은 0.4이다.
     2.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은 9.0이다.
     3.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지 않는 점수의 분산은 0.6이다.
     4.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비율은 0.36이다.
     5. 척도 A의 점수로 준거척도 의 점수를 예언할 때, 예언된 점수와 실제점수 간 차이의 표준편차는 1.0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34. 측정도구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반복된 측정으로 인한 연습효과가 예상될 경우, 연구자는 동형검사(parallel forms)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높으면 타당도 또한 당연히 높다고 가정한다.
     3. 측정도구 선정 시 검사의 경제성, 피검자의 피로도는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4. 측정도구가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타당화되었다면 다른 연령대에도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가정한다.
     5. 일반적으로 한 개의 측정도구로도 특정 구성개념을 완벽히 구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측정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35. 실험연구의 내적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연구문제 및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5%

37. Scheffé 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 Tukey의 HSD 검정: 개별 평균의 짝(단순쌍)별 사후 비교방법
[해설작성자 : .]

38.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섭씨 온도는 등간(interval) 척도의 예이다.
     2. 20℃는 10℃보다 두 배 뜨겁다고 할 수 있다.
     3. 비율(ratio) 척도는 절대 영점을 가지고 있다.
     4. 하나의 특성을 여러 가지 척도로 측정할 수 있다.
     5. 등간(interval) 척도와 비율(ratio) 척도로 측정된 변수들은 모두 회귀분석의 종속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온도는 대표적인 등간척도이나 10도와 20도의 차이가 10임을 알수 있을 뿐이다. 두배 뜨겁다고 하려면 절대 0점을 가진 비율척도 이상이어야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39. 다음은 청소년의 우울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가상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모든 독립변수의 회귀계수는 0이다.'가 귀무가설이다.
     2. ( A )값은 독립변수의 개수이다.
     3. ( B )값은 100이다.
     4. ( C )값은 10이다.
     5. 유의수준 .05에서 모든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진실험설계와 비교하여 준실험설계가 갖는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4%

41. 단순선형회귀분석에서 총변동(SST; sum of squares total) 중 선형관계로 설명되지 않는 변동(SSE; sum of squares error)이 차지하는 비중이 1/5이라면 결정계수 R2의 값은?(2024년 10월)
     1. 1/25
     2. 1/5
     3. 4/5
     4. 5
     5. 25

     정답 : []
     정답률 : 41%

42. 사전-사후 측정 통제집단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8%

43. 모의상담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상담과정 단순화가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연구결과의 해석이 난해해진다.
     2. 실험과정에서 윤리적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3. 독립변수의 수준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
     4.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 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5. 대리 내담자의 활용을 통해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다음 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상담기법의 차이를 보여준다. B 상담기법을 선호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기대빈도의 합은?(2023년 09월)

    

     1. 70
     2. 75
     3. 80
     4. 110
     5. 15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중학생의 기대빈도=  (B상담기법의 합80 x 중학생 열의 합150) / 전체300 = 40
고등학생의 기대빈도=  (B상담기법의 합80 x 고등학생 열의 합150) / 전체300 = 40
중학생의 기대빈도 + 고등학생의 기대빈도= 40+40 =80 
[해설작성자 : 옥스]

46. 혼합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6%

47. 근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근거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딩의 순서는?(2023년 09월)
     1. 축코딩-개방코딩 –선택코딩
     2. 축코딩-선택코딩 –개방코딩
     3. 선택코딩-개방코딩-축코딩
     4. 개방코딩-선택코딩-축코딩
     5. 개방코딩-축코딩 -선택코딩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개방코딩 (Open coding)
원자료(면담, 관찰 기록 등)를 세밀히 읽고, 의미 단위를 나누어 개념(concept)으로 명명.
공통된 개념들을 묶어 범주(category)화.
예: “상담자가 나를 존중해줬다” → 존중 경험 / “내 의견을 경청했다” → 경청 경험 → 묶어 상담자의 공감적 태도.
축코딩 (Axial coding)
개방코딩에서 분리된 범주들 간의 관계를 연결하고 구조화.
인과조건-맥락-중재조건-작용/상호작용-결과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범주를 체계화.
선택코딩 (Selective coding)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중심으로 다른 범주들을 통합.
이야기의 흐름(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이론을 정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29%

50. 사례지향적(case-oriented) 연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사례유형화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연구이다.
     2.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다룬다.
     3. 종합적, 해석적 설명을 지향한다.
     4. 유형화된 다양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5.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사례지향적 연구 = 질적사례 연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는 양적연구 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원이다.
     2. 전체 행동이 아니라 표집된 행동으로 구성된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직접 관찰하기 위한 도구이다.
     4. 표준화된 방식으로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한다.
     5. 검사를 통해 내려지는 결론은 항상 오류가능성을 내포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심리적 구성개념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

52. 심리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심리적 특성을 직접 측정이 아닌 간접 측정
[해설작성자 : 감쟈마미]

53.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그 변수의 산포도를 반영한다.
     2. 상관계수는 두 변수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이다.
     3.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각 변수의 표준편차의 영향을 받는다.
     4. -1.00에서 +1.00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5. 상관계수 -.70은 +.50보다 더 큰 연관성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피어슨 적률상관계수(r)란?
두 변수의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
범위는 -1.0 ~ +1.0
두 변수 간 선형적 관계의 방향과 강도를 나타냄
2번 문항이 왜 틀렸는가?
2번에서 말하는 **“상관계수는 두 변수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이다”**는 r이 아니라 r2의 의미이다.
r (상관계수): 두 변수 간 선형적 관련성의 정도(방향성과 강도)
r2 (결정계수): 한 변수가 다른 변수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설명력)

예를 들어,
r = 0.70이라면, 단순히 두 변수가 강한 양의 상관을 가진다는 뜻
r2 = 0.49라면, 한 변수의 분산 중 49%를 다른 변수가 설명한다는 뜻

따라서 2번 진술은 r을 r2로 잘못 설명한 것이므로 틀림
[해설작성자 : 정유나]

54. 개발자와 심리검사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해서웨이(S. Hathaway): Army-⍺
     2. 카텔(J. Cattell): TAT
     3. 머레이(H. Murray): Stanford-Binet
     4. 써스톤(L. Thurstone): PMA
     5. 엑스너(J. Exner): TCI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써스톤 - 7-PMA(기본정신 능력 7개 요인 측정)
여키스 등 - Army a (알미 알파)
머레이 - TAT
터먼 - 스탠포드 비네 검사
써스톤 - PMA
클로닝거 등 : TCI
[해설작성자 : 짛니]

55.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 면담 시간에 환자의 증상과 증후를 체계적으로 평가(비구조화 X)
> 현재의 정신상태를 평가하는 것(발달력X)
> 면담 중 관찰된 환자의 외모, 행동특성, 말,생각 등을 기술(주요문제의 빈도, 심도, 경과 등의 질문 X)
[해설작성자 : 취업하고 싶다]

56. K-WAIS-IV에서 전체검사(Full Scale) IQ가 115일 때 이에 해당하는 T점수는?(2016년 10월)
     1. 50
     2. 55
     3. 60
     4. 65
     5. 70

     정답 : []
     정답률 : 54%

57. 다음에 해당하는 측정방식은?(2025년 09월)

    

     1. 산출법
     2. 평정기록
     3. 사건기록
     4. 생각목록
     5. 구조화된 면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길포드(J. Guilford)의 지능구조모형(Structure-of-Intellect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지능구조의 3차원 모델을 제시했다.
     2. 확산적 사고는 창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써스톤(L. Thurstone)의 다요인설을 확대했다.
     4. 모형의 '조작'과정에 체계적 사고와 전환적 사고가 포함된다.
     5. 지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들의 체계적인 집합체로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조작 차원에는 평가,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 기억, 인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ccccarot]

