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인간관계의 매커니즘(Mechanism) 1. 동일화 : 다른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점을 발견하는 것 2. 투사 : 자기속의 억압된 것을 다른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 3. 커뮤니케이션 : 갖가지 행동양식이나 기호를 매개로 하여 어떤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과정 4. 모방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에 가까운 행동 또는 판단을 취하려는 것 5. 암시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논리적 사실적 근거 없이 받아들이는 것 [해설작성자 : sthy]
<문제 해설> 주의의 특성 1. 선택성 : 사람의 경우 한번에 많은 종류의 자극을 지각하거나 수용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정하여 선택하는 능력이 있다. 2. 방향성 : 공간적으로 볼 때 시선의 초점이 맞추어진 곳은 잘 인지할 수 있지만 시선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은 무시하기 쉽다. 3. 변동성 : 주의에는 리듬이 있어서 언제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 보통의 조건에서 단일의 변화하지 않는 자극을 명료하게 의식하고 있을 수 있는 시간은 기껏해야 수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인은 주의하려고 노력해도 실제로는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이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애쿼머린]
16.
OJT(On Job Training)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별한 교재·교구·설비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외부의 전문가를 위촉하여 전문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3.
직장의 실정에 맞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 교육이 가능하다.
4.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OJT는 현장감독자 등 직속 상사가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통해 개별지도, 교육하는 것이며 이용하는 범위가 넓다. 작업요령, 급소를 잘 이해해서 올바른 방법을 체득하여 무리, 낭비 불균형이 없이 작업능률이 향상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구체적인 교육방법이지만 때로는 지도자에 의해 계획성 없는 교육이 될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도자에 대한 교육, 지도 등에 유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애쿼머린]
17.
연간근로자수가 1000명인 공장의 도수율이 10인 경우 이공장에서 연간 발생한 재해건수는 몇 건인가?
안전"검사"대상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주의! 인증대상이 아니라 검사대상]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해설작성자 : iykim71]
액체·고체 사이에서의 분리 또는 이 물질들 중 최소 2개를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산업용 원심기는 적용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원심기는 제외 롤러의 압력에 의하여 고무, 고무화합물 또는 합성수지를 소성변형 시키거나 연화시키는 롤러기로서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롤러기는 적용 다만, 작업자가 접근할 수 없는 밀폐형 구조로 된 롤러기는 제외 제발해줘요 볼떄마다 햇갈립니다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4.5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거나 동일한 힘으로 쥐는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키보드, 마우스 작업은 4시간 이상임. [해설작성자 : 환경안전팀]
22.
양립성(compatibilit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개념양립성, 운동양립성, 공간양립성 등이 있다.
2.
인간의 기대에 맞는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의미한다.
3.
양립성의 효과가 크면 클수록, 코딩의 시간이나 반응의 시간은 길어진다.
4.
양립성이 인간의 예상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을 의미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운동양립성 : 조종기를 조작하여 표시장치상의 정보가 움직일 때 반응결과가 인간 기대와 양립 공간양립성 : 공간적 구성이 인간의 기대와 양립 개념의 양립성 : 코드나 심볼의 의미가 인간이 갖고있는 개념과 양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립성 효과가 크면 인간이 받아들이기 쉽다 즉, 반응시간이 짧다 [해설작성자 : shamide]
23.
정보처리과정에서 부적절한 분석이나 의사결정의 오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행동은?
1.
규칙에 기초한 행동(rule-based behavior)
2.
기능에 기초한 행동(skill-based behavior)
3.
지식에 기초한 행동(knowledge-based behavior)
4.
무의식에 기초한 행동(unconsciousness-based behavior)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지식에 기초한 행동 1) 정보처리과정의 부적절한 분석 2) 의사결정의 오류 [해설작성자 : 떠든아이]
24.
욕조곡선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마모고장 기간의 고장 형태는 감소형이다.
2.
디버깅(Debugging) 기간은 마모고장에 나타난다.
3.
부식 또는 산화로 인하여 초기고장이 일어난다.
4.
우발고장기간은 고장률이 비교적 낮고 일정한 현상이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초기고장기간 : 주로 표준 이하의 재료의 사용 및 불충분한 작업, 불충분한 디버깅(Debugging), 부적절한 설치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전수검사를 통한 Burn-in 시험을 실시하여 초기 고장을 경감시켜야 한다.
2. 우발고장기간 : 주로 제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부하)가 높거나, 사용자의 과도한 사용 및 사용자의 오용, 디버깅과 Burn-in 등과 같은 초기고장기간의 시험 등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원인들로 발생한다. 이러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선 제품 사용의 극한상황을 고려한 설계, 안전계수(Safety Margin)이나 Derating을 고려한 설계 등이 필요하며 주로 로트의 합부판정을 수행하는 신뢰성 샘풀링 검사가 적용된다.
3. 마모고장기간 : 제품의 부식, 산화, 마모, 피로, 노화, 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마모 고장이 시작되는 시점이나 제품의 퇴역시기를 결정하는 내구시험이 실시된다. 일정시간간격으로 분해수리(Overhaul)나 부품교체 등의 예방보전을 실시하면 고장률이 계속해서 증가하지 않고 예방보전주기에 따라 고장률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25.
시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배열시력(vernier acuity) - 배경과 구별하여 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점
2.
동적시력(dynamic visual acuity) - 비슷한 두 물체가 다른 거리에 있다고 느껴지는 시차각의 최소차로 측정되는 시력
3.
입체시력(stereoscopic acuity) - 거리가 있는 한 물체에 대한 약간 다른 상이 두 눈의 망막에 맺힐 때 이것을 구별하는 능력
4.
최소지각시력(minimum perceptible acuity) - 하나의 수직선이 중간에서 끊겨 아래 부분이 옆으로 옮겨진 경우에 탐지할 수 있는 최소 측변방위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배열시력 : 둘 혹은 그 이상의 물체들을 평면에 배열하여 놓고 그것이 일열로 서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능력
입체시력 : 양안으로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수 있는 시력 단일 물체의 차이를 분간하는 능력
최소지각시력 : 배경으로부터 한 점을 분간하는 능력 [해설작성자 : 일만시간]
동적 시력: 움직이는 걸 잘 인지하는 능력 [해설작성자 : 내눈은빛보다는 느리지만]
26.
