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인형 조직(직계형) - 안전관리의 모든 것을 생산조직을 통해서 관리하는 방식 1) 장점 - 명령 및 지시가 신속 정확함 - 안전대책의 실시가 신속하다. 2) 단점 - 안전정보가 불충분하고 라인에 과도한 책임을 부여 3) 규모 : 100명 이하의 소규모 업체
2. 스태프형(참모형) - 안전전담 스태프를 두고 계획, 조사 및 검토 등을 행하는 방식 - 스태프가 방안을 모색하고 경영주의 조언 및 자문 역할을 함 1) 장점 - 안전 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용이하다. - 안전지식 및 기술축적에 용이하다. 2) 단점 - 안전과 생산을 별도로 취급한다. - 생산 라인의 경우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3) 규모 : 100명 ~ 1000명 정도의 중규모 업체
3. 라인-스태프형(혼합형) - 라인형과 스태프형의 장점을 합한 형태 - 스탭은 안전을 계획, 평가 및 조사하고 라인을 통해 안전대책 및 기술을 전달 1) 장점 - 스태프에 의해 입안된 것을 경영자가 명령하여 신속 정확한 편이다. - 안전정보의 수집에 신속하고 용이한 편이다. - 안전지식 및 기술축적에 용이하다. 2) 단점 - 명령계통의 조언이나 권고적 참여에 혼연이 있을 수 있다. - 스태프의 월권행위가 존재할 수 있다. - 생산 부문에 스태프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2.
다음 중 적성배치시 작업자의 특성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연령
2.
작업조건
3.
태도
4.
업무경력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작업의 특성 : 환경조건,작업조건,작업종류,형태,기간,기한 작업자의 특성 : 성별,연령,업무경력,자격,노동능력,심신상태,희망 [해설작성자 : 돼끼리]
3.
다음 중 안전 태도 교육의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적성 배치를 한다.
2.
이해하고 납득한다.
3.
항상 모범을 보인다.
4.
지적과 처벌 위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지적질과 처벌 위주로 하면 누가 과연 안전태도교육을 받을까요? 군사정권 당시의 교육과 흡사하지요.. [해설작성자 : 여누찡]
상과 벌점은 해당돼도 지적과 처벌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 필합!]
4.
연평균 1000명의 근로자를 채용하고 있는 사업장에서 연간 24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얼마인가? (단, 근로자는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한다.)
<문제 해설> 1.생리적 욕구 - 이 욕구는 그 피라미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2.안전의 욕구 - 질서감과 안정감이 있다. 3.사회적 욕구 - 소속 및 애정 욕구. 일단 생리학적 및 안전 욕구가 충족이 되면 우리의 동기는 삶의 사회적 부분에 집중된다. 4.존경의 욕구 - 존경을 받고 명예를 얻고 사회 단체 내에서 두드러지고 싶어한다. 5.자아실현의 욕구 - 성취하기 가장 어려운 목표들이 들어있다. [해설작성자 : --]
10.
안전교육의 방법 중 TWI(Training Within Industry for supervisor)의 교육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지도기법(JIT)
2.
작업개선기법(JMT)
3.
작업환경 개선기법(JET)
4.
인간관계 관리기법(JRT)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JMethodT) 작업 개선 방법 훈련 (JInstructionT) 작업 지도 훈련 (JRelationsT) 인간관계 훈련 (JSafetyT) 안전교육 훈련 [해설작성자 : 오윤]
안전교육의 방법 TWI(Training Within Industry for supervisor)의 교육 1.작업 지도 훈련 (Job Instruction Training) 2.작업 훈련 방법 (Job Methods Training) 3.작업 안전 훈련 (Job Safety Training) 4.인간 관계 훈련 (Job Relation Training) (작업 개선 기법 = 작업 훈련 방법 이네요..) [해설작성자 : 해피]
11.
작업장에서 매일 작업자가 작업 전, 중, 후에 시설과 작업동작 등에 대하여 실시하는 안전점검의 종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정기점검
2.
일상점검
3.
임시점검
4.
특별점검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작업자가 "매일" 작업 전,중,후 로 하니깐 일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2회차]
12.
