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안전교육의 단계 ⑴ 안전 교육의 3단계 ☞ 안전교육의 특성에 따른 교육의 종류 3가지 / 안전교육의 종류 3가지 ① 지식교육 ② 기능교육 ③ 태도교육
⑵ 지식 교육의 4단계 ① 제 1 단계: 도입(준비) - 학습할 준비를 시킨다. ② 제 2 단계: 제시(설명) - 작업을 설명한다. ③ 제 3 단계: 적용(응용) - 작업을 시켜본다. ④ 제 4 단계: 확인(총괄, 평가) - 가르친 뒤 살펴본다.
⑶ 기능 교육의 3원칙 ① 준비철저 ② 위험작업의 규제화 ③ 안전 작업의 표준화
⑷ 기능 교육의 4단계 학습법 ① 학습의 준비 ② 작업 설명 ③ 실습 ④ 결과 확인 ⑸ 태도 교육의 4원칙 ① 청취한다(hearing) ② 이해, 납득시킨다(understand) ③ 모범을 보인다(example) ④ 평가한다(evaluaion)
⑹ 태도 교육의 기본과정 ① 청취한다 ② 이해, 납득시킨다 ③ 모범을 보인다 ④ 권장한다 ⑤ 칭찬한다 ⑥ 벌을 준다
3.
무재해운동의 추진기법에 있어 위험예지훈련 제4단계(4라운드) 중 제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본질추구
2.
현상파악
3.
목표설정
4.
대책수립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위험 예지 훈련 ⑴ 위험 예지 훈련의 4단계 ① 제1단계: 현상파악 - 어떤 위험이 잠재하고 있는가?(사실의 파악) ② 제2단계: 본질추구 - 이것이 위험의 포인트이다.(원인을 찾는다) ③ 제3단계: 대책수립 -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대책을 세운다) ④ 제4단계: 목표설정 - 우리들은 이렇게 하자.(행동계획을 결정한다)
⑵ 위험 예지 훈련의 실질적 내용 ① 감수성훈련 ② TBM훈련 ③ 문제해결 훈련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4.
암실에서 정지된 소광점을 응시하면 광점이 움직이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을 운동의 착각 현상 중 ‘자동운동’이라 한다. 다음 중 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광점이 작은 것
2.
대상이 단순한 것
3.
광의 강도가 큰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운 것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동운동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 1) 광점이 작은 것 2) 대상이 단순한 것 3) 광의 강도가 작은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운 것 [해설작성자 : jyw3304]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관리감독자의 업무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단, 기타 해당 작업의 안전ㆍ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
2.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및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조언ㆍ지도
3.
해당 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
4.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 조치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관리감독자의 직무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0조> ① 사업장 내 관리감독자가 지휘ㆍ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ㆍ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②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ㆍ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ㆍ사용에 관한 교육ㆍ지도 ③ 해당 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④ 해당 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 ⑤ 해당 사업장의 산업보건의, 안전관리자(법 제15조제4항에 따라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대행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대행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및 보건관리자(법 제16조제3항에 따라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보건관리대행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대행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의 지도ㆍ조언에 대한 협조 ⑥ 그 밖에 해당 작업의 안전ㆍ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추가 해설] 1.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는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kyle]
6.
의무안전인증 대상 보호구 중 AE, ABE종 안전모의 질량 증가율은 몇 % 미만이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안전모는 내관통성, 충격흡수성, 내전압성, 내수성, 난연성, 턱끈풀림이 있어야 하며. AE, ABE종 안전모는 질량증가율이 1%미만이어야 한다는 내수성관련 항목이 있다. [해설작성자 : jyw3304]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 교육의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3.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 1)작업공정의 유해,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2)표준 안전 작업방법과 지도요령에 관한 사항 3)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4)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5)유해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yw3304]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다음 중 재해를 한번 경험한 사람은 신경과민 등 심리적인 압박을 받게 되어 대처능력이 떨어져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설(設)은?
1.
기회설
2.
암시설
3.
경향설
4.
미숙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재해빈발설 1.기회설 : 작업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재해가 유발하게 된다는 설 2.암시설 : 한번 재해를 당한 사람은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 등으로 재해를 유발하게 된다는 설 3.경향설 : 근로자 가운데 재해가 빈발하는 소질적 결함자가 있다는 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 개선을 위하여 포함되어야 하는 중점개선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설
2.
기계장치
3.
작업방법
4.
보호구 착용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안전보건개선계획 중점개선계획을 필요로 하는 항목 1. 시설 2. 기계장치 3. 원료, 재료 4. 작업방법 5. 작업환경 6. 기타 안전보건기준상 조치사항 [해설작성자 : 산안기합격합시다]
12.
다음 중 억압당한 욕구가 사회적ㆍ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목적으로 향하여 노력함으로써 욕구를 충족하는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보상
2.
투사
3.
승화
4.
합리화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보상 : 보상은 자신의 결함과 무능에 의하여 생긴 열등감이나 긴장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장점 같은 것으로 그 결함을 보충하려는 행동이다. 2. 투사 : 투사란 자신의 불만이나 불안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남에게 뒤집어 씌우는 식의 적응기제이다. 3. 승화 : 승화는 억압당한 욕구를 다른 가치있는 목적을 실현하도록 노력함으로써 욕구를 충족하는 기제이다. 4. 합리화 : 합리화는 자기의 실패나 약점을 그럴 듯한 이유를 들어 남의 비난을 받지 않도록 하거나 자위하는 방어기제이다. [해설작성자 : 휘바]
연평균 5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지난 한해 동안 20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만약 이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평생 동안 작업을 한다면 약 몇 건의 재해를 당할 수 있겠는가? (단, 1인당 평생근로시간은 120000시간으로 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건
2.
