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작업지시(JI) 2.작업방법(JM) 3.작업관계(JR) ○ TWI(Train Within Industry) 주로 감독자를 교육대상자로 하며 감독자는 직무에 관한지식 책임에 관한지식 작업을 가르치는 능력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기능 사람을 다루는 기량의 5가지 요건을 구비해야 한다는 전제로 전체교육시간은 10시간으로 1일 2시간씩 5일간 실시하며 한반은 10명 정도, 토의실과 실연법을 중심으로 한다. 1. 작업방법훈련(JMT : Job Method Training) : 작업개선 2. 인간관계훈련(JRT : Job Relation Training) : 부하통솔 3. 작업지도훈련(JIT : Job Instruction Training):작업지도,지시 4. 작업안전훈련(JST : Job Safety Training) : 작업안전 [해설작성자 : kjt]
2.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사실의 확인, ㉡문제점의 발견, ㉢대책수립
2.
㉠문제점의 발견, ㉡사실의 확인, ㉢대책수립
3.
㉠사실의 확인, ㉡대책수립, ㉢문제점의 발견
4.
㉠문제점의 발견, ㉡대책수립, ㉢사실의 확인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전제조건 : 재해상황의 파악 (5단계일 때) 2.제1단계 : 사실의 확인 3.제2단계 : 문제점의 발견 4.제3단계 : 근본 문제점의 결정 5.제4단계 : 대책 수립 [해설작성자 : ysys9004]
3.
교육심리학의 학습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파블로프(Pavlov)의 조건반사설은 맹목적 시행을 반복하는 가운데 자극과 반응이 결합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2.
레빈(Lewin)의 장설은 후천적으로 얻게 되는 반사작용으로 행동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3.
톨만(Tolman)의 기호형태설은 학습자의 머리 속에 인지적 지도 같은 인지구조를 바탕으로 학습하려는 것이다.
4.
손다이크(Thomdike)의 시행착오설은 내적, 외적의 전체구조를 새로운 시점에서 파악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파블로프의 조건반사설 - 동물에게 어떤 자극을 계속 주면 반사적으로 그것에 따라 반응하게 되는데 사람의 경우도 동일한 과정으로 적용하는 행동이 나타나 학습하게 된다. 2.레윈의 장설 - 한사람의 전체적인 생활공간을 뜻하는 것으로써 생활공간 내에서 개인과 심리적 환경과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이다. 생활공간중의 개인은 수동적으로만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개인의 요구에 의하여 심리적으로 한정한다. 따라서 행동은 생활공간의 함수이다. 3.톨만의 기호형태설 - 학습자의 머리 속에 인지적 지도 같은 인지구조를 바탕으로 학습하려는 것이다. 4.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 맹목적 시행을 반복하는 가운데 자극과 반응이 결합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ysys9004]
손다이크 = 준비성 효율성 연습성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4.
레빈(Lewin)의 법칙 B=f(Pㆍ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
1.
인간관계
2.
행동
3.
환경
4.
함수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B : behavior(인간의 행동) P : person(개체:연령, 경험, 심신 상태, 성격, 지능, 소질) E : environment(심리적 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f : function함수관계(적성, 기타 P와 E에 영향을 주는 조건) [해설작성자 : ysys9004]
5.
학습지도의 형태 중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해 과정에 관한 견해를 발표하고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는 토의방식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세션(Buzz session)
4.
자유토의법(Free discussion method)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포럼 -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거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고 의견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고 토의를 행하는 방법 2. 심포지엄 -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해 과정에 관한 견해를 발표한 뒤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는 토의 방법 3. 버즈세션 - 참가자가 다수인 경우에 전원을 토의에 참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회의를 진행 시키는데 일명 6-6회의라고도 한다. 4. 자유토의법 - 참가자는 고정적인 규칙이나 리더에게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의견이나 태도를 표명하며, 지식이나 정보를 상호 제공, 교환함으로써 참가자 상호 간의 의견이나 견해의 차이를 상호작용으로 조정하여 집단으로 의견을 요약해 나가는 방법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ㆍ보건관리자 또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하게 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할 수 잇는 경우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1월 16일 개정된 규정 적용)
1.
㉠ 3, ㉡ 2
2.
㉠ 2, ㉡ 3
3.
㉠ 2, ㉡ 2
4.
㉠ 3, ㉡ 3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정답을 1번에서 3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 출제 당시 해설] 중대재해가 연간 3건 이상 발생한 경우,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해설작성자 : 영훈]
중대재해란 -사망자 1명 이상 -3개월 이상 요양자 2명 이상 -같은 질병 환자 10명 이상 [해설작성자 : ㄱㅈㅂㄱ]
중대재해 2건이상, 평균재해율 2배 이상 일 경우, 관리자 질병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할수 없을때, 직업성 질병자 3개월 이상 안전 관리자 증원 가능 [해설작성자 : sc.신대]
[202년 1월 16일 관련 규정 변경후] 2020년 1월 16일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정답이 1번에서 3번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100점]
중대재해 3건에서 2건이상으로 법이 강화됨 [해설작성자 : 경이아빠]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에의해 답이 3번으로 변경됨 18년 출제 당시에는 중대재해 3건 이상 발생 이었으나, 20년 개정으로 인해 중대재해 2건 이상 발생 으로 강화됨 출제 당시엔 1번 정답, 현재는 3번 정답 [해설작성자 : DoubleM2]
7.
하인리히(Heinrich)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른 58건의 경상이 발생한 경우 무상해 사고는 몇 건이 발생하겠는가?
1.
58건
2.
116건
3.
600건
4.
900건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하인리히 1:29:300 버드 1:10:30:600 [해설작성자 : 갓]
29건의 2배 이므로 무상해 사고도 2배임..300×2=600 [해설작성자 : 한사무]
하인리히 1:29:300 경상이 58건이므로 300*2 =.600 [해설작성자 : 밍]
8.
상해 정도별 분류 중 의사의 진단으로 일정 기간 정규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해에 해당하는 것은?
영구 일부노동 불능상해 : 팔이 잘려서 평생 팔로 일하는 일을 할 수 없음 영구 전노동 불능상해 : 사망 저는 이렇게 외웠습니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데이비스(Davis)의 동기부여이론 중 동기유발의 식으로 옳은 것은?
1.
지식 × 기능
2.
지식 × 태도
3.
상황 × 기능
4.
상황 × 태도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인간의 성과=인간의 능력×동기유발 인간의 능력=지식×기능 동기유발=상황×태도 [해설작성자 : KKANG]
인간의 성과=인간의 능력×동기유발 인간의 능력=지식×기능 동기유발=상황×태도 [해설작성자 : 복사]
10.
안전보건관리조직의 유형 중 스탭형(Staff) 조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생산부문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2.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3.