다음 중 재해조사시 유의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재해 현장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한다.
2.
목격자가 제시한 사실 이외의 추측되는 말은 정밀 분석한다.
3.
과거 사고 발생 경향 등을 참고하여 조사한다.
4.
객관적 입장에서 재해방지에 우선을 두고 조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사실을 수집한다. 이유는 뒤에 확인한다 - 객관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조사하며, 조사는 2인이상이한다. - 조사는 신속히 실시하고 2차 재해방지를 도모한다. - 피해자에 대한구급조치를 우선한다. - 사실 이외 추측의 말은 참고로 활용한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3.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4.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작업 개시전 점검에 관한 사항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합격ㅎㅎ]
14.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방어적 기제(Defence Mechanism)에 해당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0분 후 망각이 시작되고, 1시간 후 50% ,하루 뒤 70 %.한달 뒤 80% 이므로 학습된 내용은 학습 직후 망각률이 가장 낮다는 맞는 말 같은데요?
[오류신고 반론] 망각률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잊어버리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 비율이 완만해지기 때문에(오래되지 않은 기억은 잊기 쉽고 오래된 기억은 잊어버리기 어려운 것 처럼) 학습된 내용은 학습 직후의 망각률이 가장 낮다가 아닌 높다가 맞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습된 내용은 학습 직후의 기억률이 가장 높은 것이지 망각률이 가장 높은 것은 아닙니다 망각률은 학습 직후가 가장 낮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지는 것이지요 상식으로 푸는 문제인데,, 정답이 잘못됐습니다. 오류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망각의 속도와 정도를 연구한 에빙하우스는 20분 후의 기억률은 58%, 1시간 후에는 44%, 9시간 후에는 36%, 6일 후에는 25%. 31일 후에는 21%라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기억률을 망각률로 변환하면 20분 후에는 42%를 망각했고, 1시간 후에는 남은 기억에서 14%를 더 망각하였고, 그 뒤에 따른 망각의 증가 폭은 점점 감소하니 1번이 정답 아닐까요?
17.
다음 중 안전교육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도입 → 확인 → 제시 → 적용
2.
도입 → 제시 → 적용 → 확인
3.
확인 → 제시 → 도입 → 적용
4.
제시 → 확인 → 도입 → 적용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도제적황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18.
다음 중 무재해운동에서 실시하는 위험예지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로자 자신이 모르는 작업에 대한 것도 파악하기 위하여 참가집단의 대상범위를 가능한 넓혀 많은 인원이 참가토록 한다.
2.
직장의 팀워크로 안전을 전원이 빨리 올바르게 선취하는 훈련이다.
3.
아무리 좋은 기법이라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현장에서 큰 효과가 없다.
4.
정해진 내용의 교육보다는 전원의 대화방식으로 진행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자기가 맡은 작업에 대한 것만 파악 [해설작성자 : 엄 준]
위험예지훈련 : 10인이하 소규모 집단 [해설작성자 : 1주일 남았다.]
19.
재해예방의 4원칙 중 대책선정의 원칙에서 관리적 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전교육 및 훈련
2.
동기부여와 사기 향상
3.
각종 규정 및 수칙의 준수
4.
경영자 및 관리자의 솔선수범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안전교육 및 훈련은 교육적 대책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따자]
20.
다음 중 리더가 가지고 있는 세력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전문세력(expert power)
2.
보상세력(reward power)
3.
위임세력(entrust power)
4.
합법세력(legitimate power)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리더가 가지고 있는 세력의 유형은 총 5가지이다. -전문세력 -보상세력:보너스를 줄수있다는거지 -합법세력:조직 내 인사권 확보 -준거세력 : 모범적인 활동 -강압세력:조직의 쓴맛을 보여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헤르만만세]
위임세력은 리더자신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세력유형입니다. [해설작성자 : 히최의 합격도전기]
리더의 권한 1.보상적권한 2.강압적권한 3.합법적권한 4.위임된권한 5.전문성의권한
리더의세력 1.강압적세력 2.보상적세력 3.합법적세력 4.전문적세력 5.참조적세력
(권한과 세력의 차이를 비교필요) [해설작성자 : 딸기꼬맹이]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인간 오류의 분류에 있어 원인에 의한 분류 중 작업의 조건이나 작업의 형태 중에서 다른 문제가 생겨 그 때문에 필요한 사항을 실행할 수 없는 오류(error)를 무엇이라 하는가?