2건
3.
4건
4.
6건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이문제는 재해자수가 문제에 나와있습니다 재해건수가 아닙니다. 그래서 이문제는 연천인율을 구해서 도수율을 구한 다음 환산도수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문제해설은 우연히 답이 맞은 듯 싶습니다.
[추가 해설] 연천인률과 빈도율의 비례식은 1건의 재해당 1명의 재해자가 나오는걸 전제로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두 공식은 서로 다른 분자를 갖기에 비례식 자체가 성립이 안됩니다. 그러므로, 재해자수를 재해수로 봐도 상관없습니다.
혹시 의문이 든다면 직접 두 공식에 비례상수를 x로 두고 풀어보세요. 시간을 갈아넣으면 왜 그런 전제가 필요한지 알게 되실거에요. [해설작성자 : ㅇㅆㄷ]
재해자 20명 총 근로자 500명 근로시간이 나와있지 않을시 2400 평생 근로시간 12만
20/(500*2400)*120000 [해설작성자 : 내일이넹 ...]
19.
다음 중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하여 과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한 뒤에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여 토의하는 방법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포럼 : 새로운 자료나 교제를 제시하고 거기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다시 깊이 파고들어 토의를 진행한는 방법 2. 심포지엄 :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하여 과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한 뒤에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여 토의하는 방법 3. 케이스 스터디(사례연구법) : 먼저 사례를 제시하고 문제적 사실과 그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검토하고 대책을 통의하는 방법 4. 패널 디스커션 : 패널 멤버(전문가)가 피교육자 앞에서 자유로이 토의하고 뒤에 피교육자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의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방법 5. 버즈세션(6-6회의) : 사회자와 기록계를 선출한 후 나머지 사람을 6명씩 소집단으로 구분하고, 소집단별로 각각 사회자를 선별하여 6분씩 자유토의를 행하여 의견을 종합하는 방법
20.
다음 중 리더쉽(Leadershi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자의 목표를 위해 스스로 노력하도록 사람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활동
2.
어떤 특정한 목표달성을 지향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행사되는 대인간의 영향력
3.
공통된 목표달성을 지향하도록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것
4.
주어진 상황 속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 또는 집단의 활동을 미치는 과정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각자의 목표X - 집단의 목표 [해설작성자 : 기사식당]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기계 설비의 안전성 평가시 정밀진단기술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파단면 해석
2.
강제열화 테스트
3.
파괴 테스트
4.
인화점 평가 기술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기계설비의 안전성 평가 시 정밀진단기술 1) 파단면 해석 2) 강제열화 테스트 3) 파괴 테스트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광명찾자]
22.
위험구역의 울타리 설계시 인체 측정자료 중 적용해야 할 인체치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인체측정 최대치
2.
인체측정 평균치
3.
인체측정 최소치
4.
구조적 인체 측정치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그네줄의 인장강도, 울타리 : 최대치 전동차의 손잡이 높이, 은행의 창구 높이 : 평균치 자동차 운전석 의자의 위치 : 조절식 선반 높이, 조종장치까지 거리, 조작에 필요한 힘 : 최소치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23.
다음 중 작업면상의 필요한 장소만 높은 조도를 취하는 조명 방법은?
1.
국소조명
2.
완화조명
3.
전반조명
4.
투명조명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필요한 장소만 높은 조도 - 국소조명 [해설작성자 : 기사식당]
국소 = 부분 그러면 국소조명은 부분만 조명을 주니까 밝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중 시스템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성공적 퍼포먼스를 확률로 나타낸 것이다.
2.
각 부품이 동일한 신뢰도를 가질 경우 직렬 구조의 신뢰도는 병렬 구조에 비해 신뢰도가 낮다.
3.
시스템의 병렬구조는 시스템의 어느 한 부품이 고장나면 시스템이 고장나는 구조이다
4.
n중 k구조는 n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k개 이상의 부품이 작동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구조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병렬구조는 모든부품이 고장나야 시스템이 고장나는 구조 [해설작성자 : 기사식당]
25.
산업현장의 생산설비의 경우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나 생산성을 위해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설비 설계자는 고의로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데에도 대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예방 설계 개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ail safe
2.
fool safety
3.
lock out
4.
temper proof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Temper proof - 고의로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데에 대비한 예방설계 - 부당하게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금지 - 위험설비의 안정장치를 제거할 경우 작동하지 않음.
26.
다음 중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이 완전암조응에 걸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3~5분
2.
10~15분
3.
30~40분
4.
60~90분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완전 암조응 : 보통 30~40분 소요 명조응 : 수초 내지 1~2분 [해설작성자 : 태워니]
2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ㆍ판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정
2.
일부적정
3.
부적정
4.
조건부적정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령 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 1. 적정 :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구체적으로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조건부 적정 :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부적정 : 기계·설비 또는 건설물이 심사기준에 위반되어 공사착공 시 중대한 위험발생의 문제점이 있거나 계획에 근본적 결함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휘바]
28.
다음 중 의자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원리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세고정을 줄인다.
2.
조정이 용이해야 한다.
3.
디스크가 받는 압력을 줄인다.
4.
요추 부위의 후만곡선을 유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요추부위의 전만곡선을 유지한다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사상도서관]
29.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배기량을 5분간 측정하였더니 100L이었다. 가스미터를 이용하여 배기 성분을 조사한 결과 산소가 20%, 이산화탄소가 3%이었다. 이 때 작업자의 분당 산소소비량(A)과 분당 에너지소비량(B)은 약 얼마인가? (단, 흡기 공기 중 산소는 21vol%, 질소는 79vol% 를 차지하고 있다.)