인간의 귀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외이는 귓바퀴와 외이도로 구성된다.
2.
고막은 중이와 내이의 경계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음파를 진동으로 바꾼다.
3.
중이에는 인두와 교통하여 고실 내압을 조절하는 유스타키오관이 존재한다.
4.
내이는 신체의 평형감각수용기인 반규관과 청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 및 와우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고막은 외의와 중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막, 소리를 중이의 귓속뼈로 진동시켜 달팽이관으로 전달 [해설작성자 : 현딩]
4번 보기가 "신체의 평형감각수용기관인 반규관,전정기관 및 청각을 담당하는 와우로 구성되어 있다"가 맞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2번 4번 두 개 모두 복수 정답으로 인정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질대기산안기]
27.
FTA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사상들의 발생이 서로 독립인가 아닌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느 값을 계산해 보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공분산
2.
분산
3.
고장률
4.
발생확률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공분산 : 2개의 확률변수의 상관정도를 나타내는 값 분산 : 확률변수가 기댓값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숫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4번 아님? [해설작성자 : 뭐여]
[오류신고 반론] 산안기 2021 구민사 1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제출된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판정결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정
2.
일부 적정
3.
부적정
4.
조건부 적정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제출된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판정결과 종류 1.적정 2.부적정 3.조건부 적정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29.
일반적으로 기계가 인간보다 우월한 기능에 해당되는 것은? (단, 인공지능은 제외한다.)
1.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2.
원칙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4.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정량적인 정보처리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귀납적추리 - 지식이나 데이터를 많이 모아, 그들 사이에 성립되는 일반적 성질을 찾아내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 [해설작성자 : 현딩]
30.
섬유유연제 생산 공정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유발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위험처리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Transfer(위험전가)
2.
Retention(위험보류)
3.
Reduction(위험감축)
4.
Rearrange(작업순서의 변경 및 재배열)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위험전가 : 보험이나 외주 등으로 잠재적 위험을 제3자에게 전가하는 방법이다. 위험감축 : 위험을 감소시킬 대책을 마련하는것. 비용이 많이 드니 비용분석을 실시한다. 위험수용 : 위험의 잠재 손실비용을 감수하는것 위험회피 : 위험이 존재하는 사업,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는것을 말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아래에 있는 게이트 OR게이트 입니다 [해설작성자 : 형이가]
각 부품신뢰도가 0.9니깐 발생률은 0.1 로 계산하면 됨 [해설작성자 : ndt신]
[오류신고 반론] minimal path = 123, 124 입니다 [해설작성자 : d]
[오류신고 반론의 반론] minimal cut sets이 {1,2,3}, {1,2,4}입니다. minimal path sets는 {1}, {2}, {3,4}가 맞습니다. 최소 패스셋은 ft도를 반대로 도식한 뒤 최소 컷셋으로 구합니다. 위의 게이트부터 A(and), B(and), C(or)이라고 하였을 때 역으로 도식하면 A(or), B(or), C(and)가 되고 이 경우의 최소 컷셋을 구하면 A는 B와 C의 병렬(OR)이므로 {B}, {C} ,B는 1과 2의 병렬(OR)이므로 {1}, {2}, C는 3과 4의 직렬(AND)이므로 {3, 4}, 따라서 ft도를 역으로 도식한 것의 최소컷셋은 {1}, {2}, {3,4} 마찬가지로 그림의 ft도의 최소패스셋은 {1},{2},{3,4}가 됩니다.
신뢰도 계산의 경우 역으로 도식한 것에서 A가 B와 C의 병렬(OR)이므로 1-((1-B)(1-C)) // A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1에서 B와 C의 출력이 모두 0(거짓)일 경우를 빼주는 과정입니다.(여사건을 빼준 것) B는 역시 (1)과 (2)의 OR게이트이므로 B=(1-0.1*0.1)=0.99 // 마찬가지로 우변의 각 0.1은 (1)과 (2)의 여사건 확률 (1-0.9)입니다/ B의 여사건(1-B)은 1-0.99 // 사실 윗줄에서 B의 여사건을 바로 구한겁니다. C는 (3)과 (4)의 and게이트이므로 C의 여사건(1-C)은 1-0.9*0.9 따라서 계산을 정리하면 (1-(1-0.99)*(1-0.9*0.9))=0.9981입니다.
[추가 해설] 마지막 길게 쓰신님이 정확합니다. 패스 쎗과 컷 쎗을 구분하면 되네요. [해설작성자 : 사실 버려도 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Minimal Cut Set 주워진 결함수에서 구하며 AND(곱하기)에 OR중 하나 선택-->123,124 Minimal Path Set와 신뢰도는 변환한 결함도식에서 구합니다. 하기 내용은 변환 결함에서 신뢰도나 계산값을 찾은 것임 따라서 AND-->OR로 OR-->AND로 변환시 Minimal Path Set은 1,2,34(상위 결함이 OR 이므로 1,2,34:) 변환하여 계산하면 R(1)=[1-(1-0.9)(1-0.9)=0.99/R(2)=0.9*0.9=0.81 신뢰도 R(t)=1-(1-0.99)(1-0.81)=0.9981 반드시 신뢰도 계산값과 Minimal Path Set는 변환 도식에서 구하고 Minimal Cut Set는 주워진도식에서 구하세요{AND(*),OR(+)} [해설작성자 : 허찬]
[추가 오류 신고] 실제 기출 문제와 다른 그림 입니다. 한참 풀어도 답이 안나와서 이상했네요. 최종계산 AND가 아니고 OR게이트 입니다. 1-(1-0.81)X(1-0.99)=0.9981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실제 기출이랑 다른게 아니라 최소 패스셋 문제는 or게이트랑 and게이트를 바꿔서 계산해야 해서 그래요 문제 틀린거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황병만]
[오류신고 반론] 문제 이상없습니다 신뢰도가 0.9이므로 고장 확률은 0.1이죠 논리합, 곱응 서로 바꾸던가 고장 확률로 계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예스맨]
32.
