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이젝터 핀 설계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성형품의 이형저항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한다.
     2. 게이트의 하부 및 게이트와 직선 방향의 밑 부분에 설치하지 않는다.
     3. 공기 및 가스가 모이는 곳에 설치하여 에어벤트 대용으로 사용한다.
     4. 핀의 끝과 성형품은 될 수 있는 데로 적게 접촉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2. 성형불량 원인중 크레이징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사출압력이 너무 높다.
     2. 금형온도가 높다.
     3. 수지온도가 낮다.
     4. 유동성이 부족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 사출성형품에 플래시(Flash)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사출 압력이 높다.
     2. 형체결력이 부족하다.
     3. 제품의 투영면적이 작다.
     4. 사출온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70%

4. 로킹 블록(locking block)의 경사각(β)과 경사핀의 경사각(α)의 관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3년 06월)
     1. β = α + ( 2° ~ 3° )
     2. β = α + ( 10° ~ 18° )
     3. β = 2α + ( 2° ~ 3° )
     4. β = 2α + ( 10° ~ 18° )

     정답 : []
     정답률 : 81%

5. 금형캐비티 내의 평균압력이 100 kgf/cm2 이고, 캐비티의 투영면적이 314cm2 이라면, 이때 형체력은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00 ton
     2. 3.14 ton
     3. 31.4 ton
     4. 314 ton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 형체력    F = P × A × 10^-3(tf) ( P : 금형내 평균 압력, A : 투영면적)
                                = 100×314×10-3 = 31.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 다음 중 물통이나 컵과 같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시 진공상태로 되는, 깊고 얇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에 가장 적당한 방식은?(2016년 05월)
     1. 공기압 이젝터 방식
     2. 슬리브 이젝터 방식
     3. 가이드 핀 이젝터 방식
     4. 이젝터 핀에 의한 방식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컵과 같은 성형품은 슬리브 이젝터 방식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수개 빼기금형에서 러너의 길이를 20 mm, 게이트의 랜드 길이를 1.5 mm, 그리고 러너의 직경을 4.0 mm로 했을때 게이트 밸런스의 값은? (단, SG/SR = 7 %이다.)(2003년 05월)
     1. 0.31
     2. 0.20
     3. 0.18
     4. 0.1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BGV = SG / (√LR × LG), SG / SR = 0.07
     (SG = 게이트의 단면적,    SR = 러너의 단면적 / LG = 게이트의 랜드,    LR = 러너의 길이)

     SG / SR = 0.07 , SG = 0.07 × π·D^2 / 4 = 0.07 × 3.14 × 4^2 / 4 ≒ 0.88
     BGV = 0.88 / (√20 × 1.5) ≒ 0.13

8. 사출금형 부품인 스프루 부시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5월)
     1. 스프루 부시 R은 노즐 선단 r보다 0.5~1mm 정도 큰 것이 좋다.
     2. 스프루 입구의 지름 D는 노즐 구멍 지름 d보다 1.0~2.0mm 정도 작게 한다.
     3. 스프루 구멍의 테이퍼는 1˚이하로 한다.
     4. 스프루 길이는 될 수 있는 한 길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4%

9. 러너리스(runnerless)금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2. 제품의 외관이나 물리적 특성이 좋아진다.
     3. 사출 용량이 적은 성형기로 성형이 가능하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8%

10. 수지의 수축률이 커서 발생한 수축현상(sink mark)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86%

11. 전단 가공된 제품을 정확한 치수로 다듬질하거나 전단면을 깨끗하게 가공하기 위한, 전단 가공을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5월)
     1. 노칭
     2. 셰이빙
     3. 슬리팅
     4. 트리밍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① 노칭 : 재료의 한 부분을 잘라내어 제품으로 만드는 가공법으로 부분적으로 스크랩이 발생
② 세이빙 : 전단 가공된 제품을 정확한 치수로 다듬질 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미소량의 전단가공법
③ 슬리팅 : 재료의 일부에 깎아 들어가기나 깎아 일으키기를 만드는 가공법
④ 트리밍 : 드로잉 가공 등을 한 제품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가공법으로 블랭킹 가공과 거의 같은 원리의 가공법

12. 드로잉 가공 제품의 쇼크 마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드로잉 속도가 빠를 때 생긴다.
     2. 재 드로잉 펀치의 모서리 반경이 클 때 생긴다.
     3. 펀치 또는 다이의 모서리 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4. 용기의 측벽에 생기는 작은 홈 모양의 고리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13. 드로잉률 0.6, 재드로잉률 0.7 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 200mm 의 블랭크 소재를 직경 60㎜ 의 원통용기로 성형코자 한다. 몇 회의 공정으로 성형이 되는가?(2014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88%

14. 드로잉금형에서 용기의 형상이 원통형이고 일정한 두께로 아이어닝 할 경우 일반적인 클리어런스(Cp)의 값은?(2010년 05월)
     1. Cp ≒ ( 1.1 ~ 1.2 ) t
     2. Cp ≒ ( 1.4 ~ 2.0 ) t
     3. Cp ≒ ( 0.1 ~ 0.5 ) t
     4. Cp ≒ ( 2.5 ~ 2.8 ) t

     정답 : []
     정답률 : 83%

15. 프레스의 종류 중 가공행정의 하사점 부근에서 강력한 힘을 얻을 수 있어 압인, 사이징 등의 압축가공이나 냉간단조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스는?(2004년 05월)
     1. 크랭크 프레스
     2. 너클 프레스
     3. 편심 프레스
     4. 마찰 프레스

     정답 : []
     정답률 : 86%

16. 단독 금형을 병렬로 설치하여 각 공정 사이를 자동이송장치로 재료를 이송하여 자동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금형은?(2013년 06월)
     1. 트랜스퍼 금형
     2.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콤파운드 금형
     4. 콤비네이션 금형

     정답 : []
     정답률 : 81%

17. 프레스 램을 하사점까지 내린 상태에서 프레스 램 밑면과 볼스터 윗면 사이의 직선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5월)
     1. 슬라이드 조절량
     2. 하중 능력
     3. 스트로크 수
     4. 다이하이트

     정답 : []
     정답률 : 88%

18.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이세트의 형식은?(2003년 05월)
     1. FR형
     2. CR형
     3. CB형
     4. DR형

     정답 : []
     정답률 : 76%

19. 아이어닝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가공 전의 판 두께는 t0, 가공 후의 판 두께는 t1이다.)(201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20. 펀치와 다이의 날 맟춤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시그네스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
     2. 광선을 이용하는 방법
     3. 끼워 맞추기를 쓰는 방법
     4. 광명단을 사용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기계제작법


21. 주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반복 사용하여도 노화하지 않을 것
     2. 용탕의 압력에 견딜 만한 고온 강도
     3. 용탕의 온도에 견딜 만한 내화 온도
     4.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주물사의 구비조건
① 주형제작이 용이하게 성형성이 있어야 한다.
② 고온의 용융금속과 접하여도 화학적 변화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③ 고온의 용융금속에 녹지 않는 내열성이 있어야 한다.
④ 금속이 녹으면 많은 가스를 흡수하고, 응고할 때에는 그 가스를 발산한다. 이 가스를 주형으로부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⑤ 열이 잘 전달하지 않는 보온성이 있어야 한다.
⑥ 쉽게 노화되지 않고 재활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복원성이 있어야 한다.
⑦ 값이 싸고, 구입하기 쉬워야 한다.
⑧ 적당한 입도(1인지를 나눈 숫자) 를 가져야 한다.
⑨ 무거운 용융그속을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⑩ 주물의 표면으로부터 모래의 이탈이 쉽고, 표면이 깨끗하여야 한다.