생산부분에 협력하여 안전명령을 전달, 실시하므로 안전지시가 용이하지 않으며 안전과 생산을 별개로 취급하기 쉽다.
4.
명령 계통과 조언 권고적 참여가 혼동되기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은 직계참모식(라인스탭형)의 단점이다.
11.
자율검사프로그램을 인정받기 위해 보유하여야 할 검사장비의 이력카드 작성, 교정주기와 방법 설정 및 관리 등의 관리 주체는?
1.
사업주
2.
제조사
3.
안전관리전문기관
4.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사업주가 자율검사 프로그램을 인정받기 위한 충족요건 1. 관련법에 따른 검사원을 고용하고 있을 것 2.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여 고지하는 바에 따라 검사를 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이를 유지•관리할 수 있을 것. 3. 관련법에 따른 검사주기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주기마다 검사할 것. 4. 자율검사 프로그램의 기준이 안전검사 기준을 충족할 것. [해설작성자 : 야롱이]
12.
다음의 방진마스크 형태로 옳은 것은?
1.
직결식 전면형
2.
직결식 반면형
3.
격리식 전면형
4.
격리식 반면형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진마스크는 안면부 여과식(반면형)과 분리식 2종류에서 분리식은 격리식과 직결식으로 나뉜다. 1) 분리식(격리식) : 여과재 -> 연결관 -> 흡기밸브 2) 분리식(직결식) : 여과재 -> 흡기밸브 분리식(격리식) 형태는 전면형과 반면형으로 나뉘는데 투시부(얼굴전체)가 부착된 안면부는 격리식 전면형이며, 위 그림과 같이 투시부가 없는(맨 눈) 안면부는 격리식 반면형 방진마스크이다. [해설작성자 : 좋은아빠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ㆍ보건교육 기준 중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2.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3.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관리감독자 정기안전, 보건교육내용 -작업 공정의 유해, 위험과 재해예방대책에 관한사항 -표준 안전작업방법 및 지도요령에 관한 사항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사항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전북인력개발원2018-216]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근로자 정기교육, 관리감독자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에 모두 포함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근로자 정기교육 (단,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중 최초 노무제공 시 교육에도 각각 중복된 내용이 있음) [해설작성자 : iykim71]
21년 법개정으로 근로자,관리감독자,채용시 교육내용에 '일반관리에 대한 사항'이 없어지고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사항 으로 통합,변경
(근로자), (관리감독자), (채용시,작업내용변경시) 교육사항에 아래사항 추가 '-직장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으로인한 건강 장애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관리감독자), (채용시,작업내용변경시) 교육사항에 아래사항 추가 '-산업안전및 사고예방'에 관한사항 (근로자 정기안전교육내용에만 있던 것) [해설작성자 : hong]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 내용에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 추가되었습니다. 2022년 구민사 산업안전기사 교재 222쪽에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합격기원]
<문제 해설> *특급 1.베릴륨등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들을 함유한 분진 등 발생장소 2.석면 취급장소 *1급 1.특급마스크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2.금속흄 등과 같이 열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장소 3.기계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 장소(규소등과 같이 2급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도 무방한 경우는 제외한다.) *2급 1.특급 및 1급 마스크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해설작성자 : ysys9004]
생체 리듬(Bio Rhythm)중 일반적으로 33일을 주기로 반복되며, 상상력, 사고력, 기억력 또는 의지, 판단 및 비판력 등과 깊은 관련성을 갖는 리듬은?
1.
육체적 리듬
2.
지성적 리듬
3.
감성적 리듬
4.
생활 리듬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지성적 리듬 - 33일 주기 - 상상력, 사고력, 기억력, 인지력, 판단력 등이 증가 [해설작성자 : 영훈]
육체: 23일 - 한달에 주말빼고 23일 일함으로 암기 감성: 28일 - 감성적인 여성의 생리주기 28일로 암기 [해설작성자 : 기다리바]
23일 육체 28일 감성 33일 육체에서부터 가슴 머리 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에너지 대사율(RM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
보통작업시 RMR은 4~7임
3.
가벼운 작업시 RMR은 0~2임
4.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RMR에 의한 작업강도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최경작업(0~1) - 경작업 (1~2) - 中작업 (2~4) - 重작업(4~7) - 초중작업(7이상) [해설작성자 : 허용]
위에 사람이 한자로 적어서 헷갈리실탠데 초경작업 : 0~1 경작업 : 1~2 보통작업 : 2~4 중작업 : 4~7 초중작업 : 7이상 [해설작성자 : 보통작업이라 적어놓지]
- 경작업(0~1) - 경작업 (1~2) - 중中작업 (2~4) *中:가운데 중 - 중重작업(4~7) *重:무거울 중 - 초중작업(7이상) [해설작성자 : 그리그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1은 없어유~ (구민사 25년) [해설작성자 : 망고]
22.
FMEA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브시스템 분석 시 FTA보다 효과적이다.
2.
시스템 해석기법은 정성적ㆍ귀납적 분석법 등에 사용된다.
3.
각 요소간 영향 해석이 어려워 2 가지 이상 동시 고장은 해석이 곤란하다.
4.
양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훈련 없이 해석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FMEA 방법 - 정성적 - 귀납적 FMEA의 장.단점 - 장점 :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훈련없이 분석을 할 수 있다. - 단점 : 논리성이 부족하고 특히 각 요소 간의 영향을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날 경우 분석이 곤란하며, 또한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적원인을 분석하는 데는 곤란이 있다.
[추가 해설]
결함위험분석(FHA): 한 계약자만으로 모든 시스템의 설계를 담당하지 않고 몇 개의 공동계약자가 분담할 경우 서브시스템(subsystem)의 해석에 사용되는 분석법 [해설작성자 : 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FTA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보기 1번 FTA 가 맞습니다. 구민사 과년도로 확인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토목전공]
[오류신고 반론] 에듀윌도 FTA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하인리히]
23.
A사의 안전관리자는 자사 화학 설비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제2단계인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평가 항목 대상을 분류하였다. 주요 평가 항목 중에서 설계관계항목이 아닌 것은?
1.
건조물
2.
공장 내 배치
3.
입지조건
4.
원재료, 중간제품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안정성 평가 1)정성적 평가 : 설계관련(입지조건, 공장내 배치, 건조물, 소방설비), 운전관련(원재료, 중간제제품, 공정, 수송, 저장, 공정기기) 2)정량적 평가 : 취급물질, 설비용량, 온도, 압력, 조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성적평가 : 설계관련(입지조건, 공장내배치, 소방설비, 공정기기), 운전관련 (수송,저장,원재료,중간체,제품) 정량적 평가 : 취급물질, 화학설비용량, 온도, 압력, 조작 [해설작성자 : 유카로]
안정성평가 : 기본자료수집-정성적평가-정량적평가-안전대책-재해정보의에 의한 평가-FTA재평가 순서 문제도 나오니 참고하세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기계설비 고장 유형 중 기계의 초기결함을 찾아내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기간은?