3개 공정의 소음수준 측정 결과 1공정은 100dB에서 1시간, 2공정은 95dB에서 1시간, 3공정은 90dB에서 1시간이 소요될 때 총 소음량(TND)과 소음설계의 적합성을 맞게 나열한 것은? (단, 90dB에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증가할 때 허용시간은 1/2로 감소되는 법칙을 적용한다.)
1.
TND = 0.785, 적합
2.
TND = 0.875, 적합
3.
TND = 0.985, 적합
4.
TND = 1.085, 부적합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 + 1/4 + 1/8 =0.875
[추가 해설]
TND<1:적합 TND>1:부적합 [해설작성자 : 덕이]
90dB에서 8시간 노출될 때를 허용기준으로 하며 5dB이 증가할 때마다 허용시간은 1/2로 감소합니다.
소음량은 실제노출시간 / 최대허용시간 으로 총 소음량은 0.88로 1보다 작아 적합합니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33.
인간공학에 있어 기본적인 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 기능의 효율은 인간 – 기계 시스템의 효율과 연계된다.
2.
인간에게 적절한 동기부여가 된다면 좀 더 나은 성과를 얻게 된다.
3.
개인이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하여도 시스템의 수행도는 변함없다.
4.
장비, 물건, 환경 특성이 인간의 수행도와 인간 – 기계 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 개인이 효과적인 기능을 하지못하면 시스템의 수행도가 인간의 기능만큼을 보완. [해설작성자 : 빠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구민사 교재에서는 개인이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기능 수행을 못 하면 시스템의 수행도도 낮아진다고 나와있네요! [해설작성자 : 태식아 ㅎ]
[오류신고 반론] 개인이 시스템에서 효과적기능은 하지못하면, 시스템이 보완을 하던 구민사교재처럼 시스템도 같이 낮아지던 두가지 모두 변하는것 확실하니... 문제는 틀린것을 찾는것으로 변함없다는 틀린거죠!! 그러니 답은 3번 결론 : 문제에대한 오류는 없는것으로요 ㅎㅎ [해설작성자 : RS최원용]
[오류신고 반론] 인간이 제 역활과 기능을 했을때 100이라면 제 기능을 못했들땐 100이하가 되니 변함이 없는게 아니라 낮아지는거죠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문제 해설> 근섬유의 수축단위는 (근원섬유)라 하는데, 이것은 두 가지 기본형의 단백질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틴)이 (마이오신)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현상으로 근육의 수축을 설명하기도 한다
36.
소음 발생에 있어 음원에 대한 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설비의 격리
2.
적절한 재배치
3.
저소음 설비 사용
4.
귀마개 및 귀덮개 사용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소극적인 대책이 정답이므로 4번이 맞다. [해설작성자 : ㅎㄱㅅㅇ]
1~3은 음원에 대한 대책이고 4번은 사람에 대한 대책입니다. [해설작성자 : 늙어서 개고생]
37.
인간공학적 의자 설계의 원리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세고정을 줄인다.
2.
요부측만을 촉진한다.
3.
디스크 압력을 줄인다.
4.
등근육의 정적 부하를 줄인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일정한 자세 고정을 줄인다. 2.요부(요추)의 전만을 유도할 것 3.디스크의 압력을 줄이는 구조 4.등근육의 정적부하를 감소시키는 구조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선자세 정상적인 정렬> 요추전만 각도-45도/흉추후만 각도-40도/경추전만 각도-30~35도. <앉은자세 정상적인 정렬> 고관절과 슬관절 각도-40~130도 ***Heeya1239에서 발취 [해설작성자 : 허찬 ]
38.
FTA에서 사용되는 논리게이트 중 입력과 반대되는 현상으로 출력되는 것은?
1.
부정 게이트
2.
억제 게이트
3.
배타적 OR 게이트
4.
우선적 AND 게이트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부정게이트:입력에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2.억제게이트:입력이 게이트 조건에 만족할 때 발생한다. 3.배타적 OR게이트: OR 게이트이지만 2개 또는 2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력이 생기지 않는다. 4:우선적 AND게이트: 여러 개의 입력 사상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해야만 결과가 출력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39.
다음 그림에서 시스템 위험분석 기법 중 PHA(예비위험분석)가 실행되는 사이클의 영역으로 맞는 것은?
1.
㉠
2.
㉡
3.
㉢
4.
㉣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pha(예비위험분석) 시스템의 최초단계 (설계단계) 에서 실시 [해설작성자 : 경상도꽃돌이]
40.
인간과 기계의 신뢰도가 인간 0.40, 기계 0.95인 경우, 병렬작업 시 전체 신뢰도는?
1.
0.89
2.
0.92
3.
0.95
4.
0.97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1-0.4)x(1-0.95))=0.97 [해설작성자 : ㅈㅁㅇ]
신뢰도 구하는 법(괄호속: 뇌피셜) 병렬: 각각 1에서 뺀 걸 곱한 담에 그걸 1에서 빼준다.(고장률 빼주는 거.) 직렬: 걍 곱한다(둘 중 하나 고장나면 다 고장이니 대부분 신뢰도 많이 낮아짐.) [해설작성자 : 멋있는산안기많고많지만바로내가산안기멋진산안기]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어떤 양중기에서 3000kg의 질량을 가진 물체를 한쪽이 45°인 각도로 그림과 같이 2개의 와이어로프로 직접 들어올릴 때, 안전율이 고려된 가장 적절한 와이어로프 지름을 표에서 구하면?(단, 안전율은 산업안전보건법령을 따르고, 두 와이어로프의 지름은 동일하며, 기준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지름을 선정한다.)
1.
10mm
2.
12mm
3.
14mm
4.