22.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헤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명에 가공경화 된 잔류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쇼트피닝 : 쇼트 볼을 가공면에 고속으로 강하게 두드려 금속 표면층의 경도와 강도 증가로 피로한계를 높여주는 가공법. 스프링, 기어, 축등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 부품에 효과적이다. 냉간가공.

23. 쾌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비 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가능하다.
     2.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3. 어떠한 재료로도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4. 시제품 형상에 따른 재료만 있으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쾌속조형기술 : 컴퓨터를 이용해 설계(CAD)된 3차원 도면으로부터 직접 고형화된 물리적 모델을 제작하는 공정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시제품 제작에만 국한되지 않고 대량생산 기술로의 적용이 모색되는 등 그 응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3D 프린터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됨
① 장점
    ⓐ 모든 형상의 시제품 가공이 용이
    ⓑ 비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용이
    ⓒ 시제품형상에 따른 제료만 소모
    ⓓ 매우 빠른 제작속도
    ⓔ 작업을 위한 별도의 셋팅 및 작업물의 방향성 변환이 불필요
② 단점
    ⓐ 장비 도입비가 높다
    ⓑ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0.1mm)
    ⓒ 재료비가 높다.

24. 압출 성형법에서 제품 치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2005년 05월)
     1. 압출 시간
     2. 압출 온도
     3. 가열 시간
     4. 가압 방식

     정답 : []
     정답률 : 80%

25. 지름 200mm인 숫돌을 36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물을 10m/min의 속도로 연삭을 하였다. 숫돌의 원주속도는 약 얼마인가?(2005년 05월)
     1. 2272 m/min
     2. 2262 m/min
     3. 3361 m/min
     4. 2251 m/mi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V = π.D.n / 1000 (n : 공작물의 회전수,    D : 공작물의 지름)
         = 3.141592 × 200 × 3600 / 1000 ≒ 2261.9    

26. 전주 가공 작업 공정으로 올바른 것은?(2013년 06월)
     1. 모형제작 →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2.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 모형제작
     3.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
     4.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정답 : []
     정답률 : 55%

27. 사출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 간의 안내와 금형 보호역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은?(2014년 05월)
     1. 가이드 핀
     2. 리턴 핀
     3. 로케이트 링
     4. 스프루 부시

     정답 : []
     정답률 : 98%

28. 판재의 굽힘가공에서 굽힘 반지름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05년 05월)
     1. 재료의 연신율
     2. 가공 경화성
     3. 재료의 경도와 판재의 두께
     4. 굽힘압력

     정답 : []
     정답률 : 63%

29. 사출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간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은?(2004년 05월)
     1. 가이드핀
     2. 리턴핀
     3. 로케이트링
     4. 스푸루부쉬

     정답 : []
     정답률 : 79%

30. 인발가공에 있어서 다이각도는 일반적으로 몇 도가 가장 적당한가?(2004년 05월)
     1. 10 ~ 18°
     2. 18 ~ 25°
     3. 25 ~ 30°
     4. 30 ~ 35°

     정답 : []
     정답률 : 74%

31. 두께 2 mm의 연강판을 지름 50 mm의 원판으로 블랭킹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전단력은 약 몇 ton인가? (단, 전단저항은 τ = 30 kgf/mm2로한다.)(2003년 05월)
     1. 8.5
     2. 6.5
     3. 7.5
     4. 9.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2 × π × 25) × 2 × 30 e = 9420 ≒ 9.5

32. 수공구인 렌치(Wrench)와 스패너(Spanne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재질은 공구강, 가단주철이 많다.
     2. 모든 렌치와 스패너는 폭 조절이 안된다.
     3. 양구스패너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너트의 치수로 표시한다.
     4. 양구스패너는 양쪽 스패너 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33. 다음 중 슈퍼피니싱에 사용되는 연삭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경유
     2. 그리스
     3. 비눗물
     4. 피마자 기름

     정답 : []
     정답률 : 92%

34. 단조나 주조품의 경우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기 곤란한 경우에 볼트나 너트가 닿을 구멍 주위 부분만을 평탄하게 절삭하는 방법은?(2003년 05월)
     1. 카운터 싱킹
     2. 보링
     3. 카운터 보링
     4. 스폿 페이싱

     정답 : []
     정답률 : 82%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36. 압연 가공에서 판을 압연할 때 쓰이는 롤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원기둥 룰
     2. 홈 룰
     3. 개방형 룰
     4. 밀폐형 롤

     정답 : []
     정답률 : 79%

37. 연삭 가공시 숫돌차 표면의 기공에 칩이 끼어 연삭성이 나빠지는 형상은?(2010년 05월)
     1. 로우딩 현상
     2. 세딩 현상
     3. 드레싱 현상
     4. 트루잉 현상

     정답 : []
     정답률 : 87%

38. NC공작기계에서 S자형 경로나 크랭크형 경로등 어떠한 경로라도 자유자재로 공구를 이동시켜 연속절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는?(2015년 05월)
     1. 절대좌표결정 제어
     2. 위치결정 제어
     3. 직선절삭 제어
     4. 윤곽절삭 제어

     정답 : []
     정답률 : 82%

39. 공구노즈 반경이 0.4mm, 이송속도 0.3mm/rev, 절삭깊이 2mm일 때 표면거칠기 H는 약 얼마인가?(2005년 05월)
     1. 26㎛
     2. 28㎛
     3. 30㎛
     4. 3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H = S2 / 8r ( H = 표면거칠기, S = 이송속도, r = 바이트의 노즈 반지름)
     H = ( 0.3 ×0.3 ) / (8 × 0.4) = 0.09 / 0.32 = 0.28125

