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의 법칙에 의거하여 사망 및 중상 : 경상 : 무상해, 무손실 사고의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1 : 29 : 300 => 1 + 29 + 300 = 330인데 660명의 재해자가 발생했다는 것은 330 곱하기 2와 동일하므로 2 : 58 : 600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2 : 사망 및 중상 58 : 경상 600 : 무상해, 무손실 사고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안전교육 방법 중 강의식 교육을 1시간 하려고 할 경우 가장 많이 소비되는 단계는?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안전교육 4단계] 1.도입(준비):학습 할 준비 2.제시(설명):작업을 설명 3.적용(응용):작업을 시켜본다 4.확인(총괄,평가):가르친 뒤 살펴본다 [해설작성자 : pyo]
안전교육 4단계 1.토의식 : 도입 (5분), 제시 (10분), 적용 (40분), 확인 (5분) 2.강의식 : 도입 (5분), 제시 (40분), 적용 (10분), 확인 (5분) 문제는 강의식 교육에 대하여 가장 많이 소비되는 단계를 물었으므로 제시 (40분)이 정답. [해설작성자 : nani]
세부시간은 출제가 안되고 오래걸리는 것만 주로 나오니 강제토적 강의식은 제시 토의식은 적용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강의식은 주구장창 개념 주입만 해대니까, 새로운 개념을 계속 "제시"하겠죠? 하지만 토의식은 조금만 가르치고, 그 사안에 대해 토의를 해야하니까 "적용" 단계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해설작성자 : 계속 틀리니까 빡침]
5.
안전교육 중 제 2단계로 시행되며 같은 것을 반복하여 개인의 시행착오에 의해서만 점차 그 사람에게 형성되는 교육은?
헷갈리기 쉬운것을 암기하는 방법 유공안자 : 15 30 60 6개월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 15일 공정안전 : 30일 안전 : 60일 자율 : 6개월 [해설작성자 : 자격증콜렉터]
7.
재해통계를 작성하는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비상의 결함요인을 개선 및 시정시키는데 활용한다.
2.
재해의 구성요소를 알고 분포상태를 알아 대책을 세우기 위함이다.
3.
근로자의 행동결함을 발견하여 안전 재교육 훈련자료로 활용한다.
4.
관리책임 소재를 밝혀 관리자의 인책 자료로 삼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재해통계 작성시 유의사항] -활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충분한 내용을 만족시킬 것 -구체적으로 표시하여 그 내용은 용이하게 이해해서 이용, 활용할 수 있을 것 -도형이나 숫자에 의해 표시하지만, 율로 표시하는것이 일반적이며 재해발생의 모체가 되는 근로자수와 근로시간수가 기준이 되어 율을 표시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생산량이나 운방량 등을 조합시켜서 율로 표시하는 일도 있다. -항목, 내용, 재해요소가 정확하게 파악되어 방지대책이 수립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pyo]
8.
위험예지훈련에 있어 브레인 스토밍법의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무엇이든 좋으니 많이 발언한다.
2.
지정된 사람에 한하여 발언의 기회가 부여된다.
3.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거나 덧붙여서 말하여도 좋다.
4.
타인의 의견에 대하여 좋고 나쁨을 비평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Brainstorming] -자유분방한 토의식 아이디어 창출법으로 편안한 분위기에서 연상되는 사고를 발표해 나가는 방식 *브레인스토밍 4원칙 1.비판금지: 좋다 나쁘다 비판금지 2.자유분방: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발표 3.대량발언:내용의 질적인 수준보다 양적으로 많이 발언 4.수정발언:타인의 발표내용을 수정하거나 개조하여 관련된 애용을 추가 발표하여도 좋다 [해설작성자 : pyo]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작업내용 변경 시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의 사업 내 안전ㆍ보건 교육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시간 이상
2.
2시간 이상
3.
4시간 이상
4.
6시간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2시간 이상 [해설작성자 : pyo]
*안전보건교육 교육시간 ->일용직근로자(채용): 1시간 ->일용직근로자(작업변경): 1시간 ->일용직 제외근로자(채용): 8시간 ->일용직 제외근로자(작업변경): 2시간 ->건설 일용근로자: 4시간 ->사무실(정기교육): 매분기 3시간 ->관리감독자(정기교육): 16시간 [해설작성자 : 윤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사무직 정기교육 매 반기 6시간 이상 개정됨 [해설작성자 : 외우다 머리빠져]
11.
OFF.J.T(Off the job Training) 교육방법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3.
다수의 대상자를 일괄적, 조직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4.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용이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OFF.J.T 장점 -다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 가능 -훈련에만 전념 가능 -전문가 초빙 가능 -특별한 설비, 기구 이용 가능 -각 근로자의 경험, 지식 교류 (단점:집단적 노력 흐트러질 가능성 있음) [해설작성자 : 민트]
12.
스트레스의 주요요인 중 환경이나 기타 외부에서 일어나는 자극요인이 아닌 것은?
1.
자존심의 손상
2.
대인관계 갈등
3.
죽음, 질병
4.
경제적 어려움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적 자극요인] -자존심의 손상, 공격방어 심리 -업무상의 죄책감 -출세욕의 좌절감과 자만심의 상충 -지나친 경쟁심과 재물에 대한 욕심 -지나친 과거의 집착과 허탈 -가족간의 대화단절 및 의견불일치 -남에게 의지하고자하는 심리 [외적 자극요인] -경제적 어려움 / 가정(가족)관계 갈등 -죽음, 질병 / 직장 내 대인관계 갈등과 대립 / 자신의 건강문제 [해설작성자 : 디디]
13.