1.
마모고장 기간
2.
우발고장 기간
3.
에이징(aging) 기간
4.
디버깅(debugging) 기간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마모고장 : 기계적 요소나 부품의 마모,사람의 노화현상 등에 의해 고장률이 상승하는 형 우발고장 : 일정형 , 기계마다 일정하게 발생하며 고장률이 가장낮다. 에이징 : 비행기에서 3년 이상 시운전하는 기간 디버깅 : 기계의 결함을 찾아내 단시간 내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기간 [해설작성자 : 루시]
에이징 기계 등에서 쓰일 때는 '길들인다'는 의미로 쓰이며, 이 때는 번인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반복적인 작동을 하는 기계의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서 작동 부위가 서서히 마모된다. 이때, 마모가 적절한 수준까지 진행되면 마치 작동부위를 연마한 것 같은 효과가 나타나, 새 제품보다도 유연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런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일부러 기계를 작동시키는 행위를 "에이징"이라 한다. 일상생활에서 에이징이 매우 중요시되는 기기의 예로 엔진이 있으며, 어느 정도 에이징이 진행될 때까지 주의를 기울여 작동하지 않으면 성능이나 수명에 큰 영향을 끼치는 등 에이징의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기기이기도 하다.
25.
들기 작업 시 요통재해예방을 위하여 고려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들기 빈도
2.
작업자 신장
3.
손잡이 형상
4.
허리 비대칭 각도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과도한 무게 ■ 과도한 크기 ■ 손잡이의 부적절 ■ 무게중심의 불균형 또는 불안정 ■ 작업범위 ■ 작업의 빈도가 잦고 오랜 시간동안 지속 ■ 허리를 굽히고, 비틀고, 팔을 들어야 하고, 과도하게 팔을 뻗는 등의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움직임 ■ 과도한 전신진동에 장시간 노출되는 상황 [해설작성자 : 다저스우승]
26.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 구성요소를 배치할 때, 공간의 배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용빈도의 원칙
2.
중요도의 원칙
3.
공정개선의 원칙
4.
기능성의 원칙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부품배치의 원칙 1. 중요성의 원칙 : 부품을 작동하는 성능이 체계의 목표 달성에 중요한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 2. 사용빈도의 원칙 : 부품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 기능적으로 관련된 부품들(표시장치, 조정장치 등)을 모아서 배치 4. 사용순서의 원칙 : 사용 순서에 따라 장치들을 가까이에 배치 [해설작성자 : 희수]
27.
반사율이 60%인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근로자가 검사작업을 수행할 때 휘도(luminance)가 90fL 이라면 이 작업에서의 소요조명(fc)은 얼마인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를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화학설비
2.
금속 용해로
3.
건조설비
4.
전기용접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설비
모든 업종의 사업장에서 아래의 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가. 용해로 (금속 또는 비금속 광물)
나. 화학설비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별표9]」기준량 이상을 취급하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 특수화학설비란 ? 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반응기) : 반응열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매체를 투입이 가능한 반응기 : 화학물질 합성 또는 중합반응기 2) 장치 내부가 폭발위험농도 이내에서 운전되는 증류·정류·증발·추출 등 분리를 행하는 장치 3) 가열시켜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열매체가 투입되는 반응기) 4) 반응 폭주 등 이상 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5) 고온(350 ℃) 또는 고압(980 ㎪)에서 운전되는 설비 6) 화학물질 가열로(가열기)
다음 시스템에 대하여 톱사상(top event)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컷셋(minimal cutsets)을 구할 때 올바른 집합은? (단, X1,X2,X3,X4는 각 부품의 고장확률을 의미하며 집합{X1,X2}는 X1부품과 X2부품이 동시에 고장 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1.
{X1,X2}, {X3,X4}
2.
{X1,X3},{X2,X4}
3.
{X1,X2,X4},{X3,X4}
4.
{X1,X3,X4},{X2,X3,X4}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최소 컷셋을 구하는 문제는 본 회로도를 왼쪽이나 오른쪽에서 들어와서 반대로 나갈 수 없는 경우로 생각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아래쪽 선은 X4 하나 이기 때문에 무조건 고장이 나야한다. 따라서 X4는 포함이 된다.
(만약 X4가 고장나지 않으면 X1 X2 X3이 고장나도 X4만 거쳐서 본 회로를 빠져 나갈 수 있고 시스템은 정상작동 할 것이다.)
위쪽에서 X3이 고장나는 경우 X1이나 X2에 고장여부 상관없이 본 회로를 빠져나갈수 없으므로 {X3,X4}가 최소 컷셋이 되고
위쪽에서 X3이 고장나지 않는 경우 X1,X2 둘다 고장이 나야 본 회로도를 빠져나갈 수 없으므로 {X1,X2,X4}가 최소 컷셋이 된다.
따라서 답은 {X3,X4},{X1,X2,X4} 이다. [해설작성자 : 왜 해설이 없지]
32.
운동관계의 양립성을 고려하여 동목(moving scale)형 표시장치를 바람직하게 설계한 것은?
1.
눈금과 손잡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한다.
2.
눈금의 숫자는 우측으로 감소하도록 설계한다.
3.
꼭지의 시계 방향 회전이 지시치를 감소시키도록 설계한다.
4.
위의 세 가지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설계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운동적 양립성에서 일반적으로 눈금과 손잡이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우측(시계방향)으로 값이 증가되도록 설계 [양립성]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자극들간의, 반응들 간의 또는 자극반응 좋바의 관계를 말함 [운동적 양립성] 표시 및 조종장치, 체계반응의 운동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 [해설작성자 : 디디]
동목형 표시장치의 양립성이 큰 경우 1. 눈금과 손잡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 2. 눈금 수치는 우측으로 증가 3. 꼭지의 시계방향 회전 시 지사치 증가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33.
신뢰성과 보전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효과적인 보전기록자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재관리표
2.
주유지시서
3.
재고관리표
4.
MTBF 분석표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MTTR (Mean Time To Repair) 시스템과 제품이 고장이 난 후 부터 고장을 수리하거나 복구했을때 까지의 시간(기간) 2. MTTF (Mean Time To Failure) 시스템과 제품의 고장을 수리(복구)한 이후부터 다음 고장까지의 시간(기간)
MTBF는 MTTR 과 MTTF 두가지 시간의 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스템과 제품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주요한 기준이 됩니다. 시스템과 제품이 고장없이 운영되는 가용도와 신뢰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며, 정확한 측정을 통해 제품과 시스템에 대한 평가와 품질 개선, 납품시 테스트 리포트, 제품 설계 및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TA(Fault Tree Analysis)에 사용되는 논리 기호와 명칭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 전이기호
2.