59. 심리검사를 개발할 때 문항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변량이 크다는 것은 해당 문항에 대한 수검자들의 반응이 거의 동일함을 의미한다.
     2. 문항선별의 목적은 최대 개수의 문항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함이다.
     3.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가 낮은 문항부터 제외한다.
     4. 크론바흐 알파계수(α)가 높은 문항부터 제외한다.
     5. 응답 평균이 극단에 위치하는 문항들은 일반적으로 큰 변량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49%

60. 로샤(Rorschach)검사의 람다(Lambda)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전체반응에 순수형태 반응이 차지하는 비율
2. 경험에 대한 개방성 지표
3. 심리적 자원을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
4. 주변환경에 관심을 기울이는 정도, 폭을 의미
5. .30~.99 사이에 람다값이 속하면 평균집단으로 분류 --> 주의 초점이 넓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특정 영역의 행동 전집을 수집하여 측정한다.
     2.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를 비교할 수 있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4.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이다.
     5. 심리검사에서 나온 결과는 잠정적인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X / 심리검사는 제한된 문항으로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행동의 전집을 수집하지 않는다. 나아가 수집할 수도 없다.
[해설작성자 : 기수]

62. 머레이(H. Murray)는 주제통각검사(TAT)의 수검자 반응을 ( ㄱ )과(와) ( ㄴ )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해석체계를 제시하였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ㄱ: 동일시, ㄴ: 투사
     2. ㄱ: 주인공, ㄴ: 내용
     3. ㄱ: 콤플렉스, ㄴ: 대처
     4. ㄱ: 갈등, ㄴ: 방어
     5. ㄱ: 욕구, ㄴ: 압력

     정답 : []
     정답률 : 50%

63.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의 소외지표(Isolation Index)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지표를 계산할 때 순수형태 반응의 수가 필요하다.
     2. 식물, 구름, 지도, 풍경, 자연의 다섯 가지 범주들의 반응 수가 지표 계산에 사용된다.
     3. 현실을 지각할 때 왜곡되어 있는 정도를 알려준다.
     4. 자살지표(S-CON)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5. 구조적 요약 가운데 자기지각 영역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1%

64. 심리검사의 제작에 있어서 경험적 접근방식을 사용한 심리검사는?(2022년 10월)
     1. MBTI
     2. K-WAIS
     3. TCI
     4. MMPI
     5. TAT

     정답 : []
     정답률 : 60%

65. 다음의 지능지수 산출 방법을 고안한 학자는?(2021년 10월)

    

     1. 비네(A. Binet)
     2. 터만(L. Terman)
     3. 여키스(R. Yerkes)
     4. 웩슬러(D. Wechsler)
     5. 스피어만(C. Spearman)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스탠퍼드-비네 검사에 지능지수(IQ)가 추가된 게 맞다. 문제는 스탠퍼드-비네 검사는 비네가 아닌 루이스 터먼이 표준화한 것이다. 비네는 지능검사를 선별목적으로 만들었지 지능을 수량화하려는 마음은 없었다. 따라서 답은 터먼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66. MMPI-2의 VRIN 척도 점수가 상승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VRIN: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TRIN: 고정반응, 특정방향으로 응답
[해설작성자 : 차차]

▶ MMPI-2 타당성 척도
VRIN(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 수검자가 응답을 하면서 무선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탐지한다. 서로 내용이 유사하거나 상반되는 문항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검자가 각 문항쌍에 불일치하는 비일관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점수가 높아진다.
TRIN(True Response Inconsistency) 고정반응 비일관성
FB(Back Infrequency) 비전형 후반부
FP(Infrequency-Psychopathology) 비전형 정신병리
FBS(Fake Bad Scale) 증상 타당도
S(Superlative Self-Presentation) 과장된 자기제시
[해설작성자 : .]

67. K-WISC-IV 프로파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소검사 평균은 10점이고 표준편차는 3점이다. 기호쓰기는 원점수가 7점이므로 -1표준편차다. 시각운동협응수준이 낮다고 해석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68. 객관적 성격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NEO-PI-R의 개방성척도는 과제를 수행하는 목표지향적 행동과 자기통제력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2. TCI의 인내력(P)척도는 성격척도이다.
     3. PAI의 공격성(AGG)척도는 치료고려척도이다.
     4. 16PF는 융(C. Jung)의 성격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K-CBCL의 학업수행척도는 문제행동증후군척도의 하위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목표지향적 행동과 자기통제력을 평가하는 척도는 NEO-PI-R의 성실성 척도이다.
2. TCI의 인내력(P)척도는 '기질'척도이다.
4. 16PF는 '케텔의 특질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K-CBCL의 학업수행척도는 '적응척도'의 하위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ccccar]

69.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에 포함되는 영역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ㄴ, ㄷ, ㄹ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5%

70. 다음 사례에서 상승이 예측되는 MMPI-2의 보충척도는?(2022년 10월)

    

     1. MDS
     2. Re
     3. Do
     4. Es
     5. Mt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MDS -결혼생활부적응 척도
2. Re - 사회책임감 척도
3. Do - 지배성 척도
4. Es - 자아강도 척도
5. Mt - 대학 생활 부적응척도
[해설작성자 : 초롱]

71. 다음에 해당하는 로샤(Rorschach) 검사 발달질 채점 기호는?(2021년 10월)

    

     1. +
     2. o
     3. v/+
     4. v
     5. -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통합반응
O 평범반응
V/+ 모호-통합 반응
V 모호반응
[해설작성자 : 차차]

반응영역, 발달질, 형태질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반응영역은 W, D, Dd, S
발달질은 반응에서 의미있는 조직화 혹은 통합이 일어난 정도를 말한다. +, o, v+, v
형태질은 반응이 잉크반점의 특징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이다. +, o, u, - (책 보고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72. TA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머레이(H. Murray)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 두 번의 회기로 나누어 시행한다.
     2. 수검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도판을 선정해야 한다.
     3. 수검자의 이야기 속에 의식 및 무의식적 갈등이 표출된다고 가정한다.
     4. 욕구-압력 분석법의 첫 단계는 수검자가 지각하는 문제를 찾는 것이다.
     5. 통각은 객관적 자극과 주관적 경험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로샤(Rorschach)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반응영역 S는 단독으로 기호화해야 한다.
     2. 수검자가 한 말을 그대로 기록하여야 한다.
     3. 수검자의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4. 질문단계에서는 추가적인 새로운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로샤(H. Rorschach)는 종합체계(comprehensive system)를 개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로샤 검사 단계
수검자가 한 말을 그대로 기록
상상력이나 창의력 검사 오해 지양, 반응 암시나 유도 안 됨
평범 반응 없는 경우 추가 질문, 알려줘서 반응 확인

▶ 로샤 검사 발달질
+ 통합반응
O 평범반응
V/+ 모호-통합 반응
V 모호반응

▶ 반응 영역 채점표
W (Whole Response) 전체 반응 > 작은 부분 제외되면 기호화 할 수 없음
D (Common Detail Response) 보통 부분 반응
Dd(Unusual Detail Response) 드문 부분 반응
S (Space Response) 공백 반응 > 단독으로 기호화 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

4. 반응단계에서는 새로운 반응이 나오는게 좋다. 근데 질문단계에서는 이전에 반응한 거에 대해서 질문하는거다. 따라서 새로운 반응에 주의를 기울일게 아니라 기존의 반응이 어떻게 그렇게 보였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엑스너가 종합체계를 만들었다.
3. 상상력이나 창의력을 발휘하는게 아니라, 그냥 보이는 그대로 말하게 하는거다.
2. Verbatim 으로, 있는 그대로 따라적어야한다. 로샤검사는 해본사람만 안다. 따라적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개인적으로 로샤는 타이핑 허용해줬으면 좋겠다.
[해설작성자 : 기수]

