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McGregor의 X.Y 이론 X 이론 | Y 이론 --------------------------------------------- ① 인간 불신감 상호 신뢰감 ② 성악설 성선설 ③ 인간은 원래 게으르고 인간은 부지런하고,근면, 적극적이며,자주적이다. 태만하여 남의 지배 정신욕구(고차적욕구) 받기를 즐긴다. 목표통합과 자기통제에의한 자율 관리 ④ 물질욕구(저차적욕구) 선진국형 ⑤ 명령 통제에 의한 관리 ⑥ 저개발국형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 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산업안전 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규정 개정] 개정 2021. 1. 19.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제26조제1항 관련)
가. 근로자 정기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나. 관리감독자 정기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 표준안전 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에 관한 사항 - 현장근로자와의 의사소통능력 향상, 강의능력 향상 및 그 밖에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등에 관한 사항. 이 경우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교육은 별표 4에 따라 관리감독자가 받아야 하는 전체 교육시간의 3분의 1 범위에서 할 수 있다.
다.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안전가자]
규정 개정된 것은 맞으나 문제오류는 없습니다. 문제의 보기 1~3번은 '근로자 채용,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내용'에 해당하고, 문제의 보기 4번은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답은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뀨뀨꺄꺆]
3.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모든 재해는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ㆍ파악ㆍ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야 한다.
2.
안전보건은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및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로 시작된다.
3.
안전보건을 추진하는 데에는 관리감독자들의 생산활동속에 안전보건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안전보건은 각자 자신의 문제이며, 동시에 동료의 문제로서 직장의 팀 멤버와 협동 노력하여 자주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4.
헤드십(heads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2.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3.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
4.
상사의 권한 근거는 비공식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head-ship 1) 권위주의적 2) 개인중심적 3)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4) 상사의 권한 근거는 공식적이다.
교육의 형태에 있어 존 듀이(Dewey)가 주장하는 대표적인 형식적 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1.
가정안전교육
2.
사회안전교육
3.
학교안전교육
4.
부모안전교육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형식적 교육 : 학교교육 비형식적 교육 : 가정,사회,자연교육 [해설작성자 : 안전맨]
어렸을 때 학교에서 배운 것들은 "형식적"인 교육들 그 외는 부모님의 사랑으로 가르친 "비형식적"인 교육 [해설작성자 : 부모님 사랑합니다]
6.
집단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집단의 규범은 변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불변적이다.
2.
집단 내에 머물도록 하는 내부의 힘을 응집력이라 한다.
3.
규범은 집단을 유지하고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4.
집단이 하나의 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집단 목표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1. 집단의 규범은 항상 변화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김경태]
7.
스탭형 안전조직에 있어서 스탭의 주된 역할이 아닌 것은?
1.
실시계획의 추진
2.
안전관리 계획안의 작성
3.
정보수집과 주지, 활용
4.
기업의 제도적 기본방침 시달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안전관리 조직의 3가지 1.라인형(line):계획에서부터 실시까지의 모든 안전관리를 생산라인을 통하여 함께 이루어지도록 편성된 조직으로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조직이다. -장점:조직이 단순하고 명령계통이 직선적으로 이루어 짐으로 안전에 관한 지시,명령 계통이 철저하며 안전대책의 실시가 신속하다. 따라서 명령과 보고가 간단 명료하다. -단 점:생산라인의 종업원이 안전관리업무를 병행함으로써 안전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고 안전에 관한 정보가 불충분하다. 특히 생산라인이 과부하인 경우 형식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다. 2.스텝형(staff):안전을 전담하는 참모를 두고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과 조정, 조사, 검토,권고, 보고 등의 일과 현장에 대한 기술지원을 담당하도록 하는 조직이다. -장 점:안전관리만을 전담하는 담당자와 조직이 있으므로 안전에 관한 전문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 또한 안전에 관한 정보가 빠르게 입수,분석되고 경영자에게 조언과 자문 역활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업무가 표준화, 전문화되어 직장에 정착이 용이하다. -단 점:생산조직과 별도의 조직으로 안전지시나 명령이 작업자에게까지 신속,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담 안전조직이 생산조직과 원할한 융합되지 않는 경우 생산부분과 안전부분간의 마찰이 일어날 수 있고 생산부분에서는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기 때문에 능동적인 안전관리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울수 있다 3.라인스텝형:안전업무를 전문적으로 관할하는 스탭부문을 두는 한편 생산라인의 각 층에는 겸임 또는 전임의 안전담당자를 두는 방식이다. 안전대책은 스탭부문에서 기획되고 이것을 라인을 통해서 실시하도록 하는 조직으로 대규모 사업장에 필수적인 조직이다. -장 점:안전에 관한 전문적인 계획과 대책은 스탭부문에서 기획조사, 입안, 검토 연구하고 라인을 통하여 실시하되 생산라인의 각 계층에도 안전업무를 겸임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활동이 생산활동과 조화있게 협조가 된다. 따라서 전근로자가 안전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부여된다. -단 점:스탭조직에서 라인조직의 업무와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월권행위가 발생할 소지가 있고 명령계통과 조언, 권고적 참여가 혼동되기 쉽다.
8.
재해통계를 포함하여 산업재해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 중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설비상의 결함 요인을 개선, 시정하는데 활용한다.
2.
관리상 책임 소재를 명시하여 담당자의 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3.
재해의 구성요소와 분포상태를 알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4.
근로자 행동결함을 발견하여 안전교육 훈련 자료로 활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평가가 아닌 재발방지용 [해설작성자 : 쇼갱]
9.
인간관계 관리기법에 있어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집단 내부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소시오매트리(sociometry)
2.
그리드 훈련(grid training)
3.
집단역학(group dynamic)
4.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소시오매트리 :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집단 내부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2 그리드훈련 : 경영자의 리더십을 함양시킴으로써 인간관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발된 훈련기법 3 집단역학 : 조직의 정체성을 탈피하여 동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집단의 특성을 설명하고 집단행동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등장한 개념 4 감수성훈련 : 소집단 모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와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회성 훈련기법 [해설작성자 : audgjs6406]
10.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근로자의 유해ㆍ위험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1.