40. CNC머시닝 센터에서 직경이 20㎜인 엔드밀로 주철을 가공하고자 할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단, 주철의 절삭속도는 50m/min 이다.)(2013년 06월)
     1. 397
     2. 796
     3. 1191
     4. 1591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회전수 n = 1000V / π.D
                        = (1000 × 50) / (3.141592 × 20) ≒ 795.7748

3과목 : 금속재료학


41. 오스테나이트(austenite)의 현미경 조직을 갖는 면심입방격자를 갖는 철은?(2008년 05월)
     1. α철
     2. β철
     3. γ철
     4. δ철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면심입방격자(F.C.C) : 특징(많이 사용된다, 전연성과 전기 전도도가 크다, 가공이 우수하다)
원소(Al, Ag, Au, Fe(γ), Cu, Ni, Pb, Pt, Ca, β-Co, Rh, Pd, Ce, Th), 귀속원자수(4), 배위수(12), 원자충전율(74%)

42. 포금(gun metal)dms 대포의 포신으로 사용되는 내식성이 좋은 금속을 말하는데 이것의 주성분은?(2014년 05월)
     1. Cu, Sn, Zn
     2. Cu, Zn, P
     3. Cu, Al, Sn
     4. Cu, Ni, Mn

     정답 : []
     정답률 : 78%

43. 크리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크리프의 3단계 중 1단계를 정상크리프라 한다.
     2. 어떤 재료가 크리프가 생기는 요인은 온도와 하중과 시간이다.
     3. 어떤 시간 후에 크리프가 정지하는 최대 응력을 크리프 한도라 한다.
     4.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크리프 : 재료에 일정하중을 주고 고온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현량이 증가하는 현상
     1단계 : 초기 크리프 : 변형경화 > 연화작용 되어 변형속도가 감소하는 단계
     2단계 : 정상 크리프 : 변형이 증가하면서 경화작용이 진행하여 크리프 속도가 일정하게 진행되는 단계
     3단계 : 가속 크리프 : 경화작용은 거의 없고 연화 작용만이 크게되어 속도가 증가되면서 파단에 이르는 단계

44. 정적인 하중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도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결국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피로 현상
     2. 에릭센 현상
     3. 항복 응력 현상
     4. 크리프 한도 현상

     정답 : []
     정답률 : 72%

45. 원자 반경이 1Å인 FCC금속의 (111)면간 거리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2√2Å
     2.
     3. 1Å
     4. 2Å

     정답 : []
     정답률 : 85%

46.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페놀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멜라민 수지
     4. 요소 수지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①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7. 지름 15㎜의 연강봉에 500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여기에 생기는 응력(kgf/cm2)은 약 얼마인가?(2015년 05월)
     1. 11.3
     2. 128
     3. 283
     4. 1132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인장강도(σs) = 최대하중 / 원단면적 = Pmax / Ao [N/mm2 or MPa]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σs = 500 / (3.141592 × 0.75 × 0.75) = 282.942

48. 신소재를 각 군으로 나눌 때 반도체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U, Th
     2. Cs, Na, Li
     3. Ge, Si, Se
     4. V, W, Mo

     정답 : []
     정답률 : 76%

49. C와 Si의 함량에 따른 주철의 조직을 나타낸 조직 분포도는?(2015년 05월)
     1. 18-8강의 입계부식 조직도
     2. 마우러 조직도
     3. Fe-C 복평형 상태도
     4. 황동의 평형 상태도

     정답 : []
     정답률 : 88%

50. 내열 주철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Ni을 10 - 20% 첨가한 주철이다.
     2. Cr을 25 - 30% 첨가한 고크롬 주철이다.
     3. Ni을 첨가한 내열 주철에는 니크로실랄과 니레지스트가 있다.
     4. 고크롬 주철을 오스테나이트 주철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내열주철 : 고온에 있어서도, 산화도 변형도 일으키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는 주철. 고크롬주철(Cr 5~33%) 및 오스테나이트 주철이 그 2대 계통을 이루고 있다. 오스테나이트 주철은 고니켈 및 고크롬을 함유하는 니레지스트, 니크로실랄 등이 유명하다.
① Ni을 10 - 20% 첨가한 주철이다.(Ni오스테나이트주철)
② Cr을 25 - 30% 첨가한 고크롬 주철이다.(크롬주철)

51. 초강인강에 있어 예리한 노치를 넣은 다음 항복강도보다 낮은 정적 인장응력을 가하면 어느 시간 후에 갑자기 파괴되는 지체파괴(delayed fracture)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지체파괴의 원인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잔류응력이 있을 때
     2. 응력집중부가 있을 때
     3. 압축응력이 있을 때
     4. 강재의 강도수준이 높을 때

     정답 : []
     정답률 : 52%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7:3 황동에 1% Sn을 첨가한 실용 특수 황동은?(2010년 05월)
     1. 알루미늄황동
     2. 애드미럴티 황동
     3. 톰백
     4. 양은

     정답 : []
     정답률 : 80%

54. 표준형 고속도 공구강의 주성분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18% W, 4% Cr, 1% V, 0.8~0.9% C
     2. 18% C, 4% Mo, 1% V, 0.8~0.9% Cu
     3. 18% W, 4% Cr, 1% Ni, 0.8~0.9% Al
     4. 18% C, 4% Mo, 1% Cr, 0.8~0.9% Mg

     정답 : []
     정답률 : 84%

55. 금속재료의 표면에 강이나 주철의 작은 입자들을 고속으로 분산시켜 표면층을 가공경화에 의하여 경도를 높이는 방법은?(2015년 05월)
     1. 금속 침투법
     2. 하드 페이싱(hard facing)
     3. 숏 피닝(shot peening)
     4. 고체 침탄법

     정답 : []
     정답률 : 79%

56. Ni 과 그 합금의 현미경 조직시험에서 부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5월)
     1. 왕수용액
     2. 피크르산 알콜용액
     3. 질산 및 초산용액
     4. 염화 제이철용액

     정답 : []
     정답률 : 78%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6년 05월)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델타메탈 : 철황동, 6.4황동에 Fe 1~2% 첨가. 강도, 내식성 우수(광산, 선박, 화학 기계에 사용)
②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Sn 1%첨가한 것이며, 내해수성이 강해 선박 기계에 사용.
③ 두라나 메탈 : 7.3황동에 Fe1~2% 첨가시킨 황동
④ 에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Sn1%를 첨가한 것이며, 콘덴서 튜브에 사용

58. 다음 중 켈밋합금(kelmet allo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b-Sn 합금, 저속 중 하중용 베어링합금
     2. Cu-Pb 합금, 고속 고 하중용 베어링합금
     3. Sn-Sb 합금, 인쇄용 활자합금
     4. Zn-Al-Cu 합금, 다이캐스팅용 합금