1.
secondary error
2.
primary error
3.
command error
4.
commission error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휴먼에러 심리학적 분류 중 독립행동에 관한 분류 1 omission error (생략적 에러) : 필요한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 생기는 오류 2 commission error (수행적 에러) : 필요한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으로 생기는 오류 3 extraneous error (불필요한 에러) : 불필요한 절차를 수행으로 생기는 오류 4 sequential error (순서적 에러) : 필요한 절차의 순서착오로 인한 오류 5 time error (시간적 에러) : 필요한 절차의 시간지연, 수행지연 실수 원인에 의한 분류 1 Primary error (1차에러) : 작업자 자신으로부터 발생한 과오 2 Secondary error (2차에러) : 작업형태, 작업조건 중 문제가 생겨 필요한 사항을 실행할 수 없는 과오 3 command error (지시에러) : 작업자가 움직이려 해도 물건, 정도, 에너지 등의 공급이 없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발생한 과오 [해설작성자 : 손지희]
22.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반응의 척도 가운데 정신적 작업의 스트레인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뇌전도
2.
부정맥지수
3.
근전도
4.
심박수의 변화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정신적 작업의 스트레인 척도와 -> 정신적 작업의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반응의 척도와 [해설작성자 : 손지희]
근전도: 근육에 걸리는 부하를 근육에 발생한 전기적 활성우로 인한 전류값으로 측정하는 측정방법을 근전도
23.
다음 중 인간공학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의 특성과 한계점을 고려하여 제품을 변경한다.
2.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인간의 특성을 작업에 맞추는 것이다.
3.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과 능률성을 높일 수 있다.
4.
편리성, 쾌적성,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인간공학 1. 성능의 및 생산성의 향상 및 경제성 증대 2.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을 방지 3. 인력 이용률의 향상 4. 생산 및 정비유지의 경제성을 증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과 같이 ①~④의 기본사상을 가진 FT도에서 minimal cut set 으로 옳은 것은?
조도는 광속에 비례하고 광원과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단위로는 lumen/m2 또는 cd/m2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26.
다음 중 불대수(Boolean algebra)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A(AㆍB) = B
2.
A + B = AㆍB
3.
A + AㆍB = AㆍB
4.
(A + B)(A + C) = A + BㆍC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꿀팁) 시험장에서 영 기억안나면 +는 합집합 *은 교집합으로 벤다이어그램을 그리면 쉽게 확인가능 [해설작성자 : 리스항구족]
27.
2개 공정의 소음수준 측정 결과 1공정은 100dB에서 2시간, 2공정은 90dB에서 1시간 소요될 때 총 소음량(TND)과 소음설계의 적합성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우리나라는 90dB에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 증가할 때 허용시간은 1/2로 감소되는 법칙을 적용한다.)
1.
TND = 0.83, 적합
2.
TND = 0.93, 적합
3.
TND = 1.03, 적합
4.
TND = 1.13, 부적합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90dB에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 증가할 때 허용시간은 1/2로 감소되는 법칙을 적용하므로
90dB = 8시간 / 100dB = 2시간이 적용
소음량 = 공정소음시간/노출허용시간이므로 2/2 + 1/8 = 1.125 -> 1.13
또한,적합성이 1을 넘었으므로 '1.13 부적합'이 정답 [해설작성자 : SSA]
28.
다음 중 시스템 안전의 최종분석 단계에서 위험을 고려하는 결정인자가 아닌 것은?
1.
효율성
2.
피해가능성
3.
비용산정
4.
시스템의 고장모드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의 최종분석의 단계에서 위험을 고려하는 결정인자는 피해가능성, 기능효율성, 비용산정, 폭발빈도 등이다 [해설작성자 : 울산 중구]
29.