근로자의 안전ㆍ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2.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4.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업무 1)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란 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근로자의 안전, 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의 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8) 안전, 보건에 관련된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시의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9) 근로자의 유해, 위험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Michael Ross]
2번에 해당되는 내용은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의 업무입니다. 15년 3회차 문제에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 인증 표시에 해당하는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의 안전인증표시 2.한국산업규격 3.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 등이 아닌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인증표시 4.공산품안전 [해설작성자 : jyw3304]
12.
바람직한 안전교육을 진행시키기 위한 4단계 가운데 피 교육자로 하여금 작업습관의 확립과 토론을 통한 공감을 가지도록 하는 단계는?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전 교육의 3단계 ① 지식교육 ② 기능교육 ③ 태도교육 *지식 교육의 4단계 ① 제 1 단계 : 도입(준비) - 학습할 준비를 시킨다. ② 제 2 단계 : 제시(설명) - 작업을 설명한다. ③ 제 3 단계 : 적용(응용) - 작업을 시켜본다 ④ 제 4 단계 : 확인(총괄,평가) - 가르친 뒤 살펴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강의식일때는 제시(40분) 토의식일때는 적용 (40분)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13.
제조물책임법에 명시된 결함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조상의 결함
2.
표시상의 결함
3.
사용상의 결함
4.
설계상의 결함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조물책임법은 제조물에 결함이 있을 때의 책임에 관한 법이다.
설계부터가 문제가 있는 경우 설계상의 결함 제조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제조상의 결함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표시상의 결함에 해당되고 위 3가지는 제조물책임법에 해당된다
사용자가 제조물을 사용 하다가 발생하는 사용상의 결함은 제조물책임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lms]
시몬즈(Simonds) 방식의 재해손실비 산정에 있어 비보험 코스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송관계 비용
2.
신규작업자에 대한 교육훈련비
3.
부상자의 직장 복귀 후 생산 감소로 인한 임금비용
4.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해 보상된 금액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제 3자가 작업을 중지한 시간에 대하여 지불한 임금손실 2. 손상 받은 재료 및 설비수선, 교체 , 철거를 한 순손실 3. 재해 보상이 행하여 지지 않은 부상자의 작업하지 않은 시간에 지불한 임금 코스트 4. 재해에 의한 시간 외 근로에 대한 특별지불임금 5. 신입 작업자의 교육 훈련비 6. 산재에서 부담하지 않은 회사 의료 부담비용 7. 재해 발생으로 인한 감독자 및 관계근로자가 소모한 시간비용 8. 부상자의 직장복귀 후의 생산감소로 인한 임금비용 9. 기타 특수비용 (소송관계비용, 대체 근로자 모집비용, 계약해제로 인한 손해) [해설작성자 : Tol]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해 보상된 금액 : 보험코스트 = 산재보험료 [해설작성자 : 루피]
15.
주로 관리감독자를 교육대상자로 하며 직무에 관한 지식, 작업을 가르치는 능력,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기능 등을 교육 내용으로 하는 기업 내 정형교육은?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ATT(American Telephone Telegram)
4.
ATP(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1. TWI : 교육대상을 관리감독자에 두고 정형시키는 훈련방법. 직무에 관한 지식, 작업을 가르치는 능력,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기능 등을 교육 내용으로 함. 2. MTP : 관리자 훈련, 부장,과장,계장 등 중간 관리층을 대상으로 하는 관리자 훈련방법. 3. ATT : 미국 전신 전화 회사가 만든 것으로 직급 상하를 떠나 부하직원이 상사에 지도원이 될 수 있다. 4. CCS : 정책의 수립, 조직, 통제 및 운영으로 되어 있어, 강의법에 토의법이 가미된 것. [해설작성자 : jyw3304]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 중 경고표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레이저광선 경고
2.
급성독성물질 경고
3.
매달린 물체 경고
4.
차량통행 경고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차량통행경고는 금지표지의 한 종류이다. [금지표지] : 출입금지, 보행금지, 차량통행금지, 사용금지, 탑승금지, 금연, 화기금지, 물체이동금지 [해설작성자 : jyw3304]
17.
5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연간 30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35명의 재해자로 인해 250일의 근로손실이 발생한 경우 이 사업장의 재해 통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약 29.2 이다.
2.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약 0.21 이다.
3.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7 이다.
4.
근로시간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간 1인당 2400 시간을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도수율/빈도율 : 재해건수 / 연간총근로시간수 x 1,000,000 30 / (500*2400) x 1,000,000 = 25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간총근로시간수 x 1,000 250 / (500*2400) x 1,000 = 0.208333333333 반올림하여 0.21 연천인율 : 연간재해자수 / 연간근로자수 x 1,000 35 / 500 x 1000 = 70 ※시험문에제 근로시간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간 1인당 2400시간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참가자가 다수인 경우에 전원을 토의에 참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회의를 진행 시키며 6-6 회의라고도 하는 것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 세션(Buzz session)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포럼 공개된 공공의 장소에서 공공의 문제를 가지고 토의하는 방식,공청회' 또는 '공개 토의'라고도 한다. 토의 방식은 서로 대립되는 입장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한 사람씩 자신의 생각을 간략하게 발표한 후 토의자들끼리 질문을 하거나 또는 청중이 질문을 하고 토의자가 응답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심포지엄이나 패널 토의와는 달리 처음부터 청중들의 참여로 진행이 되며, 질문하고 응답하는 과정을 통하여 문제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해결책을 찾는다는 점이 포럼의 특징이다. 2.심포지엄 어떤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 3~6명이 나와 발표를 하고, 청중의 질문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토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지금부터 '학교 폭력 추방'에 대해서 토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청소년 보호 협회 회장이신 아무개 씨께서 '학교 폭력의 실태'라는 주제로 발표하시겠습니다."와 같은 식으로 진행이 된다. 이 토의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생각을 말할 때 적절한 토의 방식이며, 주로 학술 토론에서 많이 쓰인다. 사회자는 한 사람씩 나와서 말할 때마다 그 사람에 대해서 소개하고 말한 내용을 정리해 주며, 토의하는 사람들끼리는 거의 의사 교환을 하지 않는다. 3.버즈세션 J. D. 필립스가 개발한 것이다. 6명이 한 그룹이 되어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6분간 토의한 다음 전체가 모여 토의하는 방식으로,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인원이 토의할 때에 적당하다. 4.패널 디스커션 주로 사건이나 전문적인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배심원 4~6명이 모여서 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을 나누고 청중으로부터 질문을 받는 형식의 토의를 말한다. '배심 토의', '대표 토의'라고 하기도 한다. 이 토의 방식은 하나의 문제에 대하여 개인이나 단체의 입장이 각각 다를 때 그 각각을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나 권위자가 배심원으로 나와서 각자 자신의 입장에서 의견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 밖의 토의 -원탁 토의:둥근 탁자에 앉아서 모두가 평등한 입장에서 이야기할 수 있다는 데에서 유래된 것이며, 특별한 규칙을 정하지 않고 사회자도 따로 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원회식 토의:몇 개의 위원회에서 토의를 한 후 거기에서 선출된 임원들이 다시 모여 문제를 연구하고 해결 방법을 찾는 토의이다.