크레인, 리프트 및 곤돌라는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몇 년 이내에 최초의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건설기계관리법 제 13조에 의해, 건설공사용 건설기계로서 3년의 범위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검사유효기간내에 검사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jyw3304]
최초 설치후 3년 후 안점검사 실시해야하며 그 이후엔 2년마다 안전검사를 실시하여야합니다.(건설현장은 6개월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6조(안전검사의 주기와 합격표시 및 표시방법) ① 법 제93조제3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안전검사 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크레인(이동식 크레인은 제외한다),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및 곤돌라: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2. 이동식 크레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및 고소작업대: 「자동차관리법」 제8조에 따른 신규등록 이후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3. 프레스, 전단기, 압력용기, 국소 배기장치, 원심기, 롤러기, 사출성형기, 컨베이어 및 산업용 로봇: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압력용기는 4년마다) [해설작성자 : iykim71]
14.
산업안전보건법상 고용노동부장관은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경우 관련사항을 신고한 자에게 몇 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자율안전기준에 맞게 개선하도록 명할 수 있는가?
1.
1
2.
3
3.
6
4.
12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용노동부장관은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경우 관련사항을 신고한 자에게 6 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자율안전기준에 맞게 개선하도록 명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yw3304]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15일 공정안전: 30일 안전: 60일 자율: 6개월
"유.공.안.자"로 암기 [해설작성자 : 개꿀]
15.
방진마스크의 형태에 따른 분류 중 그림에서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1.
격리식 전면형
2.
직결식 전면형
3.
격리식 반면형
4.
직결식 반면형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연결부가없음) [해설작성자 : 공기조화]
16.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의 3기둥으로 볼 수 없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17.
산업재해의 발생형태 중 사람이 평면상으로 넘어졌을 때의 사고 유형은 무엇이라 하는가?
1.
비래
2.
전도
3.
도괴
4.
추락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전도=사람이 평면상으로 넘어졌을 때. 비래,낙하=물건이 주체로, 사람이 맞는 경우 도괴,붕괴=적재물,비계,건축물이 무너진 경우 추락=사람이 건축물,비계,기계,사다리,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 충돌=사람이 정지물에 부딪힐 때 협착=물건에 끼워진 상태, 말려든 상태 [해설작성자 : jyw3304]
18.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자기보존에 관한 안전욕구는 몇 단계에 해당되는가?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1단계 - 생리적 욕구 : 식욕, 갈증, 휴식등 기타 육체적 필요에 대한 욕구 (성욕 포함) 2단계 - 안전 욕구 : 신체적 또는 정서적 위협으로부터 안전과 보호 오늘날 경제적 안정 욕구라는 강한 욕구로 남아있음 3단계 - 사회적 욕구(귀속 욕구) : 애정, 소속감, 수용, 우정등에 대한 욕구 동료집단에 소속되고 싶어하며 동료애를 나누기 원함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개인과 집단간 갈등이 생길수 있음 4단계 - 존경 욕구 : 자아 존중감, 자율성등 내적 자존감 요소와 지위, 인정등 외적 자존감 요소 본인 스스로 중요하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 인정받아야 충족 (Ex. 명예, 명성) 5단계 - 자아실현 욕구 : 자신이 성취할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충동하는 욕구 창조적인 상태의 실현을 뜻하며 성취감과 자기만족을 줌 [출처]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단계 이론 (needs hierarchy theory)|
19.
헤드십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2.
권한행사는 임명된 헤드이다.
3.
구성원과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4.
상관과 부하와의 관계는 개인적인 영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head-ship 1) 권위주의적 2) 개인중심적 3)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관격은 넓다. 4) 상사의 권한 근거는 공식적이다.
4번 결함사상은 아니지만 작업이나 기계의 상태로부터 재해의 발생원인이 될 요소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상사상의 기호이다. [해설작성자 : jun]
결함사상: 시스템 분석에 있어 조금 더 발전시켜야 하는 사상 기본사상: 더 이상 분석할 필요 없는 사상 생략사상: 더 이상 전개할 수 없는 사상 통상사상: 시스템이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일어날 것이 기대되는 사상 [해설작성자 : 한번 더 정리]
22.
두 가지 상태 중 하나가 고장 또는 결함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사건은?
1.
톱사상
2.
정상적인 사상
3.
결함사상
4.
기본적인 사상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결함사상] 결함이 재해로 연결되는 현상 또는 사실 상활 등을 나타내며 논리게이트의 입력, 출력 2가지로 나타내며, 하나가 고장 또는 결함으로 나타내며, FT도표의 정상에 선정되는 사상 즉, 이제부터 해석하고자 하는 사싱인 정상사상(TOP사상)과 중간사상에 사용 [해설작성자 : 디디]
23.
시스템안전 프로그램에서의 최초단계 해석으로 시스템 내의 위험한 요소가 어떤 위험상태에 있는가를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1.
FHA
2.
PHA
3.
FTA
4.
FMEA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예비 위험 분석 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 구상단계 실시 대부분의 시스템 안전프로그램에 있어서 최초단계의 분석으로 시스템 내의 위험한 요소가 얼마나 위험한 상태에 있는가를 정성적으로 평가 목표 1. 시스템에 대한 모든 주요한 사고를 식별하고 대충의 말로 표시할것 2.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을 식별할것 3. 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시스템에 생기는 결과를 식별하고평가할것 4. 식별된 사고를 범주(category)로 분류할것 [해설작성자 : jun]
24.
의자 설계의 일반적인 원리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등근육의 정적 부하를 줄인다.
2.
디스크가 받는 압력을 줄인다.
3.
요부전만(腰部前灣)을 유지한다.
4.
일정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자세고정을 줄인다 [해설작성자 : bo]
25.
다음의 설명은 무엇에 해당되는 것인가?
1.
동작 조작 미스(Miss)
2.
기억 판단 미스(Miss)
3.
인지 확인 미스(Miss)
4.
조치 과정 미스(Miss)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Human Error의 분류 및 발생과정
1. 인지확인 에러 외계정보를 받아서 대뇌 감각 중추에서 인지되기까지 과정에서 일어나는 에러가 발생한다.