     정답 : []
     정답률 : 75%

59. 다음 중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흑연을 미세하게 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2. C, Si 양을 감소시킨다.
     3. 탄화물 안정화 원소인 Cr, Mn, Mo, V 등을 첨가한다.
     4. 주철을 720℃ 정도에서 가열, 냉각을 반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0. 다음 중 우수한 전기 특성과 치수 안정성, 높은 강도와 낮은 습수성을 가지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는?(2014년 05월)
     1. AS 수지
     2. 불소 수지
     3. 메타크릴 수지
     4. 에폭시 수지

     정답 : []
     정답률 : 83%

61. 측정에서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정확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우연오차에 의한 것이고, 정밀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계통적 오차에 의한 것이다.
     2. 측정에 있어서는 정확도와 정밀도의 양쪽을 포함한 것 또는 그 어느 쪽을 지적하여 정도라 한다.
     3. 정확도는 한쪽으로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하며, 정밀도는 흩어짐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4. 양적인 표시에 대해서 정확도는 모평균에서 참값을 뺀 값으로 표시하고 정밀도는 모표준편차 값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2. 3차원 측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치공구, 맨드럴 등의 보조구가 필요하다.
     2. 피측정물의 설치 변경에 따른 측정시간이 절약된다.
     3. 측정결과를 즉시 프린트할 수 있다.
     4. 허용 공차값에 따른 측정결과의 경향 및 판정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63. N.P.L식 각도 게이지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14년 05월)
     1. 홀더가 필요 없다.
     2. 보통 49개가 한 세트로 되어 있다.
     3. 각도측정부에 직접대고 틈새에 의해 각도를 판단한다.
     4. 정도는 ±12″, 조합했을 경우는 ±24″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64. 전기 마이크로미터의 장단점을 설명한 것 중 잘못 설명한 것은?(2015년 05월)
     1. 25㎜ 이상의 긴 변위의 고정도 측정이 가능하다.
     2. 기계적 확대기구를 사용하지 않아 되돌림 오차가 극히 적다.
     3. 고장이 났을 때 수리가 용이하다.
     4. 공기 마이크로미터에 비해 응답속도가 빨라 고속 측정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86%

65. 어느 가공물을 측정한 결과 84㎛ 였다. 측정기에 -6㎛의 기차(器差 : Instrument error)가 있다면 참값은?(2013년 06월)
     1. 90㎛
     2. 87㎛
     3. 81㎛
     4. 78㎛

     정답 : []
     정답률 : 76%

66. 미터나사를 최적 선경 dw = 2.886㎜의 3침을 사용하여 외측거리 M = 49.085㎜를 얻었다. 유효지름은 몇 ㎜인가?(2008년 05월)
     1. 44.756
     2. 44.672
     3. 44.444
     4. 44.83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삼침지름dm =0.57735P → 2.886 = 0.57735 × P → P = 2.886 / 0.57735 = 4.9987

     상기 공식을 이용하여 P(피치)를 구한 후

     유효지름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 49.085 - (3×2.886) + 0.866025 × 4.9987
                            = 49.085 - 8.658 + 4.32899
                            = 44.75599

67.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기계식
     2. 광학식
     3. 전기식
     4. 베어링식

     정답 : []
     정답률 : 79%

68. 다음과 같은 원심원상의 간섭무늬가 5개 있을 때, 사용광파의 파장 λ가 0.6㎛이면, 중심부와 원 모서리부 사이의 높이차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0㎛
     2. 1.8㎛
     3. 1.5㎛
     4. 1.0㎛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6 / 2 = 1.5

69.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3년 05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3%

70. 다음 형상 및 위치 정밀도의 측정 방법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진직도는 투영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2. 평면도 측정은 수준기,오토콜리메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3. 대칭도는 지름을 측정하여 계산에 의해 구해야 한다.
     4. 평행도는 기준면에 관계 없이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71. 14.50의 측정값이 뜻하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14.490 ≤ 14.50 < 14.510
     2. 14.494 ≤ 14.50 < 14.505
     3. 14.495 ≤ 14.50 < 14.505
     4. 14.499 ≤ 14.50 < 14.509

     정답 : []
     정답률 : 74%

72. 전기(電氣)마이크로미터의 검출기의 변환형태로서, 다음 중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저항형
     2. 정전 용량형
     3. 압전자형
     4. 유도형

     정답 : []
     정답률 : 71%

73. 사인 바(sine ba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2. 5각형 모양의 블록(또는 바)이 필수 부품이다.
     3. 2개의 롤러가 게이지블록과 더불어 사용된다.
     4. 사인바의 호칭 치수는 롤러의 중심길이로 구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74. 원형부분을 측정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해서 도형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평가방법은?(2010년 05월)
     1. 최소자승중심법
     2. 최소영역중심법
     3. 최소외접중심법
     4. 최대내접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차이로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5. 평행도 또는 평행도를 측정 시 필요한 측정기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정밀 수준기
     2. 버니어 캘리퍼스
     3. 광선 정반
     4. 오토콜리메이터

     정답 : []
     정답률 : 83%

76. 한계 게이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5년 05월)
     1. 양쪽 다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2. 양쪽 다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3. 한쪽은 통과하고, 다른 한쪽은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4. 한쪽은 헐겁게 통과하고, 다른 한쪽은 1/2 만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77. 국제적으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거칠기 측정방법으로 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5월)
     1. 최대 높이 거칠기
     2. 10점 평균 거칠기
     3. 산술 평균 거칠기
     4. 제곱 평균 평방근 거칠기

     정답 : []
     정답률 : 81%

78.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텔레코스핑 게이지 자체는 눈금이 없기 때문에 바깥지름 마이크로미터와 함께 사용하여 안지름, 홈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
[해설작성자 : 폴리텍 화이팅]

79. 호칭치수보다 3 ㎛ 작은 게이지 블록으로 셋팅되어 있는 지침 측미기를 이용하여 25.055 mm를 얻었다면 제품의 실제 치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3년 05월)
     1. 25.052 mm
     2. 25.025 mm
     3. 25.058 mm
     4. 25.085 mm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um    
so     25.055 - (-3um) = 25.05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0.003 셋팅.
    25.055 - (- 0.003) = 25.058.
정답 3번입니다.. 수정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ㅇ]

[추가 오류 신고]
25.058입니다
[해설작성자 : 초성초성 호피치]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0. 게이지블록의 측정면 경도 기준으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850 HV 0.5 이상일 것
     2. 800 HV 0.5 이상일 것
     3. 750 HV 0.5 이상일 것
     4. 700 HV 0.5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54%