19.
방진마스크의 선정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배기저항이 낮을 것
2.
흡기저항이 낮을 것
3.
사용적이 클 것
4.
시야가 넓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방진마스크 선정기준* -분진포집효율이 높고 흡기·배기저항은 낮은 것 -가볍고 시야가 넓은 것 -안면 밀착성이 좋아 기밀이 잘 유지되는 것 -마스크 내부에 호흡에 의한 습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 -안면 접촉부위가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 것 -작업내용에 적합한 방진마스크의 종류를 선정
사용적은 방진마스크가 얼굴에 닿는 면적을 말합니다. 적게 닿는게 좋겠쥬? 요즘 마스크 쓰고 다니면 닿는 부분에 트러블 생각하면 적게 닿는게 좋은거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20.
무재해운동 추진기법에 있어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에서 제3단계 진행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본질추구
2.
현상파악
3.
목표설정
4.
대책수립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단계:현상파악 2단계:본질추구 3단계:대책선정(수립) 4단계:목표설정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4년 시험범위에서 무재해 제외 [해설작성자 : 돈가스87세]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인간 신뢰도(Human Reliability)의 평가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HCR
2.
THERP
3.
SLIM
4.
FMECA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답4번입니다. 인간 신뢰도 평가방법 HCR Slim therp 2번 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 휴먼 에러율 예측 기법 이므로 옳습니다. [해설작성자 : 신지훈]
THERP - 인간과오율 예측법,정량적 FMECA - FMEA+CA(정성적+정량적)
22.
안전ㆍ보건표지에서 경고표지는 삼각형, 안내표지는 사각형, 지시표지는 원형 등으로 부호가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이를 사용자가 배워야 하는 부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사실적 부호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묘사적 부호 : 사물의 행동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묘사한 것(예: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도보 표지판의 걷는 사람) 2. 추상적 부호 : 전언(傳言)의 기본요소를 도식적으로 압축한 부호로 원 개념과는 약간의 유사성이있을 뿐이다. 3. 임의적 부호 :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배워야 하는 부호(예: 교통 표지판의삼각형-주의, 원형-규제, 사각형-안내표시) [해설작성자 : 곰디곰디곰디곰디]
인간-기계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설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때 제3단계인 기본설계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화면 설계
2.
작업 설계
3.
직무 분석
4.
기능 할당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단계 :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명세결정 1. 시스템의 목표와 명세가 명백하게 정의되어야 함 2. 사용자의 요구를 정의하고 이해하는 것이 핵심 2단계 : 시스템의 정의 1.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명세가 정해지면 시스템의 실질먹인 기반을 수립할 수 있음 2. 실질적인 기반은 시스템이 수행해야할 긴으임 3단계 : 기본설계 1. 시스템이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는 단계 2. S/W에 대한 기능할당, 직무분석, 작업설계 4단계 : 인터페이스설계 1. 설계자는 MMI에 초점을 두어 설계 2. 최적의 입력가 출력장치를 선택, 인터페이스언어를 개발함 5단계 : 보조물 혹은 편의수단 설계 1. 인간성능을 도울수 있는 보조물 계획 2.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과 연관된 보조물에 관한 정밀한 분석 6단계 : 시험 및 평가 1. 시스템의 개발과 평가는 분리될수 없음 2. 개발을 단드시 평가를 통해 더 나은 개발을 가능케하고 시스템을 개선시킬수 있음
25.
다음 중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있어 정량적 평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정
2.
취급물질
3.
압력
4.
화학설비용량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량적 평가 : 숫자로 측정하고 표현하는 분석 정성적 평가 : 숫자가 아니라 말로 설명하는 분석
이거 문제 나올때마다 취급물질, 공정, 원재료로 사람 헷갈리게 만듬. 그냥(정량) 역도(압력온도) 취급 용량 조작으로 외워버리는게 좋음.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쉽게 이해 될수있게 설명해드림 딱 정해진것 온도,압력,키나 몸무게 허리둘래 물건 재료 ,,등등등 정량적 누가 하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바뀔수있는것 공정,작업,청소,등등등 정성적 내가보고 남이 봐도 같은건 정량적 내가보는거랑 남이 보는거 다를수 있는것 정성적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26.
자동차 엔진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는 경우 신뢰도를 95%를 유지시키면서 8000시간을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고장률은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 적용분야 및 기대효과 1. 작업관련성 유해 위험 작업 분석(작업환경개선) 2. 제품설계에 있어 인간에 대한 안전성평가(장비 및 공구설계) 3. 작업공간의설계 4.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디자인 5. 재해및질병예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매직넘버라고도 하며, 인간이 절대식별시 작업 기억 중에 유지할 수 있는 항목의 최대수를 나타낸 것은?
1.
3±1
2.
7±2
3.
10±1
4.
20±2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밀러는 실험을 통해 인간이 절대식별 시 작업 기억중에 유지할 수 있는 항목의 최대수를 매직넘버 7±2 라고 확인하였다.(5~9 사이) [해설작성자 : 동네바보]
29.
다음 중 청각적 표시장치보다 시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 유리한 경우는?