: 기본사상
3.
: 통상사상
4.
: 결함사상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생략사상 2.결함사상 3.통상사상 4.기본사상 [해설작성자 : 루시]
생략사상 - 더 이상 전개할 수 없는 사상 기본사상 - 더 이상 분석할 필요가 없는 사상 통상사상 - 시스템이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일어날 것이 기대되는 사상 결함사상 - 시스템 분석에 있어서 조금 더 발전시켜야 하는 사상 전이기호 - 다른 부분에 있는 게이트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 전입과 전출기호가 있음 [해설작성자 : 잼민이]
37.
HAZOP 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워드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2.
No/Not : 디자인 의도의 완전한 부정
3.
Reverse : 디자인 의도의 논리적 반대
4.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AS WELL AS: 성질상의 증가 * PART OF: 성질상의 감소 * OTHER THAN: 완전한 대체의 사용 * REVERSE: 설계의도의 논리적인 여 * LESS: 양의 감소 * MORE: 양의 증가 * NO, NOT: 설계의 완전한 부정 [해설작성자 : 난한벼리]
1. Other than : 예상과 전혀 다름 2. No/Not : 잘 가다가 막힘 3. Reverse : 예상과 다르게 거꾸로감 4. More/Less : 의도보다 많고 / 적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틀린 것은?
1.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2.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3.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 ~ 3000Hz 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4.
300 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 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장거리는 저주파가 유리 [해설작성자 : 갓]
경계및 경보신호 설계 지침 ㆍ귀는 중역음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 사용 ㆍ300m이상 장거리용 신호는 1000Hz 이하의 진동수 사용 ㆍ장애물 및 칸막이 통과시는 500Hz 이하의 진동수 사용 ㆍ주의를 끌기 위해서는 변조된 신호 사용 ㆍ배경 소음의 진동수와 구별되는 신호 사용 [해설작성자 : 고호]
39.
동작의 합리화를 위한 물리적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고유 진동을 이용한다.
2.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3.
대체로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4.
인체표면에 가해지는 힘을 적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접촉 면적을 크게 하면 마찰저항이 증가 하여 오히려 힘이 더듭니다. 최대한 유연하게 힘안들이고 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정량적 표시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정확한 값을 읽어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디지털보다 아날로그 표시장치가 유리하다.
2.
동목(moving scale)형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나타내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보다 디지털 표시장치가 유리하다.
4.
동침(moving pointer)형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바늘의 진행 방향과 증감 속도에 대한 인식적인 암시 신호를 얻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디지털(계수형)의 경우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할 경우에 좋다. 2. 동목형의 경우 지침이 고정되어 있어 표시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3. 정확한수치, 오랫동안 표시값을 읽을 수 있는 경우는 디지털 표시장치가 우수 하지만 수치가 자주(계속적) 변하는 경우나 값의 변화방향이나 변화속도를 읽어야 하는 경우는 아날로그 표시장치가 우수 4. 동침형은 정량적인 눈금이 정성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대략적인 편차나 고도를 읽을 때 그 변화방향과 변화율 등을 알 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디디]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로봇의 작동범위 내에서 그 로봇에 관하여 교시 등(로봇의 동력원을 차단하고 행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작업을 행하는 때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과부하방지장치의 이상 유무
2.
압력제한 스위치 등의 기능의 이상 유무
3.
외부전선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 유무
4.
권과방지장치의 이상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2. 로본이 작동 범위에서 그 로봇에 관하여 교시 등(로봇의 동력원을 차단하고 하는 것은 제외한다)이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13절) : 가. 외부 전선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 유무 나. 매니퓰레이터 작동의 이상 유무 다. 제동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해설작성자 : iykim71]
42.
방사선 투과검사에서 투과사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크게 콘트라스트(명암도)와 명료도로 나누어 검토할 수 있다. 다음 중 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명암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사선의 선질
2.
필름의 종류
3.
현상액의 강도
4.
초점-필름간 거리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방사선의 성질 필름의 종류 현상액의 강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산란방사선의 양 + 시험체의 두께 [해설작성자 : 원]
초점-필름간 거리는 명료도에 영향을 준다 [해설작성자 : Jac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보기 선질이 아니고 성질입니다 검색하니까 선질(quality of radiation)이란 말이 있긴한데 21년도 3월4일 보기는 방사선의 성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긴또깡]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성질이 아니라 선질이 맞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에듀윌 산안기 기출문제집 해설
방사선 투과사진의 콘크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필름의 종류 2. 스크린의 종류 3. 방사선의 성질 4. 현상액의 강도
참고로 문제 보기의 1번은 방사선의 성질로 나오며 선원-필름사이의 거리는 콘크라스트(명암도)가 아닌 결함의 선명도와 노출시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산산산]
43.
보기와 같은 기계요소가 단독으로 발생시키는 위험점은?
1.
협착점
2.
끼임점
3.
절단점
4.
물림점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협착 : 왕복운동 끼임 : 회전부와 고정부 절단 : 날, 커터 등 물림 : 회전하는 두물체 접선물림 : 회전하는부분 접선방향으로 회전 말림점 : 회전하는물체에 옷 머리카락등이 말림 [해설작성자 : 갓]
44.
프레스 및 전단기에서 위험한계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블록의 사용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다음 중 안전 블록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금형 가공작업
2.
금형 해체작업
3.
금형 부착작업
4.
금형 조정작업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안전블록은 프레스가 작동해도 행정을 다 못마치게 블럭으로 막아놓는것(벽돌같이) 가공작업시 블럭으로 막아놓으면 작업이 불가능 [해설작성자 : 갓]
45.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의 용접ㆍ용단 또는 가열작업을 하는 경우 아세틸렌을 발생시키는 게이지 압력은 최대 몇 kPa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7
2.
88
3.
127
4.
210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아세틸렌 용접장치" -> 사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장 폭발.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 제6절 아세틸렌 용접장치 및 가스집합 용접장치 / 제1관 아세틸렌 용접장치 / 제285조(압력의 제한) 사업주는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의 용접·용단 또는 가열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게이지 압력이 127킬로파스칼을 초과하는 압력의 아세틸렌을 발생시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해설작성자 : iykim71]
4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언로드 밸브의 기능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
3.
권과방지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4.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 장치의 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클러치 및 브레이크 기능 2.1행정 1정지 기구 급정지 장치 힟 비상정지 장치의 기능 3.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4.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해설작성자 : 루시]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제35조제2항 관련) 1. 프레스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3절) 가.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나. 크랭크축ㆍ플라이휠ㆍ슬라이드ㆍ연결봉 및 연결 나사의 풀림 여부 다.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라.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마.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바. 방호장치의 기능 사. 전단기(剪斷機)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해설작성자 : iykim71]
47.