16mm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프레스 자업시작 전 점검사항]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크랭크축, 플라이휠, 슬라이드, 연결봉 및 연결 나사의 풀림 여부 -1행정 1정지기구,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방호장치의 기능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해설작성자 : 디디]
<문제 해설> 결함위치에 따른 분류 방법은 아래와 같음 (표면결함 검출을 위한 비파괴시험) 내부 결함 검출을 위한 비파괴시험 1. 육안검사 1. 방사선 투과시험 2. 지분 탐상시험 2. 음향 방출시험 3. 액체침투 탐상시험 3. 초음파 탐상시험 4. 와전류 탐상시험
52.
다음은 프레스 제작 및 안전기준에 따라 높이 2m 이상인 작업용 발판의 설치 기준을 설명한 것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가. 90 cm 나. 10 cm
2.
가. 60 cm 나. 10 cm
3.
가. 90 cm 나. 20 cm
4.
가. 60 cm 나. 20 cm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상부 난간대 90~120cm 중간 난간대 45~60cm 발끝 막이 10cm 이상 [해설작성자 : 직장인A]
5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으로서 이행상태 평가결과가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에 대하여 8년에 1회 이상으로 설정압력에서 압력방출장치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2.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를 1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상용 압력 사이에서 보일러의 버너 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압력제한스위치를 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압력용기에서는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압력 용기의 최고사용압력, 제조연월일, 제조회사명이 지워지지 않도록 각인(刻印) 표시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년 1회 [해설작성자 : 뒤안길]
제116조(압력방출장치) ① 사업주는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사용압력(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압력방출장치는 매년 1회 이상 「국가표준기본법」 제14조제3항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지정을 받은 국가교정업무 전담기관(이하 “국가교정기관”이라 한다)에서 교정을 받은 압력계를 이용하여 설정압력에서 압력방출장치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를 검사한 후 납으로 봉인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영 제43조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공정안전보고서 이행상태 평가결과가 우수한 사업장은 압력방출장치에 대하여 4년마다 1회 이상 설정압력에서 압력방출장치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9. 12. 26.> [해설작성자 : 납봉인,일반1년,우수4년,2개면 1.05배]
54.
목재가공용 둥근톱 기계에서 가동식 접촉예방장치에 대한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덮개의 하단이 송급되는 가공재의 상면에 항상 접하는 방식의 것이고 절단작업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톱날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절단작업 중 가공재의 절단에 필요한 날 이외의 부분을 항상 자동적으로 덮을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3.
지지부는 덮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체결볼트에는 이완방지조치를 해야 한다..
4.
톱날이 보이지 않게 완전히 가려진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톱날이 보이게 부분적으로 가려진 구조
55.
다음 중 기계설비에서 반대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가 맞닿는 사이에 발생하는 위험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물림점(nip point)
2.
협착점(squeeze pint)
3.
접선물림점(tangential point)
4.
회전말림점(trapping point)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협착점 : 왕복운동 + 고정부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끼임점 : 회전 또는 직선운동 + 고정부 고정부와 회전하는 동작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절단점 : 회전운동 자체 회전하는 운동부분이나 기계부분 자체에서 위험이 초래되는것 물림점 : 회전운동 + 회전운동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두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접선물림점 : 회전운동 + 접선부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방향을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회전말림점 : 돌기회전부 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 들어가는 위험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기계설비에서 반대로 회전하는 두개의 회전체가 맞닿는 사이에 발생하는 위험점을 물림점(nip point)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루피]
56.
롤러의 가드 설치방법 중 안전한 작업공간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공간함정(trap)을 막기위해 확보해야할 신체 부위별 최소 틈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다리: 240mm
2.
발: 180mm
3.
손목: 150mm
4.
손가락: 25mm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몸 : 500mm 다리 : 180mm 발,팔 : 120mm 손목 : 100mm 손가락 : 25mm [해설작성자 : 허찬]
57.
지게차가 부하상태에서 수평거리가 12m이고, 수직높이가 1.5m인 오르막길을 주행할 때 이 지게차의 전후 안정도와 지게차 안정도 기준의 전후 안정도와 지게차 안정도 기준의 만족여부로 옳은 것은?
1.
지게차 전후 안정도는 12.5%이고 안정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
2.
지게차 전후 안정도는 12.5%이고 안정도 기준을 만족한다.
3.
지게차 전후 안정도는 25%이고 안정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
4.
지게차 전후 안정도는 25%이고 안정도 기준을 만족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안정도= (1.5/12)*100 주행시의 전후 안정도: 18% 이내
[추가 해설] 하역 시 전후:4% 하역 시 좌우:6% 주행 시 전후:18% 주행 시 좌우:15+1.1V%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20종 불이 붙을수 있는 먼지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장소 21종 분진이 24시간 동안 3mm이상 축적되는 장소, 정상 운전시 불이 붙을수 있는 분진이 퇴적되는 장소 22종 21종 주변장소로, 고장으로 인한 불이 붙을수 있는 분진이 간헐적 발생, 드물게 짧은 순간 존재 가능성이 있는장소 [해설작성자 : 나그네]
65.
분진폭발 방지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장 등은 분진이 퇴적하지 않는 형상으로 한다.
2.
분진 취급 장치에는 유효한 집진 장치를 설치한다.
3.
분체 프로세스 장치는 밀폐화하고 누설이 없도록 한다.
4.
분진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는 감독자를 상주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분진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 감독자를 상주시키면 감독자도 위험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
66.
정전유도를 받고 있는 접지되어 있지 않는 도전성 물체에 접촉한 경우 전격을 당하게 되는데 이 때 물체에 유도된 전압 V(V)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E는 송전선의 대지전압, C1은 송전선과 물체사이의 정전용량, C2는 물체와 대지사이의 정전용량이며, 물체와 대지사이의 저항은 무시한다.)
<문제 해설> 안전간격=최대안전틈새=화염일주한계 *화염일주한계: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틈새의 최대간격치 (화염이 외부까지 전달되지 않는 한계의 틈) [해설작성자 : 다니엘]
68.
정전기 발생의 일반적인 종류가 아닌 것은?
1.
마찰
2.
중화
3.
박리
4.