흡기량 = (100-O2%-CO2%) X V배기/79% 입니다. = (100-20-3) X 20/79 = 19.494 입니다. 이부분 참고 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안상윤 사랑해]
총 에너지소비량이 아닌 분당 에너지소비량을 구해야 함.(5분을 곱하는 것이 아님) 산소 1L마다 5kcal의 에너지를 소비함. 분당 에너지소비량(B) = 분당 산소소비량(A) * 5kcal/L = 0.093L/min * 5kcal/L = 0.46kcal/min [해설작성자 : 블루블루짱]
분당 배기량= 100/5 흡기량= {(100-20-3)×20/79=19.494 산소소비량=0.21×19.494-0.2×20=0.0936 [해설작성자 : 반드시 합격]
30.
다음 중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계획(SSPP)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안전 조직
2.
안전 기준
3.
안전 종류
4.
안전성 평가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계획* ①계획의 개요 ②안전조직 ③계약조건 ④관련부문과의 조정 ⑤안전기준 ⑥안전해석 ⑦안전성평가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온열조건의 용어는?
1.
Oxford 지수
2.
발한율
3.
실효온도
4.
열압박지수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무풍상태, 습도 100%일 때 건구온도계가 가리키는 눈금을 기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빵주니]
32.
시스템 위험분석 기법 중 고장형태 및 영향분석(FMEA)에서 고장 등급의 평가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장발생의 빈도
2.
고장의 영향 크기
3.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4.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귀납적.정성적분석 크기가 이닌 고장 형태의 종류
33.
설비관리 책임자 A는 동종 업종의 TPM 추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설비관리 효율화를 꾀하고자 한다. 설비관리 효율화 중 작업자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설비의 마모율 저하를 위하여 설비의 윤활관리를 일상에서 직접 행하는 활동과 가장 관계가 깊은 TPM 추진단계는?
1.
개별개선활동단계
2.
자주보전활동단계
3.
계획보전활동단계
4.
개량보전활동단계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설비라서 매일 하겠죠 자주 보전! [해설작성자 : 밤새고셤]
자주,빈번히 한다 해서 자주가 아니라... 스스로 자....주인 주..... [해설작성자 : 불편러ㅈㅅ..]
34.
다음 중 음량수준을 평가하는 척도와 관계없는 것은?
1.
phon
2.
HSI
3.
PLdB
4.
sone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HSI=heat stress index 열 압박 지수를 말하며 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증발해야 하는 발한(發汗)량으로 열 부하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PLdB -> PNdB로 수정이 필요 [해설작성자 : 하나]
[오류신고 반론] PLdB,PNdB 모두 있는 용어임 수정할 필요X [해설작성자 : 두울]
[오류신고 반론] 여기서 HSI는 heat stress index 보다 디지털 신호 처리(DSP)분야에서의 HSI 컬러 모델을 가리키는게 아닐까 합니다 Hue(색상),Saturation(채도), Intensity(명도)의 약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FTA에 사용되는 논리게이트 중 조건부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 입력현상이 발생할 때 출력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1.
억제 게이트
2.
AND 게이트
3.
배타적 OR 게이트
4.
우선적 AND 게이트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억제 게이트 : 조건부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 입력현상이 발생할 때 출력현상이 발생 AND 게이트 : 모든 입력사상이 공종 할 때만이 출력사상이 발생 배타적 OR 게이트 : OR GATE 2개 이사으이 입력이 동시에 존재할 때에는 출력사상이 생기지 않는다. 우선적 AND 게이트 : 입력사상 중에 어떤 현상이 다른 현상보다 먼저 일어날 때에 출력사항이 생긴다.
36.
다음 중 FTA에 의한 재해사례 연구 순서에서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 사항은?
1.
FT도의 작성
2.
개선 계획의 작성
3.
톱(TOP)사상의 선정
4.
사상의 재해 원인의 규명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DR.Cheriton의 FTA에 의한 재해사례연구순서 1단계 : 톱사상의 선정 2단계 : 사상의 재해원인분석 3단계 : FT도의 작성 4단계 : 개선계획의 작성 [해설작성자 : 김]
37.
다음 중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이 사용하는 물건, 설비, 환경의 설계에 작용된다.
2.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인 면에서의 특성이나 한계점을 고려한다.
3.
인간을 작업과 기계에 맞추는 실제 철학이 바탕이 된다.
4.
인간 기계 시스템의 안전성과 편리성, 효율성을 높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기계를 인간에 맞추는 실제 철학이 바탕된다.
38.
다음의 FT도에서 정상 사상 T의 발생확률은 얼마인가? (단, X1, X2, X3의 발생확률은 모두 0.1 이다.)
1.
0.0019
2.
0.01
3.
0.019
4.
0.0361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T = (X1.X2)*(1-(1-X1)(1-X3)) = (0.1*0.1)*(1-(1-0.1)(1-0.1)) = 0.0019
[오류신고반론] and ┌──┴──┐ and or ┌┴┐ ┌┴┐ x1 x2 x1 x3
x1 이 and or 에도 있으므로 불대수 정리를 하여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hshshs]
0.0019로 계산되는 것은 우측 OR의 X1을 두 번 계산한 겁니다 따라서 X1을 한 번 계산한 것을 다시 빼야 하는데, 어차피 그 위에 다시 AND이기 때문에 가타부타 할 것 없이 Minimal cut set인 {X1, X2}로 좌측 AND 한 번만 계산하면 (즉, X3을 무시하면) 0.1^2 = 0.01로 답이 됩니다 문제 참..... [해설작성자 : 바보 바보 우리 모두 바보인가봐]
[추가 오류 신고] I= x, X Xx2x[1 x [1 - (1- x1) (1 -х3)] =0.1X0.1×[1-(1-0.1)(1-0.1)] =19X103=0.0019 답은 1번 명인북스 2025년 [해설작성자 : 전날]
39.