2. 판단기억 에러 인지한 상황을 판단하여 적응상태로 의사결정하여서 운동 중추로부터 처리되는 행동으로「이것을 잊어서 인지하지 못했다.」 「기억이 틀려서 조작을 잘못했다.」등의 에러를 말한다.
3. 동작조작 에러 운동중추로부터 의사결정상태의 동작이 지령되었으나 도중에서 조작을 잘못 또는 절차를 생략하는 동작에러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인지확인 에러: 외계정보를 받아서 대뇌 감각 중추에서 인지되기까지 과정에서 일어나는 에러로 의지적 제어가 되지 않아 결정을 잘못한다. 정답 3번 인지확인 에러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또짬]
[오류신고 반론] 정답 2번 기억 판단 미스 맞습니다. 인간과오에서 의지적 제어가 되지 않거나 결정 못하는것은 기억 판단 미스입니다. [해설작성자 : 행저]
26.
다음 FT도에서 최소컷셋(Minimal cut set)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X1]
2.
[X1], [X2]
3.
[X1,X2,X3]
4.
[X1,X2],[X1,X3]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A, B 모두 OR 게이트이므로 X1하나면 다 걸린다. [해설작성자 : 멋진 승빈 아]
<문제 해설> 인간 - 기계시스템 설계원칙 1. 배열을 고려한 설계 2. 양립성을 맞게 설계 3. 인체특성에 적합한 설계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28.
병렬로 이루어진 두 요소의 신뢰도가 각각 0.7일 경우,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는?
1.
0.30
2.
0.49
3.
0.70
4.
0.91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병렬 신뢰도
[1-((1-0.7)*(1-0.7))] = 0.91
29.
사업장에서 인간공학 적용분야로 틀린 것은?
1.
제품설계
2.
산업독성학
3.
재해ㆍ질병예방
4.
작업장 내 조사 및 연구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사업장 에서 인간공학 적용분야 현장에서의 인간공학은 기업,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으로 나뉨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은 다시 세부적으로 작업장 내 연구, 장비/공구설비 설계, 제품설계, 재해/질병 예방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업독성학 -> 산업위생 적용분야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30.
신호검출이론(SDT)에서 두 정규분포 곡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판별기준이 놓였을 경우 Beta값으로 맞는 것은?
1.
Beta = 0
2.
Beta < 1
3.
Beta = 1
4.
Beta > 1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반응편향 = 신호의길이/소음의길이 두 정규분포 곡선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신호의길이=소음의길이 따라서 Beta = 1 [해설작성자 : ijjang]
31.
인간이 낼 수 있는 최대의 힘을 최대근력이라고 하며 인간은 자기의 최대근력을 잠시 동안만 낼 수 있다. 이에 근거할 때 인간이 상당히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힘은 근력의 몇 % 이하인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지구력 인간이 오래동안 유지할 수 있는 힘의 근력 : 15이하 1분정도 : 50정도 30초 정도 : 최대근력
32.
소리의 크고 작은 느낌은 주로 강도의 함수이지만 진동수에 의해서도 일부 영향을 받는다. 음량을 나타내는 척도인 phon의 기준 순음 주파수는?
1.
1000Hz
2.
2000Hz
3.
3000Hz
4.
4000Hz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phon] - 최소가청음압의 기준이 되는 1 kHz에서 표준소리세기인 2 x 10-5 [ Pa ]에 대한 dB 값을 기준으로하여, 그 이외의 주파수에 대해 이 기준주파수와 동일하게 느껴지는 음압 수준 단위 척도 이는 등청감곡선에 따라 구해짐 - 1 [phon] = 1 kHz 순음의 음압레벨(SPL) 1 [dB]예로써, 10 phon이면 1 kHz에서 10 dB인 소리와 같은 크 기로 들리는 소리를 말함 - 0 ~ 130 [phon] (사람의 가청 한계)
[sone] - 상대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소리 크기를 phon 처럼 데시벨 로그 척도가 아닌, - 40~100 사이의 phon 데시벨 값을 대략적으로 선형 척도화한 단위 40 phon = 1 sone, 100 phon = 64 sone 등
[추가 해설]
phon 1000Hz 순음의 음압수준을 의미 sone 1000Hz 40dB의 음압수준을 가진 순음의 크기 (40phon)을 1sone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작업표준이란 작업에 관한 표준으로 위험의 분석 및 위험의 평가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디디]
작업표쥰울 준수하고 있는지(이해하고 있는지 x) 점검 [해설작성자 : 꼬꼬]
위험관리에 있어 작업표준의 의미는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과 관련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꼬비]
34.
작업장의 소음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아닌 것은?
1.
소음의 격리
2.
소음원을 통제
3.
방음보호 용구 사용
4.
차폐장치 및 흡음재 사용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방음보호 용구 사용은 소극적인 대책 [해설작성자 : 태워니]
소음대책 1. 소음원의 통제 2. 소음의 격리 3. 차폐장치 및 흡음재 사용 4. 음향처리제 사용 5. 적절한 배치 [해설작성자 : ㄱㅌ]
1,2,4 은 기계 및 장치로 소음원인을 차단시킴 회사가 적극적임 모든것에서 보호구사용은 작업자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호장치이기에 회사가 소극적 대책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35.
안전성 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자에 대한 평가
2.
기계설비에 대한 평가
3.
작업공정에 대한 평가
4.
레이아웃에 대한 평가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안전성 평가 6단계 1.관계자료의 정비검토 2,정성적인 평가 3.정량적인 평가 4.안전대책 수립 5.재해사례에 의한 평가 6.FTA에 의한 재평가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6.
정량적 표시장치의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눈금단위(scale unit) : 눈금을 읽는 최소 단위
2.
눈금범위(scale range) : 눈금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
3.
수치간격(numbered interval) : 눈금에 나타낸 인접 수치 사이의 차
4.
눈금간격(graduatiom interval) : 최대눈금선 사이의 값 차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눈금간격(graduatiom interval) : 최소눈금선 사이의 값 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강의용 책걸상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와 적용할 인체측정자료 응용원칙이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
의자 높이 – 최대 집단치 설계
2.