유동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정전기 발생현상 1. 마찰대전: 두 물체사이의 마찰로 인한 접촉 2. 유동대전: 액체류가 파이프 등 내부에서 유동시 관벽과 액체사이에서 발생 3. 박리대전: 밀착된 물체가 떨어지면서 자유전자의 이동으로 발생 4. 충돌대전: 입자와 다른 고체와의 충돌과 급속한 분리에 의해 발생 5. 분출대전: 기체, 액체, 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 6. 파괴대전: 고체, 분체류와 같은 물체가 파괴 됐을 때 전하분리 또는 전하의 균형이 깨지면서 정전기가 발생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9.
전기기계·기구의 조작 시 안전조치로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 기계·기구로부터 폭 얼마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1.
30cm
2.
50cm
3.
70cm
4.
100cm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을 점검하거나 보수하는 경우 폭 70센티미터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
[추가 해설] 방염처리된 작업복이나 난연성능을 가진 작업복착용 [해설작성자 : 허찬]
방염처리 난연 성능 작업복은 아크 등에 의한 화상 우려 시 조치 사항입니다. 이 문제랑은 무관한 사항입니다. 같은 법 같은 조 2번 항목. 헷갈리게 쓸거면 쓰지 마세요. 쓸거면 내용을 자세히 쓰세요 [해설작성자 : Rivolo]
70.
가수전류(Let-go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이크 사용 중 전격으로 사망에 이른 전류
2.
전격을 일으킨 전류가 교류인지 직류인지 구별할 수 없는 전류
3.
충전부로부터 인체가 자력으로 이탈할 수 있는 전류
4.
몸이 물에 젖어 전압이 낮은 데도 전격을 일으킨 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불수전류(충전전류):통전전류가 증가하면 통전경로의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고신경이 마비되어 운동이 자유롭게 되지않는 한계전류 가수전류(이탈전류):운동의 자유를 잃지않는 최대 한도의 전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마중물]
60Hz교류에서 성인남성에게 최소감지전류 약 1mA 고통한계전류(가수전류) 7~8mA 마비한계전류(불수전류) 10~15mA 심실세동전류(치사전류) 50~100mA 정확히는 165/sqrt(Time) mA [해설작성자 : 마이크사용중전격개꿀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마이크사용중전격개꿀잼님 설명 중 가수전류와 불수전류 설명에 오류가 있어용 (2021에듀윌 설명기준입니다)
정전기 방전에 의한 폭발로 추정되는 사고를 조사함에 있어서 필요한 조치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연성 분위기 규명
2.
사고현장의 방전흔적 조사
3.
방전에 따른 점화 가능성 평가
4.
전하발생 부위 및 축적 기구 규명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정전기 방전에 의한 사고를 조사 1. 전하발생부위 및 축적기구 규명 2. 가연성 분위기 규명 3. 방전에 따른 점화 가능성 평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외우기 쉽게 전하(께서) 과연(가연) 방전(되신건가) [해설작성자 : 야해야 잘외워짐]
전전기 방전에 의한 폭발 추정 조치 사항 1. 가연성 분위기 규명 2. 방전에 따른 점화 가능성 평과 3, 전하발생 부위 및 축적 기구 규명 [해설작성자 : .ㄹㅎ]
76.
감전쇼크에 의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약 몇 분 이내에 응급처치를 개시하면 95% 정도를 소생시킬 수 있는가?
1.
1분 이내
2.
3분 이내
3.
5분 이내
4.
7분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분 이내 : 95% 2분 이내 : 90% 3분 이내 : 75% 4분 이내 : 50% 5분 이내 : 25% 6분 이내 : 10% [해설작성자 : 레오22]
77.
다음 중 방폭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본질안전 방폭구조
2.
고압 방폭구조
3.
압력 방폭구조
4.
내압 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 (Ex d) 용기내 폭발시 용기가 폭발 압력을 견디며 접합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인화될 우려가 없는 구조
압력방폭구조 (Ex p) 용기내에 보호가스를 인입시켜 폭발성 가스나 증기가 용기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된 구조
본질안전 방폭구조 (Ex ia, Ex ib) 정상시 사고시(단선.단락.지락)에 폭발 점화원(전기불꽃,아크,고온) 발생이 방지된 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Ex e) 정상 운전중에 점화원 방지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구조상 혹은 온도 상승에 대해 안전도를 증가한 구조
유입 방폭구조 (Ex o) 전기불꽃, 아크, 고온 발생붑분을 기름으로 채워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78.
전선의 절연 피복이 손상되어 동선이 서로 직접 접촉한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절연
2.
누전
3.
접지
4.
단락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단락- 합선 두가닥의 전선이 직접 접촉 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전기는 내취향 아님]
단락의 락이 한자 이을락(絡) [해설작성자 : 포방터스윙스]
흔히 말하는 쇼트(short)났다가 단락을 말합니다 중간에 단락이 되면 + -가 붙어 물리적으로 회로가 짧아지는 결과가 초래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임]
79.
이상적인 피뢰기가 가져야 할 성능으로 틀린 것은?
1.
제한전압이 낮을 것
2.
방전개시전압이 낮을 것
3.
뇌전류 방전능력이 적을 것
4.
속류차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피뢰기는 낙뢰시 전류를 방전시켜주는 장치인데 방전능력이 적으면 있으나 마나 겠죠? [해설작성자 : 마법사]
***피뢰기에 구비조건*** 1) 제한전압 또는 충격방전개시전압이 충분히 낮고 보호능력이 있을 것 2) 대전류의 방전, 속류차단의 반복동작에 대하여 장기간 사용에 견딜 수 있을 것 3) 뇌전류 방전능력이 클 것 4) 속류차단이 완전히 행해져 동작책무특성이 충분할 것 5)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은 회로전압보다 충분히 높아서 상용주파방전을 하지 않을 것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방전개시전압의 종류가 2가지입니다. 충격방전개시전압과 상용주파방전개시전압이 있는데 충격방전개시전압은 낮아야 하고, 상용주파방전개시전압은 높아야 합니다.
80.
인체의 전기저항이 5000Ω이고, 세동전류와 통전시간과의 관계를 라 할 경우,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위험 에너지는 약 몇 J인가? (단, 통전시간은 1초로 한다)
1.
5
2.
30
3.
136
4.
