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종 때 시행된 관수관급제는 수조권자의 과다한 수취를 막기 위해 국가가 수조를 대행하는 제도이다.
2.
조선 명종 때 직전법이 폐지됨에 따라 자영농의 숫자가 급속히 늘어나게 되었다.
3.
과전의 세습 등으로 관료에게 지급할 토지가 부족해지자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를 지급하는 직전법을 시행하였다.
4.
과전법 체제에서는 관료가 사망한 이후 수신전과 휼양전이 죽은 관료의 가족에게 지급되기도 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명종 임진왜란과 엮인 사건들로인해 토지질서가 혼란해지고 관수관급제와 연결된 직전법도 폐지되면서 지주제가 점차 확산, 지배층의 토지경쟁 확산.자영농 숫자 급격하게 감소.
12.
조선 시대의 과거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문과(대과)의 복시에서는 33명을 뽑았고, 이들은 다시 전시를 보았다.
2.
문과(대과)의 최종 합격자는 지역과 상관없이 성적에 따라 갑·을·병으로 나뉘었다.
3.
무과는 문과처럼 대과와 소과의 구별은 없었으나 초시·복시·전시를 치르는 것은 문과와 마찬가지였다.
4.
소과 복시의 합격자 수는 각 도의 인구 비율로 배분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인구비례는 문과의 식년시 초시. 문과 식년시의 경우 초시에서 각 도의 인구비례로 뽑고, 2차 시험인 복시에서 33명 선발 뒤 왕 앞에서 실시하는 전시에서 갑을병 3 7 23명으로 순위 결정. 탐관오리 아들, 재가한 여자의 아들과 손자, 서얼 응시제한.
병조와 훈련원 주관 하에 치러지는 무과. 초시 복시 전시를 거쳐 치러지지만 소과는 없고, 최종선발인원 28명.
기술관 잡과 예조와 해당관청에서 주관 하에 3년마다 치러짐. 분야별로 정원이 있음. 양인이상. 이외 특별한 제한이 없었음.
13.
다음은 임진왜란과 관련된 설명이다. 이를 시간 순으로 나열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ㄴ. 부산진 첨절제사 흑의장군 정발. 1592년 일본군 1군과 부산진성 수비군과 격돌 - 임진왜란의 시작. ㄱ. 신립 충주전투 1952 6월 7일 ㄷ. 이순신 옥포해전 1592 6월 16일 ㄹ. 왜군의 평양 점령 1952년 7월 22일.
14.
조선 후기 노론 내부에 주기설과 주리설의 분파가 생겨 이른바 '호락시비(湖洛是非)'로 불리는 큰 논쟁이 일어났다. 이 호락(湖洛) 논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영조 때에 한원진과 윤봉구로 대표되는 충청도 노론은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은 다르다고 보는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내세웠다.
2.
호론의 주장에는 청나라를 중화로 보려는 대의명분론이 깔려 있었다.
3.
이간, 김창협 등으로 대표되는 서울 중심의 노론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주장하였다.
4.
낙론의 주장은 북학파의 과학기술 존중과 이용후생사상으로 이어졌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낙론의 주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인조반정 이후 17세기에 발생한 사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ㄴ.인조반정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이 국경수비대 이끌고 남하.(청나라 국경지역 국방력 약화) ㄷ.국경지역 느슨해진거 본 청이 형제관계를 들먹이며 정묘호란. ㄹ.군신관계 병자호란 ㄱ.삼전도 굴욕 직후 척화파 삼학사 사형(윤집 오달제 홍익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오류 있네요 ㄴ,ㄷ 시기에는 청이 아니라 후금입니다. 후금이랑 청 구분 하셔야돼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만동묘를 철폐하고 폐단이 큰 서원을 철폐하도록 하였다.
2.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켜 각각 정치와 군사의 최고 기관으로 삼았다.
3.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재건하고, 광화문 앞의 육조 거리 등 한양의 도시 구조를 복원하였다.
다음은 어느 애국계몽단체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 단체보다 먼저 결성되어 활동했던 단체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대한자강회 - 1906~1907 교육과 산업의 진흥을 통한 국권회복을 목표로 삼았다. 보안회 - 1904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하자 농광회사를 세우며 반대운동을 벌여 이를 저지시켰다. 헌정연구회 - 1905~1906 입헌정치 체제의 수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헌정 연구회. 대한협회 - 1907~1910 대한 자강회를 계승한 단체.
19.
1910년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일본은 국권침탈 이후 본격적으로 토지침탈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2.
중추원은 총독부 자문기구로서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시로 개최되어 식민 행정에 간여하였다.
3.
우리 민족 기업을 탄압하고 조선인의 회사 설립을 통제하기 위하여 '회사령'을 공포하여 회사를 설립할 경우 총독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였다.
4.
일본은 광산·어장·산림 등 자원에 대해서도 수탈을 강화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2. 1919년 3.1운동 전까지 개최된적 없음.
20.
다음 내용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ㄱ.적당한시기 - 카이로회담 1943 11.22~26. ㄴ.조선건국동맹 - 여운형 1944.8.10. 일본 패망 예견 후 광복준비하기위한 비밀결사 좌우 합작단체. - 조선건국위원회 발족과 더불어 구성원 사이 공로 다툼으로 1945.11.12일 조선 인민당 결성되면서 사실상 해체.
ㄹ.1945.7월 개최된 포츠담 회담. -한국 독립 재확인 // 포츠담선언에서 일본에 항복권유->일본은 총옥쇄로 전쟁지속->인류역사 최초 핵무기 실전도입.
ㄷ.모스크바 삼상회의 1945.12.16 한국정부 수립. 미소공동위원회 설립 4개국 신탁통치 5년간 실시ㅏ.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③
②
③
③
①
②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②
②
②
④
③
③
②
②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