화물중량이 200kgf, 지게차의 중량이 400kgf, 앞바퀴에서 화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최단거리가 1m일 때 지게차의 무게중심까지 최단거리는 최소 몇 m 를 초과해야하는가?
1.
0.2m
2.
0.5m
3.
1m
4.
2m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화물이 가하는 모멘트랑 지게차 자중의 모멘트를 비교해서 지게차의 모멘트가 더 커야함 화물무게 x 앞바퀴~화물중심까지 거리 < 지게차무게 x 앞바퀴~지게차중심까지 거리 [해설작성자 : 갓]
200×1<400×b b>200×1/400 b>0.5 [해설작성자 : 남돌]
지게차는 화물을 실은 후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하므로 화물이 앞바퀴 앞에서 누르는 힘이 지게차 앞바퀴 뒷부분이 누르는 힘보다 세면 지게차가 앞으로 꼬꾸라지게 된다. 200 * 1 <= 400 * X 이므로 200/400 <= X 즉 0.5 <= X [해설작성자 : iykim71]
48.
다음 중 셰이퍼에서 근로자의 보호를 위한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방책
2.
칩받이
3.
칸막이
4.
급속귀환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세이퍼(형삭기) 작업의 안전 1.램은 가급적 행정을 짧게 한다. 2.바이트 짧게 물린다. 3.재질에 따라 절삭속도를 결정한다. 4.운전자는 바이트의 운동 방향에 서지 말고 측면에서 작업한다. 5.세이퍼 운동 범위에 방책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 2, 3. 셰이퍼(Shaper) 안전장치 : 방책, 칩받이, 칸막이 4. 급속귀환장치는 안전장치가 아니라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한 장치 [해설작성자 : 디디]
* 위험기계·기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 제9장 공작기계(선반, 드릴기, 평삭·형삭시, 밀링) "형삭기(slotter, shaper)"란 공작물을 테이블 위에 고정시키고 램(ram)에 의하여 절삭공구가 수평 또는 상·하 운동하면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 -> [별표 8] 공작기계(선반, 드릴기, 평삭·형삭시, 밀링)의 제작 및 안전기준(제19조 관련) 으로 연결이 되지만, 방호가드, 양수조작장치, 덮개 등 외에 특별한 방호장치가 나오지 않는다. -> 하지만 급속귀환장치는 방호장치가 아니다. 램이 왕복운동을 할 때 절삭을 하는 것은 갈 때뿐이고 돌아올 때는 절삭을 하지 않기 때문에, 능률을 올리기 위해 갈 때는 천천히 움직이지만 돌아올 때는 빨리 오게 하는 장치가 급속귀환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iykim71]
49.
지게차 및 구내 운반차의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버킷, 디퍼 등의 이상유무
2.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4.
전조등, 후미등,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게차, 구내운반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 바퀴의 이상유무 -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 충전장치를 포함한 홀더 등의 결합상태의 이상유무 [해설작성자 : 디디]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9. 지게차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제2편제1장제10절제2관) 가.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나.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다. 바퀴의 이상 유무 라. 전조등ㆍ후미등ㆍ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버킷, 디퍼는 지게차에 없음 [해설작성자 : iykim71]
버킷, 디퍼는 포크레인에 있는거 [해설작성자 : 영남대역사학과김태훈]
50.
다음 중 선반에서 절삭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짧게 끊어지도록 공구에 설치되어 있는 방호장치의 일종인 칩 제거기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칩 브레이커
2.
칩 받침
3.
칩 쉴드
4.
칩 커터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선반의 안전 장치 1. 쉴드 : 칩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2. 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3. 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4. 브레이크 : 선반의 일시 정지장치 [해설작성자 : 시험까지 2주남음]
51.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사용하는 역화방지기에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사용 시 안전에 우려가 있으므로 역화방지 후 바로 폐기하도록 해야 한다.
2.
다듬질 면이 매끈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부식, 흠, 균열 등이 없어야 한다.
3.
가스의 흐름방향은 지워지지 않도록 돌출 또는 각인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4.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울(steelwool), 다공성 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역화방지기의 일반적 구조> 1.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 및 방출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토치입구에 사용하는 것은 방출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2. 역화방지기는 그 다듬질 면이 매끈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부식, 흠, 균열 등이 없어야 한다. 3. 가스의 흐름방향은 지워지지 않도록 돌출 또는 각인하여 표시해야 한다. 4.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울(steel wool),다공성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5. 역화방지기는 역화를 방지한 후 복원이 되어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
역화방지기 = 시행령 제77조(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제2항 방호장치 가.아세틸렌 용접장치용 또는 가스집합 용접장치용 안전기 -> 방호장치 자율안전확인기준 고시 [별표 1] 역화방지기의 성능기준 -> 1.일반구조 가.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 및 방출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토치 입구에 사용하는 것은 방출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나. 역화방지기는 그 다듬질 면이 매끈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부식, 흠, 균열 등이 없어야 한다. 다. 가스의 흐름방향은 지워지지 않도록 돌출 또는 각인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라.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울(steel wool), 다공성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마. 역화방지기는 역화를 방지한 후 복원이 되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역화방지시험도 연속 3회 시험합니다. [해설작성자 : iykim71]
역화방지기는 역화를 방지한 후 복원이 되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김경태]
52.
초음파 탐상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반사식
2.
투과식
3.
공진식
4.
침투식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초음파 탐성법의 종류에는 반사식,투과식,공진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앙기모띠]
보일러에서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화염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중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화염을 검출하는 것은?
1.
프레임 아이
2.
스택 스위치
3.
전자 개폐기
4.
프레임 로드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프레임 아이 - 화염의 발광체(방사선, 적외선, 자외선)를 이용하여 검출 - 불꽃의 중심을 향하도록 2. 프레임 로드 - 가스의 이온화(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검출 - 가스 점화 버너에 이용 3. 스택스위치 - 화염의 발열체를 이용 - 바이메탈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측정 - 버너의 용량이 가장 큰 곳에 사용 [해설작성자 : ㄱㅈㅂㄱ]
59.
밀링작업 시 안전 수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에 브러시 등으로 제거한다.
2.
일감 또는 부속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는 반드시 기계를 정지시키고 작업한다.
3.
커터는 될 수 있는 한 컬럼에서 멀게 설치한다.
4.
강력 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컬럼에서 가깝게 설치(진동의 이유) [해설작성자 : ㄹ ㅎ ㅁ]
60.
다음 중 방호장치의 기본목적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작업자의 보호
2.
기계기능의 향상
3.
인적ㆍ물적 손실의 방지
4.
기계위험 부위의 접촉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방호장치란? 위험기계.기구의 위험장소 또는 부위에 근로자가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한 기계기능 향상과는 거리가 멈 [해설작성자 : 한번만에 가자 ㅠ]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화재ㆍ폭발 위험분위기의 생성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발성 가스의 누설 방지
2.