의자 깊이 – 최대 집단치 설계
3.
의자 너비 – 최대 집단치 설계
4.
책상 높이 – 최대 집단치 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의자좌판(면)높이 : 최소집단치 적용 의자좌판(면)의 깊이와 폭(넓이) : 일반적으로 폭은 큰 사람이게 맞도록, 깊이는 장딴지 여유를 주고 대퇴를 압작하지 않도록 작은사람에게 맞도록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혁기우빈]
높이,깊이 : 최소집단치 폭,넓이 : 최대집단치 [해설작성자 : ㅇ]
의자 높이 - 최소 집단치 설계 의자 너비 - 최대 집단치 설계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38.
촉감의 일반적인 척도의 하나인 2점문턱값(two-point threshold)이 감소하는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손가락 → 손바닥 → 손가락 끝
2.
손바닥 → 손가락→ 손가락 끝
3.
손가락 끝 → 손가락 → 손바닥
4.
손가락 끝 → 손바닥 → 손가락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점문턱값 : 손의 두점을 누를때 느끼는 감각이 서로 다르게 느끼는 점 사이의 최소거리 [해설작성자 : lwj]
39.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기계ㆍ기구 및 설비의 설치ㆍ이전 등으로 인해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건조 설비
2.
공기압축기
3.
화학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해/위험 방지 계획서 작성 대상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응집장치 5. 허가대상/관리대상 유해물질 및 분진작업 관련 설비 [해설작성자 : 용제이가자]
가스집합 용접장치는 "가스"를 사용하므로 폭발의 위험이 있음 근데 상대적으로 전기용접장치는 안전함. 코드만 빼면되므로 "전기용접장치"도 여기에 포함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내가틀려서적음]
공기압축기 = 컴프레셔(공기주입기) 카센터 휴게소 등 많이 보이고 인터넷으로 쉽게 구매 가능하고 아무나 사용가능함 쉽게 구매할 수 있는데 유해 위험방지계획서를 쓸일이 없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설계단계에서부터 보전이 불필요한 설비를 설계하는 것의 보전방식은?
1.
보전예방
2.
생산보전
3.
일상보전
4.
개량보전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보전예방 신규설비의 계획과 건설을 할 때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열화손실을 적게하는 보전활동 우수한 설비의 선정, 조달 또는 설계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설비의 설계, 제작 단계에서 보전활동이 불필요한 체제를 목표로 한 보전활동 2.생산보전 미국의 GE사가 처음으로 사용한 보전으로 설계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 기계설비의 전과정에서 소요되는 설비의 열화손실과 보전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보전방법 3.일상보전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고 그 진행을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일 설비의 점검, 청소, 주유 및 교체 등을 행하는 보전활동 4.개량보전 설비의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전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설비의 재질이나 형상의 개량, 설계 변경 등을 행하는 보전활동 [해설작성자 : 초랭구]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방호장치의 설치목적이 아닌 것은?
1.
가공물 등의 낙하에 위한 위험 방지
2.
위험부위와 신체의 접촉방지
3.
비산으로 인한 위험방지
4.
주유나 검사의 편리성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방호장치는 작업 중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기사콜렉터입니다]
42.
아세틸렌 및 가스집합 용접장치의 저압용 수봉식 안전기의 유효수주는 최소 몇 mm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수봉식 안전기 저압용 : 25mm 이상 고압용 : 50mm 이상
43.
크레인 로프에 질량 2000kg의 물건을 10m/s2의 가속도로 감아올릴 때, 로프에 걸리는 총 하중은 약 몇 kN인가?
<문제 해설> 연삭기 숫돌 파괴원인 1.숫돌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를 때 2.숫돌 자체에 균열이 있을 때 3.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4.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할 때 5.플랜지가 현저히 작을 때(플리지는 숫돌 지름의 1/3이상일 것) 6.숫돌 불균형, 베어링 마모에 의한 진동이 7.반지름 방향 온도변화 심할 때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52.
롤러기의 급정지장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손조작식 급정지장치의 조작부는 밑면에서 1.8m 이내에 설치한다.
2.
복부조작식 급정지장치의 조작부는 밑면에서 0.8m 이상, 1.1m 이내에 설치한다.
3.
무릎조작식 급정지장치의 조작부는 밑면에서 0.8m 이내에 설치한다.
4.
설치위치는 급정지장치의 조작부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무릎으로 조작하는 것-밑면으로부터 0.4m 이상 0.6m 이내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손조작시=1.8이내 복부조작시ㅡ0.8이상1.1이내 무릎조작시ㅡ0.6이내
53.
산업안전보건법상 보일러에 설치하는 압력방출장치에 대하여 검사 후 봉인에 사용되는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납
2.
주석
3.
구리
4.
알루미늄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설치된 안전밸브에 대해서는 다음의 구분에 따른 검사주기마다 국가교정기관에서 교정을 받은 압력계를 이용하여 설정압력에서 안전 밸브가 적정하게 작동하는지를 검사한 후 납으로 봉인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생화고용제이]
54.
밀링머신 작업의 안전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강력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로부터 길게 물린다.
2.
일감을 측정할 때는 반드시 정지시킨 다음에 한다.
3.
상하 이송장치의 핸들은 사용 후 반드시 빼두어야 한다.
4.
커터는 될 수 있는 한 컬럼에 가깝게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강력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로부터 '깊게' 물린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합격빠탱]
55.
지게차의 헤드가드(head guard)는 지게차 최대하중의 몇 배가 되는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 가?
1.
2
2.
3
3.
4
4.
5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헤드가드의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그 값이 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56.
기계설비의 작업능률과 안전을 위한 배치(layout)의 3단계를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지역배치 → 건물배치 → 기계배치
2.
건물배치 → 지역배치 → 기계배치
3.
기계배치 → 건물배치 → 지역배치
4.