825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위험한계에너지 -인체조직의 전기저항을 약 1,000(Ω)이라 하면 -통전전류식을 이용한 위험한계에너지는 27(J)정도임 [해설작성자 : 주노주노]
W[J], I[A], R[옴], T[sec] W = I^2 * R * T W = {165*10^(-3)}^2 * 5000 * 1 = 136.125J [해설작성자 : 병아리]
500옴 기준 =13.612로 무조건 외우십셔 500옴일때 13.612면 5000옴 일때는 13.612에 10만 곱해주면 됩니다. =136.12 [해설작성자 : 연상암기법]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사업주는 인화성 액체 및 인화성 가스를 저장 취급하는 화학설비에서 증기나 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화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염방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화염방지기의 설치 위치로 옳은 것은?
1.
설비의 상단
2.
설비의 하단
3.
설비의 측면
4.
설비의 조작부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인화상 액체 및 인화성 가스를 저장 취급하는 화학설비에서 증기나 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화염을 방지하기 위해 화염바히기를 그 설비 상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설비의 하단임 [해설작성자 : 에듀윌정답]
[오류신고 반론] 설비의 상단 -구민사- [해설작성자 : 특수형강맨]
[오류신고 반론] 풍등 화재사고 기억을 더듬어 저장탱크 상부 통기관에는 인화방지망(불꽃방지망)40메시 구리망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허찬]
<문제 해설> 안전운전계획 안전운전지침서 설비점검 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안전작업허가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근로자 등 교육계획 가동 전 점검지침 변경요소 관리계획 자체감사 및 사고조사 계획 그 밖에 안전운전에 필요한 사항 4번은 비상조치계획에 포함되는 내용이다.
90.
마그네슘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기를 엄금하고,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2.
분말이 비산하지 않도록 밀봉하여 저장한다.
3.
제6류 위험물과 같은 산화제와 혼합되지 않도록 격리, 저장한다.
4.
일단 연소하면 소화가 곤란하지만 초기 소화 또는 소규모 화재 시 물, CO2소화설비를 이용하여 소화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마그네슘은 물, 산과 접촉시 발화를 일으킨다.
[추가 해설] 마그네슘 소화는 건조사로 합니다. [해설작성자 : 허찬]
91.
다음 중 분진이 발화 폭발하기 위한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불연성질
2.
미분상태
3.
점화원의 존재
4.
지연성가스 중에서의 교반과 운동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불연은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합니다. 불연재료로는 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철강, 알루미늄, 유리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현딩]
분진이 발화 폭발하기 위한 조건 1) 가연성 2) 미분상태 3) 공기 중에서의 교반과 유동 4) 점화원의 존재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9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화성 액체 또는 산화성 고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질산
2.
중크롬산
3.
과산화수소
4.
질산에스테르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질산에스테르 : 폭발성물질 [해설작성자 : 화이팅]
중크롬산 - 제 1류 위험물 (산화성액체) 질산, 과산화수소 - 제 6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해설작성자 : 그럼 제가 선배 맘에?]
제1류 산화성 고체 중크롬산 제6류 산화성 액체 질산, 과산화수소 제5류 자기반응성 물질 질산에스테르 [해설작성자 : 흥이]
93.
열교환기의 열 교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유체의 유속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2.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병류로 한다.
3.
열교환하는 유체의 온도차를 크게 한다.
4.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유체의 흐르는 방향을 향류로 한다.
[추가 해설] 향류 : 열교환이 잘 되도록 뒤판 A<->B 반대로 흘러 열효율을 극대화 하는것 [해설작성자 : HE]
[추가 해설] 향류- 유체가 반대로 흐르는 상태 병류 -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
94.
다음 중 고체의 연소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해연소란 고체가 표면의 고온을 유지하며 타는 것을 말한다.
2.
표면연소란 고체가 가열되어 열분해가 일어나고 가연성 가스가 공기 중의 산소와 타는 것을 말한다.
3.
자기연소란 공기 중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신이 분해되며 타는 것을 말한다.
4.
분무연소란 고체가 가열되어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며 타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표면연소 2. 분해연소 4. 증발연소 [해설작성자 : 맑갑]
[고체의 연소] -표면연소 : 고체표면과 공기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연소(목탄, 코크스, 금속분) -분해연소 : 고체의 열분해시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연소(종이, 목재, 석탄, 플라스틱) -증발연소 : 고체에서 증발된 가연성증기가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황, 나프탈렌, 파라핀) -자기연소 : 물질자체 분자의 산소를 가지고 있어 공기와의 접촉없이도 폭발적인 연소(니트로화합물 등의 폭발성물질) [해설작성자 : 디디]
++ 분무 연소 ++ : 분무기로 물을 뿌리듯, 액체연료를 분무화하여 미세한 방울로 만든 후 공기에 혼합시켜 연소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아무도안적어서 찾아봄]
95.
사업주는 안전밸브등의 전단·후단에 차단밸브를 설치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별도로 정한 경우에 해당할 때는 자물쇠형 또는 이에 준하는 형식의 차단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등이 복수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2.
예비용 설비를 설치하고 각각의 설비에 안전밸브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3.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한 경우
4.
열팽창에 의하여 상승된 압력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밸브가 설치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이 2분의 1이상에 해당하는 용량의 자동압력조절밸브와 안전밸브 등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ㅇ]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절 화학설비·압력용기 등 제266조(차단밸브의 설치 금지) 사업주는 안전밸브등의 전단·후단에 차단밸브를 설치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자물쇠형 또는 이에 준하는 형식의 차단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1. 인접한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해당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연결배관에 차단밸브가 없는 경우 2. 안전밸브등의 배출용량의 2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용량의 자동압력조절밸브 (구동용 동력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열리는 구조인 것으로 한정한다)와 안전밸브등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 3.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등이 복수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4. 예비용 설비를 설치하고 각각의 설비에 안전밸브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5. 열팽창에 의하여 상승된 압력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밸브가 설치된 경우 6. 하나의 플레어 스택(flare stack)에 둘 이상의 단위공정의 플레어 헤더(flare header)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로서 각각의 단위공정의 플레어헤더에 설치된 차단밸브의 열림·닫힘 상태를 중앙제어실에서 알 수 있도록 조치한 경우 [해설작성자 : iykim71]
9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제3류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나트륨
2.