74. 행동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검사 시의 행동평가는 전체 행동 영역에 대한 대표성을 지닌다.
     2. 행동평가는 외적 환경요인보다 내적 개인요인에 의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더 적절하다.
     3. 행동평가는 심리측정적 속성이 충분히 검증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4. 행동평가 시 면접은 행동의 변화가 발달과정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5. 행동평가 시 면접의 일반적 목표는 관련있는 목표 행동을 확인하고 추가적 행동평가 절차를 선택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75. 문장완성검사(S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수검자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지시한다.
     2. 수검자의 반응을 면담에 활용할 수 있다.
     3. 개인과 집단에 실시할 수 있다.
     4. 반응시간에 제한이 있다.
     5. 지능, 교육수준, 문장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3%

76. 이상심리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양극성 장애와 조현병은 유전을 비롯한 생물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2. 행동주의자들은 부적응 행동이 학습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다고 제안하였다.
     3. 실존주의자들은 정신장애가 뇌의 생화학적 이상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본다.
     4. 인지이론가들은 비합리적 신념과 역기능적 사고가 이상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본다.
     5. 사회문화적 모형에서는 가정ㆍ사회문화적 요인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77.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는 삼원구조 이론을 제시하였다.
     2. 이상행동의 원인을 어린 시절의 경험에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으로 설명한다.
     3. 정신분석치료의 목표는 원초아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다.
     4. 인간의 모든 행동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고, 원인이 있다는 정신결정론을 가정한다.
     5. 발달과정에서 결핍이나 과잉충족은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정답률 : 58%

78. 행동주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고전적 조건형성을 주장한 학자는 반두라(A. Bandura)이다.
     2. 이상행동은 주로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적 모델링의 3가지 학습원리로 설명된다.
     3. 체계적 둔감법은 뱀공포증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하루종일 뱀을 목에 감고 생활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무의식적 욕구를 변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이다.
     5.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한 뒤 칭찬을 받는 것은 부적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파블로프 / 반두라는 자기효능감
3. 홍수법
4. 정신역동
5. 정적강화
[해설작성자 : 기수]

79. DSM-5의 지적장애 중등도 수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8%

80. DSM-5의 신경발달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의사소통장애
     2. 지적장애
     3. 이식증
     4.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5. 운동장애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식증은 DSM-5 급식 및 섭식장애에 해당함

급식 및 섭식 장애
- 이식증
- 되새김 장애
-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장애
- 신경성 식욕부진증
- 신경성 폭식증
- 폭식장애
[해설작성자 : Yoon]

81.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발달단계는 대인관계 욕구에 따라 구분된다.
     2. 오이디푸스 갈등이 나타나는 발달단계는 남근기이다.
     3. 인간의 행동은 우연히 일어난다.
     4. 역전이분석은 내담자가 치료과정에서 상담자에게 나타내는 전이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5. 이상행동은 초기 아동기의 의식적 갈등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심리적 결정론
4. 역전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느끼는 전이현상을 말함
[해설작성자 : 기수]

82. 조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환각만으로도 진단될 수 있다.
     2. 장애의 임상적 징후가 최소 3개월 동안 계속되어야 진단될 수 있다.
     3. 무의욕증과 무쾌감증은 양성증상에 해당된다.
     4. 뇌실의 확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5. 가장 흔한 환각은 환시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정신분열증)
뇌실 확장, 충동 조절 문제, 공격행동 및 자살시도, 피해망상 과대망상 신체적 망상
예기 환각, 진성 환각, 가성환각(실제 대상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지하면서도), 가장 흔히 환청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사고 중 2개 이상 1개월 이상 되어야 진단,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해설작성자 : .]

83.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제Ⅱ형 양극성장애
     2. 조현정동장애
     3. 망상장애
     4. 경계성 성격장애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답 : []
     정답률 : 43%

84. DSM-5의 조증 삽화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불면증
     2. 사고의 비약
     3.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4.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5.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 자기존중감이 팽창하거나 지나치게 과장된 자신감
- 수면 욕구 감소
- 평소보다 말이 많거나 말을 계속함
- 사고비약이 있거나 사고가 연이어 나타남
- 지나친 주의산만
-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 운동성 초조
- 고통스러운 결과에 이르느 쾌락적 활동에 몰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이상행동 치료를 위한 단일사례 실험설계에 사용되는 전략들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ㄹ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ㅁ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1%

86. DSM-5의 지속성 우울장애 진단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분리불안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학령기 아동에서는 학교에 가기 싫어하거나 등교 거부로 나타난다.
     2. 행동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등을 통하여 호전될 수 있다.
     3.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유전적 기질, 인지행동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4. 지나치게 밀착된 가정에서 자랐거나 의존적인 성향의 아이에게 나타날 수 있다.
     5. 성인의 경우 증상이 1개월 이상 나타날 때 진단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88. DSM-5의 강박 및 관련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9월)
     1. 신체이형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저장장애
     4. 털뽑기장애
     5. 피부뜯기장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강박장애 환자의 침투적(intrusive) 사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억제하려고 노력한다.
     2. 자아동조적이다.
     3. 자신의 책임감을 과도하게 인식한다.
     4. 사고-행위 융합의 인지적 오류가 개입된다.
     5. 의식에 떠오르는 원치 않는 불쾌한 생각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 자아동조적이 아니고 자아이질적이다.
[해설작성자 : 온마인드]

90. DSM-5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여성은 남성에 비해 주로 부주의 증상을 보인다.
     2. 리탈린(Ritalin)과 같은 중추신경계자극제가 치료약물로 사용된다.
     3. 몇가지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은 12세 이전에 나타난다.
     4. 교사의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하는 것은 부주의 증상이다.
     5. 부주의, 충동성, 계획성 부족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때문에 많이 가려진다. 소아청소년기 성비가 성인기에 가서 완만해지는 이유 중 하나
2. 리탈린은 상품명임. 메탈페니데이트가 쓰이는거고, 콘서타, 메디키넷, 페니드 등이 있다.
5. 성인에서는 과잉행동이 줄어든다
4. 충동성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91. DSM-5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적 상태에 근거할 때,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인터넷게임장애
     2. 인터넷도박장애
     3. 인터넷사용장애
     4. 인터넷게임중독
     5. 인터넷게임도박장애

     정답 : []
     정답률 : 33%

92. 신경성 폭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폭식을 하지만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도 해당된다.
     2. 삽화 기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을 느낀다.
     3.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된다.
     4.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는다.
     5. 자기평가에서 체형과 체중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이러한 요인이 자존감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신경성 폭식증
폭식행동과 보상행동 반복,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음
▶ 폭식장애
폭식행동만, 보상행동 하지 않음.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해설작성자 : .]

93. DSM-5의 조현병 스펙트럼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와해된 언어는 양성증상이다.
     2. 조현형 성격장애는 조현병 스펙트럼장애로 분류된다.
     3. 조현정동장애는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삽화 없이 존재하는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있다.
     4. 단기 정신병적 장애의 심각도는 지난 7일중 정신병의 일차 증상 각각에 대하여 가장 심한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한다.
     5. 망상장애의 가장 흔한 아형은 질투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가장 흔한 유형은 "피해형" 자신이 음모의 대상, 속임을 당함, 추적 당함, 독살의 위험 등을 느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노출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일명 바바리맨으로도 알려져 있다.
     2. 성기를 노출한 후 자신에게 실망하거나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3. 낯선 사람과 성행위를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성행위 보다는 깜짝 놀라는 여성의 반응을 보고 성적 흥분과 쾌감을 느낀다.
     5.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낯선 사람에게 자신의 성기를 노출하는 증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5. DSM-5의 적대적 반항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성인과 잦은 논쟁을 한다.
     2. 권위자의 요구, 규칙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는 행동을 적극적으로 자주 한다.
     3.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자주 남의 탓으로 돌린다.
     4.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한다.
     5.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성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소아기호증(아동성애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통 15세 이하를 대상으로 성적 흥분이 발생한다.
     2. 14세 청소년이 7세 아동과 성관계를 맺고 있으면 진단될 수 있다.
     3. 성적 대상이 되는 아동보다 연령이 7세 이상이어야 진단될 수 있다.
     4. 아동에 대한 성적 공상이나 충동, 행동 등이 1년 이상 지속된다.
     5. 성적으로 남녀 모두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사춘기 이전의 소아(보통 13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2, 3. 개인 연령이 16세 이상이고, 피해 아동보다 5세 연상이어야 진단할 수 있다.
4. 상상과 행동이 환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폭식장애의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반복적 폭식(조절력 상실), 3가지 이상 관련 행동, 심각한 고통, 3개월 이상 주 1회 이상, 보상행동 없음이 핵심 진단 기준입니다.
신경성 폭식증과 달리 구토, 하제 남용 등 보상행동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98. DSM-5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다축체계를 폐지하였다.
     2.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범주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3. 일차적으로 범주적 평가에 기초한다.
     4.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다.
     5. 범주적 평가와 더불어 차원적 평가를 사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2.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진단을 ‘달리 명시된(Other Specified)’ 혹은 ‘명시되지 않는(Unspecified)’으로 변경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망상장애
     2. 조현양상장애
     3. 순환성장애
     4. 조현정동장애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순환성 장애는 ‘양극성 및 관련 장애’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알코올 사용 장애나 중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1.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0%