시스템이 저장되고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는 위험분석방법은?
1.
FHA
2.
OHA
3.
PHA
4.
SHA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운용위험분석(Operating Hazard Analysis) 시스템이 저장되고,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는 위험분석방법이다. 시스템의 정의 및 개발 단계에서 실행한다. 시스템의 기능,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둔다. [해설작성자 : 연주야사랑해]
30.
다음 중 인체계측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의자, 피복과 같이 신체모양과 치수와 관련성이 높은 설비의 설계에 중요하게 반영된다.
2.
일반적으로 몸의 측정 치수는 구조적 치수(structural dimension)와 기능적 치수(functional dimension)로 나눌 수 있다.
3.
인체계측치의 활용시에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4.
인체계측치를 활용한 설계는 인간의 안락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성능수행과는 관련성이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채계측치를 활용한 설계는 신체적 안락뿐만 아니라 성능수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해설작성자 : 궁시렁씨부렁몰러]
31.
품질 검사 작업자가 한 로트에서 검사 오류를 범할 확률이 0.1이고, 이 작업자가 하루에 5개의 로트를 검사한다면, 5개 로트에서 에러를 범하지 않을 확률은?
1.
90%
2.
75%
3.
59%
4.
40%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문제에서 오류를 범할 확률은 0.1이라고 했다. 그러면 오류를 범하지 않을 확률은 1-0.1 = 0.9이다. 그리고 5개의 로트라고했으니 0.9를 다섯번 곱하라는 거다. 절대 0.9 x 5 하는 순간 블랙홀로 빠지는거다. 출제자가 천사여서 0.45의 값을 보기에 넣지 않았다. 출제자를 찬양하라. 0.9를 다섯번 곱하면... 0.59049 이다.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버거킹을 먹자]
R : (1-p)^n (n 로트 p 오류 확률) [해설작성자 : ㅇ]
말을 조금 어렵게 써놓으셨는데 0.9^5 하시면 답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 강성수]
32.
다음 중 얼음과 드라이아이스 등을 취급하는 작업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더운 물과 더운 음식을 섭취한다.
2.
가능한 한 식염을 많이 섭취한다.
3.
혈액순환을 위해 틈틈이 운동을 한다.
4.
오랫동안 한 장소에 고정하여 작업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식염은 더운작업할 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식염 = 먹을 수 있는 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다음 중 망막의 원추세포가 가장 낮은 민감성을 보이는 파장의 색은?
1.
적색
2.
회색
3.
청색
4.
녹색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원추세포는 밝은 빛에 민감하고 물체의 형태, 명암, 색깔을 모두 감각할 수 있으며 색의 삼원색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청색에 대단히 민감하다. 적녹청에 민감하다. 적녹청적녹청 우리가 흔히 말하는 RGB 값이 바로 그것이다. 적녹청 [해설작성자 : 교황청]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정성 평가 기법에는 해석의 논리적 견지에 따라 귀납적 연역적 방법이 있고 귀납적 추리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분석해 일반적인 결론과 결함 사상을 도출 1.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다룰 수 있다. 2. 시각적 표현에 의해 정보전달이 용이하다. 3. 원인 결과 및 모든 사상들의 관계가 명확해진다. 4. 귀납적 추리를 통해 결하사상을 빠짐없이 도출한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싫다]
36.
다음 중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서 우발고장 기간에 발생하는 고장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기본사상 : 더 이상 분석할 필요가 없는 사상 * 생략사상 : 더 이상 전개할 수 없는 사상 * 통상사상 : 시스템이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일어날 것이 기대 되는 사상 * 결함사상 : 시스템분석에 있어서 조금더 발전시켜야 하는 사상 * 전이기호 : 다른 부분에 있는 게이트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 전입과 전출기호가 있음 [해설작성자 : 예아배붸]
39.
다음 중 통제표시비(control/display ratio)를 설계할 때 고려하는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기의 조절시간이 짧게 소요되도록 계기의 크기(size)는 항상 작게 설계한다.
2.
짧은 주행 시간 내에 공차의 인정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계기를 마련한다.
3.
목시거리(目示距離)가 길면 길수록 조절의 정확도는 떨어진다.