정 답 지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이젝터 핀 설계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성형품의 이형저항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한다.
     2. 게이트의 하부 및 게이트와 직선 방향의 밑 부분에 설치하지 않는다.
     3. 공기 및 가스가 모이는 곳에 설치하여 에어벤트 대용으로 사용한다.
     4. 핀의 끝과 성형품은 될 수 있는 데로 적게 접촉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2. 성형불량 원인중 크레이징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사출압력이 너무 높다.
     2. 금형온도가 높다.
     3. 수지온도가 낮다.
     4. 유동성이 부족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 사출성형품에 플래시(Flash)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6월)
     1. 사출 압력이 높다.
     2. 형체결력이 부족하다.
     3. 제품의 투영면적이 작다.
     4. 사출온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70%

4. 로킹 블록(locking block)의 경사각(β)과 경사핀의 경사각(α)의 관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3년 06월)
     1. β = α + ( 2° ~ 3° )
     2. β = α + ( 10° ~ 18° )
     3. β = 2α + ( 2° ~ 3° )
     4. β = 2α + ( 10° ~ 18° )

     정답 : []
     정답률 : 81%

5. 금형캐비티 내의 평균압력이 100 kgf/cm2 이고, 캐비티의 투영면적이 314cm2 이라면, 이때 형체력은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00 ton
     2. 3.14 ton
     3. 31.4 ton
     4. 314 ton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 형체력    F = P × A × 10^-3(tf) ( P : 금형내 평균 압력, A : 투영면적)
                                = 100×314×10-3 = 31.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 다음 중 물통이나 컵과 같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시 진공상태로 되는, 깊고 얇은 성형품을 밀어내기에 가장 적당한 방식은?(2016년 05월)
     1. 공기압 이젝터 방식
     2. 슬리브 이젝터 방식
     3. 가이드 핀 이젝터 방식
     4. 이젝터 핀에 의한 방식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컵과 같은 성형품은 슬리브 이젝터 방식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수개 빼기금형에서 러너의 길이를 20 mm, 게이트의 랜드 길이를 1.5 mm, 그리고 러너의 직경을 4.0 mm로 했을때 게이트 밸런스의 값은? (단, SG/SR = 7 %이다.)(2003년 05월)
     1. 0.31
     2. 0.20
     3. 0.18
     4. 0.1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BGV = SG / (√LR × LG), SG / SR = 0.07
     (SG = 게이트의 단면적,    SR = 러너의 단면적 / LG = 게이트의 랜드,    LR = 러너의 길이)

     SG / SR = 0.07 , SG = 0.07 × π·D^2 / 4 = 0.07 × 3.14 × 4^2 / 4 ≒ 0.88
     BGV = 0.88 / (√20 × 1.5) ≒ 0.13

8. 사출금형 부품인 스프루 부시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5월)
     1. 스프루 부시 R은 노즐 선단 r보다 0.5~1mm 정도 큰 것이 좋다.
     2. 스프루 입구의 지름 D는 노즐 구멍 지름 d보다 1.0~2.0mm 정도 작게 한다.
     3. 스프루 구멍의 테이퍼는 1˚이하로 한다.
     4. 스프루 길이는 될 수 있는 한 길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4%

9. 러너리스(runnerless)금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2. 제품의 외관이나 물리적 특성이 좋아진다.
     3. 사출 용량이 적은 성형기로 성형이 가능하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 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8%

10. 수지의 수축률이 커서 발생한 수축현상(sink mark)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86%

11. 전단 가공된 제품을 정확한 치수로 다듬질하거나 전단면을 깨끗하게 가공하기 위한, 전단 가공을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5월)
     1. 노칭
     2. 셰이빙
     3. 슬리팅
     4. 트리밍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① 노칭 : 재료의 한 부분을 잘라내어 제품으로 만드는 가공법으로 부분적으로 스크랩이 발생
② 세이빙 : 전단 가공된 제품을 정확한 치수로 다듬질 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미소량의 전단가공법
③ 슬리팅 : 재료의 일부에 깎아 들어가기나 깎아 일으키기를 만드는 가공법
④ 트리밍 : 드로잉 가공 등을 한 제품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가공법으로 블랭킹 가공과 거의 같은 원리의 가공법

12. 드로잉 가공 제품의 쇼크 마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드로잉 속도가 빠를 때 생긴다.
     2. 재 드로잉 펀치의 모서리 반경이 클 때 생긴다.
     3. 펀치 또는 다이의 모서리 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4. 용기의 측벽에 생기는 작은 홈 모양의 고리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13. 드로잉률 0.6, 재드로잉률 0.7 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 200mm 의 블랭크 소재를 직경 60㎜ 의 원통용기로 성형코자 한다. 몇 회의 공정으로 성형이 되는가?(2014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88%

14. 드로잉금형에서 용기의 형상이 원통형이고 일정한 두께로 아이어닝 할 경우 일반적인 클리어런스(Cp)의 값은?(2010년 05월)
     1. Cp ≒ ( 1.1 ~ 1.2 ) t
     2. Cp ≒ ( 1.4 ~ 2.0 ) t
     3. Cp ≒ ( 0.1 ~ 0.5 ) t
     4. Cp ≒ ( 2.5 ~ 2.8 ) t

     정답 : []
     정답률 : 83%

15. 프레스의 종류 중 가공행정의 하사점 부근에서 강력한 힘을 얻을 수 있어 압인, 사이징 등의 압축가공이나 냉간단조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스는?(2004년 05월)
     1. 크랭크 프레스
     2. 너클 프레스
     3. 편심 프레스
     4. 마찰 프레스

     정답 : []
     정답률 : 86%

16. 단독 금형을 병렬로 설치하여 각 공정 사이를 자동이송장치로 재료를 이송하여 자동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금형은?(2013년 06월)
     1. 트랜스퍼 금형
     2.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콤파운드 금형
     4. 콤비네이션 금형

     정답 : []
     정답률 : 81%

17. 프레스 램을 하사점까지 내린 상태에서 프레스 램 밑면과 볼스터 윗면 사이의 직선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5월)
     1. 슬라이드 조절량
     2. 하중 능력
     3. 스트로크 수
     4. 다이하이트

     정답 : []
     정답률 : 88%

18.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이세트의 형식은?(2003년 05월)
     1. FR형
     2. CR형
     3. CB형
     4. DR형

     정답 : []
     정답률 : 76%

19. 아이어닝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가공 전의 판 두께는 t0, 가공 후의 판 두께는 t1이다.)(201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20. 펀치와 다이의 날 맟춤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시그네스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
     2. 광선을 이용하는 방법
     3. 끼워 맞추기를 쓰는 방법
     4. 광명단을 사용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기계제작법


21. 주형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반복 사용하여도 노화하지 않을 것
     2. 용탕의 압력에 견딜 만한 고온 강도
     3. 용탕의 온도에 견딜 만한 내화 온도
     4. 용탕에서 나오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주물사의 구비조건
① 주형제작이 용이하게 성형성이 있어야 한다.
② 고온의 용융금속과 접하여도 화학적 변화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③ 고온의 용융금속에 녹지 않는 내열성이 있어야 한다.
④ 금속이 녹으면 많은 가스를 흡수하고, 응고할 때에는 그 가스를 발산한다. 이 가스를 주형으로부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⑤ 열이 잘 전달하지 않는 보온성이 있어야 한다.
⑥ 쉽게 노화되지 않고 재활용하여 사용 할 수 있는 복원성이 있어야 한다.
⑦ 값이 싸고, 구입하기 쉬워야 한다.
⑧ 적당한 입도(1인지를 나눈 숫자) 를 가져야 한다.
⑨ 무거운 용융그속을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⑩ 주물의 표면으로부터 모래의 이탈이 쉽고, 표면이 깨끗하여야 한다.