2. 상담 초기단계에 이루어지는 상담구조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명료화한다.
     2. 상담 진행과정에 대해 합의하는 과정이다.
     3. 상담자는 비밀보장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4. 상담시간에 오지 못할 경우 연락하는 방법에 대해 상의한다.
     5. 내담자가 상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성과에 대한 보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청소년 상담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치료적 접근이 예방적 접근보다 더 유용하다.
     2. 청소년 내담자는 부모나 교사에 의해 의뢰되는 경우가 많다.
     3. 청소년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므로 상담자는 사회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4. 가족과 교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5. 언어적 의사소통 이외에도 다양한 상담접근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4. 개인심리학의 '가상적 목표'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 철학자는?(2016년 10월)
     1. 바이힝거(H. Vaihinger)
     2. 안스바허(H. Ansbacher)
     3. 하이데거(M. Heidegger)
     4. 헤링톤(G. Harrington)
     5. 빈스방거(L. Binswanger)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가상적인 최종목표
- 인간이 누구나 가지는 실현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
- 독일 철학자 Vaihinger(바이힝거)의 저서 The Philosopsy of the As if에서 영감을 받음
- 가상적 목표는 아동기에 형성되며 허구적인 이상으로서 개인의 인생에 있어서 최상의 지침으로 적용됨
- 개인의 열등감을 보상하는 기능을 지님
[해설작성자 : 뇨뇨]

5. 실존치료자들의 공통된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인간은 계속해서 되어가는 존재이다.
     2. 인간은 자기인식의 능력을 지닌 존재이다.
     3. 인간은 존엄성과 가치를 지닌 존재이다.
     4. 인간은 비합리적이며 본능적 충동에 의해 행동하는 존재이다.
     5. 인간은 실존적으로 단독자이면서 타자와의 관계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95%

6.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2. 생활양식은 개인이 지니는 독특한 삶의 방식으로 가족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출생순위는 성격형성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지만, 가족 내 역할과 심리적 출생순위가 더 중요하다.
     4. 열등감은 신경증의 원천으로 잠재 능력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다.
     5.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 존재로서 과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인간은 성적동기보다 사회적 충동에 의해 동기화되는 사회적 존재이다.
2. 생활양식은 개인의 행동, 습관을 이야기 하며, 출생순위로 인해 형제간에 다르게 나타나는 경험도 생활양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4. 열등감은 잠재능력을 발달시키는 자극제,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5.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을 갖지만 과거의 경험이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지몬]

7. 다음과 같이 반응한 상담자가 사용한 상담기법은?(2016년 10월)

   

     1. 해석
     2. 반영
     3. 초점화
     4. 명료화
     5. 즉시성

     정답 : []
     정답률 : 74%

8.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이다.
     2. 내담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수정, 보완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전문적 소견이므로 이론적, 추상적 용어를 사용한다.
     4. 사례개념화는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5.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9.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및 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며 경험에 개방적이고 수용적이다.
     2. 자기성찰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나 원숙한 적응상태까지는 추구하지 않는다.
     3. 지역사회 자원, 상담연계기관의 특성 및 사회 환경에 대한 이해가 있다.
     4. 다른 문화권의 내담자를 상담할 때 자신의 가치관이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안다.
     5. 상담자가 내담자의 어려움과 비슷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을 경우 역전이 문제를 인식하려고 노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10. 다음 사례에서 나타난 청소년기 사고의 특징을 나타내는 개념은?(2023년 09월)

    

     1. 개인적 우화
     2. 상상적 청중
     3. 구체적 사고
     4. 절대적 사고
     5. 과업지향적 사고

     정답 : []
     정답률 : 85%

11. 다른 사람들이 나의 행동을 '우스꽝스럽다' 고 생각할까봐 하지 못하는 그 행동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해보도록 권하는 상담기법은?(2017년 09월)
     1. 판단중지(bracketing)
     2. 체계적 직면(systematic confrontation)
     3. 인지적 과제(cognitive homework)
     4. 수치심 깨뜨리기(shame - attacking exercises)
     5.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정답 : []
     정답률 : 80%

12. 아들러(A. Adler)가 제시한 생활양식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생활양식은 개인의 허구적 결정론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2. 획득형은 사회적 관심이 높아 타인과 협동할 수 있는 유형이다.
     3. 생활양식은 대부분 9∼10세 정도에 형성된다.
     4. 지배형은 자신의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여 충족하는 유형이다.
     5. 회피형은 삶의 문제에 대해 자신감이 없어 매사에 소극적인 유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스마트폰 과의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에는 SNS, 게임, 음란물, 도박, 검색 등이 있다.
     2. 금단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면 초조하고 불안함을 느끼는 현상이다.
     3.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S-척도) 결과가 35점 이상이면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된다.
     4. 고위험 사용자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로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5. 스마트폰 과의존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성이 증가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해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스마트 폰 과의존 자가진단 척도 (S-척도)청소년 점수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이 검사는 조절 실패, 현저성, 문제적 결과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특히 1~3번 문항은 역채점(점수를 반대로 계산) 방식이 적용되니, 채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스마트폰 과의존 자가 진단 S형(10~19세 청소년 기준)
22점 이하: 일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적절한 수준
23~30점: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조절력이 약해질 가능성
31점 이상: 고위험 사용자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학업, 수면,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PMO]

14. 효과적인 상담 목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내담자의 증상과 문제들을 모두 상담 목표로 설정한다.
     2. 측정 가능한 행동 목표를 설정한다.
     3. 전문적 관점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합의 없이 목표를 설정한다.
     4. 내담자가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한다.
     5. 상담 초기 설정한 목표는 수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15. 로저스(C. Rogers)의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에 관한 특징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자신에 대한 신뢰
     2. 경험에 대한 개방성
     3. 창의성
     4. 사회적 가치나 규범에 따른 결정
     5. 실존적 삶에 대한 가치부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아들러(A. Adler) 개인심리학의 인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2. 인간의 행동은 삶에 대한 허구적인(fictional) 중심 목표에 의해 인도된다.
     3.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teleological) 존재로서, 과거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4. 열등감(inferiority)은 신경증의 원천으로, 잠재 능력을 저하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다.
     5. 자신의 행복과 복지를 추구함으로써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인간은 성적 충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 정신분석상담
2. 아들러는 '사람은 허구적인 목표(가상적목표)로 살아간다' 는 철학자 바이힝거의 영향을 받았다.
3. 인간은 미래를 향한 목적론적인 존재로서 과거의 영향을 받는다(초기기억회상)
4. 열등감은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긍정적 요인이다.
5. 자신의 우월감을 추구함으로써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청풍]