4.
통제표시비가 낮다는 것은 민감한 장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계기의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 조절의 정확도는 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제주도가고싶은 울산인]
40.
인간공학의 중요한 연구과제인 계면(interface)설계에 있어서 다음 중 계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작업공간
2.
표시장치
3.
조종장치
4.
조명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게임에서의 인터페이스를 생각하면 쉽다. 스킬창, 체력게이지, 장비창 등등 조명은 해상도나 비디오 설정으로 가야한다. [해설작성자 : 태미검고]
다음 중 정하중이 작용할 때 기계의 안전을 위해 일반적으로 안전율이 가장 크게 요구되는 재질은?
1.
벽돌
2.
주철
3.
구리
4.
목재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벽돌 > 목재 > 구리 > 주철 순이에유 [해설작성자 : 대구구궁]
45.
다음 중 프레스에 사용되는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호장치의 감지기능은 규정한 검출영역 전체에 걸쳐 유효하여야 한다.
2.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는 1회 동작 후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붉은색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4.
방호장치의 정상작동 중에 감지가 이루어지거나 공급 전원이 중단되는 경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 개폐장치가 꺼진 상태로 돼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는 지체없이 바로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포스코를 목표로]
46.
다음 중 120SPM 이상의 소형 확동식 클러치 프레스에 가장 적합한 방호장치는?
1.
양수조작식
2.
수인식
3.
손쳐내기식
4.
초음파식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확동식 클러치 급정지 기능이 없음 (조건1) 120SPM 미만일 때 사용 가능 방호 장치 :가드식,손쳐내기식,수인식 (조건2) 120SPM 이상일 때 사용 가능 방호 장치 :가드식,"양수조작식" (120이상일 땐 양수조작만 외우시면 될 듯?) [해설작성자 : 해피]
47.
롤러기 조작부의 설치 위치에 따른 급정지장치의 종류에서 손조작식 급정지장치의 설치 위치로 옳은 것은?
1.
밑면에서 0.5m 이내
2.
밑면에서 0.6m 이상 1.0m 이내
3.
밑면에서 1.8m 이내
4.
밑면에서 1.0m 이상 2.0m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손조작식 : 바닥면으로부터 1.8m이내 복부조작식 : 바닥면으로부터 0.8m 이상 1.1m이내 무릎조작식 : 바닥면으로부터 0.4m 이상 0.6m이네 [해설작성자 : 울산 중구]
48.
다음 중 탁상용 연삭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작물을 연삭할 때 가공물 지지점이 되도록 받쳐주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1.
주판
2.
측판
3.
삼압대
4.
워크레스트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워크레스트 : 공작물을 연삭할 때 가공물 지지점이 되도록 받쳐주는 것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49.
다음 중 작업장 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통로의 주요 부분에는 통로표시를 하였다.
2.
통로에는 50럭스 정도의 조명시설을 하였다.
3.
비상구의 너비는 1.0m로 하고, 높이는 2.0m로 하였다.
4.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m 이내에는 장애물이 없도록 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통로 조명시설은 75[lux]
5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아세틸렌-산소 용접기의 아세틸렌 발생기실에 설치해야 할 배기통은 얼마 이상의 단면적을 가져야 하는가?
1.
바닥면적의 1/16
2.
바닥면적의 1/20
3.
바닥면적의 1/24
4.
바닥면적의 1/30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바닥면적으니 16분의 1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통을 옥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개구부를 창이나 출입구로부터 1.5미터 이상 떨어지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ㄷㄷ]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의 용접⋅용단 또는 가열작업을 하는 경우 게이지 압력으로 얼마를 초과하는 압력의 아세틸렌을 발생시켜 사용해서는 아니 되는가?
1.
85kPa
2.
107kPa
3.
127kPa
4.
150kPa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의 용접, 용단, 가열작업 하는 경우 게이지 압력이 127킬로파스칼을 초과하는 압력의 아세틸렌을 발생시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해설작성자 : 필기 2주도전]
57.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조의 기능면에서 설비 및 기계 장치의 일부가 고장이 난 경우 기능의 저하를 가져 오더라도 전체 기능은 정지하지 않고 다음 정기 점검시까지 운전이 가능한 방법은?