가연성 가스의 방출 방지
3.
폭발성 가스의 체류 방지
4.
폭발성 가스의 옥내 체류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4 옥내 체류하면 폭발 위험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day]
62.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압(교류와 직류)을 크기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저압 : 직류는 700V 이하
2.
저압 : 교류는 1000V 이하
3.
고압 : 직류는 800V를 초과하고, 6kV 이하
4.
고압 : 교류는 700V를 초과하고, 6kV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AC(교류) DC(직류) 저 1kv이하 1.5kv이하 고 1kv초과~7kv이하 1.5kv초과~7kv이하 특 7kv초과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 방호장치 자율안전확인 고시 -> 용접할 때에만 용접기의 주회로를 형성하고, 그 외에는 용접기의 출력측의 무부하전압을 25볼트 이하로 저하시키도록 동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 [별표 2] 전격방지기의 성능기준 : 지동시간은 모두 1.0초 (시험전압별 차이는 저전압/과전압까지 종합해서 아무튼 +/-0.2초 이내) * 지동시간"이란 용접봉 홀더에 용접기 출력측의 무부하전압이 발생한 후 주접점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iykim71]
65.
누전차단기의 시설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설장소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설치한다.
2.
정격전류용량은 해당 전로의 부하전류 값 이상이여야 한다.
3.
정격감도전류는 정상의 사용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4.
인체감전보호형은 0.05초 이내에 동작하는 고감도고속형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0.03초 이내
누전차단기 접속할 때 준수사항 1.전기기계,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30밀리암페어 이하이고 작동시간은 0.03초 이내일 것 2.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계,기구마다 누전차단기를 접속할 것 3.누전차단기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에 접속하거나 꽂음접속기형 누전차단기를 콘센트에 접속하는 등 파손이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소에 접속할 것 4.지락 보호전용 기능만 있는 누전차단기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나 차단기 등과 조합하여 접속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6.
방폭전기기기의 온도등급에서 기호 T2의 의미로 맞는 것은?
1.
최고표면온도의 허용치가 135℃이하인 것
2.
최고표면온도의 허용치가 200℃이하인 것
3.
최고표면온도의 허용치가 300℃이하인 것
4.
최고표면온도의 허용치가 450℃이하인 것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고 표면 온도의 범위(℃)/ 온도 등급 300초과 450이하 / T1 200초과 300이하 / T2 135초과 200이하 / T3 100초과 135이하 / T4 85초과 100이하 / T5 85이하 / T6 [해설작성자 : 공지사항]
"방폭구조(防爆構造) 전기기계·기구 및 부품" ->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제7장) -> [별표 6] 가스.증기방폭구조인 전기기기의 일반성능기준(제13조 관련) -> 분류 : 그룹I (폭발성 메탄가스 위험분위기) / 그룹II (그 외) -> 그룹II 전기기기의 최고표면온도 분류방법 중에 온도등급이 있다. 온도등급 최고표면온도(℃) T1 450 T2 300 T3 200 T4 135 T5 100 T6 85 * T1이 제일 뜨겁고 T6가 제일 차다 [해설작성자 : iykim71]
<가스의 발화도 등급> 과 기호만 다르고 450도가 최대온도 이니 같이 외우시길 권장드림 단 전기등급T는 같은범위에 이하이고 가스발화도는 초과임 G1: 450℃ 초과 G2: 450℃ 이하 ~ 300℃ 초과 G3: 300℃ 이하 ~ 200℃ 초과 G4: 200℃ 이하 ~ 135℃ 초과 G5: 135℃ 이하 ~ 100℃ 초과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67.
사업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동식 전기기계ㆍ기구의 안전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충전부 전체를 절연한다.
2.
절연이 불량인 경우 접지저항을 측정한다.
3.
금속제 외함이 있는 경우 접지를 한다.
4.
습기가 많은 장소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절연이 불량인 경우에는 절연저항을 측정 [해설작성자 : 마법사]
절연이 불량인 경우 접자 또는 누전처단기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허용보폭전압에 대한 수식으로 맞는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허용접촉전압 E = (인체의 저항 + 3/2*지표상층 저항률) * 심실세동전류 허용보폭전압 E = (인체의 저항 + 6*지표상층 저항률) * 심실세동전류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문제 해설> 니트로글리세린은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승화성이 강한 물질로 플라스틱 병에 넣으면 안되고, 갈색 유리병에 넣어서 햇빛을 완전 차단시키고 15~30도 정도에 보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예띠]
니트로글리세린은 알코올에 적셔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칼륨 석유 속에 저장 니트로글리세린 알코올 속에 저장 [해설작성자 : 루피]
86.
화학설비 가운데 분체화학물질 분리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건조기
2.
분쇄기
3.
유동탑
4.
결정조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분쇄기: 분리장치가 아닌 취급장치 [해설작성자 : 분쇄]
"화학설비" 시행령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시행규칙 :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 "안전보건규칙 별표 7" (안전보건규칙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자체에서도 화학설비는 모두 [별표 7] 참조 [별표 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1. 화학설비 가. 화학물질 반응/혼합장치 : 반응기, 혼합조 나. 화학물질 분리장치 : 증류탑, 흡수탑, 감압탑 다. 화학물질 저장/계량설비 : 저장탱크, 계량탱크, 호퍼, 사일로 라. 열교환기류 : 응축기, 냉각기, 가열기, 증발기 마. 점화기를 직접 사용하는 열교환기류 : 고로 바. 화학제품 가공설비 : 캘린더, 혼합기, 발포기, 인쇄기, 압출기 사. 분체화학물질 취급장치 : 분쇄기, 분체분리기, 용융기 아. 분체화학물질 분리장치 : 결정조, 유동탑, 건조기 자. 화학물질 이송/압축설비 : 펌프류, 압축기, 이젝터 * 화학물질 이송/압축설비라고 하더라도 배관, 밸프, 관, 부속류 등은 화학설비가 아니고 화학설비의 부속설비이다. [해설작성자 : iykim71]
87.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할 때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측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계
2.
유량계
3.
온도계
4.
비중계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비중계란 물에 대한 상대밀도를 나타내는 비중(Specific gravity)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 [해설작성자 : 한입만]
88.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ㆍ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몇 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인 경우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를 독립된 단층건물로 하여야 하는가? (단, 건조실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하거나 건축물이 내화구조인 경우는 제외한다.)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위험물 건조실을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하여야 하는 경우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 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 건조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목의 1의 용량에 해당하는 건조설비 고체 또는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0KG 이상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M^3이상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KW 이상
[추가 해설] "위험물"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령,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다루고 있지만 "건조설비"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만 다룬다.