다음 중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 관련 유해요인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장 내에서 근골격계 부담작업 근로자가 5인 미만인 경우에는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2.
유해요인조사는 근골격계 질환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3.
유해요인 조사는 사업장내 근골격계부담작업 중 50%를 샘플링으로 선정하여 조사한다.
4.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에는 유해 요인기본조사와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가 포함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유해요인 조사 시기 ☑ 정기 유해요인 조사 : 매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 ☑ 수시 유해요인 조사 :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실시 1)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 등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거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3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경우 2)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새로운 작업·설비를 도입한 경우 3)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업무의 양과 작업공정 등 작업환경을 변경한 경우
● 유해요인 조사 방법 및 절차 ☑ 유해요인 조사는 근골격계부담작업 전체에 대한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동일한 작업형태와 동일한 작업조건의 근골격계부담작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부 작업에 대해서만 단계적 유해요인 조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유해요인 조사는 크게 유해요인 기본조사와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사를 위하여 유해요인 기본조사표 양식과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 양식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뜌비듀밥]
40.
인간-기계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동시스템에서 기계는 동력원을 제공하고 인간의 통제하에서 제품을 생산한다.
2.
기계시스템에서는 고도로 통합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변화가 거의 없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3.
자동시스템에서 인간은 감시, 정비,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자동시스템에서 인간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동시스템에서 동력원은 사람이다. [해설작성자 : 멋진 승빈 아빠]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다음 중 공장 소음에 대한 방지계획에 있어 음원에 대한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당 설비의 밀폐
2.
설비실의 차음벽 시공
3.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
4.
소음기 및 흡음장치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은 음원에 대한 대책이 아닌 작업자에 대한 대책(소극적 대책) [해설작성자 : 휘바]
42.
다음 중 용접 결함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드(bead)
2.
기공(blow hole)
3.
언더 컷(under cut)
4.
용입 불량(incomplete penetration)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용접결함의 종류에는 기공, 언더컷, 용입불량, 크랙, 피트, 피쉬아이, 오버랩, 스패터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
비드는 용접시 생기는 모재 위에 생기는 용착금속을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기능장]
43.
상용운전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할 경우,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 압력과 상용압력 사이에서 보일러의 버너 연소를 차단하여 열원을 제거하여 정상압력으로 유도하는 보일러의 방호장치는?
1.
압력방출장치
2.
고저수위조절장치
3.
언로우드 밸브
4.
압력제한스위치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압력방출장치 : 압력방출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이 최고 사용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증기압력의 상승을 막아주는 장치이다. 보일러에는 규격에 적합한 압력 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한다. 2개 이상 설치시에는 1개는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작동하게 하고 다른 1개는 최고 사용압력의 1.05배 이하에서 작동하게 설치한다. 압력방출밸브는 1년에 1회 이상 표준압력계를 이용하여 토출압력을 시험한 후 납으로 봉인하여 사용하며 매일 1회 이상 작동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2. 압력제한스위치 : 압력제한스위치는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이 상용운전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사용압력 사이에서 보일러 버너의 연소를 차단시키는 장치이다. 압력제한스위치는 1일 1회 이상 작동시험을 하여야 하며 이상 발견시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휘바]
44.
단면 6×10cm인 목재가 4000kg의 압축하중을 받고 있다. 안전율을 5로 하면 실제사용응력은 허용응력의 몇 %나 되는가? (단, 목재의 압축강도는 500kg/cm2이다.)
<문제 해설> 4. 일감의 길이가 직경의 12배 이상일 때는 방진구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ysys9004]
방진구(work rest): 가늘고 긴 모양의 가공물을 절삭할 때 가공물의 자중(self load) 으로 휘거나절삭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경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길이가 지름의 20배 이상일 때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직경의 12이상일때 사용하며, 20배이상일경우 반드시 사용할것 [해설작성자 : 범내려온다]
48.
크레인을 와이어로프에서 보통꼬임이 랭꼬임에 비하여 우수한 점은?
1.
수명이 길다.
2.
킹크의 발생이 적다.
3.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4.
소선의 접촉 길이가 길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고 있을 때 와이어로프의 꼬임에 이상한 부분을 발생하여 일부가 혹과 같이 볼록해 진 것을 플러스의 킹크, 반대로 움푹하게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마이너스의 킹크라고 한다. 킹크를 발생하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 일단 킹크를 발생하면 이것을 수정해도 강도는 20% 정도 저하된다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 중 포터블 벨트 컨베이어(potable belt conveyor) 운전시 준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공회전하여 기계의 운전상태를 파악한다.
2.
정해진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운전시작 전 주변 근로자에게 경고하여야 한다.
4.
하물 적치 후 몇 번씩 시동, 정지를 반복 테스트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시동 정지 테스트 시 하물을 적치하면 안된다 [해설작성자 : 중대재해]
51.
산업용 로봇의 작동범위 내에서 해당 로봇에 대하여 교시 등의 작업 시 예기치 못한 작동 및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립해야 하는 지침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2.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3.