1.
메시지가 간단한 경우
2.
메시지가 추후에 재참조되지 않는 경우
3.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4.
메시지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불이 났을 경우 '대피하세요'를 해주는 긴급안내방송을 생각하면 쉬움. [해설작성자 : 4일뒤시험이다;]
30.
다음 중 FTA(Fault Tree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에는 적절하지 않다.
2.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정상인가 또는 고장인가로 점진적으로 구분 짓는다.
3.
“그것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라는 것은 연역적이다.
4.
사건들을 일련의 이분(binary) 의사 결정 분기들로 모형화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FTA(Fault Tree Analysis) 특정한 사고에 대하여 그 사고의 원인이 되는 장치 및 기기의 결함이나 작업자 오류 들을 연역적이며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분석법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하자]
31.
다음 중 욕조곡선에서의 고장 형태에서 일정한 형태의 고장율이 나타나는 구간은?
1.
초기 고장구간
2.
마모 고장구간
3.
피로 고장구간
4.
우발 고장구간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명 전체에 걸쳐 3가지 고장률 패턴을 모두 보여줌 - DFR (Decreasing Failure Rate) : 초기고장형,감소형 (유년기) 고장률이 시간에 따라 감소 - CFR (Constant Failure Rate) : 우발고장형,일정형 (청년기) 고장률이 시간에 따라 일정 - IFR (Increasing Failure Rate) : 마모고장형,증가형 (노년기) 고장률이 시간에 따라 증가
32.
한 대의 기계를 10시간 가동하는 동안 4회의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때의 고장수리시간이 다음 표와 같을 때 MTTR(Mean Time To Repair)은 얼마인가?
1.
0.225시간/회
2.
0.325시간/회
3.
0.425시간/회
4.
0.525시간/회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용율(Availability)은 장비의 신뢰도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측정치이다. MTBF-MTTR A= ------------ X 100(%) MTBF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무고장시간)는 고장간의 평균 간격을 말한다. 총가동시간 - 총고장시간 MTBF= --------------------- 고장횟수 MTTR(Mean Time To Repair, 평균수리시간)은 고장 유지 시간을 말한다. 총고장시간 MTTR= -------- 고장횟수 MTTR=(Ta + Tb + Tc + Td)/4 =(0.1+0.2+0.3+0.3)/4 =0.9/4 =0.225
33.
다음 중 진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인간의 성능은?
1.
추적(tracking) 능력
2.
감시(monitoring) 작업
3.
반응시간(reaction time)
4.
형태식별(pattern recognition)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중앙신경처리에 달린 임무(반응시간,감시,형태식별 등)는 진동의 영향이 적다 [해설작성자 : 원]
34.
다음 중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소음원의 통제
2.
소음의 격리
3.
소음의 분배
4.
적절한 배치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음대책> -소음원 통제 -소음의 격리 -차폐장치,흡음제 사용 -음향처리제 사용 -적절한 배치(Layout) -배경음악 -보호구 사용(가장 소극적인 대책) [해설작성자 : 원]
35.
어떤 결함수를 분석하여 minimal cut set을 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각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을 qi, i=1,2,3 이라 할 때 정상사상의 발생확률함수로 옳은 것은?
1.
q1q2 + q1q2 - q2q3
2.
q1q2 + q1q3 - q2q3
3.
q1q2 + q1q3 + q2q3 - q1q2q3
4.
q1q2 + q1q3 + q2q3 - 2q1q2q3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정상사상 T가 K1, K2, k3 중간사상 3개를 OR게이트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T = 1-(1-k1)(1-K2)(1-K3) 공식에 적용 그러므로, K1=(q1.q2), K2=(q1.q3), K3=(q2.q3)을 대입하면, T = 1-(1-k1)(1-K2)(1-K3) = k1+k2+k3-k1.k2-k2.k3-k2.k3+k1.k2.k3 = (q1.q2) +(q1.q3)+(q2.q3)-(q1.q2.q1.q3)-(q1.q3.q2.q3)-(q1.q3.q2.q3)+(q1.q2.q1.q3.q2.q3) = (q1.q2) +(q1.q3)+(q2.q3)-(q1.q2.q3)-(q1.q2.q3)-(q1.q2.q3)+(q1.q2.q3) = (q1.q2) +(q1.q3)+(q2.q3)-2(q1.q2.q3) ☞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같은 기본 사건발생은 한번만 쓰면 됨. [해설작성자 : ㅇ]
36.
다음 중 Fitts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2.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3.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짧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4.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짧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피츠의 법칙이란, 떨어진 영역을 클릭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영역까지의 거리와 영역의 폭에 따라 달라지는데, 멀리 있을수록, 버튼이 작을 수록 클릭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Fitts의 법칙 : 컴퓨터 스크린상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법칙 말 그대로 마우스 커서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켜 클릭할때, 이동 거리가 길수록, 클릭하는 표적이 작을수록 집중을 해야하니까 시간이 더 걸린다는 뜻입니다. [해설작성자 : 피츠는맥주피츠는맥주]
<문제 해설> 근전도(EMG :electromyogram) 1. 곤국활동의 전위차(척도)를 기록한 것 2. 심장근의 근전도를 특히 심전도(ECG : electrocardiogram)라 하며, 신경활동 전위차의 기록은 ENG(electroneurogram)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곤국활동의 전위차(척도)를 기록한 것 곤국X => 근육 [해설작성자 : ㅇ]
39.
재해예방 측면에서 시스템의 FT에서 상부측 정상사상의 가장 가까운 쪽에 OR 게이트를 인터록이나 안전장치 등을 활용하여 AND 게이트로 바꿔주면 이 시스템의 재해율에는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겠는가
1.
재해율에는 변화가 없다.
2.
재해율의 급격한 증가가 발생한다.
3.
재해율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한다.
4.