지역배치 → 기계배치 → 건물배치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지역(땅)에 건물을 짓고 기계를 넣는다고 생각하시면 쉽게외워져요 [해설작성자 : 지건기]
57.
프레스기의 금형을 부착ㆍ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을 할 때, 슬라이드가 갑자기 작동함으로써 발생하는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것은?
1.
방호울
2.
안전블록
3.
시건장치
4.
날접촉예방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안전블록 금형의 부착 해체 조정작업 시 슬라이드 불시작동 방지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호울: 프레스기 안전대책 중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헷갈려서 틀림]
58.
와이어로프의 지름 감소에 대한 폐기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공칭지름의 1퍼센트 초과
2.
공칭지름의 3퍼센트 초과
3.
공칭지름의 5퍼센트 초과
4.
공칭지름의 7퍼센트 초과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기준 이음매가 있는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의 수가 10% 이상인 것 지름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한 것 꼬인 것 심하게 변형 부식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팔랑팔랑]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ㆍ위험방지를 위한 방호조치를 하지 아니하고는 양도, 대여, 설치 또는 사용에 제공하거나, 양도ㆍ대여를 목적으로 진열해서는 아니 되는 기계ㆍ기구가 아닌 것은?
1.
예초기
2.
진공포장기
3.
원심기
4.
롤러기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해 위험 방지를 위해 방호조치가 필요한 기계 기구등 예초기 원심기 공기압축기 금속절단기 지게차 포장기계(진공포장기, 랩핑기로 한정)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가로등의 접지전극을 지면으로부터 75cm 이상 깊은 곳에 매설하는 주된 이유는?
1.
전극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접촉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3.
접지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
접지선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75cm 이상으로 매설하는 이유는 겨울철 대지가 얼면 접지저항값이 매우 상승하여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과 대지 표면의 전위 상승을 낮추기 위함과 깊이 시공될수록 접지저항을 낮추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추가 해설] 1]겨울철 대지가 얼면 접지저항값이 매우 상승하여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 2]대지 표면의 전위 상승을 낮추기위함. 3]깊이 시공될수록 접지저항을 낮추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접촉 전압이 높으면 감전 시 위험하겠죠? 가로등과 같이 "공공전기 시설물에서 감전사고가 발생하면 큰일난다" 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RS최원용]
62.
내압방폭 금속관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선관은 박강전선관을 사용한다.
2.
배관 인입부분은 씰링피팅(Sealing Fitting)을 설치하고 씰링콤파운드로 밀봉한다.
3.
전선관과 전기기기와의 접속은 관용평형나사에 의해 완전나사부가 “5턱”이상 결합되도록 한다.
4.
가용성을 요하는 접속부분에는 플렉시블 피팅(Flexible Fitting)을 사용하고, 플렉시블 피팅은 비틀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선관은 후강전선관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amigo13]
전선관은 박강전선관이 아닌 후강전선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전후" 로 외우시면 편합니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박강전선관 = 얇은 전선관 (한문 엷을 박) 후강전선관 = 굵은 전선관 (한문 두터울 후)
압력있는 곳에 얇은거 사용하면 찌그러 지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정전용량 C1(μF)과 C2(μF)가 직렬 연결된 회로에 E(V)로 송전되다 갑자기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C2 단자의 전압을 나타낸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v=ic 같은 관계식은 없습니다.
q=cv에서 직렬 연결 시 c1, c2에 축적되는 전하의 양은 같습니다. q=c1v1=c2v2 - 식1 직렬 연결 시 v=v1+v2 -식2 식 1을 변형하면 v1=q/c1, v2=q/c2 이를 식2에 대입하면 v=q(c1+c2)/c1c2 위 식을 q로 정리하면 q=vc1c2/c1+c2-식3 식3을 v1=q/c1에 대입하면 v1=vc2/(c1+c2) [해설작성자 : iwc]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i와 v의 관계는 i=c(dv/dt)의 관계를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iwc]
64.
충전선로의 활선작업 또는 활선근접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절연장화
2.
절연장갑
3.
절연안전모
4.
대전방지용 구두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대전방지용 구두는 정전기 발생 작업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예림빠]
65.
인체의 피부저항은 피부에 땀이 나있는 경우 건조 시 보다 약 어느 정도 저하되는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인체의 전기저항 피부저항에서 가. 습기가 있는경우 1/10 저하 나. 땀에 젖은 경우 1/20 저하 다. 물에 젖은 경우 1/25 저하 [해설작성자 : amigo13]
습기가 있는 경우 : 건조시의 1/10 감소 땀에 젖은 경우 :1/12~1/20 감소 물에 젖은 경우 : 1/25 감소 [해설작성자 : 허찬]
66.
정전기 재해방지를 위하여 불활성화 할 수 없는 탱크, 탱크롤리 등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배관 내 액체의 유속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이나 기체를 혼합하는 비수용성 위험물의 배관 내 유속은 1m/s 이하로 할 것
2.
저항률이 1010Ωㆍ㎝ 미만의 도전성 위험물의 배관유속은 매초 7m 이하로 할 것
3.
저항률이 1010Ωㆍ㎝ 이상인 위험물의 배관유속은 관내경이 0.05m이면 매초 3.5m 이하로 할 것
4.
이황화탄소 등과 같이 유동대전이 심하고 폭발위험성이 높은 것은 배관 내 유속은 5m/s 이하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이황화탄소 등과 같이 유동대전이 심하고 푹발위험성이 높은 것은 배관 내 유속은 1m/s 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amigo13]
∙초기 배관 내 유속제한 1)도전성 위험물로써 저항률이 미만의 배관유속은 7m/s 이하 2)이황화탄소, 에테르 같이 폭발위험성 높고 유동대전 심한 액체는 1m/s 이하 3)비수용성이면서 물기가 기체를 혼합한 위험물은 1m/s 이하 [해설작성자 : 산안기합격빠탱]
67.