로봇 구성품의 설계 및 조립방법
4.
2명 이상의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킬 경우의 신호방법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산업용 로봇의 작동범위에서 해당 로봇에 대하여 교시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로봇의 구동원을 차단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 2호와 제 3호의 조치를 하지 아니할 수 있다.[개정 2016.4.7] ㉠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 2명 이상의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킬 경우의 신호방법 ㉣ 이상을 발견한 경우의 조치 ㉤ 이상을 발견하여 로봇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 이를 재가동시킬 경우의 조치 ㉥ 그 밖에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해설작성자 : 휘바]
52.
드릴링 머신에서 축의 회전수가 1000rpm이고, 드릴 지름이 10mm일 때 드릴의 원주 속도는 약 얼마인가?
V = (3.14 * N * D) / 1000 인데 이때 V 단위는 m/s D 단위는 mm 가 맞습니다. 고로 단위는 맞음으로 지름단위를 m 단위로 변경 하면 안됩니다.. 따라서 단순 대입으로 V= (3.14 * 10 * 1000) / 1000 = 31.4 [해설작성자 : 첼시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D 단위가 무슨 mm입니까.. 각속도(또는 각주파수)가 w(rad/min)라고 하고 반지름을 r(m)이라 하였을 때 (w[rad/min]=2 pi N[rev/min]) v=rw 이고 단위 상으로 보면 좌변 [m/min] 우변 [(rad/min)* m] → [m/min] 이 되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m단위 변경해서 넣어도 무방합니다. &참고 [mm]= 10^-3[m] [해설작성자 : 원래 해설 안남기는데...다른분들 혼동되실까봐]
[오류신고 반론] 더 알기 편하게 파이×D(m)×N = [파이×D(mm)×N]/1000 입니다. 윗님 말대로 자기 취향것 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알기쉬운단위변환]
53.
다음 중 지게차의 작업 상태별 안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V는 최고속도(km/h) 이다.)
1.
기준 부하상태에서 하역작업시의 좌우 안정도는 6% 이다.
2.
기준 부하상태에서 하역작업시의 전후 안정도는 20% 이다.
3.
기준 무부하상태에서 주행시의 전후 안정도는 18% 이다.
4.
기준 무부하상태에서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는 (15 + 1.1V)%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하역작업시의 전후 안정도 :4%이내 (5T 이상: 3.5%) 주행시 전후 안정도 :18%이내 하역작업시의 좌우 안정도:6%이내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는(15+1.1V)%이다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기준 부하상태에서 하역작업시의 좌우 안정도는 6% 이내 기준 부하상태에서 하역작업시의 전후 안정도는 4% 이내 (5T 이상:3.5%)
기준 무부하상태에서 주행시의 전후 안정도는 18%이내 기준 무부하상태에서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는 (15 + 1.1V)%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다음 중 프레스 작업에서 제품을 꺼낼 경우 파쇠철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걸레
2.
칩 브레이커
3.
스토퍼
4.
압축공기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프레스 작업시 제품 및 스크랩을 자동적으로 꺼내기 위한 장치이다.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분사장치, 이젝터, 키커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콜렉터]
55.
다음 중 음향방출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동 중 검사가 가능하다.
2.
온도, 분위기 같은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3.
결함이 어떤 중대한 손상을 초래하기 전에 검출할 수 있다.
4.
재료의 종류나 물성 등의 특성과는 관계없이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음향방출시험의 단점 요인으로 "재료의 종류나 물성에 영향을 받는 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못해먹겠음]
56.
다음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분기장치
2.
자동발생 확인장치
3.
안전기
4.
유수 분리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안전기를 다른말로 역화방지장치라고 하며, 설치 위치는 압력조정기와 토치사이이며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에는 분기되는 각각의 배관에 설치하도록 한다.
57.
다음 중 플레이너(planer)작업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바이트(bite)는 되도록 길게 나오도록 설치한다.
2.
테이블 위에는 기계작동 중에 절대로 올라가지 않는다.
3.
플레이너의 프레임 중앙부에 있는 비트(bit)에 덮개를 씌운다.
4.
테이블의 이동범위를 나타내는 안전방호울을 세워 놓아 재해를 예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밀링 작업시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길게x) 나머지는 짧게 [해설작성자 : 영일만 저 끝까지]
58.
개구면에서 위험점까지의 거리가 50mm 위치에 풀리(pully)가 회전하고 있다. 가드(Guard)의 개구부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는 최대값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0mm
2.
12.5mm
3.
13.5mm
4.
25mm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Y=6+0.15X (X:가드와 위험점 간의 거리, mm) =6+0.15*50mm =13.5mm
단) X≥160[mm] 일때 Y=30[mm]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밑에 X>=160[mm] 조건 붙으면 위의 공식이 성립 안하지 않나요? [해설작성자 : 고민중]
[오류신고 반론] Y=6+0.15X (X:가드와 위험점 간의 거리, mm) 이 식은 (X:가드와 위험점 간의 거리, mm) 의 값이 160mm 보다 작을때 적용이 되는 식입니다. 만약 X(가드와 위험점 간의 거리)의 값이 160mm 이상 이 되어버리면 Y는 무조건 30mm 가 되는거구요 [해설작성자 : ㅇㅇ]
59.
다음 중 롤러기의 방호장치에 있어 복부로 조작하는 급정지장치의 위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밑면으로부터 1.8m 이내
2.
밑면으로부터 2.0m 이내
3.
밑면으로부터 0.8m 이상 1.1m 이내
4.