제280조(위험물 건조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험물 건조설비(이하 "위험물 건조설비"라 한다) 중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는 독립된 단층건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건조실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하거나 건축물이 내화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 2.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의 용량에 해당하는 건조설비 가. 고체 또는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0킬로그램 이상 나.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세제곱미터 이상 다.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킬로와트 이상 [해설작성자 : iykim71]
<문제 해설> 숯/코크스/목탄/금속분 등의 가열물 표면에서 산화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며 연소하는 것, 열분해반응이 없으므로 불꽃이 없다. [해설작성자 : 뉴비]
표면연소: 다공성 가연물 층에서 일어나는 저온 무염 연소로, 훈소 연소라고도 불립니다. 가연물 자체의 연소이며, 열분해나 승화, 증발 과정 없이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집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목탄, 숯, 담배 등이 있습니다. 표면연소의 특징: 화염이 나타나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연소됩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추가 해설] 노출기준 근로자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 노출기준 이하 수준에서는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기준을 말하며, 1일 작업시간동안의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ime Weighted Average, TWA), 단시간노출기준(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 또는 최고노출기준(Ceiling, C)으로 표시한다.
보통 흙의 건지를 다음 그림과 같이 굴착하고자 한다. 굴착면의 기울기를 1:0.5로 하고자 할 경우 L의 길이로 옳은 것은?
1.
2m
2.
2.5m
3.
5m
4.
10m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울기 = 높이/밑변 비율로 나타낼경우 높이:밑변
높이 1 : 밑변 0.5 밑변 = 2.5m [해설작성자 : 갓]
1: 5 = 0.5 : x 1:0.5 는 1/2이기 때문에 5 x 1/2 = 2.5 (1 -> 0.5 되려면 절반 1/2) [해설작성자 : 수학 쌩초보]
102.
흙막이 지보공을 조립하는 경우 미리 조립도를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 조립도에 명시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배치
2.
부재의 치수
3.
부재의 긴압정도
4.
설치방법과 순서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립도에는 부재의 배치,치수,재질 및 설치방법과 순서가 명시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긴압 : 압축하여 단단하게 만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재배치로 외우자
재질 및 설치방밥 배치 치수 [해설작성자 : 회상]
부재의 긴압정도 -터널지보공 관련 내용 [해설작성자 : 북삼고노경환]
103.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속도 기준은?
1.
최대 제한 속도가 10km/h 이하
2.
최대 제한 속도가 20km/h 이하
3.
최대 제한 속도가 30km/h 이하
4.
최대 제한 속도가 40km/h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업주는 작업장소의 지반, 지형상태에 따라 제한속도를 설정 (매시간 10km 미만인것은 제외해부러~) [해설작성자 : 그냥 집이 제일 안전]
104.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시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사전점검 실시
2.
모든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 이상 후방으로 옮길 것
3.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에 대한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4.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발파용은 반드시 단독회선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갓]
105.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달기 와이어로프 : 5 이상
2.
달기 강선 : 5 이상
3.
달기 체인 : 3 이상
4.
달기 훅 : 5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체인/훅 : 5 이상 달기 강대,달비계 상하부 : 강재는 2.5 이상 목재는 5 이상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55조(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사업주는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여 실어서는 안 된다.[전문개정 2024.6.28.] 기존 달비계 안전계수 항목이 삭제되었음(규정된 답이 없음)
106.
다음 보기의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3
2.
3.5
3.
4
4.
4.5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를 제외)에 대하여는 다음 각 목의 정하는 바에 의할 것 1.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문제의 경우 파이프서포트이므로 위 내용은 해당이 안되니 3.5m를 초과할 경우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방향으로 설치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과 기붕이]
107.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철골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단면이 일정한 구조물
2.
기둥이 타이플레이트형인 구조물
3.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구조물
4.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이상인 구조물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높이 20m 이상의 구조물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이상인 구조물 -단면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구조물 -연면적당 철골량이 50kg/m2 이하인 구조물 -기둥이 타이플레이트형인 구조물 -이음부가 현장용접인 구조물 [해설작성자 : 디디]
108.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중 안전시설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안전통로
2.
비계에 추가 설치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3.
사다리 전도방지장치
4.
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안전시설비"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 제7조(사용기준) 제1항 - 2. 안전시설비 등: (생략) 제2항 -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항목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거나 별표 2의 사용불가 내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별표 2]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1. 안전관리자 등의 인건비 및 각종 업무 수당 등 : (내용 생략. 전담하지 않거나 겸임하면 안준다) 2. 안전시설비 등 : 가.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한 가설시설, 장치, 도구, 자재 등 2) 각종 비계, 작업발판, 가설계단.통로, 사다리 등 (기타 전후 항목 생략) - 다만, 비계.통로.계단에 추가 설치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사다리 전도방지장치, 틀비계에 별도로 설치하는 안전난간.사다리, 통로의 낙하물방호선반 등은 사용 가능함 [해설작성자 : iykim71]
안전시설비로 사용 할 수 없는 것:계발통(가설계단,안전발판,안전통로) [해설작성자 : 허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당 문제 관련 법령의 삭제로 정답이 없음
[추가 오류 신고] 관련 법령 개정에 따라 "안전관리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삭제로 정답 없음 [해설작성자 : KKKYYY]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답 1. 안전통로
안전관리비 사용불가 항목 - 안전시설비 관련 * 외부인 출입금지,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울타리 * 각종 비계, 작업발판, 가설계단 통로 사다리등 ※안전발판, 안전통로, 안전계단 등과 같이 명칭에 관계없이 공사수행에 필요한 가시설들은 사용불가 ※다만 비계·통로·계단에 추가 설치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사다리전도방지장치, 틀비계에 별도로 설치하는 안전 난간·사다리 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등은 사용가능함
-출판사 책과 상상- [해설작성자 : 미스터 겸쟁]
[추가 오류 신고] 해커스 2024년 기준으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이 삭제 되었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2025 해커스 산안기 책에 나온 해설에 따르면 고용부고시에서 2022년 6월 2일 개정으로 삭제된 항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을..]
109.
터널 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낙반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터널 지보공을 설치한다.
2.
록볼트를 설치한다.
3.
환기, 조명시설을 설치한다.
4.
부석을 제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록볼트 : 터널 천장뚫어서 볼트를 박아 놓는데 천장이 갈지거나 떨어지는 것 방지 [해설작성자 : 록씨저페이파]
터널등의 건설작업시 낙반등의 조치기준 1. 터널지보공 설치 2. 록볼트 설치 3. 부석제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1조(낙반등에 의한 위험의 방지) 정재수 2021 과년도 풀이 참고 [해설작성자 : 해설은 고마운데]
110.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m 이상 1.8m 이하, 장선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 으로 묶어세울것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규정 개정] 1.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이하, 장선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띠장간격 2m이하 [해설작성자 : 끄윽]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을 위한 거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 것
4.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동식 비계의 구조 1.바퀴는 브레이크,쐐기등으로 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지지를 설치할 것 2.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3.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4.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5.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12.