1.
Fail-passive
2.
Fail-soft
3.
Fail-active
4.
Fail-operational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Fail-Passive : 부품이 고장나면 기계가 정지하는 방향으로 전환 Fail-Active : 부품이 고장나면 경보를 울리면서 잠시동안만 운전가능함 Fail-Operational : 부품이 고장나더라도 보수가 이뤄질때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하는 것. [해설작성자 : 헤이즈사랑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2.4번입니다. 산업안전 산업기사 관련책 본문 내용에 보면 fail soft : 기계의 일부가 고장났을때, 기능이 저하 되더라도 기계 전체로써는 기능을 정지시키지 않는 구조 fail operational : 기능의 고장이 있어도 다음 정기점검까지 운전이 가능한 구조 라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위의 문제에서는 faul soft 와 fail operational의 두가지다 설명이 제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동구]
[오류신고 반론] 답은 4번입니다. fail operational은 기능을 정지하지도 않고 다음 정기점검까지 운전가능한것 두개다 포함되면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섭짱]
5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계설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크레인
2.
일반작업용 리프트
3.
곤돌라
4.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건설작업용 ->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건설 현장에서 사용) 2. 자동차정비용 -> 자동차 등을 일정한 높이로 올리거나 내리는 구조의 리프트 (자동차 정비에 사용) 3. 이삿짐운반용 -> 사다리형 붐에 따라 동력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하는 설비 [해설작성자 : 하와와은지쟝]
59.
다음 중 셰이퍼(shaper)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은?
1.
램의 행정
2.
새들의 크기
3.
테이블의 면적
4.
바이트의 최대 크기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셰이퍼(shaper) 왕복운동을 하는 절삭공구(커터)에 의해 주로 평면절삭을 하는 공작기계
세이퍼의 크기 = 램의 최대행정 (단, 테이블의 크기 or 이송거리로 나타낼때도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다음 중 산업용 로봇의 재해 발생에 대한 주된 원인이며, 본체의 외부에 조립되어 인간의 팔에 해당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배관
2.
외부전선
3.
제동장치
4.
매니퓰레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매니퓰레이터매일경제 사람의 팔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기계. 즉, 작업의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각종 로봇에 공통되는 기본 개념이다 [해설작성자 : 산기]
4과목 :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1.
다음은 정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중 전기를 통하지 않는 부도체 물질에 적합하지 않는 조치는?
1.
가습을 시킨다.
2.
접지를 실시한다.
3.
도전성을 부여한다.
4.
자기방전식 제전기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도체 : 접지 부도체 : 가습,도전성,제전기 [해설작성자 : 깜철]
62.
충전전로의 선간전압이 121kV 초과 145kV 이하의 활선 작업시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는?
본질안전방폭(Ex i, Intrinsic Safety) 내압방폭(Ex d, Flameproof) 몰드방폭(Ex m, Encapsulation) 안전증방폭(Ex e, Increased Safety) 압력방폭(Ex p, Pressurised) 유입방폭(Ex o, Oil Immersion) 충전방폭(Ex q, Powder Filling) 비점화방폭(Ex n, Non-Sparking) 특수방폭(Ex s, Special) [해설작성자 : 김기동]
64.
전압과 인체저항과의 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정(+)의 저항온도계수를 나타낸다.
2.
내부조직의 저항은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3.
1000V 부근에서 피부의 전기저항은 거의 사라진다.
4.
남자보다 여자가 일반적으로 전기저항이 작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인체저항은 전압이 커질수록 저항은 감소하는 부(-)의 저항온도 계수를 나타낸다 *정(+)의 온도계수:온도상승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는것 *부(-)의온도계수:온도상승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는것
65.
다음 중 누전차단기의 설치 환경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원전압은 정격전압의 85~110% 범위로 한다.
2.
설치장소가 직사광선을 받을 경우 차폐시설을 설치한다.
3.
정격부동작 전류가 정격감도 전류의 30% 이상이어야하고 이들의 차가 가능한 큰 것이 좋다.