밑면으로부터 0.4m 이상 0.6m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손으로 조작하는 것 : 밑면으로부터 1.8m 이내 2. 복부로 조작하는 것 : 밑면으로부터 0.8m 이상 1.1m 이내 3. 무릎으로 조작하는 것 : 밑면으로부터 0.4m 이상 0.6m 이내
60.
프레스의 방호장치 중 광전자식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속 운전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2.
핀클러치 구조의 프레스에 사용할 수 있다.
3.
기계적 고장에 의한 2차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4.
시계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광전자식 방호장치는 자체 급정지 기능이 없는 확동식 (키클러치프레스.핀클러치프레스.몸통클러치프레스)에는 사용할수 없음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계약전력 500kW, 수전전압 22.9kV, 2차전압 220V, 3상인 저압측에서 임의 상에 접지를 하고자 할 경우 접지저항의 최고값은? (단, 변압기 1차측 1선 지락전류는 15A이고, 기타의 조건은 무시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시켜 아크를 발생시킬 때 전격 방지 장치가 동작 할 수 있는 용접기의 2차측 최대저항을 말한다.
2.
안전전압(24V 이하)이 2차측 전압(85~95V)으로 얼마나 빨리 전환 되는가 하는 것을 말한다.
3.
용접봉을 모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주접점이 개로 되어 용접기의 2차측 전압이 무부하전압(25V 이하)으로 될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4.
용접봉에서 아크를 발생시키고 있을 때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전격방지 장치를 작동시켜야 할지 운전을 계속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민감도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번은 지동시간의 정의 [해설작성자 : 부천취업]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 방호장치 자율안전인증 고시 "시동시간"이란 용접봉을 피용접물에 접촉시켜서 전격방지기의 주접점이 폐로될(닫힐)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지동시간"이란 용접봉 홀더에 용접기 출력측의 무부하전압이 발생한 후 주접점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부연) 법령에는 위 내용까지만이지만, * 시동감도 :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시켜 아크를 발생시킬 때 전격방지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용접기의 2차측 최대저항을 말한다. -> 즉, 이 저항 이하의 저항이어야 아크가 발생한다. (그만큼 잘 접촉시켜야 저항이 낮아짐) -> 시동감도가 높아야 아크의 발생이 잘된다. 하지만 그만큼 감전의 위험이 높다.
* 지동시간이 길면 잠시 용접봉을 떼어도 아크 유지가 잘된다는 뜻이다. -> 물론 감전 위험이 높아진다. -> 하지만 너무 짧으면 다시 아크를 발생시킬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므로, 용접 품질이 불량해진다. [해설작성자 : iykim71]
63.
내압방폭구조의 필요충분조건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폭발화염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것
2.
습기침투에 대한 보호를 충분히 할 것
3.
내부에서 폭발한 경우 그 압력에 견딜 것
4.
외함의 표면온도가 외부의 폭발성가스를 점화하지 않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습기침투와는 무관함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64.
이탈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손발을 움직여 충전부로부터 스스로 이탈할 수 있는 전류
2.
충전부에 접촉했을 때 근육이 수축을 일으켜 자연히 이탈되는 전류의 크기
3.
누전에 의해 전류가 선로로부터 이탈되는 전류로서 측정기를 통해 측정 가능한 전류
4.
충전부에 사람이 접촉했을 때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사람이 감전되지 않고 이탈할 수 있도록 정한 차단기의 작동전류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교착전류(불수전류)와 이탈전류(가수전류) -교착전류란 통전전류로 인하여 통전전류상의 근육경련이 심해지면서 신경이 마비되어 운동이 자유롭지 않게 되는 한계전류로 불수전류라고도 한다. -이탈전류는 가수전류라고도 하는데 손발을 움직여 충전부로부터 스스로 이탈할 수 있는 최대한도의 전류를 말한다. -60[Hz]의 교류에서는 이탈전류가 최대 10~15[mA]이다. [해설작성자 : 기답]
65.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허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절연물이 화구가 없더라도 자연히 발화하고 심선이 용 단되는 발화단계의 전선 전류밀도(A/mm2 )로 옳은 것은?
1.
20 ~ 43
2.
43 ~ 60
3.
60 ~ 120
4.
120 ~ 180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절연전선의 과대전류 밀도 1)인화단계 : 40~43(A/mm2) 2)착화단계 : 43~60(A/mm2) 3)발화단계 : 60~120(A/mm2) / 발화 후 융단 60~70, 융단과 동시발화 75~120 4)순간용단 : 120 이상 (A/mm2)
66.
다음 중 전기화재 시 소화에 적합한 소화기가 아닌 것은?
1.
사염화탄소 소화기
2.
분말 소화기
3.
산알칼리 소화기
4.
CO2 소화기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급화재소화기(사염화탄소소화기.유기성소화액.CO2소화기.분말소화기
67.
내측원통의 반경이 r 이고 외측원통의 반경이 R인 원통간극(r/R-1(=0.368))에서 인가전압이 V인 경우 최대 전계 이다. 인가전압을 간극 간 공기의 절연파괴전압 전까지 낮은 전압에서 서서히 증가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대전계가 감소한다.
2.
안정된 코로나 방전이 존재할 수 있다.
3.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4.
내측원통 표면부터 코로나 방전 발생이 시작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외측 원통의 반경이 감소됨
68.
감전 사고를 일으키는 주된 형태가 아닌 것은?
1.
충전전로에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
2.
이중절연 구조로 된 전기 기계ㆍ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3.
고전압의 전선로에 인체가 근접하여 섬락이 발생된 경우
4.