유해ㆍ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를 하지 아니하고는 양도, 대여, 설치 또는 사용에 제동하거나, 양도ㆍ대여를 목적으로 진열해서는 아니 되는 기계ㆍ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게차
2.
공기압축기
3.
원심기
4.
덤프트럭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해, 위험방지를 위한 방호조치를 하지 않고 양도, 대여, 설치 등을 해서는 안되는 기계, 기구 -예초기 -원심기 -공기압축기 -금속절단기 -지게차 -포장기계(진공포장기, 랩핑기로 한정) [해설작성자 : 디디]
113.
화물운반하역 작업 중 걸이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2.
인양 물체의 안정을 위하여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매다는 각도는 6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매다는 각도는 60도 이내 [해설작성자 : 루시]
"운반하역" ->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 제22조(걸이) 걸이 작업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2. 인양 물체의 안정을 위하여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밑에 있는 물체를 걸고자 할 때에는 위의 물체를 제거한 후에 행하여야 한다. 4. 매다는 각도는 60도 이내로 하여야 한다. 5.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iykim71]
114.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2.
개구부 상부에 동바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받침대를 설치할 것
3.
거푸집이 곡면인 경우에는 버팀대의 부착등 그 거푸집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4.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이나 장부이음을 피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해설작성자 : ㅇㅇ]
115.
사업의 종류가 건설업이고, 공사금액이 850억원 일 경우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관리자를 최소 몇 명 이상 두어야 하는가? (단, 상시근로자는 600명으로 가정)
1.
1명 이상
2.
2명 이상
3.
3명 이상
4.
4명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20억 이상일 때 1명 800억 이상일 때 2명 [해설작성자 : forza milan]
800억, 600명 기준 : 2명 700억 추가 또는 300명 추가 : 1명 추가 [해설작성자 : 공기밥추가]
시행령 [별표 3]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의 종류,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 안전관리자의 수 및 선임방법(제16조제1항 관련) -> 건설업이 아니면 사업의 종류 및 상시근로자 수에 따라, 건설업이면 공사금액에만 따라서 안전관리자 수가 정해짐 -> 건설업인 경우 공사금액 | 안전관리자 수 ---------------------------------------------------------- 50억 이상 ~ 800억 미만 | 1명 이상 ---------------------------------------------------------- 800억 이상 ~ 1500억 미만 | 2명 이상 ---------------------------------------------------------- 1500억 이상 ~ 2200억 미만 | 3명 이상 ---------------------------------------------------------- 2200억 이상 ~ 3000억 미만 | 4명 이상 ---------------------------------------------------------- 3000억 이상 ~ 3900억 미만 | 5명 이상 ---------------------------------------------------------- 3900억 이상 ~ 4900억 미만 | 6명 이상 ---------------------------------------------------------- 4900억 이상 ~ 6000억 미만 | 7명 이상 ---------------------------------------------------------- 6000억 이상 ~ 7200억 미만 | 8명 이상 ---------------------------------------------------------- 7200억 이상 ~ 8500억 미만 | 9명 이상 ---------------------------------------------------------- 8500억 이상 ~ 1조 미만 | 10명 이상 ---------------------------------------------------------- 1조 이상 | 11명 이상 ----------------------------------------------------------
[해설작성자 : iykim71]
116.
선박에서 하역작업 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현문 사다리 및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선박이 최소 몇 톤급 이상일 경우인가?
1.
500톤급
2.
300톤급
3.
200톤급
4.
100톤급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항만하역작업의 안전수칙 -300톤급 이상의 선박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에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현문 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사다리 밑에 안전망 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17.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2.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 이상으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미만으로 할 것
3.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할 것
4.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멋진 타바로]
크레인 = (설치식(고정))크레인 + 이동식 크레인 으로 분류 물론 타워크레인은 설치식(고정)
타워크레인의 "설치" 관련해서는 2가지 법령이 해당됨. (1) 시행령 제74조(안전인증대상기계등) 제1항에 속함 ->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고시 / [별표 2] 크레인 제작 및 안전기준 / 12. 고정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편 안전기준 / 제1장 기계·기구 / 제9절 양중기 / 제2관 크레인 / 제142조(타워크레인의 지지) -> 당연히 (1),(2)는 거의 비슷한 내용이어야 하겠는데... 지지점 갯수가 다르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고시] 기준으로 보면 : (1.은 타 법조문 참조라서 제외) 2.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3.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도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4.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고, 와이어로프를 클립·샤클(shackle, 연결고리) 등의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풀리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 중에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것 5.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架空電線)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크레인 제작 및 안전기준]에서는 "지지점은 3개소 이상 등각도로 설치할 것"으로 되어 있음. 아무튼... 문제에서는 등각도 언급이 없었으므로 4개소 이상이어야 하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iykim71]
118.
터널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지보공에 대한 점검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재의 긴압 정도
2.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3.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보공 점검사항]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탈락의 유무 및 상태 -부재의 긴압 정도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의 상태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해설작성자 : 디디]
지보공 : 건설 공사에서 굴착된 부분을 지지하여 붕괴를 방지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 [해설작성자 : 회상]
119.
작업중이던 미장공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공구에 의해 상해를 입었다면 어느 부분에 대한 결함이 있었겠는가?
<문제 해설>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1.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때 1.권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3.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해설작성자 : forza milan]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5.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9절제3관) 가. 권과방지장치나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나. 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다.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4.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제2편제1장제9절제2관) 가. 권과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나.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trolley)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다.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 트롤리 : T형 크레인에서 수직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 역할의 격자가 지브(jib)인데 호이스트를 매달아가지고 지브 밑에서 지브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트롤리. 지브가 모노레일이면 트롤리가 모노레일 열차 같은 개념. [해설작성자 : iykim71]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3 에듀윌 교재 기준 문제와 보기가 아예 다릅니다 P362페이지 109번 문제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2.권과방지장치기능 3.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4.작업장소의 지반상태 로되어있으며 아닌 것은 답 4번임
***크레인 작업전 점검사항은 아래와 같다. 가.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나.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다.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해설작성자 : 오이맛고구마]
[오류신고 반론] 오이맛 고구마님 문제는 아에 다른 문제네요.
크레인 점검사항과 이동식 크레인 점검사항 차이점은 트롤리 레일 유무입니다. 이동식 크레인은 트롤리 자체가 없습니다. 그래서 실기 준비할 때 권주와, 권브와로 외웁니다. 답 1번 맞아요.
맨 위 [forza milan]님 해설만 보고 넘어가세요. [해설작성자 : 햇갈리게 하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