4.
정격전부하전류가 30A인 이동형 전기기계⋅기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격감도전류는 30m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정격부동작 전류가 정격감도 전류의 50% 이상이어야하고 이들의 차이가 작은 것이 좋다. 정격감도전류가 10mA 이하인 경우에는 60% 이상이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라면먹ㄱ]
66.
접지공사의 종류에 대한 접지선의 굵기 기준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 공칭단면적 16mm2 이상
2.
제2종 접지공사 - 공칭단면적 6mm2 이상
3.
제3종 접지공사 - 공칭단면적 4mm2 이상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공칭단면적 2.5mm2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제1종 접지공사 - 6mm2 이상 제2종 접지공사 - 16mm2 이상 제3종 접지공사 - 2.5mm2 이상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2.5mm2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67.
정전기가 컴퓨터에 미치는 문제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스크 드라이브가 데이터를 읽고 기록한다.
2.
메모리 변경이 에러나 프로그램의 분실을 발생시킨다.
3.
프린터가 오작동을 하여 너무 많이 찍히거나, 글자가 겹쳐서 찍힌다.
4.
터미널에서 컴퓨터에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시키거나 데이터를 분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데이터를 읽고 기록하는 것은 정상적인 작동입니다.
68.
작업장에서 근로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맞지 않는 것은?
1.
작업장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접촉하거나 접촉할 우려가 있는 배선 또는 이동전선에 대하여는 절연피복이 손상 되거나 노화된 경우에는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때에는 해당 전선의 절연성능 이상으로 절연될 수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하거나 적합한 접속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3.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한 장소에서 근로자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접촉할 우려가 있는 이동 전선 및 이에 부속하는 접속기구는 그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대하여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차량 기타 물체의 통과 등으로 인하여 전선의 절연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없더라도 통로바닥에 전선 또는 이동전선을 설치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차량 기타 물체의 통과 등으로 인하여라고 했으니 절연피복이 손상 될 우려가 있겠죠?? 그러니 통로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동살라]
우려가 없으면 사용해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69.
전기설비의 접지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접지극을 깊이 묻는다.
2.
접지극을 병렬로 접속한다.
3.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한다.
4.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촉을 좋게 하기 위해서 모래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기설비 접지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1. 심타공법으로 시공한다. (지봉을 깊이 매설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2. 접지극을 병렬 접속한다. 3.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한다. 4.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2024.03 산안산기 시험 예정자]
70.
다음 중 최대공급전류가 200A인 단상전로의 한 선에서 누전되는 최소전류는 몇 A 인가?
1.
0.1
2.
0.2
3.
0.5
4.
1.0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200×1÷2000 = 0.1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따자]
누전되는 전류는 최대공급전류 나누기 2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0x1/2000=0.1[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다음 중 소화(消火)방법에 있어 제거소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료 탱크를 냉각하여 가연성 기체의 발생 속도를 작게 한다.
2.
금속화재의 경우 불활성 물질로 가연물을 덮어 미연소 부분과 분리한다.
3.
가연성 기체의 분출 화재시 주밸브를 잠그고 연료 공급을 중단시킨다.
4.
가연성 가스나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여 혼합 기체의 농도를 연소 범위 밖으로 벗어나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4. 가연성 가스나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여 혼합 기체의 농도를 연소 범위 밖으로 벗어나게한다.←질식소화에 해당됨. [해설작성자 : 다같이 합격!]
1번이 헷갈릴 수 있는데 1번은 가연성 기체 즉, 가연물을 제거! 한 것이므로 제거 소화가 맞습니다. 가연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탱크를 냉각한 것뿐이지 냉각소화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파이팅]
72.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는 공정안전보고서의 심사결과를 송부 받은 경우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된 내용이랍니다~ [해설작성자 : 주호정호]
73.
환풍기가 고장난 장소에서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마개를 막지 않았다. 이 장소에서 작업자가 담배를 피우기 위해 불을 켜는 순간 인화성 액체에서 불꽃이 일어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다음 중 이와 같은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1.
아세트산
2.
등유
3.