충전 전기회로에 인체가 단락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2 이중절연: 감전방지 [해설작성자 : day]
69.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물체의 특성
2.
물체의 표면상태
3.
물체의 분리력
4.
접촉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물질의 특성 2.물질의 표면상태 3.물질의분리속도 4.물질의 이력 5.물질의 접촉면적 및 압력 [해설작성자 : youngtae13]
가연성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에는 방폭구조의 전기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전기기기의 방폭구조의 선택은 가스의 무엇에 의해서 좌우되는가?
1.
인화점, 폭굉한계
2.
폭발한계, 폭발등급
3.
발화도, 최소발화에너지
4.
화염일주한계, 발화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방폭구조와 관계있는 것 발화온도, 화염일주한계, 폭발 등급, 최소점화전류 [해설작성자 : OTC]
72.
정상적으로 회전 중에 전기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전기 설비는?
1.
개폐기류
2.
제어기류의 개폐접점
3.
전동기의 슬립링
4.
보호계전기의 전기접점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상운전시 스파크 발생: 직류 전동기의 정류자,전동기의 슬립링 보호기기 동작중 스파크 발생: 차단기 또는 보호계전기의 접점 이상 발생시 고온 또는 스파크 발생: 전동기 또는 변압기의 권선, 마그네틱 코일 [해설작성자 : 포리]
73.
활선장구 중 활선시메라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충전중인 전선을 장선할 때
2.
충전중인 전선의 변경작업을 할 때
3.
활선작업으로 애자 등을 교환할 때
4.
특고압 부분의 검전 및 잔류전하를 방전할 때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활선시메라- 충전중인 전선의 변경작업, 전선의 장선작업, 애자 등을 교환작업시에 케이블을 걸어당기는때에 사용 [해설작성자 : 승욱아사랑해]
74.
인체에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방전할 때 인체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가?
1.
2~3×10-3C
2.
2~3×10-5C
3.
2~3×10-7C
4.
2~3×10-9C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전격의 발생한계전위 인체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2~3*10-7이상이 되면 이 전하가 방전하는 경우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을 실용적인 인체의 대전전위로 표현하면 인체의 정전용량은 보통 100[pF]로 할 경우이다. -정전기 대전방지 대책- 그냥 암기해야됌 앗 아파(고통) 근데 감전으로 안죽었네? 우효~ 씹(10) 럭키 7~ 으로 외우셈 10-7C [해설작성자 : 감자국 ㄱㅇㅈ]
75.
인체 감전사고 방지책으로써 가장 좋은 방법은?
1.
중성선을 접지한다.
2.
단상 3선식을 채택한다.
3.
변압기의 1, 2차를 접지한다.
4.
계통을 비접지 방식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전로의 배전방식에는 접지방식, 비접지방식, 고저항 접지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저압 배선회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접지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것은 배전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 또는 저압측의 1단자에 제2종 접지공사를 실시한 전로를 말한다. 이에 대해 비접지방식이란 이 제2종 접지공사를 실시하지 않은 전로를 말한다. 비접지방식의 전로에는 지락사고를 발생하여도 일반적으로 어스(접지)회로가 구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지락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서 감전재해를 방지하는 하나의 대책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변압기 내부에서 고ㆍ저압의 혼촉(混觸)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비접지방식으로 사용하는 변압기는 혼촉방지판이 부착된 변압기를 사용하고, 혼촉방지판에 제2종 접지공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저압 전로의 도중에 절연변압기를 부착하고, 그 2차측을 비접지방식으로 한다
76.
전기로 인한 위험방지를 위하여 전기 기계ㆍ기구를 적정하게 설치하고자 할 때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적 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2.
습기, 분진 등 사용 장소의 주위 환경
3.
비상전원설비의 구비와 접지극의 매설깊이
4.
전기 기계ㆍ기구의 충분한 전기적 용량 및 기계적 강도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기기계. 기구 설치시 고려사항.
1. 전기적. 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2. 습진, 분진 등 사용 장소의 주위 환경 3. 전기 기계. 기구의 충분한 정기적 용량 및 기계적 강도 [해설작성자 : 아줌마합격]
77.
접지공사 종류별 접지저항 값의 규정을 옳게 나타낸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 10Ω 이하
2.
제2종 접지공사 : 150Ω 이하
3.
제3종 접지공사 : 10Ω 이하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100Ω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접지공사 종류별 접지저항 값 1. 제1종 접지공사 : 10Ω 이하 2. 제2종 접지공사 : 150/(1선지락 전류) Ω이하 3. 제3종 접지공사 : 100Ω 이하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10Ω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년부터 시행되는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해 성립 될 수 없는 문제입니다. (2021 에듀윌 산업안전기사 내용 발췌) [해설작성자 : 2021개정]
[추가 오류 신고] '제 1종,2종,3종 접지공사' 명칭자체가 삭제됨 따라서 앞으로 이 문제 나올수없음 [해설작성자 : 2021 KEC 개정]
78.
인체의 전기저항 R을 1000Ω이라고 할 때 위험한계 에너지의 최저는 약 몇 J 인가? (단, 통전 시간은 1초이다.)
1.
17.33
2.
27.23
3.
37.33
4.
47.23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W(Q)=ㅣ^2RT
[추가 해설]
I^2×RT I=(165×10^-3/루뜨T)^2 [해설작성자 : 가즈아]
79.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6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지락이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1.
기계ㆍ기구를 습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2.
기계ㆍ기구가 유도 전동기의 2차측 전로에 접속된 저항기인 경우
3.