17.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에 따른 상담의 기록과 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2. ㄱ, ㄴ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0%

18. REBT상담에서 비합리적 사고의 요소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0%

19. 청소년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청소년의 잠재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청소년 고용, 보호 기관 관련자도 상담 대상에 포함된다.
     3.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보다는 대면상담에 주력한다.
     4. 일상에서 당면한 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해 교육을 실시한다.
     5. 위기개입 및 자립을 지원하여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20. 합리정서행동치료(REB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심리적 부적응은 미해결 과제가 해소되지 못할 때 발생한다.
     2. 구체적인 상담 기법보다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를 더 중요시한다.
     3.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4. 인간은 실존적 불안을 지니며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한다.
     5.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기 위하여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21. 또래와의 갈등으로 삶이 불행하다고 호소하는 17세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유쾌하거나 불쾌했던 상황을 상상해 보도록 하고, 그 이미지에 동반되는 감정들을 살펴보게 한 후,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지를 자신이 결정할 수 있음'을 알게 했다.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23년 09월)
     1. 즉시성
     2. 수렁 피하기
     3. 단추 누르기
     4. 스프에 침 뱉기
     5.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기

     정답 : []
     정답률 : 70%

22. 상담기법과 상담자 반응이 옳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ㄱ 감정반영 X => 재진술 O
ㄷ 재진술 X => 감정반영 O
[해설작성자 : 정다원]

ㄹ. 자기개방 X => 개방적 질문
[해설작성자 : 청풍]

23. 현실치료에서 우볼딩(R. Wubbolding)이 제안하는 행동계획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우볼딩이 제안한 행동계획 특징
> 단순성/실행가능성/측정가능성/즉시성/개인통제가능성/지속가능성
[해설작성자 : 청주]

24. 이건(G. Egan)이 제시한 경청의 자세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Egan의 SOLER 기법
- Squarely        : 내담자를 바로 바라본다
- Open                : 개방적인 자세를 취한다
- Leaning         : 내담자를 향해 몸을 기울인다
- Eye contact : 내담자와 눈을 맞춘다
- Relaxed         : 편안하고 이완된 자세를 취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청소년상담의 목표는?(2016년 10월)

    

     1. 삶의 지혜
     2. 문제 해결
     3. 성장 촉진
     4. 탁월성 성취
     5. 문제발생 예방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21년 10월)

    

     1. A: 표절, B: 위조, C: 변조
     2. A: 위조, B: 표절, C: 변조
     3. A: 위조, B: 변조, C: 표절
     4. A: 변조, B: 표절, C: 위조
     5. A: 변조, B: 위조, C: 표절

     정답 : []
     정답률 : 82%

27.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명목척도로 측정된 표본은 한 집단에 속하면 다른 집단에 속하지 않는 상호배타적(mutually exclusive)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명목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이항분포 검증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3. 서열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변동계수 계산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4. 등간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토대로 표준편차 계산과 같은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5. 비율척도에서는 0의 의미를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명목척도 : 백분율, 최빈값 -> 이항분포검정, 카이스케어 검정
서열척도 : 명목척도의 통계량, 중앙값, 백분위수, 제4분위수 -> 분산분석
등간척도 : 서열척도의 통계량, 산술평균값, 표준편차 등 ->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
비율척도 : 등간척도의 통계량, 기하 조화평균, 변동계수 등을 비롯한 모든 통계량 -> 모든 분석방법 등
[해설작성자 : 카르페디엠]

- 변동계수(V)란?
변동계수는 데이터의 평균에 비해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받는 용돈이 어떤 달은 많고 어떤 달은 적다면 변동계수가 높아져 용돈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매달 비슷한 금액을 받는다면 변동계수가 낮아 안정적이라는 뜻이 됩니다.

- 3번이 틀린 이유
서열척도는 데이터의 순서만 알 수 있을 뿐, 점수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평균을 구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 순위(1등, 2등, 3등)는 순서는 알 수 있지만, 순위 간 점수 차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순위처럼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서열척도로는 변동계수를 구할 수 없습니다.

- 5번이 맞는 이유
비율척도에서 0은 '완전히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무게나 길이에서 0은 '존재하지 않음'을 뜻합니다. 이 0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주)미정]

28. 일반적인 주장이나 기존 이론에 근거하여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은?(2017년 09월)
     1. 귀납법
     2. 연역법
     3. 사례연구법
     4. 내용분석법
     5. 문헌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53%

29. 다음 내용에서 ( ㄱ )과 ( ㄴ )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7년 09월)

    

     1. ㄱ: 준거관련 ㄴ: 공인
     2. ㄱ: 공인 ㄴ: 행동
     3. ㄱ: 행동 ㄴ: 내용
     4. ㄱ: 내용 ㄴ: 구인
     5. ㄱ: 구인 ㄴ: 준거관련

     정답 : []
     정답률 : 45%

30.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수와 양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에 주목한다.
     2. 일반적이지 않은 특성을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활용된다.
     3. 연구자의 오랜 시간 현장 참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4. 특정 현상에 대한 의미의 차이 파악을 중시한다.
     5. 연구상황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문화기술지 연구는 질적연구 중 하나이다.
수와 양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에 주목하는 것은 양적 연구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1. 다음에 나타난 표본추출기법은?(2023년 09월)

    

     1. 할당표본추출법
     2. 집락표본추출법
     3.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4. 누적표본추출법
     5. 편의표본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44%

32. 실험연구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인과관계 파악이 용이하다.
     2. 가외변수의 통제가 어렵다.
     3. 종속변수의 조작이 용이하다.
     4. 현장조사연구에 비해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
     5.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정확하게 내리기 쉽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5%

33. 척도 (평균 10.0, 표준편차 3.0)의 예측타당도를 추정하기 위해 준거척도 (평균 3.0, 표준편차 1.0)와의 상관을 계산한 결과 =0.6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척도 A에서 타당하지 못한 점수의 분산비율은 0.4이다.
     2.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은 9.0이다.
     3.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지 않는 점수의 분산은 0.6이다.
     4.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비율은 0.36이다.
     5. 척도 A의 점수로 준거척도 의 점수를 예언할 때, 예언된 점수와 실제점수 간 차이의 표준편차는 1.0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34. 측정도구 선정 및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반복된 측정으로 인한 연습효과가 예상될 경우, 연구자는 동형검사(parallel forms)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높으면 타당도 또한 당연히 높다고 가정한다.
     3. 측정도구 선정 시 검사의 경제성, 피검자의 피로도는 고려할 사항이 아니다.
     4. 측정도구가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타당화되었다면 다른 연령대에도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가정한다.
     5. 일반적으로 한 개의 측정도구로도 특정 구성개념을 완벽히 구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측정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35. 실험연구의 내적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연구문제 및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5%

37. Scheffé 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 Tukey의 HSD 검정: 개별 평균의 짝(단순쌍)별 사후 비교방법
[해설작성자 : .]

38.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섭씨 온도는 등간(interval) 척도의 예이다.
     2. 20℃는 10℃보다 두 배 뜨겁다고 할 수 있다.
     3. 비율(ratio) 척도는 절대 영점을 가지고 있다.
     4. 하나의 특성을 여러 가지 척도로 측정할 수 있다.
     5. 등간(interval) 척도와 비율(ratio) 척도로 측정된 변수들은 모두 회귀분석의 종속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온도는 대표적인 등간척도이나 10도와 20도의 차이가 10임을 알수 있을 뿐이다. 두배 뜨겁다고 하려면 절대 0점을 가진 비율척도 이상이어야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39. 다음은 청소년의 우울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가상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모든 독립변수의 회귀계수는 0이다.'가 귀무가설이다.
     2. ( A )값은 독립변수의 개수이다.
     3. ( B )값은 100이다.
     4. ( C )값은 10이다.
     5. 유의수준 .05에서 모든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진실험설계와 비교하여 준실험설계가 갖는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4%