22.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헤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명에 가공경화 된 잔류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쇼트피닝 : 쇼트 볼을 가공면에 고속으로 강하게 두드려 금속 표면층의 경도와 강도 증가로 피로한계를 높여주는 가공법. 스프링, 기어, 축등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 부품에 효과적이다. 냉간가공.

23. 쾌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비 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가능하다.
     2.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3. 어떠한 재료로도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4. 시제품 형상에 따른 재료만 있으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쾌속조형기술 : 컴퓨터를 이용해 설계(CAD)된 3차원 도면으로부터 직접 고형화된 물리적 모델을 제작하는 공정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시제품 제작에만 국한되지 않고 대량생산 기술로의 적용이 모색되는 등 그 응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3D 프린터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됨
① 장점
    ⓐ 모든 형상의 시제품 가공이 용이
    ⓑ 비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용이
    ⓒ 시제품형상에 따른 제료만 소모
    ⓓ 매우 빠른 제작속도
    ⓔ 작업을 위한 별도의 셋팅 및 작업물의 방향성 변환이 불필요
② 단점
    ⓐ 장비 도입비가 높다
    ⓑ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0.1mm)
    ⓒ 재료비가 높다.

24. 압출 성형법에서 제품 치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2005년 05월)
     1. 압출 시간
     2. 압출 온도
     3. 가열 시간
     4. 가압 방식

     정답 : []
     정답률 : 80%

25. 지름 200mm인 숫돌을 36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가공물을 10m/min의 속도로 연삭을 하였다. 숫돌의 원주속도는 약 얼마인가?(2005년 05월)
     1. 2272 m/min
     2. 2262 m/min
     3. 3361 m/min
     4. 2251 m/mi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V = π.D.n / 1000 (n : 공작물의 회전수,    D : 공작물의 지름)
         = 3.141592 × 200 × 3600 / 1000 ≒ 2261.9    

26. 전주 가공 작업 공정으로 올바른 것은?(2013년 06월)
     1. 모형제작 →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2.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 모형제작
     3.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
     4.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정답 : []
     정답률 : 55%

27. 사출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 간의 안내와 금형 보호역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은?(2014년 05월)
     1. 가이드 핀
     2. 리턴 핀
     3. 로케이트 링
     4. 스프루 부시

     정답 : []
     정답률 : 98%

28. 판재의 굽힘가공에서 굽힘 반지름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05년 05월)
     1. 재료의 연신율
     2. 가공 경화성
     3. 재료의 경도와 판재의 두께
     4. 굽힘압력

     정답 : []
     정답률 : 63%

29. 사출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간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은?(2004년 05월)
     1. 가이드핀
     2. 리턴핀
     3. 로케이트링
     4. 스푸루부쉬

     정답 : []
     정답률 : 79%

30. 인발가공에 있어서 다이각도는 일반적으로 몇 도가 가장 적당한가?(2004년 05월)
     1. 10 ~ 18°
     2. 18 ~ 25°
     3. 25 ~ 30°
     4. 30 ~ 35°

     정답 : []
     정답률 : 74%

31. 두께 2 mm의 연강판을 지름 50 mm의 원판으로 블랭킹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전단력은 약 몇 ton인가? (단, 전단저항은 τ = 30 kgf/mm2로한다.)(2003년 05월)
     1. 8.5
     2. 6.5
     3. 7.5
     4. 9.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2 × π × 25) × 2 × 30 e = 9420 ≒ 9.5

32. 수공구인 렌치(Wrench)와 스패너(Spanne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재질은 공구강, 가단주철이 많다.
     2. 모든 렌치와 스패너는 폭 조절이 안된다.
     3. 양구스패너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너트의 치수로 표시한다.
     4. 양구스패너는 양쪽 스패너 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33. 다음 중 슈퍼피니싱에 사용되는 연삭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경유
     2. 그리스
     3. 비눗물
     4. 피마자 기름

     정답 : []
     정답률 : 92%

34. 단조나 주조품의 경우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기 곤란한 경우에 볼트나 너트가 닿을 구멍 주위 부분만을 평탄하게 절삭하는 방법은?(2003년 05월)
     1. 카운터 싱킹
     2. 보링
     3. 카운터 보링
     4. 스폿 페이싱

     정답 : []
     정답률 : 82%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36. 압연 가공에서 판을 압연할 때 쓰이는 롤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원기둥 룰
     2. 홈 룰
     3. 개방형 룰
     4. 밀폐형 롤

     정답 : []
     정답률 : 79%

37. 연삭 가공시 숫돌차 표면의 기공에 칩이 끼어 연삭성이 나빠지는 형상은?(2010년 05월)
     1. 로우딩 현상
     2. 세딩 현상
     3. 드레싱 현상
     4. 트루잉 현상

     정답 : []
     정답률 : 87%

38. NC공작기계에서 S자형 경로나 크랭크형 경로등 어떠한 경로라도 자유자재로 공구를 이동시켜 연속절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는?(2015년 05월)
     1. 절대좌표결정 제어
     2. 위치결정 제어
     3. 직선절삭 제어
     4. 윤곽절삭 제어

     정답 : []
     정답률 : 82%

39. 공구노즈 반경이 0.4mm, 이송속도 0.3mm/rev, 절삭깊이 2mm일 때 표면거칠기 H는 약 얼마인가?(2005년 05월)
     1. 26㎛
     2. 28㎛
     3. 30㎛
     4. 3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H = S2 / 8r ( H = 표면거칠기, S = 이송속도, r = 바이트의 노즈 반지름)
     H = ( 0.3 ×0.3 ) / (8 × 0.4) = 0.09 / 0.32 = 0.28125

40. CNC머시닝 센터에서 직경이 20㎜인 엔드밀로 주철을 가공하고자 할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단, 주철의 절삭속도는 50m/min 이다.)(2013년 06월)
     1. 397
     2. 796
     3. 1191
     4. 1591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회전수 n = 1000V / π.D
                        = (1000 × 50) / (3.141592 × 20) ≒ 795.7748