재해율의 점진적인 증가가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인터록이나 안전장치를 AND게이트로 변경-모두가 정상일 경우 시스템이 정상으로 가동- 재해율의 급격한 감소 [해설작성자 : 고등어]
만약 문제가 기억이 안나면 직접 예로 들어서 신뢰도를 작성해보기를 바람 정상사상 밑에 AND로 놓았을 때와 OR로 놓았을 때 고장률(재해율)을 비교해보면 됌 [해설작성자 : 감자국 ㄱㅇㅈ]
장비A,B 가 OR일경우 한가지라도 고장이면 고장으로 포함되지만 AND일경우는 두가지다 만족해야 고장이니 최소 절반 으로 급격히 줄어듬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40.
다음 중 중(重)작업의 경우 작업대의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허리 높이보다 0~10cm 정도 낮게
2.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정도 높게
3.
팔꿈치 높이보다 10~20cm 정도 낮게
4.
어깨 높이보다 30~40cm 정도 높게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입식작업대의 높이 (1) 정밀 작업 : 팔꿈치 높이보다 5~10 cm 높게 설계 (2) 일반 작업 : 팔굼치 높이보다 5~10 cm 낮게 설계 (3) 힘든 작업(重작업) : 팔꿈치 높이보다 10~20 cm 낮게 설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밀링작업의 안전수칙이 아닌 것은?
1.
주축속도를 변속시킬 때는 반드시 주축이 정지한 후에 변환한다.
2.
절삭 공구를 설치할 때에는 전원을 반드시 끄고 한다.
3.
정면밀링커터 작업 시 날끝과 동일높이에서 확인하며 작업한다.
4.
작은 칩의 제거는 브러쉬나 청소용 솔을 사용하며 제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밀링커터 작업시 얼굴이나 눈을 기계 가까이 두면 안됨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7]
<문제 해설> 과부하 방지 장치 : 양중기에 정격하중 이상의 하중이 부과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감아올리는 동작을 정지하는 장치 권과 방지 장치 : 양중기의 훅 등에 물건을 매달아 올릴때 일정 높이 이상으로 감아올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MAD]
45.
현장에서 사용 중인 크레인의 거더 밑면에 균열이 발생되어 이를 확인하려고 하는 경우 비파괴검사방법 중 가장 편리한 검사 방법은?
1.
초음파탐상검사
2.
방사선투과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액체침투탐상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비파괴검사방법 형상치수에 변화를 주지않고 어떤 종류의 입력을 주어서 그의 투과, 흡수, 산란, 반사, 침투, 누설등의 현상의 변화를 검출하여 표준들과의 비교에 의해서 시험물을 파괴하지 않고 이상의 유무나 그의 크기, 또한 분포 상태등을 조사하는 검사법을 말하며 현재는 용접물, 주조물, 압연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파괴 검사는 검사 대상물을 파괴시켜 검사하는 파괴검사와는 달리 외부에 아무런 손상도 주지 않고 검사하므로 1.품질관리2.품질평가3.보수검사에 이용된다.이 검사법은 제품의 성질, 상태, 내부구조등을 조사 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선택이나 가공법의 결정 그리고 제품의 근일화와 신뢰성 등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비파괴 검사법으로는 다음의 6가지가 있다 1) 방사선투과검사 (RT : Radiographic Testing) 2) 자분탐상검사 (MT : Magnetic Particle Testing) 3) 침투탐상검사 (PT : Liquid Penetrant Testing) 4) 초음파탐상검사 (UT : Ultrasonic Testing) 5) 와류탐상검사 (ET : Eddy Current Testing) 6) 누설검사 (LT : Leak Testing)
[추가 해설] 모두 비파괴 방법이지만 1.2.3은 보이지 않은 균열을 탐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4.은 이미 발견한 균열의 크기나 영향력을 검토하기위해 사용합니다 따라서 4번 [해설작성자 : 에신화]
1번과 2번은 내부에 대한 내용이고 3번 자분탐상은 겉을 보는것이긴 하지만 자분보다는 액체 침투가 더 편리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46.
광전자식 방호장치를 설치한 프레스에서 광선을 차단한후 0.2초 후에 슬라이드가 정지하였다. 이 때 방호장치의 안전거리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40
2.
200
3.
260
4.
320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D(안전거리mm) = 1.6 x Tm T:단위는 ms = 1.6 x 0.2(ms) = 0.32m = 320 mm
[추가 해설]
양수기동식 방호 장치 1.버튼에서 손을 떼고 위험점에 접근시에 슬라이드는 이미 하사점에 도달한 구조 2.안전거리(위험점과 버튼간의 설치거리) DM=1.6*(1/클러치개소수+1/2)*(60,000/매분행정수)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지게차의 헤드가드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4톤 이하의 지게차에서 헤드가드의 강도는 지게차 최대하중의 2배 값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2.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25cm 미만일 것
3.
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좌석 윗면에서 헤드가드의 상부틀 아랫면 까지의 높이가 1m 이상일 것
4.
운전자가 서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의 경우에는 운전석의 바닥면에서 헤드가드의 상부틀 하면까지의 높이가 2m 이상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0조, 헤드가드 1.사업주는 다음 각 호에 따른 적합한 헤드가를 갖추지 아니한 지게차를 사용해서는 안되나. 다만, 화물의 낙하에 의해 운전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최대 4톤)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나.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cm 미만일 것. 다.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는 운전자 죄석 윗면에서 헤드가드 상부틀 아랫면까지의 높이가 1m 이상일 것. 라.운전가가 서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의 경우는 바닥면에서 헤드가드 상부틀 하면까지 높이가 2m 이상일 것.
[추가 해설] 3. 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좌석 윗면에서 헤드가드의 상부틀 아랫면 까지의 높이가 1m 이상일 것 --> ** (현행) 앉는 방식: 1m, 서는 방식: 2m → (개정) 앉는 방식: 0.903m, 서는 방식: 1.88m
○ 통전 경로별 위험도 오른손-등(0.3) 왼손-오른손(0.4) 왼손-등(0.7) 한손 또는 양손-않아있는 자리(0.7) 오른손-한발 또는 양발(0.8) 양손-양발(1.0) 왼손-한발 또는 양발(1.0) 오른손-가슴(1.3) 왼손-가슴(1.5)
63.
다음은 어떤 방폭구조에 대한 설명인가
1.
안전증방폭구조
2.
내압방폭구조
3.
몰드방폭구조
4.