41. 단순선형회귀분석에서 총변동(SST; sum of squares total) 중 선형관계로 설명되지 않는 변동(SSE; sum of squares error)이 차지하는 비중이 1/5이라면 결정계수 R2의 값은?(2024년 10월)
     1. 1/25
     2. 1/5
     3. 4/5
     4. 5
     5. 25

     정답 : []
     정답률 : 41%

42. 사전-사후 측정 통제집단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8%

43. 모의상담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상담과정 단순화가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연구결과의 해석이 난해해진다.
     2. 실험과정에서 윤리적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3. 독립변수의 수준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
     4.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 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5. 대리 내담자의 활용을 통해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다음 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이 선호하는 상담기법의 차이를 보여준다. B 상담기법을 선호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기대빈도의 합은?(2023년 09월)

    

     1. 70
     2. 75
     3. 80
     4. 110
     5. 15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중학생의 기대빈도=  (B상담기법의 합80 x 중학생 열의 합150) / 전체300 = 40
고등학생의 기대빈도=  (B상담기법의 합80 x 고등학생 열의 합150) / 전체300 = 40
중학생의 기대빈도 + 고등학생의 기대빈도= 40+40 =80 
[해설작성자 : 옥스]

46. 혼합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6%

47. 근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근거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딩의 순서는?(2023년 09월)
     1. 축코딩-개방코딩 –선택코딩
     2. 축코딩-선택코딩 –개방코딩
     3. 선택코딩-개방코딩-축코딩
     4. 개방코딩-선택코딩-축코딩
     5. 개방코딩-축코딩 -선택코딩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개방코딩 (Open coding)
원자료(면담, 관찰 기록 등)를 세밀히 읽고, 의미 단위를 나누어 개념(concept)으로 명명.
공통된 개념들을 묶어 범주(category)화.
예: “상담자가 나를 존중해줬다” → 존중 경험 / “내 의견을 경청했다” → 경청 경험 → 묶어 상담자의 공감적 태도.
축코딩 (Axial coding)
개방코딩에서 분리된 범주들 간의 관계를 연결하고 구조화.
인과조건-맥락-중재조건-작용/상호작용-결과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범주를 체계화.
선택코딩 (Selective coding)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중심으로 다른 범주들을 통합.
이야기의 흐름(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이론을 정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29%

50. 사례지향적(case-oriented) 연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사례유형화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연구이다.
     2.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다룬다.
     3. 종합적, 해석적 설명을 지향한다.
     4. 유형화된 다양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5.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사례지향적 연구 = 질적사례 연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는 양적연구 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심리평가를 위한 자료원이다.
     2. 전체 행동이 아니라 표집된 행동으로 구성된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직접 관찰하기 위한 도구이다.
     4. 표준화된 방식으로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한다.
     5. 검사를 통해 내려지는 결론은 항상 오류가능성을 내포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심리적 구성개념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

52. 심리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심리적 특성을 직접 측정이 아닌 간접 측정
[해설작성자 : 감쟈마미]

53.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그 변수의 산포도를 반영한다.
     2. 상관계수는 두 변수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이다.
     3.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각 변수의 표준편차의 영향을 받는다.
     4. -1.00에서 +1.00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5. 상관계수 -.70은 +.50보다 더 큰 연관성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피어슨 적률상관계수(r)란?
두 변수의 공분산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
범위는 -1.0 ~ +1.0
두 변수 간 선형적 관계의 방향과 강도를 나타냄
2번 문항이 왜 틀렸는가?
2번에서 말하는 **“상관계수는 두 변수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이다”**는 r이 아니라 r2의 의미이다.
r (상관계수): 두 변수 간 선형적 관련성의 정도(방향성과 강도)
r2 (결정계수): 한 변수가 다른 변수와 공유하는 분산의 비율(설명력)

예를 들어,
r = 0.70이라면, 단순히 두 변수가 강한 양의 상관을 가진다는 뜻
r2 = 0.49라면, 한 변수의 분산 중 49%를 다른 변수가 설명한다는 뜻

따라서 2번 진술은 r을 r2로 잘못 설명한 것이므로 틀림
[해설작성자 : 정유나]

54. 개발자와 심리검사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해서웨이(S. Hathaway): Army-⍺
     2. 카텔(J. Cattell): TAT
     3. 머레이(H. Murray): Stanford-Binet
     4. 써스톤(L. Thurstone): PMA
     5. 엑스너(J. Exner): TCI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써스톤 - 7-PMA(기본정신 능력 7개 요인 측정)
여키스 등 - Army a (알미 알파)
머레이 - TAT
터먼 - 스탠포드 비네 검사
써스톤 - PMA
클로닝거 등 : TCI
[해설작성자 : 짛니]

55.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 면담 시간에 환자의 증상과 증후를 체계적으로 평가(비구조화 X)
> 현재의 정신상태를 평가하는 것(발달력X)
> 면담 중 관찰된 환자의 외모, 행동특성, 말,생각 등을 기술(주요문제의 빈도, 심도, 경과 등의 질문 X)
[해설작성자 : 취업하고 싶다]

56. K-WAIS-IV에서 전체검사(Full Scale) IQ가 115일 때 이에 해당하는 T점수는?(2016년 10월)
     1. 50
     2. 55
     3. 60
     4. 65
     5. 70

     정답 : []
     정답률 : 54%

57. 다음에 해당하는 측정방식은?(2025년 09월)

    

     1. 산출법
     2. 평정기록
     3. 사건기록
     4. 생각목록
     5. 구조화된 면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길포드(J. Guilford)의 지능구조모형(Structure-of-Intellect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지능구조의 3차원 모델을 제시했다.
     2. 확산적 사고는 창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써스톤(L. Thurstone)의 다요인설을 확대했다.
     4. 모형의 '조작'과정에 체계적 사고와 전환적 사고가 포함된다.
     5. 지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들의 체계적인 집합체로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조작 차원에는 평가,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 기억, 인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ccccarot]

59. 심리검사를 개발할 때 문항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변량이 크다는 것은 해당 문항에 대한 수검자들의 반응이 거의 동일함을 의미한다.
     2. 문항선별의 목적은 최대 개수의 문항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함이다.
     3.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가 낮은 문항부터 제외한다.
     4. 크론바흐 알파계수(α)가 높은 문항부터 제외한다.
     5. 응답 평균이 극단에 위치하는 문항들은 일반적으로 큰 변량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49%

60. 로샤(Rorschach)검사의 람다(Lambda)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전체반응에 순수형태 반응이 차지하는 비율
2. 경험에 대한 개방성 지표
3. 심리적 자원을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
4. 주변환경에 관심을 기울이는 정도, 폭을 의미
5. .30~.99 사이에 람다값이 속하면 평균집단으로 분류 --> 주의 초점이 넓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특정 영역의 행동 전집을 수집하여 측정한다.
     2. 심리적 특성의 개인차를 비교할 수 있다.
     3.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4.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하나의 목적이다.
     5. 심리검사에서 나온 결과는 잠정적인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X / 심리검사는 제한된 문항으로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행동의 전집을 수집하지 않는다. 나아가 수집할 수도 없다.
[해설작성자 : 기수]

62. 머레이(H. Murray)는 주제통각검사(TAT)의 수검자 반응을 ( ㄱ )과(와) ( ㄴ )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해석체계를 제시하였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ㄱ: 동일시, ㄴ: 투사
     2. ㄱ: 주인공, ㄴ: 내용
     3. ㄱ: 콤플렉스, ㄴ: 대처
     4. ㄱ: 갈등, ㄴ: 방어
     5. ㄱ: 욕구, ㄴ: 압력