3과목 : 금속재료학


41. 오스테나이트(austenite)의 현미경 조직을 갖는 면심입방격자를 갖는 철은?(2008년 05월)
     1. α철
     2. β철
     3. γ철
     4. δ철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면심입방격자(F.C.C) : 특징(많이 사용된다, 전연성과 전기 전도도가 크다, 가공이 우수하다)
원소(Al, Ag, Au, Fe(γ), Cu, Ni, Pb, Pt, Ca, β-Co, Rh, Pd, Ce, Th), 귀속원자수(4), 배위수(12), 원자충전율(74%)

42. 포금(gun metal)dms 대포의 포신으로 사용되는 내식성이 좋은 금속을 말하는데 이것의 주성분은?(2014년 05월)
     1. Cu, Sn, Zn
     2. Cu, Zn, P
     3. Cu, Al, Sn
     4. Cu, Ni, Mn

     정답 : []
     정답률 : 78%

43. 크리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크리프의 3단계 중 1단계를 정상크리프라 한다.
     2. 어떤 재료가 크리프가 생기는 요인은 온도와 하중과 시간이다.
     3. 어떤 시간 후에 크리프가 정지하는 최대 응력을 크리프 한도라 한다.
     4. 철강 및 합금 등은 2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크리프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크리프 : 재료에 일정하중을 주고 고온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현량이 증가하는 현상
     1단계 : 초기 크리프 : 변형경화 > 연화작용 되어 변형속도가 감소하는 단계
     2단계 : 정상 크리프 : 변형이 증가하면서 경화작용이 진행하여 크리프 속도가 일정하게 진행되는 단계
     3단계 : 가속 크리프 : 경화작용은 거의 없고 연화 작용만이 크게되어 속도가 증가되면서 파단에 이르는 단계

44. 정적인 하중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도 반복하여 하중을 가하면 결국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피로 현상
     2. 에릭센 현상
     3. 항복 응력 현상
     4. 크리프 한도 현상

     정답 : []
     정답률 : 72%

45. 원자 반경이 1Å인 FCC금속의 (111)면간 거리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2√2Å
     2.
     3. 1Å
     4. 2Å

     정답 : []
     정답률 : 85%

46.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페놀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멜라민 수지
     4. 요소 수지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①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7. 지름 15㎜의 연강봉에 500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여기에 생기는 응력(kgf/cm2)은 약 얼마인가?(2015년 05월)
     1. 11.3
     2. 128
     3. 283
     4. 1132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인장강도(σs) = 최대하중 / 원단면적 = Pmax / Ao [N/mm2 or MPa]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σs = 500 / (3.141592 × 0.75 × 0.75) = 282.942

48. 신소재를 각 군으로 나눌 때 반도체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U, Th
     2. Cs, Na, Li
     3. Ge, Si, Se
     4. V, W, Mo

     정답 : []
     정답률 : 76%

49. C와 Si의 함량에 따른 주철의 조직을 나타낸 조직 분포도는?(2015년 05월)
     1. 18-8강의 입계부식 조직도
     2. 마우러 조직도
     3. Fe-C 복평형 상태도
     4. 황동의 평형 상태도

     정답 : []
     정답률 : 88%

50. 내열 주철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Ni을 10 - 20% 첨가한 주철이다.
     2. Cr을 25 - 30% 첨가한 고크롬 주철이다.
     3. Ni을 첨가한 내열 주철에는 니크로실랄과 니레지스트가 있다.
     4. 고크롬 주철을 오스테나이트 주철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내열주철 : 고온에 있어서도, 산화도 변형도 일으키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는 주철. 고크롬주철(Cr 5~33%) 및 오스테나이트 주철이 그 2대 계통을 이루고 있다. 오스테나이트 주철은 고니켈 및 고크롬을 함유하는 니레지스트, 니크로실랄 등이 유명하다.
① Ni을 10 - 20% 첨가한 주철이다.(Ni오스테나이트주철)
② Cr을 25 - 30% 첨가한 고크롬 주철이다.(크롬주철)

51. 초강인강에 있어 예리한 노치를 넣은 다음 항복강도보다 낮은 정적 인장응력을 가하면 어느 시간 후에 갑자기 파괴되는 지체파괴(delayed fracture)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지체파괴의 원인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잔류응력이 있을 때
     2. 응력집중부가 있을 때
     3. 압축응력이 있을 때
     4. 강재의 강도수준이 높을 때

     정답 : []
     정답률 : 52%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7:3 황동에 1% Sn을 첨가한 실용 특수 황동은?(2010년 05월)
     1. 알루미늄황동
     2. 애드미럴티 황동
     3. 톰백
     4. 양은

     정답 : []
     정답률 : 80%

54. 표준형 고속도 공구강의 주성분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18% W, 4% Cr, 1% V, 0.8~0.9% C
     2. 18% C, 4% Mo, 1% V, 0.8~0.9% Cu
     3. 18% W, 4% Cr, 1% Ni, 0.8~0.9% Al
     4. 18% C, 4% Mo, 1% Cr, 0.8~0.9% Mg

     정답 : []
     정답률 : 84%

55. 금속재료의 표면에 강이나 주철의 작은 입자들을 고속으로 분산시켜 표면층을 가공경화에 의하여 경도를 높이는 방법은?(2015년 05월)
     1. 금속 침투법
     2. 하드 페이싱(hard facing)
     3. 숏 피닝(shot peening)
     4. 고체 침탄법

     정답 : []
     정답률 : 79%

56. Ni 과 그 합금의 현미경 조직시험에서 부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5월)
     1. 왕수용액
     2. 피크르산 알콜용액
     3. 질산 및 초산용액
     4. 염화 제이철용액

     정답 : []
     정답률 : 78%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6년 05월)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델타메탈 : 철황동, 6.4황동에 Fe 1~2% 첨가. 강도, 내식성 우수(광산, 선박, 화학 기계에 사용)
②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Sn 1%첨가한 것이며, 내해수성이 강해 선박 기계에 사용.
③ 두라나 메탈 : 7.3황동에 Fe1~2% 첨가시킨 황동
④ 에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Sn1%를 첨가한 것이며, 콘덴서 튜브에 사용

58. 다음 중 켈밋합금(kelmet allo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b-Sn 합금, 저속 중 하중용 베어링합금
     2. Cu-Pb 합금, 고속 고 하중용 베어링합금
     3. Sn-Sb 합금, 인쇄용 활자합금
     4. Zn-Al-Cu 합금, 다이캐스팅용 합금