에틸에테르
4.
경유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에틸에테르는 독특한 냄새를 갖는 무색의 가연성 높은 액체이다.
인화성액체 모음 에틸에테르, 가솔린,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프로필렌, 노말헥산,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황화탄소, 크실레느, 아세트산아밀, 등유, 경유, 테레핀유, 이소아밀알코올, 아세트산, 하이드라진 등이 있다.
엄청많다. 에틸에테르 외우자 [해설작성자 : 아]
74.
다음 중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습도를 높게 하면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2.
점화원을 잘 관리하면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3.
윤활유를 닦은 걸레의 보관 용기로는 금속재보다는 플라스틱 제품이 더 좋다.
4.
자연발화는 외부로 방출하는 열보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많은 경우에 발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2,3번에 대한 설명은 자연발화에 대한 방지법이고 4번만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기 1번만 보고 바로 1번 맞다고 체크하시는분 없기를 [해설작성자 : 문제를 잘 읽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토질의 특성보다는 지역의 특수성 파악을 목적으로 계측관리를 한다. [해설작성자 : 하와와은지쟝]
90.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검토자의 자격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건설안전분야 산업안전지도사
2.
건설안전기사로서 실무경력 3년인 자
3.
건설안전산업기사 이상으로서 실무경력 7년인 자
4.
건설안전기술사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기사 5년 산업기사 7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합격한다]
91.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에서 작업지휘자가 준수해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2.
기구 및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당해 작업을 행하는 장소에 관계근로자외의 자의 출입을 금지하는 일
4.
총 화물량을 산출하는 일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작업지휘자가 화물량까지 산출해야하나? 그렇게 생각하자 [해설작성자 : 카카오]
92.
흙의 동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여 지하수위를 상승시킨다.
2.
모관수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상층에 조립토층을 설치한다.
3.
지표의 흙을 화학약품으로 처리한다.
4.
흙속에 단열재료를 매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하수위를 낮춰야겠지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지면 아래로 내려갈 수록 더 따듯하답니다.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따야퍼즐맞춰진다]
93.
타워크레인을 벽체에 지지하는 경우 서면심사 서류 등이 없거나 명확하지 아니할 때 설치를 위해서는 특정 기술자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데, 그 기술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건설안전기술사
2.
기계안전기술사
3.
건축시공기술사
4.
건설안전분야 산업안전지도사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안전 2.안전 3.시공 4.안전안전 [해설작성자 : 1]
94.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과 관련하여 발끝막이판의 바닥으로부터 설치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cm 이상
2.
15cm 이상
3.
20cm 이상
4.
30cm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안전난간의 주요구성요소 :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난간기둥
상부난간대 :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이상. 발끝막이판 : 바닥면등으로부터 10cm 이상. 난간대 : 지름 2.7cm 이상. 하중 :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100kg 이상. [해설작성자 : 뱅드림]
95.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측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이 크다.
2.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3.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이 작다.
4.
타설 속도가 느릴수록 측압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슬럼프가 클수록 측압이 크다. 2.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3.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은 작아진다. 4.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5.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측압이 크다. 6.온도,습도가 낮을수록 측압이 크다. 7.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해설작성자 : 뱅드림]
96.
항타기⋅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로 사용 가능한 것은?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5% 인 것
3.
지름의 감소가 호칭지름의 8% 인 것
4.
심하게 변형된 것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와이어 로프 사용 제한 조건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스트랜드)에서 끊어진 소선(필러선 제외)의 수가 10% 이상인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4. 꼬인 것 [해설작성자 : 해피]
9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토사붕괴를 예방하기 위한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틀린 것은?2023년 11월 14일 변경된 규정 적용됨)
[오류신고 반론]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심한 손상ㆍ부식 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3.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4.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5.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6.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7.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센티미터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8.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5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9.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7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5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10. 접이식 사다리 기둥은 사용 시 접혀지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철물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치할 것 [해설작성자 : 뱅드림]
100.
추락방지망의 달기로프를 지지점에 부착할 때 지지점의 간격이 1.5m인 경우 지지점의 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연속적인 구조물이 방망지지점인 경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