     정답 : []
     정답률 : 50%

63.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의 소외지표(Isolation Index)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지표를 계산할 때 순수형태 반응의 수가 필요하다.
     2. 식물, 구름, 지도, 풍경, 자연의 다섯 가지 범주들의 반응 수가 지표 계산에 사용된다.
     3. 현실을 지각할 때 왜곡되어 있는 정도를 알려준다.
     4. 자살지표(S-CON)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5. 구조적 요약 가운데 자기지각 영역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1%

64. 심리검사의 제작에 있어서 경험적 접근방식을 사용한 심리검사는?(2022년 10월)
     1. MBTI
     2. K-WAIS
     3. TCI
     4. MMPI
     5. TAT

     정답 : []
     정답률 : 60%

65. 다음의 지능지수 산출 방법을 고안한 학자는?(2021년 10월)

    

     1. 비네(A. Binet)
     2. 터만(L. Terman)
     3. 여키스(R. Yerkes)
     4. 웩슬러(D. Wechsler)
     5. 스피어만(C. Spearman)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스탠퍼드-비네 검사에 지능지수(IQ)가 추가된 게 맞다. 문제는 스탠퍼드-비네 검사는 비네가 아닌 루이스 터먼이 표준화한 것이다. 비네는 지능검사를 선별목적으로 만들었지 지능을 수량화하려는 마음은 없었다. 따라서 답은 터먼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66. MMPI-2의 VRIN 척도 점수가 상승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VRIN: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TRIN: 고정반응, 특정방향으로 응답
[해설작성자 : 차차]

▶ MMPI-2 타당성 척도
VRIN(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 수검자가 응답을 하면서 무선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탐지한다. 서로 내용이 유사하거나 상반되는 문항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검자가 각 문항쌍에 불일치하는 비일관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점수가 높아진다.
TRIN(True Response Inconsistency) 고정반응 비일관성
FB(Back Infrequency) 비전형 후반부
FP(Infrequency-Psychopathology) 비전형 정신병리
FBS(Fake Bad Scale) 증상 타당도
S(Superlative Self-Presentation) 과장된 자기제시
[해설작성자 : .]

67. K-WISC-IV 프로파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소검사 평균은 10점이고 표준편차는 3점이다. 기호쓰기는 원점수가 7점이므로 -1표준편차다. 시각운동협응수준이 낮다고 해석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68. 객관적 성격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NEO-PI-R의 개방성척도는 과제를 수행하는 목표지향적 행동과 자기통제력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2. TCI의 인내력(P)척도는 성격척도이다.
     3. PAI의 공격성(AGG)척도는 치료고려척도이다.
     4. 16PF는 융(C. Jung)의 성격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K-CBCL의 학업수행척도는 문제행동증후군척도의 하위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목표지향적 행동과 자기통제력을 평가하는 척도는 NEO-PI-R의 성실성 척도이다.
2. TCI의 인내력(P)척도는 '기질'척도이다.
4. 16PF는 '케텔의 특질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K-CBCL의 학업수행척도는 '적응척도'의 하위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ccccar]

69.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에 포함되는 영역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ㄴ, ㄷ, ㄹ
     4.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5%

70. 다음 사례에서 상승이 예측되는 MMPI-2의 보충척도는?(2022년 10월)

    

     1. MDS
     2. Re
     3. Do
     4. Es
     5. Mt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MDS -결혼생활부적응 척도
2. Re - 사회책임감 척도
3. Do - 지배성 척도
4. Es - 자아강도 척도
5. Mt - 대학 생활 부적응척도
[해설작성자 : 초롱]

71. 다음에 해당하는 로샤(Rorschach) 검사 발달질 채점 기호는?(2021년 10월)

    

     1. +
     2. o
     3. v/+
     4. v
     5. -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통합반응
O 평범반응
V/+ 모호-통합 반응
V 모호반응
[해설작성자 : 차차]

반응영역, 발달질, 형태질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반응영역은 W, D, Dd, S
발달질은 반응에서 의미있는 조직화 혹은 통합이 일어난 정도를 말한다. +, o, v+, v
형태질은 반응이 잉크반점의 특징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이다. +, o, u, - (책 보고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72. TA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머레이(H. Murray)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 두 번의 회기로 나누어 시행한다.
     2. 수검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도판을 선정해야 한다.
     3. 수검자의 이야기 속에 의식 및 무의식적 갈등이 표출된다고 가정한다.
     4. 욕구-압력 분석법의 첫 단계는 수검자가 지각하는 문제를 찾는 것이다.
     5. 통각은 객관적 자극과 주관적 경험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로샤(Rorschach)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반응영역 S는 단독으로 기호화해야 한다.
     2. 수검자가 한 말을 그대로 기록하여야 한다.
     3. 수검자의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4. 질문단계에서는 추가적인 새로운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로샤(H. Rorschach)는 종합체계(comprehensive system)를 개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로샤 검사 단계
수검자가 한 말을 그대로 기록
상상력이나 창의력 검사 오해 지양, 반응 암시나 유도 안 됨
평범 반응 없는 경우 추가 질문, 알려줘서 반응 확인

▶ 로샤 검사 발달질
+ 통합반응
O 평범반응
V/+ 모호-통합 반응
V 모호반응

▶ 반응 영역 채점표
W (Whole Response) 전체 반응 > 작은 부분 제외되면 기호화 할 수 없음
D (Common Detail Response) 보통 부분 반응
Dd(Unusual Detail Response) 드문 부분 반응
S (Space Response) 공백 반응 > 단독으로 기호화 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

4. 반응단계에서는 새로운 반응이 나오는게 좋다. 근데 질문단계에서는 이전에 반응한 거에 대해서 질문하는거다. 따라서 새로운 반응에 주의를 기울일게 아니라 기존의 반응이 어떻게 그렇게 보였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엑스너가 종합체계를 만들었다.
3. 상상력이나 창의력을 발휘하는게 아니라, 그냥 보이는 그대로 말하게 하는거다.
2. Verbatim 으로, 있는 그대로 따라적어야한다. 로샤검사는 해본사람만 안다. 따라적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개인적으로 로샤는 타이핑 허용해줬으면 좋겠다.
[해설작성자 : 기수]

74. 행동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검사 시의 행동평가는 전체 행동 영역에 대한 대표성을 지닌다.
     2. 행동평가는 외적 환경요인보다 내적 개인요인에 의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더 적절하다.
     3. 행동평가는 심리측정적 속성이 충분히 검증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4. 행동평가 시 면접은 행동의 변화가 발달과정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5. 행동평가 시 면접의 일반적 목표는 관련있는 목표 행동을 확인하고 추가적 행동평가 절차를 선택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75. 문장완성검사(S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수검자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지시한다.
     2. 수검자의 반응을 면담에 활용할 수 있다.
     3. 개인과 집단에 실시할 수 있다.
     4. 반응시간에 제한이 있다.
     5. 지능, 교육수준, 문장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3%

76. 이상심리의 이론적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양극성 장애와 조현병은 유전을 비롯한 생물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2. 행동주의자들은 부적응 행동이 학습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다고 제안하였다.
     3. 실존주의자들은 정신장애가 뇌의 생화학적 이상에 의해서 유발된다고 본다.
     4. 인지이론가들은 비합리적 신념과 역기능적 사고가 이상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본다.
     5. 사회문화적 모형에서는 가정ㆍ사회문화적 요인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77.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는 삼원구조 이론을 제시하였다.
     2. 이상행동의 원인을 어린 시절의 경험에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으로 설명한다.
     3. 정신분석치료의 목표는 원초아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다.
     4. 인간의 모든 행동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고, 원인이 있다는 정신결정론을 가정한다.
     5. 발달과정에서 결핍이나 과잉충족은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정답률 : 58%

78. 행동주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고전적 조건형성을 주장한 학자는 반두라(A. Bandura)이다.
     2. 이상행동은 주로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적 모델링의 3가지 학습원리로 설명된다.
     3. 체계적 둔감법은 뱀공포증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하루종일 뱀을 목에 감고 생활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무의식적 욕구를 변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이다.
     5.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한 뒤 칭찬을 받는 것은 부적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파블로프 / 반두라는 자기효능감
3. 홍수법
4. 정신역동
5. 정적강화
[해설작성자 : 기수]