     정답 : []
     정답률 : 75%

59. 다음 중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흑연을 미세하게 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2. C, Si 양을 감소시킨다.
     3. 탄화물 안정화 원소인 Cr, Mn, Mo, V 등을 첨가한다.
     4. 주철을 720℃ 정도에서 가열, 냉각을 반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0. 다음 중 우수한 전기 특성과 치수 안정성, 높은 강도와 낮은 습수성을 가지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는?(2014년 05월)
     1. AS 수지
     2. 불소 수지
     3. 메타크릴 수지
     4. 에폭시 수지

     정답 : []
     정답률 : 83%

61. 측정에서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정확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우연오차에 의한 것이고, 정밀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계통적 오차에 의한 것이다.
     2. 측정에 있어서는 정확도와 정밀도의 양쪽을 포함한 것 또는 그 어느 쪽을 지적하여 정도라 한다.
     3. 정확도는 한쪽으로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하며, 정밀도는 흩어짐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4. 양적인 표시에 대해서 정확도는 모평균에서 참값을 뺀 값으로 표시하고 정밀도는 모표준편차 값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2. 3차원 측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치공구, 맨드럴 등의 보조구가 필요하다.
     2. 피측정물의 설치 변경에 따른 측정시간이 절약된다.
     3. 측정결과를 즉시 프린트할 수 있다.
     4. 허용 공차값에 따른 측정결과의 경향 및 판정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63. N.P.L식 각도 게이지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14년 05월)
     1. 홀더가 필요 없다.
     2. 보통 49개가 한 세트로 되어 있다.
     3. 각도측정부에 직접대고 틈새에 의해 각도를 판단한다.
     4. 정도는 ±12″, 조합했을 경우는 ±24″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64. 전기 마이크로미터의 장단점을 설명한 것 중 잘못 설명한 것은?(2015년 05월)
     1. 25㎜ 이상의 긴 변위의 고정도 측정이 가능하다.
     2. 기계적 확대기구를 사용하지 않아 되돌림 오차가 극히 적다.
     3. 고장이 났을 때 수리가 용이하다.
     4. 공기 마이크로미터에 비해 응답속도가 빨라 고속 측정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86%

65. 어느 가공물을 측정한 결과 84㎛ 였다. 측정기에 -6㎛의 기차(器差 : Instrument error)가 있다면 참값은?(2013년 06월)
     1. 90㎛
     2. 87㎛
     3. 81㎛
     4. 78㎛

     정답 : []
     정답률 : 76%

66. 미터나사를 최적 선경 dw = 2.886㎜의 3침을 사용하여 외측거리 M = 49.085㎜를 얻었다. 유효지름은 몇 ㎜인가?(2008년 05월)
     1. 44.756
     2. 44.672
     3. 44.444
     4. 44.83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삼침지름dm =0.57735P → 2.886 = 0.57735 × P → P = 2.886 / 0.57735 = 4.9987

     상기 공식을 이용하여 P(피치)를 구한 후

     유효지름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 49.085 - (3×2.886) + 0.866025 × 4.9987
                            = 49.085 - 8.658 + 4.32899
                            = 44.75599

67.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기의 검출, 확대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기계식
     2. 광학식
     3. 전기식
     4. 베어링식

     정답 : []
     정답률 : 79%

68. 다음과 같은 원심원상의 간섭무늬가 5개 있을 때, 사용광파의 파장 λ가 0.6㎛이면, 중심부와 원 모서리부 사이의 높이차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0㎛
     2. 1.8㎛
     3. 1.5㎛
     4. 1.0㎛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6 / 2 = 1.5

69.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3년 05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3%

70. 다음 형상 및 위치 정밀도의 측정 방법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진직도는 투영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2. 평면도 측정은 수준기,오토콜리메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3. 대칭도는 지름을 측정하여 계산에 의해 구해야 한다.
     4. 평행도는 기준면에 관계 없이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71. 14.50의 측정값이 뜻하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14.490 ≤ 14.50 < 14.510
     2. 14.494 ≤ 14.50 < 14.505
     3. 14.495 ≤ 14.50 < 14.505
     4. 14.499 ≤ 14.50 < 14.509

     정답 : []
     정답률 : 74%

72. 전기(電氣)마이크로미터의 검출기의 변환형태로서, 다음 중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저항형
     2. 정전 용량형
     3. 압전자형
     4. 유도형

     정답 : []
     정답률 : 71%

73. 사인 바(sine ba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2. 5각형 모양의 블록(또는 바)이 필수 부품이다.
     3. 2개의 롤러가 게이지블록과 더불어 사용된다.
     4. 사인바의 호칭 치수는 롤러의 중심길이로 구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74. 원형부분을 측정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해서 도형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평가방법은?(2010년 05월)
     1. 최소자승중심법
     2. 최소영역중심법
     3. 최소외접중심법
     4. 최대내접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차이로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5. 평행도 또는 평행도를 측정 시 필요한 측정기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정밀 수준기
     2. 버니어 캘리퍼스
     3. 광선 정반
     4. 오토콜리메이터

     정답 : []
     정답률 : 83%

76. 한계 게이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5년 05월)
     1. 양쪽 다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2. 양쪽 다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3. 한쪽은 통과하고, 다른 한쪽은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4. 한쪽은 헐겁게 통과하고, 다른 한쪽은 1/2 만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77. 국제적으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거칠기 측정방법으로 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5월)
     1. 최대 높이 거칠기
     2. 10점 평균 거칠기
     3. 산술 평균 거칠기
     4. 제곱 평균 평방근 거칠기

     정답 : []
     정답률 : 81%

78.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6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텔레코스핑 게이지 자체는 눈금이 없기 때문에 바깥지름 마이크로미터와 함께 사용하여 안지름, 홈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
[해설작성자 : 폴리텍 화이팅]

79. 호칭치수보다 3 ㎛ 작은 게이지 블록으로 셋팅되어 있는 지침 측미기를 이용하여 25.055 mm를 얻었다면 제품의 실제 치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3년 05월)
     1. 25.052 mm
     2. 25.025 mm
     3. 25.058 mm
     4. 25.085 mm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um    
so     25.055 - (-3um) = 25.05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0.003 셋팅.
    25.055 - (- 0.003) = 25.058.
정답 3번입니다.. 수정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ㅇ]

[추가 오류 신고]
25.058입니다
[해설작성자 : 초성초성 호피치]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0. 게이지블록의 측정면 경도 기준으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850 HV 0.5 이상일 것
     2. 800 HV 0.5 이상일 것
     3. 750 HV 0.5 이상일 것
     4. 700 HV 0.5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5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 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4665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140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3153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9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1175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8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5314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135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73887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4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3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656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2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31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3212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0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9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8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7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26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5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52658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4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2432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3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0372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122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3777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