알킬알루미늄
3.
황린
4.
니트로글리세린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니트로글리세린은 5류 [해설작성자 : 크립토나이트]
97.
다음 [표]를 참조하여 메탄 70vol%, 프로판 21vol%, 부탄 9vol%인 혼합가스의 폭발범위를 구하면 약 몇 vol%인가?
<문제 해설> 이상상태가 발생할 때 밸브를 정지시켜 원료공급을 차단 = 긴급차단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파열판 : 밀폐된 압력용기나 화학설비 등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급격하게 압력이 상승하면 파열되면서 압력을 토출하는 장치 안전밸브 : 설비나 배관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작동하여 내부압력을 분출하는 장치 스팀트랩 : 증기배관 내에 생성하는 응축수는 송기상 지장이 되어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증기가 도망가지 않도록 이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해설작성자 : ㄱㅌ]
<문제 해설> 안전관리비 계상기준 -발주자가 재료를 제공하거나 물품이 완제품의 형태로 제작 또는 납품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 재료비 또는 완제품의 가액을 대상액에 포함시킬 경우의 안전관리비는 해당 재료비 또는 완제품의 가액을 포함시키지 않은 대상액을 기준으로 계상한 안전관리비의 1.2배를 초과 할 수 없다 1.안전관리자 등의 인건비 및 각종 업무수당 2.안전시설비 3.개인보호구 및 안전장구 구입비 4.사업장의 안전진단비 5.안전보건교육비 및 행사비 6.근로자의 건강관리비 7.건설재해예방 기술지도비 8.본사사용비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불가 항목을 나열한 법령이 삭제됨에 따라 정답이 없는 문제 입니다 에듀윌 [해설작성자 : 버티기]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서 별표/서식 중 [별지 1]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내영서에서 부자아빠님이 서술하신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구민사 교재에서는 기준만 나와있고 따로 적혀있는 부분은 없네요. [해설작성자 : 너무 깊다 깊어]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A: 2개, B: 2개
2.
A: 3개, B: 4개
3.
A: 4개, B: 3개
4.
A: 4개, B: 4개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의 조립 시 준수사항 - 파이프서포트를 3개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것 - 파이프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때에는 4개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할 때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해설작성자 : 어허]
104.
화물취급 작업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꼬임이 끊어지거나 심하게 부식된 섬유로프는 화물운반용으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2.
섬유로프 등을 사용하여 화물취급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섬유로프 등을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한 섬유로프 등을 즉시 교체하여야 한다.
3.
차량 등에서 화물을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쌓여 있는 화물의 중간에서 필요한 화물을 빼낼 수 있도록 허용한다.
4.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 작업장 및 통로의 위험한 부분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조명을 유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화물의 중간에서 빼내면 다 쓰러지겠죵?? [해설작성자 : 어느느새]
105.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재·수평재·가새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되도록 할 것
2.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체결 후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것
3.
비계 밑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 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4.
벽 연결재의 설치간격은 시공자가 안전을 고려하여 임의대로 결정한 후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벽 연결재의 설치간격은 제조사가 정한 기준에 따를 것 [해설작성자 : jmay]
106.
건설공사 위험성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설물, 기계·기구, 설비 등에 의한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어 위험성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조치를 하는 것을 말한다.
2.
사업주는 위험성평가의 실시내용 및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한다.
3.
위험성평가 기록물의 보존기간은 2년이다.
4.
위험성평가 기록물에는 평가대상의 유해·위험요인, 위험성결정의 내용 등이 포함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위험성평가기록물의 보존기간은 3년이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대장]
107.
철골작업에서의 승강로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20cm
2.
30cm
3.
40cm
4.
50cm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건설근로자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철골부재에는 답단(딛는 계단) 간격이 30cm 이내인 고정된 승강로를 설치 [해설작성자 : 엄정규]
답단간격이란 계단과 다음계단의 높이 보통 계단한개의 높이 생각해보시면 30센티 정도 됩니다. 25~30 사이정도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108.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폭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0cm
2.
40cm
3.
50cm
4.
60cm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폭 30cm 이상 설치각도 75도 이내 사다리간 간격 25 ~ 30cm 사다리 상부 여유길이 60c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2. 연면적이 5,000m^2 이상의 냉동·냉장창고시설의 설비공사 3.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4.터널 건설등의 공사 [해설작성자 : 오류수정]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문제가 "공사가 아닌 것은?" >>> "공사인 것은?" 으로 변경되어야 될거 같습니다. 기출문제집에도 똑같이 프린트 되어 있어서 혼자 한참 갸우뚱 했네요. 1~3번 모두 제출대상 공사가 아니며 4번만 정답이네요. [해설작성자 : 무조건한방에]
[오류신고 반론] 아아 문제출제가 잘못된게 아니고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인데 문제 보기에는 설비공사만 적혀서 2번이 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설비공사만 있어서 틀렸다? 아닙니다..2번이 맞긴한데 틀린이유가 3000m2 아니라 5000m2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서강대학교 공대생]
[오류신고 반론] 문제에서 공사 기준이 아닌 제출대상 공사이므로 2번 정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호떡좋아]
[오류신고 반론] 오류 수정하신분 내용을 참고하여 혼동시키기 위한 응용문제로, 기준보다 오버량 일 때 제출대상이나 2번만 적은량이므로 미제출 대상임-->응용문제 높이 31m이상 제출 대상이므로 50m면 당연히 제출대상 최대지간길이 50m 제출대상이므로 60m면 당연히 제출대상 연면적5000m2 이상냉동,냉동창고 시설의 설비공사 일경우 제출대상이고 연면적 3000m2 일 경우 제출대상이 아님-->2번이 정답 ***굴착 10m이상->제출대상 ***연면적3만m2 이상 건축물,5만m2이상 문화및 집회,판매,영업시설,종합병원,관광숙박시설,지하상가의 냉동 냉장시설의 건설,개조,해체->제출대상 [해설작성자 : 허찬]
[오류신고 반론] 문제 정확한대 이상한소리 하지마세요 제출대상 높이31미터이상 건설 , 터널은 길이상관없이 제출 , 연면적5000m2 이상 , 굴착공사 10미터이상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오류신고 반론] 유해방지계획서 제출대상 1. 높이 31m 이상 건축물 2. 면적 30000m^2 이상 건축물, 5000m^2 이상 문화~냉장 등 시설 3. 지간 50m 이상 다리 4. 터널 5. 2천만원 이상 용수댐 6. 10m 이상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모르면 책을 피자..]