본질안전방폭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내부폭발로 가연성 물질에 파급되지 않게하는 구조 몰드방폭구조->컴파운드로 밀봉 본질안전방폭구조-> O족장소에 전기기계,기구사용 시 안전증방폭구조->권선부 단자부 등에 과열이나 온도상슨 제한 [해설작성자 : 허찬]
1. 내압방폭구조 : 용기 내부 발생 점화원 외부 위험원에 점화 안되게, 발생 폭발압력에 견디는 구조. 큰 전류 사용하는 전기기기의 방폭조조에 적합 2. 압력방폭구조 : 전기설비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 봉입 용기 내부에 가연성가스 등 침입 못하게 한 구조 3. 유입방폭구조 : 불꽃,아크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기름 면 위에 존재하는 가스,증기 등에 인화될수 없도록 한 구조, 주로 변압기 등 4. 본질안전방폭구조 : 점화원의 에너지를 점화 유발 수준 이하로 제한한 방폭구 [해설작성자 : 1234]
64.
전기 작업에서 안전을 위한 일반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로의 충전여부 시험은 검전기를 사용한다.
2.
단로기의 개폐는 차단기의 차단 여부를 확인 한 후에 한다.
3.
전선을 연결할 때 전원 쪽을 먼저 연결하고 다른 전선을 연결한다.
4.
첨가전화선에는 사전에 접지 후 작업을 하며 끝난 후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전선을 연결할때는 부하쪽을 먼저 연결 [해설작성자 : 맑갑]
65.
근로자가 노출된 충전부 또는 그 부근에서 작업 함으로써 감전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해당 전로를 차단하여야 하나 전로를 차단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기준이 있다. 그 예외 기준이 아닌 것은?
1.
생명유지장치, 비상경보설비, 폭발위험장소의 환기설비, 비상조명설비 등의 장치ㆍ설비의 가동이 중지되어 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경우
2.
관리감독자를 배치하여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경우
3.
기기의 설계상 또는 작동상 제한으로 전로 차단이 불가능한 경우
4.
감전, 아크 등으로 인한 화상, 화재ㆍ폭발의 위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진로차단 에외기준 생명유지장치 비상경보장치 폭발위험장소의 환기설비 비상조명설비 등의 장치 설비의 가동이 중지되어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 기기의 설계 상 또는 작동상 제한으로 전로차단이 불가능한 경우 감전 아크 등으로 인한 화상 화재 폭발의 위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ㅈ]
66.
가연성 증기나 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전기회로에 설치하여야 하는 누전경보기의 수신기가 갖추어야할 성능으로 옳은 것은?
1.
음향장치를 가진 수신기
2.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기
3.
가스감지기를 가진 수신기
4.
분진농도 측정기를 가진 수신기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누전경보기의 수신기는 옥내의 점검에 편리산 장소에 설치하되 가연성의 증기,먼지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전기회로에는 당해 부분의 전기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
67.
활선작업을 시행할 때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을 하기 위한 활선장구 중 충전중인 전선의 변경작업이나 활선작업으로 애자 등을 교환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점프선
2.
활선커터
3.
활선시메라
4.
디스콘스위치 조작봉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활선 시메라-케이블을 걸어당길때 사용하는 장비> 1. 충전중인 전선의 변경작업 2. 전선의 장선작업 3. 애자등의 교환작업 [해설작성자 : 허찬]
68.
다음 작업조건에 적합한 보호구로 옳은 것은?
1.
안전모
2.
안전화
3.
방열복
4.
보안면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하나하나만 떼서 보면 다른 보기도 성립하지만, 전체 조건을 적용하면 신발이 답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물체의 낙하 충격, 물체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해설작성자 : 루피]
69.
다음 ( ) 안의 알맞은 내용을 나타낸 것은?
1.
㉮ 6000 ㉯ 0.4
2.
㉮ 1800 ㉯ 0.6
3.
㉮ 4500 ㉯ 8
4.
㉮ 8000 ㉯ 25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폭발등급 측정에 사용되는 표준용기 내용적이 8L 안길이L가 25mm인 용기로서 틈이 폭W(mm)를 변화시켜서 화염일주한계를 측정하도록 한 것 8L=8000cm3 [해설작성자 : ㅇㅈ]
화염일주한계 : 폭발성분위기 내에서 방치된 표준용기의 접합 면 틈새를 통하여 폭발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틈새의 최대간격치를 말한다,
70.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전기기기에 대한 정격 표시
2.
전기설비에 대한 보호 접지
3.
전기설비에 대한 누전 차단기 설치
4.
충전부가 노출된 부분은 절연방호구 사용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감전방지 대책 1. 전기설비의 필요한 부분에 보호접지 2. 노출된 충전부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충전부를 절연, 격리) 3. 사용 전압을 될 수 있는 한 낮춤 4. 누전차단기 설치 5. 전기기기 및 설비를 개선 6. 적정한 상태로 유지를 위해 점검, 보수 7. 근로자 안전교육 실시 8. 전기취급작업 근로자에게 절연용 보호구 착용 9. 유자격자 이외에는 전기기계, 기구의 조작 금지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임]
간단하게 생각해보세요 기계에다가 기계스펙 적어놓기만한겁니다. 그거 본다고 무조건 방지가 되지는 않죠 [해설작성자 : 상식적으로]
71.
전기화상 사고 시의 응급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상처에 달라붙지 않은 의복은 모두 벗긴다.
2.
상처 부위에 파우더, 향유 기름 등을 바른다.
3.
감전자를 담요 등으로 감싸되 상처부위가 닿지 않도록 한다.
4.
화상부위를 세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화상용 붕대를 감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파우더 향유는 감염원인 [해설작성자 : day]
72.
220V 전압에 접촉된 사람의 인체저항이 약 1000Ω일 때 인체 전류와 그 결과 값의 위험성 여부로 알맞은 것은?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6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수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지락차단장치를 설치하여야하나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기준이 있다. 그 예외 기준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기계 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2.
기계 기구가 고무, 합성수지, 기타 절연물로 피복된 경우
3.
기계 기구에 설치한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값이 10Ω 이하인 경우
4.