79. DSM-5의 지적장애 중등도 수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8%

80. DSM-5의 신경발달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의사소통장애
     2. 지적장애
     3. 이식증
     4.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5. 운동장애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식증은 DSM-5 급식 및 섭식장애에 해당함

급식 및 섭식 장애
- 이식증
- 되새김 장애
-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장애
- 신경성 식욕부진증
- 신경성 폭식증
- 폭식장애
[해설작성자 : Yoon]

81.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발달단계는 대인관계 욕구에 따라 구분된다.
     2. 오이디푸스 갈등이 나타나는 발달단계는 남근기이다.
     3. 인간의 행동은 우연히 일어난다.
     4. 역전이분석은 내담자가 치료과정에서 상담자에게 나타내는 전이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5. 이상행동은 초기 아동기의 의식적 갈등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심리적 결정론
4. 역전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느끼는 전이현상을 말함
[해설작성자 : 기수]

82. 조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환각만으로도 진단될 수 있다.
     2. 장애의 임상적 징후가 최소 3개월 동안 계속되어야 진단될 수 있다.
     3. 무의욕증과 무쾌감증은 양성증상에 해당된다.
     4. 뇌실의 확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5. 가장 흔한 환각은 환시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정신분열증)
뇌실 확장, 충동 조절 문제, 공격행동 및 자살시도, 피해망상 과대망상 신체적 망상
예기 환각, 진성 환각, 가성환각(실제 대상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지하면서도), 가장 흔히 환청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사고 중 2개 이상 1개월 이상 되어야 진단,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해설작성자 : .]

83.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제Ⅱ형 양극성장애
     2. 조현정동장애
     3. 망상장애
     4. 경계성 성격장애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답 : []
     정답률 : 43%

84. DSM-5의 조증 삽화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불면증
     2. 사고의 비약
     3.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4. 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감
     5.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의 지나친 몰두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 자기존중감이 팽창하거나 지나치게 과장된 자신감
- 수면 욕구 감소
- 평소보다 말이 많거나 말을 계속함
- 사고비약이 있거나 사고가 연이어 나타남
- 지나친 주의산만
-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 운동성 초조
- 고통스러운 결과에 이르느 쾌락적 활동에 몰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이상행동 치료를 위한 단일사례 실험설계에 사용되는 전략들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ㄹ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ㅁ
     4. ㄱ, ㄷ,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1%

86. DSM-5의 지속성 우울장애 진단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분리불안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학령기 아동에서는 학교에 가기 싫어하거나 등교 거부로 나타난다.
     2. 행동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등을 통하여 호전될 수 있다.
     3.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유전적 기질, 인지행동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4. 지나치게 밀착된 가정에서 자랐거나 의존적인 성향의 아이에게 나타날 수 있다.
     5. 성인의 경우 증상이 1개월 이상 나타날 때 진단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88. DSM-5의 강박 및 관련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9월)
     1. 신체이형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저장장애
     4. 털뽑기장애
     5. 피부뜯기장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강박장애 환자의 침투적(intrusive) 사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억제하려고 노력한다.
     2. 자아동조적이다.
     3. 자신의 책임감을 과도하게 인식한다.
     4. 사고-행위 융합의 인지적 오류가 개입된다.
     5. 의식에 떠오르는 원치 않는 불쾌한 생각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 자아동조적이 아니고 자아이질적이다.
[해설작성자 : 온마인드]

90. DSM-5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여성은 남성에 비해 주로 부주의 증상을 보인다.
     2. 리탈린(Ritalin)과 같은 중추신경계자극제가 치료약물로 사용된다.
     3. 몇가지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은 12세 이전에 나타난다.
     4. 교사의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하는 것은 부주의 증상이다.
     5. 부주의, 충동성, 계획성 부족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때문에 많이 가려진다. 소아청소년기 성비가 성인기에 가서 완만해지는 이유 중 하나
2. 리탈린은 상품명임. 메탈페니데이트가 쓰이는거고, 콘서타, 메디키넷, 페니드 등이 있다.
5. 성인에서는 과잉행동이 줄어든다
4. 충동성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91. DSM-5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적 상태에 근거할 때,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9년 10월)

    

     1. 인터넷게임장애
     2. 인터넷도박장애
     3. 인터넷사용장애
     4. 인터넷게임중독
     5. 인터넷게임도박장애

     정답 : []
     정답률 : 33%

92. 신경성 폭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폭식을 하지만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도 해당된다.
     2. 삽화 기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을 느낀다.
     3.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된다.
     4.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는다.
     5. 자기평가에서 체형과 체중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이러한 요인이 자존감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신경성 폭식증
폭식행동과 보상행동 반복,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과 겹치면 진단되지 않음
▶ 폭식장애
폭식행동만, 보상행동 하지 않음. 주1회 이상 3개월 동안
[해설작성자 : .]

93. DSM-5의 조현병 스펙트럼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와해된 언어는 양성증상이다.
     2. 조현형 성격장애는 조현병 스펙트럼장애로 분류된다.
     3. 조현정동장애는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삽화 없이 존재하는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있다.
     4. 단기 정신병적 장애의 심각도는 지난 7일중 정신병의 일차 증상 각각에 대하여 가장 심한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한다.
     5. 망상장애의 가장 흔한 아형은 질투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가장 흔한 유형은 "피해형" 자신이 음모의 대상, 속임을 당함, 추적 당함, 독살의 위험 등을 느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노출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일명 바바리맨으로도 알려져 있다.
     2. 성기를 노출한 후 자신에게 실망하거나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3. 낯선 사람과 성행위를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성행위 보다는 깜짝 놀라는 여성의 반응을 보고 성적 흥분과 쾌감을 느낀다.
     5.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낯선 사람에게 자신의 성기를 노출하는 증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5. DSM-5의 적대적 반항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성인과 잦은 논쟁을 한다.
     2. 권위자의 요구, 규칙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는 행동을 적극적으로 자주 한다.
     3.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자주 남의 탓으로 돌린다.
     4.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한다.
     5.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성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소아기호증(아동성애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통 15세 이하를 대상으로 성적 흥분이 발생한다.
     2. 14세 청소년이 7세 아동과 성관계를 맺고 있으면 진단될 수 있다.
     3. 성적 대상이 되는 아동보다 연령이 7세 이상이어야 진단될 수 있다.
     4. 아동에 대한 성적 공상이나 충동, 행동 등이 1년 이상 지속된다.
     5. 성적으로 남녀 모두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사춘기 이전의 소아(보통 13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2, 3. 개인 연령이 16세 이상이고, 피해 아동보다 5세 연상이어야 진단할 수 있다.
4. 상상과 행동이 환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폭식장애의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반복적 폭식(조절력 상실), 3가지 이상 관련 행동, 심각한 고통, 3개월 이상 주 1회 이상, 보상행동 없음이 핵심 진단 기준입니다.
신경성 폭식증과 달리 구토, 하제 남용 등 보상행동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해설작성자 : 로기]

98. DSM-5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다축체계를 폐지하였다.
     2.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범주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3. 일차적으로 범주적 평가에 기초한다.
     4.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다.
     5. 범주적 평가와 더불어 차원적 평가를 사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2.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진단을 ‘달리 명시된(Other Specified)’ 혹은 ‘명시되지 않는(Unspecified)’으로 변경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망상장애
     2. 조현양상장애
     3. 순환성장애
     4. 조현정동장애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 순환성 장애는 ‘양극성 및 관련 장애’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알코올 사용 장애나 중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 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4665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140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3153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9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1175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8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5314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6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135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73887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4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3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656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1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3212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0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9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8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7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6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5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52658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4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2432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3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0372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2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3777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