정전기로 인하여 화재로 진전되는 조건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방전하기에 충분한 전위차가 있을 때
2.
가연성가스 및 증기가 폭발한계 내에 있을 때
3.
대전하기 쉬운 금속부분에 접지를 한 상태일 때
4.
정전기의 스파크 에너지가 가연성가스 및 증기의 최소점화 에너지 이상일 때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전기 재해 예방대책 1.접지(도체일 경우 효과 있으나 부도체는 효과 없다) 2.습기부여(공기중 습도 60~70%이상 유지한다) 3.도전성 재료사용(절연성 재료는 절대 금한다) 4.대전 방지제 사용 5.제전기 사용 6.유속 조절(석유류 제품 1m/s 이하)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3 금속부분 접지시 정전기 예방됨 [해설작성자 : day]
68.
화염일주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발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온도를 높인 경우 화염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 한계치
2.
폭발성 분위기에 있는 용기의 접합면 틈새를 통해 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틈새의 최대간격치
3.
폭발성 분위기 속에서 전기불꽃에 의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화염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교류파형의 1주기치
4.
방폭설비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불꽃이 생성된 경우에 그것이 점화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화염의 에너지를 억제 하여 폭발 하한계로 되도록 화염 크기를 조정하는 한계치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폭발등급 측정에 사용되는 표준 용기 내용적이 8[l], 틈새의 안길이(L)이 25[mm]인 용기로서 틈이 폭 W[mm]를 변환시켜서 화염일주한계를 측정하도록 한것, BY "산업안전기사필기과년도" [해설작성자 : 미카엘]
화염일주한계는 원래 가연성가스 또는 증기의 위험성을 나태내는 특성 값의 하나이며, 좁은 뜻으로는 [화염의 일주(도주)를 발생하는 최소에너지]를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RS최원용]
69.
접지저항 저감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접지극의 병렬 접지를 실시한다.
2.
접지극의 매설 깊이를 증가시킨다.
3.
접지극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한다.
4.
접지극 주변의 토양을 개량하여 대지 저항률을 떨어뜨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접지극의 저감대책
1. 접지극의 병렬 매설 2. 접지봉의 심타 매설 3. 접지저항 저감제 사용 4. 접지극의 규격을 크게 5. 토질개량 6. 보조 메쉬, 보조전극 사용 [해설작성자 : 고등어]
70.
Dalziel에 의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얻어진 전류값을 인체에 적용했을 때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전기에너지(J)는? (단, 인체 전기저항은 500Ω으로 보며, 흐르는 전류 mA로 한다.)
접지 목적에 따른 분류에서 병원설비의 의료용 전기전자(MㆍE)기기와 모든 금속부분 또는 도전 바닥에도 접지하여 전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접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계통 접지
2.
등전위 접지
3.
노이즈 방지용 접지
4.
정전기 장해방지 이용 접지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계톡접지: 고압 전로와 저압 전로의 혼촉 [해설작성자 : 내 속에 나아닌 또다른 나]
등전위접지의 목적: 전위가 일정 (EX: 병원의료용기기) [해설작성자 : 미카엘]
등전위 접지:전위를 같게 하여 접지저항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전기 안전을 위해 전로를 형성하고, 위험 전압을 낮추고, 내부 시설 기기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목적:전기 안전을 위해 전로를 형성하고, 위험 전압을 낮추고, 내부 시설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해설작성자 : 김툴툴]
73.
정전기 발생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리속도가 느리면 정전기 발생이 커진다.
2.
정전기 발생은 처음 접촉, 분리 시 최소가 된다.
3.
물질 표면이 오염된 표면일 경우 정전기 발생이 커진다.
4.
접촉 면적이 작고 압력이 감소할수록 정전기 발생량이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물체의 표면 상태 - 표면이 거칠수록, 표면이 수분, 기름 등에 오염될수록 발생량이 많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74.
정격전류 20A와 25A인 전동기와 정격전류 10A인 전열기 6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200V 단상저압 간선에는 정격 전류 몇 A의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00
2.
150
3.
125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전기기사에나 나올 문제 입니다.] 전동기 전류의 합이 50A 이하일 경우 보정값 3, 50A 이상일 경우 2.75 적용 차단기 정격전류 = (20+25)x3 + 60 = 195 [해설작성자 : 돌다리]
[추가 해설] 간선의 차단전류 계산법은 우선 전동기>전열기이면 1.25전동기 +전열기=간선전류(전동기<=50A) 1.1전동기+전열기=간선전류(전동기>50A)
여기서 전동기합이 작으므로 위 식이 아닌 전동기+전열기만 바로 해주면 되므로 간선전류는 105A가 됩니다.
이제 간선의 차단전류를 구하는 공식은
1.전동기x3+전열기 2.전체 합x2.5 입니다. 둘 중 작은 값의 전류를 차단전류로 계산합니다.
1번은 먼저 있는 해설대로, 2번은 262.5가 나오는데, 작은 용량에서 먼저 차단되어야 하므로 195에서 차단이 되고, 정격전류 단위에 맞게 200으로 선정하면 됩니다. 기사 실기 난이도이니 외울 필요 없습니다. 대신 자세한 해설이 없이 교재도 여기도 다 엉성해서 남깁니다. [해설작성자 : 대략난감넌귤]
[규정 개정]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으로 인하여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는 폐지되었습니다. 본 문제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75.
전기기기 방폭의 기본개념과 이를 이용한 방폭구조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점화원의 격리 : 내압(耐壓) 방폭구조
2.
폭발성 위험분위기 해소 : 유입 방폭구조
3.