111.
겨울철 공사중인 건축물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 쏟아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의 발생 원인으로 추정 가능한 사안 중 가장 타당한 것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반박 습도가 높을수록.
추가해설 콘크리트 슬럼프 클수록 [해설작성자 : 지금은아침7시11분]
[오류신고 반론] 습도랑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이 큽니다 [해설작성자 : 기모띠]
[오류신고 반론] 기온과 습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 측압이 커진다 (책과상상 김응주 저 - 산업안전기사필기) [해설작성자 : 준삐]
[오류신고 반론] 온도, 철근량, 습도만 반비례한다. 처음 부자아빠님의 답변이 맞습니다 + 콘크리트 슬럼프 클수록 [해설작성자 : ㅈㄱㅇ]
[오류신고 반론] ㅈㄱㅇ님 해설이 맞고요 습도가 낮다는 것은 건조하다는 것(저습도=건조) 온습도,철근량만 반비례(낮을 때 측압이 큽니다) [해설작성자 : 허찬]
[오류신고 반론] 1.타설높이 :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2.타설속도 :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커진다. 3.슬럼프 : 슬럼프가 크고 액상에 가까울수록 측압이 커진다. 4.거푸집 표면상태 : 거푸집 표면 평활도가 클수록 측압이 커진다. 5.온도 : 타설 시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6.습도 :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7.철근량 : 철근량이 적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8.콘크리트비중 : 콘크리트 비중이 클수록 측압이 커진다. 9.진동기 사용 : 진동기 사용 시 측압이 커진다. 모르면 혼동주지마세요 ^^ [해설작성자 : 실기부터가 진짜다.]
112.
다음 중 운반작업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 시의 시선은 진행방향을 향하고 뒷걸음 운반을 하여서는 안 된다.
2.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무게 중심이 높은 화물은 인력으로 운반하지 않는다.
3.
어깨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화물을 들고 운반하여서는 안 된다.
4.
단독으로 긴 물건을 어깨에 메고 운반할 때에는 뒤쪽을 위로 올린 상태로 운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단독으로 긴 물건을 어깨에 메고 운반할 때에는 앞쪽!!을 위로 올린 상태로 운반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배그하자]
113.
다음 중 직접기초의 터파기 공법이 아닌 것은?
1.
개착 공법
2.
시트 파일 공법
3.
트렌치 컷 공법
4.
아일랜드 컷 공법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개착공법( open cut) : 주변에 건물이나 지장물이 없을때 경사면을 만들면서 파 내려가는 방법 주로 산간지나 도로에서 산을 통과 할시 절도공사에 사용하는 것으로 흙의 자유경사각을 이용하여 ↘___↙ 형식으로 파 내려가는 방식
아일랜드공법 : 터파기 중앙부분을 개착공법 형식으로 파 내려가 먼저 구조물 일부를 설치하고 그 옆부분을 추가 굴착하여 공사하는 방법
트랜치 컷 공법 : 아일랜드공법과는 반대로 먼저 둘레부분에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선 시공하고 선시공된 구조물을 흙막이로 이용하여 가운데 부분을 파내어 시공해 나가는 방식
[추가 해설] 시트파일은 흙막이공법 [해설작성자 : 흙을막으면뭐하겠노]
114.
건설재해대책의 사면보호공법 중 식물을 생육시켜 그 뿌리로 사면의 표층토를 고정하여 빗물에 의한 침식, 동상, 이완 등을 방지하고, 녹화에 의한 경관조성을 목적으로 시공하는 것은?
1.
식생공
2.
쉴드공
3.
뿜어 붙이기공
4.
블럭공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식생 = 식물을 생육시킴 [해설작성자 : 애플마소알파벳]
115.
훅걸이용 와이어로프 등이 훅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해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과부하방지장치
4.
턴버클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37조(해지장치의 사용)에 따라 와이어로프 등이 훅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해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이동식크레인 안전수칙_안전검사, 안전인증(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비상정지장치,와이어로프, 훅 해지장치)| [해설작성자 : ㅇㅅㅇ]
<문제 해설> 굴착기계 1. 파워셔블 : 기계가 서 있는 지반면보다 높은 곳의 땅파기에 적합하다. 2. 드래그셔블(백호우) : 기계가 서 있는 지면보다 낮은 장소의 굴착 및 수중굴착이 가능(굳은 지반의 토질도 정확히 굴착 된다.) 3. 드래그라인 : 기계가 서 있는 위치보다 낮은 장소의 굴착 및 수중굴착 가능(연약한 지반의 굴착에 적합) 4. 클램셸 : 가장 협소하고 깊은 굴착이 가능하며 호퍼에 적당(연약지반이나 수중굴착 가능) [해설작성자 : 코로오롱]
117.
추락방지용 방망 중 그물코의 크기가 5cm인 매듭방망 신품의 인장강도는 최소 몇 kg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
2.
110
3.
150
4.
200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심품에 대한 인장강도 그물코의 크기 매듭없는 방망 매듭 방망 10 240 200 5 110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그물코의 크기 매듭없는 방망 매듭 방망 10 240(150) 200(135) 5 110(60) 괄호 안은 폐기시의 인장강도 [해설작성자 : 공부한다!]
118.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착 깊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산소 결핍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3.
근로자가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4.
측정 결과 산소의 결핍이 인정될 경우에는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굴착깊이는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연락을 위한 통신장비 설치 [해설작성자 : 차칸녀석]
119.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2.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3.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1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4.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트리거(outrigger)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