대지전압이 200V 이하인 기계ㆍ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기계ㆍ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고 습한 장소에서 조작하는 경우로 제어전압이 교류 100V 미만인 경우
<문제 해설> 철골작업 중지 조건 1.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2.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3.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레오2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개정으로 답4번 [해설작성자 : ㅁㄻㄹ]
[오류신고 반론] 법개정 안 되었습니다.기온도 관계없습니다. 3번 맞습니다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383조 (작업의 제한)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1.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2.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3.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실무자 ]
[오류신고 반론] 순간 풍속 15로 바뀐 것은 크레인 작업 시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기출 돌리자]
[오류신고 반론] 순간 풍속이 초당 15m는 강풍 시 타워크레인 운전 작업 정지입니다. [해설작성자 : 15년 1회차 113번 참고]
106.
추락방지망의 그물코 크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cm 이하
2.
10cm 이하
3.
20cm 이하
4.
30cm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추락방지망의 그물코의 크기 기준은 10cm 이하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107.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토중수가 얼어 부피가 약 9% 정도 증대하게 됨으로써 지표면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은?
1.
동상현상
2.
역화현상
3.
리칭현상
4.
액상화현상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동상현상:토중수가 얼어 생성된 결빙크기가 커져 지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연화현상:땅이 얼었다가 녹을때 흙속으로 수분이 들어가 지반이 약화되는 현상 리칭현상:점토에서 충격 진동 그리고 염화등이 빠져나가 지지력이 감소되는 현상 액상화현상:유효응력이 감소하여 전단강도가 떨어져 순간침하가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포링]
108.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할 때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는 1.85m 이하로 한다.
2.
띠장간격은 1m 이하로 설치한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운다.
4.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2. 10. 18.] [고용노동부령 제367호, 2022. 10. 18., 일부개정]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109.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 또는 작업장 내에 근로자가 사용하기 위한 안전한 통로를 설치할 때 그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로에는 75럭스(Lux)이상의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2.
통로의 주요한 부분에는 통로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일 때에는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문제 해설> 지하매설물 인접작업시 안전지침 1. 사전조사 및 매설물의 위치 파악 2. 매설물이 노출되면 지주나 지보공 등을 이용하여 방호조치 3. 매설물의 이설 등은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실시 4. 최소 1일 1회 이상은 순회 점검 [해설작성자 : 산안기가즈아]
112.
구조물의 해체 작업 시 해체 작업계획서에 포함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해체의 방법 및 해체순서 도면
2.
해체물의 처분계획
3.
주변 민원 처리계획
4.
현장 안전 조치 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해체 작업계획서 내용 1)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도면 2) 해체물의 처분계획 3) 현장안전조치계획 4) 가설설비, 방호설비, 환기설비 및 살수, 방화설비 등의 방법 5) 사업장 내 연락방법 6)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등의 작업계획서 7) 해체 작업용 화학류 등의 사용계획서 [해설작성자 : 닺]
113.
토사붕괴의 방지공법이 아닌 것은?
1.
경사공
2.
배수공
3.
압성토공
4.
공작물의 설치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경사공은 터널발파공법이다 [해설작성자 : 흰이빠]
114.
터널작업 시 자동경보장치에 대하여 당일의 작업시작 전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검지부의 이상 유무
2.
조명시설의 이상 유무
3.
경보장치의 작동 상태
4.
계기의 이상 유무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동경보장치 작업 시작전 점검 사항 1., 계기 이상 유무 2. 검지부 이상 유무 3., 경보정치 작동하나 보기 [해설작성자 : 태형맨]
115.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의 상하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것
2.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할 것
3.
파이프서포트를 제외한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화물을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할 때 해당 작업의 지휘자에게 준수하도록 하여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효율적으로 적재되도록 할 것
2.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3.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4.
해당 작업을 하는 장소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골고루 적재되도록 해야 함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118.
액상화현상 방지를 위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모래입경이 가늘고 균일한 모래층 지반으로 치환
2.
입도가 불량한 재료를 입도가 양호한 재료로 치환
3.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고 포화도를 낮추기 위해 deep well을 사용
4.
밀도를 증가하여 한계간극비 이하로 상대밀도를 유지하는 방법 강구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모래입경 가는 것은 오히려 액상화 현상의 원인. [해설작성자 : 부천취업]
액상화현상이란 : 모래로 주로 구성된 흙이 전단저항을 소실하여 마치 물처럼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므로. 입자가 굵어야 하는거겠죠! [해설작성자 : 슬영]
입도분포가 균질한 세립토가 굵은 모래보다 액상화가 쉽다고 하네요... [해설작성자 : 인터넷 검색해봄]
보일링과 연관으로 암기하면 도움될것같습니다 보일링: 현상은 지하수위가 높아져 물의 압력으로 인해 모래가 유동되거나, 흙막이 하부의 압력으로 모래 입자가 부력을 받아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액상화는 지진이나 진동 등으로 인해 땅 속의 물이 빠지지 않고 고여 흙이 액체처럼 되는 현상입니다. 보일링은 주로 흙막이 공사 중 모래 지반에서 발생하며, 액상화는 지진과 같이 강한 진동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119.
안전관리계획의 작성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조직
2.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방법
3.
공사장 및 주변 안전관리 계획
4.
통행안전시설 설치 및 교통소통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안전과리 총괄 계획서 내용 1. 건설공사의 개요 및 안전관리조직 2. 공정별 안전점검계획 3. 공사장 주변의 안전관리 대책 4. 통행안전시설의 설치 및 교통소통에 관한 사항 5.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6. 안전교육 및 비상시 긴급조치계획 [해설작성자 : 아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