전기기기 안전도의 증강 : 안전증 방폭구조
4.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입방폭구조(o) -폭발성 분위기가 발화할 수 없도록 전기설비 또는 전기설비의 부품을 보호액에 함침시키는 방폭구조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폭발성 위험분위기 해소 (=탈 것,연료 제거) 는 방폭기기와 관련이 없습니다. 전기방폭기기는 전기에너지에 의한 점화원을 다룸 [해설작성자 : 조선소]
해설이 조금 이해하기 힘든거 같아서 추가로 적습니다 정답 2번 유입방폭구조는 점화원 격리로 들어갑니다
점화원 격리: 유입,내압,압력 있습니다
폭발성 위험분위기 해소는 풀이하면 위험분위기는 인화성 물질을 이야기합니다. 즉 인화성 물질을 제거 라는 겁니다.
가스쪽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폭발성 분위기가 존재하는 용기 내부에는 위험 분위기를 없애기 위해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부족 상태로 유지 가스실에서는 환기시켜 가스농도를 낮추자 이런취지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최소 착화에너지가 0.26mJ인 프로판 가스에 정전용량이 100pF인 대전 물체로부터 정전기 방전에 의하여 착화할 수 있는 전압은 약 몇 V정도인가?
2. 기중차단기(ACB) : 공기 중에서 아크를 자연 소호하는 차단기 3. 단로기(DS) : 반드시 무부하시 개폐 조작을 하여야 한다 4. 피뢰기(LA) : 낙뢰에 의해 구내에 침입하는 이상 전압이나 부하 개폐 시 발생하는 개폐써지 등의 이상 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어허]
78.
배전선로에 정전작업 중 단락 접지기구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한 것은?
1.
통신선 유도 장해 방지
2.
배전용 기계 기구의 보호
3.
배전선 통전 시 전위경도 저감
4.
혼촉 또는 오동작에 의한 감전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로가 정전된 경우에도 오통전, 다른 전로와의 접촉 또는 다른 전로에서의 유도작용 및 비상용 발전기의 가동 등으로 정전전로가 갑자기 충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감전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개소에 근접한 지점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단락접지기구를 사용하여 정전전로를 단락접지하는 것이 필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전작업 시 사람안전이 제일 중요 -> 감전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교류 아크용접기의 허용사용률(%)은? (단, 정격사용률은 10%, 2차 정격전류는 500A, 교류 아크 용접기의 사용전류는 250A이다.)
flash율= (변화된 엔탈피-본래 엔탈피)/기화열(단위:cal/g) 기화열 단위가 cal/mol일 경우에는 분자량으로 나눈다. [해설작성자 : 호호]
86.
다음 중 설비의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함으로써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플레어스택을 설치 또는 변경하는 경우
2.
가스누출감지경보기를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3.
변경된 생산설비 및 부대설비의 해당 전기정격용량이 300kW 이상 증가한 경우
4.
생산량의 증가, 원료 또는 제품의 변경을 위하여 반응기(관련설비 포함)를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플레어스택(Flare stack) 가스, 고휘발성 액체의 증기를 연소하여 대기중에 방출하는 장치이다. seal drum을 통해 점화버너에 착화 연소하여 가연성, 독성, 냄새 제거후 대기 중에 방출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설비의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함으로써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 하여야 하는 경우 1. 생산량의 증가, 원료 또는 제품의 변경을 위하여 반응기 (관련설비포함)를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2. 변경된 생산설비 및 부대설비의 해당 전기전격용량이 300kW 이상 증가한 경우 3. 플레어스택을 설치 또는 변경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어보자]
87.
다음 중 흡인시 인체에 구내염과 혈뇨, 손 떨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신경계를 대표적인 표적기관으로 하는 물질은?
1.
백금
2.
석회석
3.
수은
4.
이산화탄소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구내염과 혈뇨, 손 떨림 등의 증상 -> 수은 중독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88.
위험물을 저장ㆍ취급하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를 설치할 때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의 사이'의 안전거리는 설비의 바깥 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의 사이-설비의 바깥 면으로부터 10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문제 해설> 4.릴리프 장치가 작동 후 방출라인이 개방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취준생]
릴리프 장치가 작동후 방출라인이 개방되어야 할때는 파열판을 단독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몽블랑]
100.
폭발원인물질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구분할 때 기상폭발(gas explosion)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분진폭발
2.
응상폭발
3.
분무폭발
4.
가스폭발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기상폭발 : 폭빌을 일으키기 전 상태가 기체인 폭발 응상폭발 : 물리적폭발, 고체나 액체의 불안정한 물질의 연쇄폭발 [해설작성자 : Seal]
101.
크롤라 크레인 사용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에는 수송차가 필요하다.
2.
붐의 조립, 해체장소를 고려해야 한다.
3.
경사지 작업시 아웃트리거를 사용한다.
4.
크롤라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형을 사용할 경우에는 최대 폭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롤러 크레인은 무한궤도차량으로 자체 중량이 무거워 지지대인 아웃트리거가 따로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ryusu]
[추가 해설]
크롤러 크레인은 아웃트리거가 없기 때문에 경사지에서의 작업은 피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환경짱]
[추가 해설] 아웃트리거가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다만 전도방지를 위해 경사지 작업은 피하는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맑갑]
근본적으로 아웃트리거 있고 없고를 떠나...(아웃트리거 있음) 경사지가 문제인 겁니다... 크레인 종류마다 다르지만 보통 3~4도 정도밖에 안됩니다. 트롤러크레인은 붐대가 연장가능 또한 수직에 가까운 붐각도로 양중이가능해서 높고 좁은 회전반경을 지니고 있는데 거기에 경사가 있으면 회전반경에 제한이 생기기에 트롤로 크레인 사용한다면 전도될 확률이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102.
다음은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의 준수해야 할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는?
<문제 해설> 가설통로 설치기준 1.견고한 구조로 할 것 2.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3.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5.수직갱에 가설퇸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 할 것 5.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 할 것 [해설작성자 : 작살최고]
계단참 관련 문제 수직갱 가설통로길이 15m이상-10m마다 계단참 건설공사 비계다리 높이 8m이상-7m마다 계단참 사다리식 통로 10m이상 - 5m마다 계단참 공사현장 가설계단높이 3m초과시 높이 3m마다 1.2m너비 계단참을 설치해야한다.