전원측에 절연 변압기(2차 전압 300V이하)를 시설하고 부하 측을 비접지로 시설하는 경우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74.
교류 아크용접기의 사용에서 무부하 전압이 80V, 아크 전압 25V, 아크 전류 300A일 경우 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내부손실은 4kW 이다.)
1.
65.2
2.
70.5
3.
75.3
4.
80.6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효율 = 출력/입력 x 100 = 출력/(출력+손실) x 100 손실 = 4KW 출력 = V x I = 25[V] x 300[A] = 7500[W] = 7.5KW 효율 = 7.5/(7.5+4) x 100 = 65.22 = 65.2% [해설작성자 : q]
75.
대전이 큰 엷은 층상의 부도체를 박리할 때 또는 엷은 층상의 대전된 부도체의 뒷면에 밀접한 접지체가 있을 때 표면에 연한 수지상의 발광을 수반하여 발생하는 방전은?
1.
불꽃 방전
2.
스트리머 방전
3.
코로나 방전
4.
연면 방전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연면 방전 일반적으로 절연체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방전현상으로 공기중에 놓여진 절연체 표면의 전계강도가 큰 경우에 고체표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발광이 동반된 방전을 연면방전(Creeping Discharge)이라 한다. 연면 방전은 드럼이나 사이로내의 분진이 다량의 전하를 보유할 때와 높은 대전상태의 엷은 층상 부도체의 박리, 또는 엷은 층상의 대전된 부도체 뒷면에 근접한 접지체가 있을 때 표면에 연한 복수의 수지상의 발광을 수반하여 발생되는 방전으로 불꽃 방전과 마찬가지로 재해나 장해의 원인이 된다.
2. 코로나 방전 고체에 정전기가 축적되면 전위가 높아지게 되고 고체표면의 電位傾度가 어느 일정치를 넘어서면 낮은 소리와 연한 빛을 수반한 放電이 생기게 되는데 이 현상을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라 한다. 이는 고체표면에 접촉된 공기의 局部的인 절연파괴현상으로 볼수 있다. 특히 침상물체에 전하가 집중하게 되면 첨두의 집중된 부분에 전위가 상승되어 점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코로나 잡음이 발생하게 되고 코로나의 방전에너지는 낮으나 민감한 물질은 점화폭발이 가능하다.
3. 브러쉬 방전 곡률반경이 큰 도체(직경이 10mm이상)와 절연물질(고체,기체)이나 저전도율 액체사이에서 대전량이 많을때 발생하는 수지상의 발광과 펄스상의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을 브러쉬 방전 또는 스트리머 방전이라 한다. 일종의 코로나 방전으로 방전에너지가 크므로 재해나 장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브러쉬 방전의 방전에너지는 4[mJ]까지도 될 수 있으므로 가스, 증기 또는 민감한 분진에서 화재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위험도는 불꽃 방전과 코로나 방전의 중간위치에 있다.
4. 불꽃 방전 불꽃 방전은 표면전하밀도가 아주 높게 축적되어 분극화된 절연판 표면 또는 도체가 대전되었을 때 접지된 도체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이다. 불꽃 방전은 방전에너지가 높아 재해나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76.
정전기가 발생되어도 즉시 이를 방전하고 전하의 축적을 방지하면 위험성이 제거된다. 정전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대전하기 쉬운 금속부분에 접지한다.
2.
작업장 내 습도를 높여 방전을 촉진한다.
3.
공기를 이온화하여 (+)는 (-)로 중화시킨다.
4.
절연도가 높은 플라스틱류는 전하의 방전을 촉진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정전기의 발생억제
1-1. 습기의 적정치 유지 실내습도를 60%이상 유지하면 물체표면에 수분에 의한 엷은 피막이 생기고 공기중의 CO2가 이에 용해되어 도전성이 생겨 정전기 축적을 미연에 방지한다.
2. 공기의 이온화 대전전하를 다른 극성의 이온을 분산시켜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가격이 고가이고 역대전의 위험이 있다. 습도,결로현상에 약한 생산현장 등에 적용된다. 산업안전기준에관한규칙 제 355조에 따른 노동부 지침10조 참고
3. 발생된 정전기의 신속한 방전 접지와 본딩으로 도체의 대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도체와 대지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대지와 등전위화 함으로써 정전기의 축적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접지의 효과는 정전기의 축적을 방지하고, 정전유도를 방지하며, 전위상승 및 방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대전이 우려되는 개소(마찰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정전기가 발생되는 부분 또는 장치,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는 물질을 다량으로 취급하는 용기, 이동식 또는 가반형의 장치 등)에는 가능한 한 금속재료를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대전방지처리된 것을 사용하거나, 대전방지제를 사용한다.
- 정전기 대책을 위한 접지는 1*106Ω 이하이면 족하다. - 본딩(부도체로 격리되어 있는 금속도체 상호간을 확실하게 접속하기 위해 실시한다)의 저항은 1*103Ω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사이의 안전거리는 설비의 바깥면부터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설치 시 안전거리 -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의 사이 , 10M - 플레어스택으로부터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위험물질 저장탱크 또는 위험물질 하역설비의 사이 , 20M - 위험물질 저장탱크로부터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보일러 또는 가열로의 사이, 20M - 사무실,연구실,실험실,정비실 또는 식당으로부터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위험물질 저장탱크, 위험물질 하역설비, 보일러 또는 가열로의 사이, 20M [해설작성자 : 혼동하지맙소]
에서 황 , 출, 절, 밸 -> ㅎ ㅊ ㅈ ㅂ 는 ㄱ->ㅎ 순의 역순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알수 있음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공장 내 공정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 자동시스템 자체에서 검출되며, 자동적으로 조절 -> 그로 인해 밸브가 잠기거나 열리는 식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ㅈ서대 탈출]
10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시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작성항목이 아닌것은? (단, 기타 참고사항 및 작성자가 필요에 의해 추가하는 세부 항목은 고려하지 않는다.)
1.
법적규제 현황
2.
폐기 시 주의사항
3.