15-10 8-7 10-5 3-1.2너비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108.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자세로 옳은 것은?
1.
허리를 구부리고 양손으로 들어올린다.
2.
중량은 보통 체중의 60%가 적당하다.
3.
물건은 최대한 몸에서 멀리 떼어서 들어올린다.
4.
길이가 긴 물건은 앞쪽을 높게 하여 운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허리를 펴고 양손으로 들어올린다. 2. 중량은 남자 40%, 여자 24%가 적당하다. 3. 물건은 몸에서 최대한 가깝게 해서 들어 올린다. 4. 이 경우는 파이프 같이 긴 물체를 들어서 운반한다고 할때 내 몸쪽(앞쪽)을 위로 가게 하고 몸 반대쪽(뒷쪽)은 아래로 가게 해 운반하는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GTSC]
109.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양생 온도
2.
콘크리트 재령
3.
물-시멘트비
4.
거푸집 강도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물-시멘트비, 양생온도, 재령, 슬럼프값, 골재의 배합 [해설작성자 : 노키]
거푸집이란 시멘트가 굳기전에 고정해주는 틀 고정해주는 틀이 강하다고 해서 시멘트의 강도가 증가 하지는 않음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콘크리트 '재령':콘크리트 타설 후 경과된 시간이나 날수를 의미합니다. 즉,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하여 강도가 증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재령이 짧다는 것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얼마 되지 않았다는 뜻이고, 재령이 길다는 것은 콘크리트가 굳은 후 시간이 많이 지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110.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 기준은?
1.
2이상
2.
3이상
3.
5이상
4.
10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제의 경우 화물의 하중이기때문에 하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 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안전계수는 5이상 정답은 3번 5 정답 [해설작성자 : 쉐마]
제163조(와이어로프 등 달기구의 안전계수) ① 사업주는 양중기의 와이어로프 등 달기구의 안전계수(달기구 절단하중의 값을 그 달기구에 걸리는 하중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준에 맞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1.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10 이상 2.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5 이상 3. 훅, 샤클, 클램프, 리프팅 빔의 경우: 3 이상 4. 그 밖의 경우: 4 이상 ② 사업주는 달기구의 경우 최대허용하중 등의 표식이 견고하게 붙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달기와이어로프 or 체인 안전 계수 문제 사람 탑승 : 10 이상 화물 : 5 이상 기타 부속물(훅, 샤클, 클램프) 3이상 [해설작성자 : RS최원용]
-달기 와이어로프, 강선: 10 이상 -달기 체인, 훅: 5 이상 -달기 강대, 상하부: 목재 5이상, 강재 2.5 이상 [해설작성자 : 윤짱]
111.
다음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에 관한 사항이다.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용어는?
1.
A : 변형, B : 지반의 침하유무
2.
A : 변형, B : 개구부 방호설비
3.
A : 균열, B : 깔판
4.
A : 균열, B : 지주의 침하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동바리등의 변형 변위 및 지반의 침하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 할 것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112.
일반건설공사(갑)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경우에 사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 (가) 및 기초액 (나)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가)1.86%, (나)5,349,000원
2.
(가)1.99%, (나)5,499,000원
3.
(가)2.35%, (나)5,400,000원
4.
(가)1.57%, (나)4,411,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5억 이하 일반건설공사는 2.93, 철도, 궤도 신설공사는 2.45% [해설작성자 : 공사 종류도 바야대냐?!ㅠ]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의 전도방지 조치 1.유도자 배치 2.지반의 부동침하방지 3.갓길의 붕괴방지 4.도로의 폭 유지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의 작업계획서 내용 가.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나.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 경로 다.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전도방지 조치와 달리 유도자 배치 관련 사항은 없음 [해설작성자 : 엠제이]
116.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설순서는 계획에 의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진동기는 최대한 많이 사용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지보공 등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손수레로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에는 손수레를 타설하는 위치까지 천천히 운반하여 거푸집에 충격을 주지 아니하도록 타설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진동기 사용이 많아질수록 측압이 올라가 좋지않음. [해설작성자 : 곰곰ㅇㅣ]
117.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안전관리자의 인건비
2.
교통통제를 위한 교통정리ㆍ신호수의 인건비
3.
기성제품에 부착된 안전장치 고장시 교체 비용
4.
근로자의 안전보건 증진을 위한 교육, 세미나 등에 소요되는 비용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안전관리비 중 안전관리자의 인건비 및 각종 업무수당에서 제외되는 항목 1. 차량의 원활한 흐름 또는 교통통제를 위한 교통 정리자 또는 신호수의 인건비 2. 관리감독자의 업무수당 외의 인건비 3. 경비원, 청소원, 폐자재 처리원, 사무보조원의 인건비 [해설작성자 : 고등어]
본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의 [별표2]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으로 규정되어 있었으나 22년 6월 개정때 삭제된 이후 존재하지 않는 규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24.4 해설]
118.
크레인 또는 데릭에서 붐각도 및 작업반경별로 작용시킬 수 있는 최대하중에서 후크(Hook), 와이어로프 등 달기구의 중량을 공제한 하중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kg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 지휘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
대피방법을 미리 교육할 것
4.
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은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하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킬로그램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시 작업의 지휘자를 지정하여 다음 각호의 사항을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1.작업 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 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기구 및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해당 작업을 하는 장소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할 것 4.로프를 풀거나 덮개를 벗기는 작업을 행하는 때에는 적재함의 낙하할 위험이 없음을 확인 한 후에 당해 작업을 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20.
다음 와이어로프 중 양중기에 사용가능한 범위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은?
1.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스트랜드)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8% 인 것
2.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8% 인 것
3.
심하게 부식된 것
4.
이음매가 있는 것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의 사용제한 조건
이음매가 있는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이상인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것 꼬인것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것 열과 전기 충격에 의해 손상된것 [해설작성자 : 혁기우빈]