주요 구입 및 폐기처
4.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항목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 유해,위험성 3.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4.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5. 응급조치요령 6. 누출사고시 대처방법 7. 취급 및 저장방법 8.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9. 물리화학적 특성 10. 안정성 및 반응성 11. 독성에 관한 정보 12. 환경에 미치는 영향 13. 폐기시 주의사항 14. 운송에 필요한 정보 15. 법적규제 현황 16. 기타 참고사항 [해설작성자 : 고등어]
101.
터널작업에 있어서 자동경보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이 자동경보장치에 대하여 당일의 작업시작 전 점검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사급자재비가 30억, 직접노무비가 35억, 관급자재비가 20억인 빌딩신축공사를 할 경우 계상해야할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얼마인가? (단, 공사종류는 일반건설공사(갑)임)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관급자재비는 공사비에 포함이 안되는걸로 알고 잇는데요 (30억+35억)*1.97%=128,050,000 정답이 없어 오류인가 보네요 [해설작성자 : 21년 1회 합격]
관급자재비는 공사금액에 포함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철콘 건설면허 현직]
<안전관리비 대상액 계산 방법 두가지> 1. 재료비+직접노무비*요율*1.2---->요율(갑:1.97%) 2. 재료비+직접노무비+(관급자재비/1.1)*요율--->1.1로 나눈것은 VAT을 제외 금액임 따라서 <1번 식으로 계산시> 30억+35억*0.0197*1.2=1.5366억 <2번 식으로 계산시> [(30억+35억+(20억/1.1)]*1.97%=83.1818억*0.0197=1.6386억 결론 1.5366억과 1.6386 억 중 적은 금액으로 한다는 규정에 따라 1.5366 억 으로 3번 같으네요-->"직지매니저님의 자료 발취" [해설작성자 : 허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에 정답이 없음. 보기 2번 167,450,000 으로 수정 요망 (관금자재비+사급자재비+직접노무비)*요율 (0.0197)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흙막이벽의 근입깊이를 깊게 하고, 전면의 굴착부분을 남겨두어 흙의 중량으로 대항하게 하거나, 굴착예정부분의 일부를 미리 굴착하여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대책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히빙현상이 있을 때
2.
파이핑현상이 있을 때
3.
지하수위가 높을 때
4.
굴착깊이가 깊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히빙현상-연질점토 지반에서 굴착에 의한 흙막이 내외면이 흙의 중량차이로 인해 굴착지면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흙의 중량으로 부풀어오르는 현상(히빙현상)을 막는다! [해설작성자 : 산안따자]
114.
건물외부에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할 경우 수평면과의 가장 적절한 각도는
1.
5° 이상, 10° 이하
2.
10° 이상, 15° 이하
3.
15° 이상, 20° 이하
4.
20° 이상, 30°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낙하물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시 준사항 1.설치높이는 10미터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으로 할 것 2.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내지 30도를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15.
콘크리트 타설작업의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시작전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 변위 및 지반 침하 유무를 점검한다.
2.
작업 중 감시자를 배치하여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 변위 유무를 확인한다.
3.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은 한쪽부터 순차적으로 타설하여 붕괴 재해를 방지해야한다.
4.
설계도서상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 등을 해체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타설 중심부터 외각부로 골고루 해야한다 기둥-보-벽체-슬래브 순서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은 일시에 전체를 타설한다.(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설작성자 : 티니핑]
116.
굴착기계의 운행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킷에 사람의 탑승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2.
운전반경 내에 사람이 있을 때 회전은 10rpm 이하의 느린 속도로 하여야 한다.
3.
장비의 주차 시 경사지나 굴착작업장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주차한다.
4.
전선이나 구조물 등에 인접하여 붐을 선회해야 될 작업에는 사전에 회전반경, 높이제한 등 방호조치를 강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운전 반경내 사람이 있으면 운행 중지 [해설작성자 : day]
117.
다음 설명에서 제시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말하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상높이가 31m 인 건축물의 건설ㆍ개조 또는 해체
2.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인 교량건설 등의 공사
3.
깊이가 8m 인 굴착공사
4.
터널 건설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깊이가 8m 인 굴착공사(X) → 깊이가 10m 인 굴착공사 (ㅇ)
[추가 해설]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연면적 30,000m2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연면적 5,000m2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ㆍ식물원은 제외한다),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 시설은 제외한다), 종교 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지하도상가 또는 냉동ㆍ냉장창고 시설의 건설ㆍ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 공사 • 연면적 5,000m2 이상 냉동ㆍ냉장창고 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 건설 등 공사 • 터널 건설 등의 공사 • 다목적댐, 발전용 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지방상수도 전용 댐 건설 등의 공사 •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118.
유해ㆍ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통처리계획
2.
안전관리 조직표
3.
공사개요서
4.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시 첨부서류 - 공사 개요서 - 공사현장의 주변현호아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 현황포함) -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 전체공정표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 안전관리 조직표 - 재해발생 위험시 연락 및 대피방법
때문에 교통처리계획은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콜렉터]
119.
다음 중 건설재해대책의 사면보호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쉴드공
2.
식생공
3.
뿜어 붙이기공
4.
블럭공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면에 블록이나 구조물을 설치 1. 현장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2. 블록공 3. 돌쌓기공 4. 콘크리트 붙임공법 5. 뿜칠공법 6. 피복공법 [해설작성자 : youngtae13]
쉴드공법은 터널굴착 방법으로 쉴드(강제의 원통)를 땅속에 압입하여 막장의 토사를 밀면서 전진하면서 쉴드 내부를 굴착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자격증콜렉터]
식생공 때문에 헷갈려서 찾아 봤습니다 ‘식생공’/‘식생구멍공’은 식물(생태) 활용으로 구조물이 아님 “사면보호공법” 전체 범위 → 식생공 포함됨 “구조물에 의한” 사면보호공법 → 식생구멍공 제외됨 [해설작성자 : 필기 하루전]
120.
토석붕괴 방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강관, H형강, 철근콘크리트)을 박아 지반을 강화 시킨다.
2.
활동의 가능성이 있는 토석은 제거한다.
3.
지표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배수시키고 지하수위 저하를 위해 수평보링을 하여 배수시킨다.
4.
활동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 법면의 상단을 다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활동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 법면의 상단이 아닌 하단을 다져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